KR100310602B1 - 비수세식 완전자동 변기 - Google Patents

비수세식 완전자동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602B1
KR100310602B1 KR1019980708543A KR19980708543A KR100310602B1 KR 100310602 B1 KR100310602 B1 KR 100310602B1 KR 1019980708543 A KR1019980708543 A KR 1019980708543A KR 19980708543 A KR19980708543 A KR 19980708543A KR 100310602 B1 KR100310602 B1 KR 10031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crank
wheel
opening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634A (ko
Inventor
언롱 흐어
Original Assignee
흐어 언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흐어 언룽 filed Critical 흐어 언룽
Publication of KR2000001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6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with continuous tubular film for receiving fa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세식(without flushing)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변기는, 케이스 몸체, 공동부, 상기 공동부위에 제공되는 착석 링, 상기 케이스 몸체의 주변부 위에 있는 플라스틱 커버, 케이스 몸체 아래에 고정되는 배설물-보유 박스 및 공동부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하여 케이스 몸체내에 제공되어, 플라스틱 백을 당기기 위한 개폐 당김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몸체는 하나의 페달위에 고정되고, 상기 페달은 베이스와 힌지연결되는 한쪽 단부를 가지며, 페달의 전방단부는 진동단부이며, 상기 단부와 베이스 사이에는 압력 스프링이 제공되고, 페달은 개폐 당김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에 힌지연결되며, 크랭크의 한쪽 단부는 베이스의 지지보드에 맞닿아 구르며, 다른쪽 단부는 상기 개폐 당김기구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비수세식 완전자동 변기
본 발명은 화장실 설비, 특히 건조하고 밀폐된 화장실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환경보호 및 자연으로의 복귀 요청에 의하여, 지난 약 100여년동안, 현대문명의이기인 수세식 변기에 대한 폐해가 더욱 더 심하게 인식되어왔다. 따라서, 물로 씻어냄 없는 화장실 좌석변기를 제안하는 PCT/CN96/00009와 같은 다양한 발명들이 있어왔다. 이러한 발명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오염방지, 편리함 및 위생적인 특징을 가지지만, 그 작동이 전기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그러한 좌변기의 구조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쉽게 오작동시킬 수 있고, 바닷가와 같이 물 및 전기가 없는 곳에서는 부적당하였다.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무게에 의하여 제어되는 건조 및 밀폐 화장실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반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은 물로 씻어냄이 없는 비수세식 완전 자동 화장실 변기로서, 상기 변기는, 케이스 몸체; 공동부(cavity); 상기 공동부 상에 제공되는 착석 링(seat ring); 상기 케이스 몸체의 주변 위에 있는 플라스틱 커버; 상기 케이스 몸체 아래에 고정되는 배설물 보유 박스 및 상기 공동부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내에 제공되어 플라스틱 백을 당기기 위한 개폐 당김기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케이스 몸체는 하나의 페달(pedal)상에 고정되고, 상기 페달의 한쪽 단부는 베이스와 힌지연결되고, 페달의 전방단부는 진동단부이며, 상기 단부와 베이스 사이에는 압력 스프링이 제공되고, 상기 개폐 당김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페달은 적어도 하나의 크랭크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는 상기 베이스의 지지보드에 맞닿아 구르는 한쪽 단부를 가지며, 다른쪽 단부는 상기 개폐 당김기구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해결책은; 케이스 몸체; 공동부; 상기 케이스몸체의 주변 상에 있는 플라스틱 커버; 상기 케이스 몸체 아래에 고정되는 배설물 보유 박스 및 상기 공동부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내에 제공되어 플라스틱 백을 당기기 위한 개폐 당김기구; 상기 플라스틱 커버의 주변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동가능 제어로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착석 링은 상기 공동부와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로드는 상기 링 위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경유하여 상기 링에 맞닿는 상단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상기 제어로드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기어는 하나의 고정 래크(rack)와 하나의 미끄럼 래크와 흔들리고, 상기 개폐 당김기구는 상기 미끄럼 래크와 연결된다.
본 발명은 개폐 당김기구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인체의 중량을 충분히 이용하고 있으며, 가정, 여행 분야, 장거리 버스, 기차, 보트 및 항공기 등과 같은 곳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고, 우수한 적합성과 신뢰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구조 및 장점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한 상세한설명에 의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폐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밀폐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당김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취한 절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폐 당김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 밀폐시에서의 부분 파단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B-B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7내에 있는 당김 롤러의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상태에서의 당김 롤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C-C을 따라 자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는 착석 링(seat ring)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케이스 몸체 내에 장착되는 전동(transmission)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D-D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다른 전동 케이스 몸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선 E-E를 따르는 밀폐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실변기가 케이스 몸체(3), 상기 케이스 몸체(3)상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의 공동부(7), 상기 소정의 공동부 아래에 제공되는 착석 링(8), 상기 케이스 몸체의 주변 상에 제공되는 플라스틱 백(10)의 커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커버는 외부 보호보드(25) 및 내부 보호커버(2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백은 두 개의 보호 보드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플라스틱 백(10)은 융해가능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몸체(3)는 베이스(1)와 힌지연결되는 후방단부를 가지고, 지지점 O를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는 페달(2)상에 장착된다. 상기 페달(2)의 전방단부 및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압력 스프링(11)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페달(2)은 케이스 몸체(3)내에 제공되는 개폐 당김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두 개의 크랭크(21,23)와 힌지연결된다. 각각의 크랭크의 한쪽 단부는 상기 베이스(1)의 지지보드(13)상에서 구르며, 다른쪽 단부는 당김 로프(22,24)를 경유하여 개폐 당김기구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크랭크(21,23)의 이동 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리셋 스프링(reset spring; 12)이 크랭크(21)의 진동단부 및 베이스 사이에 제공된다.
케이스 몸체(3)의 하부 단부는 유연한 튜브(9)를 경유하여 배설물 보유 박스(미도시)에 연결된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개폐 당김기구는 밀폐수단과 당김수단을 포함한다. 밀폐수단은 상부 구획보드(31) 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밀폐도어(41)과, 하부 구획보드(32)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밀폐도어(51)을 구비한다. 상기 밀폐도어는 서로를 가깝게 하려는 스프링(42, 52)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하부 및 상부도어는 교대로 밀폐되며, 상기 두 개의 상부 밀폐도어(41)은 풀리(25,26,27)를 거쳐서 두 개의 당김 로프(24)에 연결되고, 두 개의 하부 밀폐도어(51)는 한 쌍의 당김 로프(44) 및 풀리(43, 53)를 거쳐 상부 밀폐도어(41)에 연결된다. 상기 로프(24)는 크랭크(23)에 연결되고, 스프링(42)의 힘은 스프링(52)의 힘보다 크다. 상기 당김수단은 상부 및 하부도어(41, 51) 사이에 제공되며, 전동축(60)상에 장착되는 당김 휠(63)을 구비한다. 상기 당김 휠(63)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김 휠(63)과 공동부 작용하는 텐션 휠(64)이 제공된다. 상기 텐션 휠(64)은, 나사(66)와 지지체(65)를 조정함으로써, 자신과 당김 휠(63) 사이의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전동축 상에는, 로프(22)상에 연결되는 체인에 의하여 회전하는 체인 휠(62)이 제공되며, 체인의 다른쪽 단부는 연장 스프링(67)을 경유하여 체인을 케이스 몸체(3)에 연결한다. 상기 리셋 스프링(12)의 힘은 연장 스프링(67)의 힘보다 강하다.
상기 크랭크(21)는 상기 밀폐수단을 제어하는 당김 로프(22)에 연결되고, 크랭크(23)는 당김 수단을 제어하는 당김 로프(24)에 연결된다.
상기 체인휠(62)과 당김 휠(63) 사이에는, 성능이 우수한 클러치가 당김 휠(63) 내에 또는 체인 훨(62) 위에 제공된다. 가장 간단한 체인 훨(62)은 자전거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플라이 휠이다.
도 3은 밀폐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의 구조는 압력 스프링(42,52)이 연장 스프링(242,252)으로 대체되고, 도 2는 개방된 상부도어 및 밀폐된 하부도어를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3은 밀폐된 하부도어 및 개방된 상부도어를 도시하고 있는 점에서, 도 2와 다르다.
도 6 내지 10은 당김 개폐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케이스 몸체(3)내에 장착되어 있는 개폐 당김기구는 두 개의 대칭 배열된 롤러(70)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각각은 롤러의 축을 따라 배치되는 베니어판 보드(72)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당김 휠(71)을 가진다. 상기 베니어판 보드(72)의 최대 폭은 롤러(70)의 직경과 동일하고, 보드(72)의 두께는 롤러 반경의 절반보다 작다. 두 개의 롤러(70)는 전동 수단(68,69)을 경유하여 상기 체인 휠(62)에 의하여 구동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두 개의 롤러(70)는 그 둘 중 하나에, 나사(66) 및 지지체(65)와 같은 압박수단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10에 도시되어 있는 개폐 당김기구가 채택되면, 단지 하나의 크랭크(21)만이 제공되며, 크랭크의 진동 단부는 로프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과 로프(22)를 통하여 체인 휠(62)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체인의 다른쪽 단부는 연장부(67)를 통하여 케이스 몸체에 연결된다. 크랭크(21)의 진동단부 및 기저(1) 사이에 연결된 상기 리셋 스프링(12)의 힘은 스프링(67)의 힘보다 더 강하다. 체인 휠(62)은 플라이 휠 위에 있을 수 있다.
도 6 및 7은 롤러(70)가 밀폐상태에 있고, 플라스틱 백(10)이 두 개의 베니어판 보드(72)에 의하여 끼워지고 밀폐되는 것을 도시하며, 도 9 및 10는 롤러(71)가 개방상태에 있고 플라스틱 백(10)이 상기 보드(7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관통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당김 휠(71)은 플라스틱 백(10)을 당기는데 사용된다.
도 11 내지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 내지 10의 개폐 당김기구와 동일한 기구를 채택한다. 작동이 착석압력(seating pressing)에 의하여 개시된다는 점만이 다르다.
도 11 내지 14를 참고하면, 화장실변기가 케이스 몸체(3), 상기 케이스 몸체상에 장착되는 공동부(7), 상기 공동부위에 제공되는 착석 링(8), 케이스 몸체의 주변 위에 제공되는 플라스틱 백 커버(미도시) 및, 케이스 몸체(3)에 장착되는 개폐 당김기구를 포함한다. 적어도 플라스틱 백의 주변 둘레에 제공되는 개폐 당김 수행 기구는 수직으로 활주할 수 있는 제어 로드(100)를 구비한다. 착석 링(8)은 후방부를 가지고 공동부(7)과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어 로드(100)는 링(8)에 맞닿는 상부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 로드(100) 상에 장착되는 스프링(110)에 의하여 영항을 받는다. 로드(100)의 하부 부분은 전동 기구(101)네 연결되고, 상기 전동기구(101)는 로드(100)상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 휠(102), 상기 기어 휠(102) 및 활주 기어휠(104)과 맞물리는 고정된 래크(rack)를 포함한다. 래크(104) 상에는 개폐 당김기구에 연결되는 당김 로프(122)가 제공되며, 당김 로프(122)는 풀리 조합 팽창기구에 의하여 개폐 당김기구에 연결된다. 풀리 조합 팽창기구는 상기 활주 래크(104)에 상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이동가능 풀리(105,106),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107,108) 및, 한쪽 단부는 케이스 몸체(3)에 고정되고 이어서 제 1 이동가능 풀리(105), 제 1 고정 풀리(107), 제 2 이동가능 풀리(106), 제 2 고정 풀리(108)주위로 진행하여, 개폐 당김기구와 연결되는 로프(122)를 포함한다. 도 11 내지 16에서, 도 1 내지 10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5 및 16은 한 쌍의 상부 밀폐도어(41) 및 한 쌍의 하부 밀폐도어(51)뿐 아니라 상기 도어들이 밀폐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42,52)을 포함하는 다른 밀폐구조를 도시한다. 고정 래크(103), 이동가능 래크(104), 기어 휠(102) 및 제어 로드(1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밀폐도어를 위한 한 쌍의 개폐기구가 케이스 몸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제공되며, 밀폐도어를 개폐 하도록 당기기 위하여, 상 하부 밀폐도어는 로프(111, 112)에 의하여 이동가능 래크(104)의 상하 단부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작동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사람이 페달(2)을 밟으면, 그가 착석 링(8)상에 앉던지 앉지 않던 간에, 페달(2)이 점 O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크랭크(21)는 리셋 스프링(12)의 힘을 극복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프(22)는 스프링(67)의 기능하에서 도 2의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체인(62)을 회전하게 한다. 체인 휠(62)과 당김 휠(63) 사이에 우수한 클러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체인 휠(62)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때에도 당김 휠은 움직이지 않는다. 동시에, 크랭크(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프(24)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상부 밀폐도어(41)를 당겨 개방한다. 하부 밀폐도어(51)는 스프링(52)의 작동으로 밀폐된다. 이 시점에서는 배설물을 위한 깨끗한 공간이 있다. 사림이 페달(2)에서 떠나게 되면, 리셋 스프링(12)이 스프링(67)의 힘(스프링(12)의 힘이 스프링(67)의 힘보다 더 강하다)을 극복하고, 체인 휠(62)에 의하여 회전하는 당김 휠(63)을 통하여 배설물이 담긴 플라스틱 백(10)을 아래로 당겨서, 공간(7)이 깨끗한 공간이 되도록 하고, 상부 밀폐도어(41)는 스프링(42)에 의하여 작동되어 스프링(52)의 힘을 극복하고 하부 밀폐도어(51)를 개방한다. 그러면, 배설물은 배설물 보유 케이스로 떨어지고, 변기 사용이 종료된다. 사용방법은 이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본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이러한 모든 변용은 통상적인 기술수준내에 있다. 예를 들어, 체인 휠(62)은 벨트 휠로 대신될 수 있고, 당김 롤러는 PCT/CN96/0000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럼 휠일 수 있으며, PCT/CN96/00009에 설명되어 있는 소모 링이 공동부(7)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당김 휠 아래에는 작동에 따라 개방되고 밀페되는 하부 밀폐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밀폐도어는 축 주위를 회전하는 회전문일 수 있다.

Claims (12)

  1.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 상에 장착되는 공동부, 상기 공동부 상에 제공되는 착석 링(seating ring), 케이스 몸체의 주변 위에 제공되는 플라스틱 백을 위한 커버 및, 케이스 몸체 아래에 고정되는 배설물 보유 케이스 및 상기 공동부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하여 케이스 몸체내에 장착되는 개폐 당김기구를 포함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베이스와 힌지연결되는 후방단부와 진동단부로서의 전방단부를 가지는 페달 상에 고정되고, 상기 단부와 베이스 사이에는 압력 스프링이 제공되며, 상기 페달은 상기 개폐 당김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크랭크와 적어도 힌지연결되며, 상기 크랭크는 베이스의 지지보드내에서 구르는 한쪽 단부와 상기 개폐 당김 기구와 연결되는 다른쪽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는 밀폐수단과 당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밀폐수단은 상부 구획보드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밀폐도어 및 하부 구획보드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밀폐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밀폐도어는 그들을 밀폐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상 하부 밀폐도어는 교대로 개방 또는 밀폐되며, 두 개의 상부 도어는 풀리를 통하여 두 개의 당김 로프와 연결되고, 두 개의 하부 도어는 한 쌍의 당김 로프와 풀리를 통하여 두 개의 상부 도어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밀폐도어의 스프링은 하부 도어의 스프링보다 더 강하며, 상기 당김 수단은 상 하부 밀폐도어 사이에 제공되고, 전동축(transmission shaft)위에 장착되는 당김 휠, 텐션 휠 및, 상기 전동축 상에 장착되는 체인 휠을 구비하며, 상기 체인 휠과 당김 휠 사이에는 우수한 클러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당김기구는 밀폐수단과 당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수단은 상부 구획보드상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밀폐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밀폐도어는 도어가 밀폐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풀리를 통하여 두 개의 당김 로프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는 상기 제 1 크랭크와 연결되고,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밀폐도어 아래에 제공되며, 상기 전동축 상에 장착되는 당김 휠을 가지며;
    두 개의 크랭크가 제공되며, 하나의 제 1 크랭크는 상기 상부 밀폐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당김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두 개의 크랭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랭크 및 제 2 크랭크는 반대방향의 운동을 하며, 상기 제 1 크랭크는 당김 로프와 상기 로프에 연결된 체인을 통하여 체인 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진동 단부를 가지며; 상기 체인의 다른 쪽 단부는 연장 스프링을 통하여 케이스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크랭크의 진동 단부 및 베이스 사이에는 리셋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리셋 스프링은 연장스프링보다 더 강한 힘을 가지고, 제 2 크랭크는 상부 밀폐도어로 이어지는 한 쌍의 로프와 연결되며; 상기 체인 휠과 당김 휠 사이에는 우수한 클러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당김기구는 대칭적으로 제공되는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각각은 롤러 축을 따라서 배치되는 베니어판 보드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당김 휠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베니어판 보드는 상기 롤러의 직경과 동일한 최대폭 및 롤러 반경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롤러는 상기 전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는 로프와 그에 연결된 체인을 통하여 체인 휠을 구동하는 진동단부를 가지며, 상기 로프는 연장 스프링을 통하여 케이스 몸체에 연결되는 다른쪽 단부를 가지며, 상기 크랭크의 진동단부 및 베이스 사이에는 리셋 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리셋 스프링은 상기 연장 스프링보다 더 강한 힘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7.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 내에 있는 공동부과, 상기 공동부위에 제공되는 착석 링과, 상기 케이스 몸체의 주변부 위에 제공되는 플라스틱 백을 위한 커버, 및 케이스 몸체 아래에 있는 배설물 보유 케이스 및 상기 공동부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 내에 장착되는 개폐 당김기구를 구비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동가능 제어 로드가 플라스틱 백의 커버위에 제공되고, 상기 착석 링의 후방단부는 상기 공동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어 로드는 상기 착석 링과 맞닿는 상부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어 로드의 하부 부분은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어 휠을 가지고, 상기 기어 휠은 하나의 고정 래크 및 이동가능 래크와 맞물리고, 상기 개폐 당김기구는 상기 이동가능 래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당김기구는 당김 로프를 통하여 상기 이동가능 래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9.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이동가능 래크 상에 제 1 및 제 2 이동가능 풀리가 장착되고, 케이스 몸체 상에는 제 1 및 제 2 고정 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당김로프는 케이스 몸체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를 가지고, 제 1 이동가능 풀리, 제 1 고정 풀리, 제 2 이동가능 풀리 및 제 2 고정 풀리 둘레로 계속 이어져, 상기 개폐 당김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동작에 따라 개방 및 밀폐되는 하부 밀폐도어가 당김 휠 아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화장실 변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밀폐도어는 자신의 축 주위로 회전하는 회전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12. 제 1, 2, 3, 5, 7, 8, 9 및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내에 고정되는 팽창 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세식 완전자동 화장실 변기.
KR1019980708543A 1996-04-24 1996-04-24 비수세식 완전자동 변기 KR100310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1996/000027 WO1997039673A1 (en) 1996-04-24 1996-04-24 Completely automatic waterless clo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34A KR20000010634A (ko) 2000-02-25
KR100310602B1 true KR100310602B1 (ko) 2001-11-15

Family

ID=457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543A KR100310602B1 (ko) 1996-04-24 1996-04-24 비수세식 완전자동 변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12701B1 (ko)
EP (1) EP0906744B1 (ko)
KR (1) KR100310602B1 (ko)
AU (1) AU728898B2 (ko)
BR (1) BR9612601A (ko)
CA (1) CA2253775C (ko)
DE (1) DE69630470T2 (ko)
ES (1) ES2210357T3 (ko)
WO (1) WO1997039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14312D0 (en) * 2001-06-12 2001-08-01 Sangenic International Ltd Spool for a waste storage device
US6941733B2 (en) * 2003-04-03 2005-09-13 Playtex Products, Inc. Waste disposal apparatus
GB0324764D0 (en) 2003-10-23 2003-11-26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CN100479731C (zh) * 2003-11-17 2009-04-22 刘彻 环保免冲便器
GB2409866A (en) * 2004-01-08 2005-07-13 Medicart Int Ltd Waste packaging system
CN100446708C (zh) * 2005-04-01 2008-12-31 长沙金凤滩高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环保厕所用大便器
GB0622909D0 (en) * 2006-11-16 2006-12-27 Sangenic International Ltd Waste storage device
CN101822503B (zh) * 2010-04-09 2011-09-28 薛源 适用于灾区应急的生态公厕
DE202010009966U1 (de) 2010-07-06 2011-10-26 Michael Winter Wasserlose mobile Folienschlauchtoilette
CN102535610B (zh) * 2010-12-28 2014-03-12 福州耕耘专利开发有限公司 抽底排污式便器
DE202011001413U1 (de) 2011-01-12 2012-04-17 Michael Winter Wasserlose kompakte mobile Folienschlauchtoilette
GB201103429D0 (en) 2011-02-28 2011-04-13 Sangenic International Ltd Improved waste storage device and cassette
CN102283608B (zh) * 2011-07-14 2013-01-02 牟光灵 环保节能无水卫生新便厕
DE202011104936U1 (de) 2011-08-29 2012-12-03 Michael Winter Wasserlose geruchsarme mobile Folienschlauchtoilette
US9357890B2 (en) 2012-02-20 2016-06-07 Sanitation Creations, Llc Waterless toilet system and methods of use
US9364124B2 (en) 2012-02-20 2016-06-14 Sanitation Creations, Llc Waterless toilet system and methods of use
CN103349525B (zh) * 2013-06-25 2018-02-13 牟光灵 环保节能无水卫生新便厕
SG11201600503QA (en) * 2013-08-06 2016-02-26 Nihon Safety Co Ltd Film sealing mechanism
US11974703B2 (en) 2020-01-04 2024-05-07 Kohler Co. Liner toilet
CN112716343B (zh) * 2021-01-23 2022-04-12 郑州云茂实业有限公司 干式厕所生物填料排污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1906A (en) * 1952-11-15 1954-03-16 Robert W Potts Liner for sanitary closets
US3452368A (en) * 1966-10-07 1969-07-01 Fts Corp Portable waste disposer
US3665522A (en) * 1969-11-17 1972-05-30 Pactosan Ab Apparatus for collecting solid or liquid wastes
US3619822A (en) * 1969-11-18 1971-11-16 Thomas Carmichael Sanitary closet
CH525134A (de) * 1970-01-06 1972-07-15 Pactosan Ab Vorrichtung zum Sammeln von festem oder flüssigem Abfall
US3693193A (en) * 1970-11-23 1972-09-26 Coleman Co Portable sanitary toilet
US3878572A (en) * 1973-09-21 1975-04-22 Eleon Gustav Eriksson Collecting device for solid or liquid waste material
SE385434B (sv) * 1974-09-20 1976-07-05 Trailer Finanse Ab Anordning vid klosetter
DE3941939A1 (de) * 1989-12-19 1991-06-20 Johannes Loebbert Trockentoilette mit verschliessbarem behaelter zur aufnahme von faekalien
FR2698025B1 (fr) * 1992-11-13 1994-12-16 Innovation Ingenierie Integrat Dispositif de récupération et de stockage de déchets.
FR2725421B1 (fr) * 1994-10-05 1997-05-23 Lecomte Michel Raymond Georges Dispositif pour emballer et confiner les dechets hospitaliers et/ou menagers
EP0906743B1 (en) 1996-02-02 2002-05-02 Englong He Waterless clos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8898B2 (en) 2001-01-18
KR20000010634A (ko) 2000-02-25
CA2253775A1 (en) 1997-10-30
EP0906744B1 (en) 2003-10-22
BR9612601A (pt) 1999-07-20
DE69630470T2 (de) 2004-07-22
US6212701B1 (en) 2001-04-10
CA2253775C (en) 2003-01-14
WO1997039673A1 (en) 1997-10-30
AU5396096A (en) 1997-11-12
DE69630470D1 (de) 2003-11-27
EP0906744A4 (en) 1999-06-16
EP0906744A1 (en) 1999-04-07
ES2210357T3 (es) 200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602B1 (ko) 비수세식 완전자동 변기
US5222260A (en) Toilet cover closure device
RU2500870C2 (ru) Предмет мебели с выталки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одвижных деталей мебели
KR20060025806A (ko) 냉장고
CA2130728A1 (en) Door Apparatus with Release Assembly
CA2879495A1 (en) Bi-parting, bi-directional door system
US4642821A (en) Self-cleaning sanitary apparatus
KR100898837B1 (ko) 변기 시트 및 커버의 자동개폐장치
CA2312314A1 (en) Self-rising door handle
JP3654203B2 (ja) 昇降式アッパーキャビネット
US5441172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the content of a collapsible paste tube
CN109610949B (zh) 一种低位触压式开门器及其配套门锁
JP3060706U (ja) 水洗不要全自動トイレ装置
CA2250892A1 (en) Public convenience unit
DE4427122A1 (de) Haushaltgerät, insbesondere Geschirrspülmaschine oder Herd mit einer schwenkbar am Gerätegehäuse gelagerten Gerätetür
BE1006460A6 (fr) Mecanisme de fonctionnement -en cas d'urgence- de l'ouverture d'une porte par l'inversion rapide de son sens d'utilisation normale.
US1006812A (en) Water-closet fixture.
KR101128850B1 (ko) 도어클로저 및 그 도어클로저를 이용한 출입문개폐장치
MXPA98008835A (en) No-disposal of water totally automat
CN2286023Y (zh) 全自动免冲洗厕具
RU2150225C1 (ru) Полностью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унитаза, не требующее промывки напорной струей жидкости (варианты)
CN214997317U (zh) 一种消防用双向逃生防火卷帘
CN216197419U (zh) 带门男士小便器
US20050183236A1 (en) Sliding replacement door
CN212394772U (zh) 一种双动启合盖的马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