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118B1 -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118B1
KR100309118B1 KR1019990023112A KR19990023112A KR100309118B1 KR 100309118 B1 KR100309118 B1 KR 100309118B1 KR 1019990023112 A KR1019990023112 A KR 1019990023112A KR 19990023112 A KR19990023112 A KR 19990023112A KR 100309118 B1 KR100309118 B1 KR 10030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atural chlorophyll
chlorophyll
mixing tank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006A (ko
Inventor
윤천기
Original Assignee
윤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천기 filed Critical 윤천기
Priority to KR1019990023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11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3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되는 물속의 이물질이나 화학물질을 처리하기위한 여과수단(10)과;
이 여과수단(10)에 의해 여과된 순수 물과 천연엽록소가 소정의 비율로 채워지는 혼합조(20)와;
이 혼합조(20)내에 물과 천연엽록소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수를 펌프(38)의 펌핑작용으로 공급관(37)을 통해 유입시켜, 상부가 트여진 폭기통(31)과 하부가 트여진 내통(32)을 거쳐 외통(33)사이의 통로를 통해 다시 혼합조(20)로 순환되도록 하는 반응조(30)와;
상기 반응조(30)의 공급관(37)에 접속되어 혼합수가 반응조(30)에서 반응될 때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수단(4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천연엽록소를 적정 비율의 음료화시켜 건강보조식품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장치로 수용화된 천연엽록소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미용용수로서 사용할 경우 피부를 촉촉히유지하고 모공을 좁혀주도록 하여 인체의 피부를 양호하게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Dissolving device of natural chlorophyll into the water}
본 발명은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익한 천연엽록소를 건강보조식품용으로 섭취하거나 화장용수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물에 완전히 용해시킬 수 있도록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엽록소는 광합성을 하는 녹색색소로서 빛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중요한 역할을하는 것으로서, 조직세포의 부활을 활발하게 하여 인체 각기관의 장애에 대하여 저항력을 항진하고, 인체조직에 활력을 부여하여 강력한 살균작용, 해독작용, 조혈작용, 신진대사 촉신작용, 강심, 말초혈관 확장작용, 항 알레르기 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천연엽록소는 녹색식물의 잎사귀나 줄기에서부터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여 추출하면 거의 식물성 지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식물성 지방이 대부분인 천연엽록소는 물과 혼합되지 못하는 성질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
따라서, 건강보조식품이나 미용수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용액이 되어야만 상품적 가치가 있게 된다. 종래에는 고농축상태의 천연엽록소를 수용성으로 하기 위하여 초음파 분해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작업시 엽록소가 파괴되어 효능이 저하되고 생산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비율로 완전히 물에 용해되어 상품성을 갖도록 한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조립상태 종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여과수단 20 - 혼합조
21 - 세라믹부재 22 - 환수관
30 - 반응조 31 - 폭기통
32 - 내통 33 - 외통
37 - 공급관 38 - 펌프
40 - 기포발생수단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되는 물속의 이물질이나 화학물질을 처리하기위한 여과수단(10)과;
이 여과수단(10)에 의해 여과된 순수 물과 천연엽록소가 소정의 비율로 채워지는 혼합조(20)와;
이 혼합조(20)내에 물과 천연엽록소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수를 펌프(38)의 펌핑작용으로 공급관(37)을 통해 유입시켜, 상부가 트여진 폭기통(31)과 하부가 트여진 내통(32)을 거쳐 외통(33)사이의 통로를 통해 다시 혼합조(20)로 순환되도록 하는 반응조(30)와;
상기 반응조(30)의 공급관(37)에 접속되어 혼합수가 반응조(30)에서 반응될 때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수단(4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순수 여과된 물과 혼합된 천연엽록소가 반응조(30)에서 기포에 의한 폭기반응에 의해 입자가 거친 엽록소나 부유이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엽록소와 물입자가 미세히 혼합되는 반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농도의 천연엽록소수용액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얻어진 천연엽록소수용액은 건강보조식품용 음료 및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화장이 잘되도록 하는 미용수등의 제품 산업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반응조(30)의 상부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폭기통(31)과 내통(32) 그리고 외통의 3중관으로 이루어 지고, 상부에는 활성탄(35)과 부유된 이물질 수거함(34)이 형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반응조(30)의 하부구조를 단면도로 확대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여과수단(10)은 상수도등과 같이 공급되는 물속의 이물질이나 화학물질을 처리하기위한 필터장치이다.
이 여과수단(10)은, 다단의 필터를 거쳐 이물질이나 화학물질을 제거한 후에는 활성화를 위해 여러층의 세라믹이나 활성탄등이 채워진 카트리지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 여과수단(10)에 의해 여과된 순수 물은 혼합조(20)로 공급된다.
이 혼합조(20)에는 물의 적정양과 함께 천연엽록소가 소정의 비율로 인위적으로 계량하여 채워지게 한다.
그 혼합비율은 건강용과 미용용에 따라 다르게 물과 천연엽록소가 100:1 내외의 큰 비율로 희석시키게 되는데, 용도에 따라 키토산을 적정비율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 혼합조(20)내에 물과 엽록소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수는 펌프(38)의 가압력으로 반응조(30)로 강제 공급시켜 물과 엽록소가 서로 분자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혼합조(20)와 반응조(30)를 연결하는 공급관(37)에 펌프(38)의 펌핑압력으로 혼합수를 강제 공급시키는데, 공급관(37)은 중앙에 위치되는 폭기통(31)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 공급관(37)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기포발생수단(40)이 접속되어 외부로 부터 기포가 강제 공급되어 혼합수가 매우 작은 기포상태로 폭기통(31)에서 상부로 분출된다.
이때, 물과 엽록소는 부수히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그 입자가 잘게 분해된 상태에서 서로 분자결합이 이루어 지는 것이며, 분해되지 않은 큰 입자상태의 엽록소나 이물질, 단백질등은 기포에 의해 부유된다.
이와같이 제거된 부유물은 점차 반응조(30)의 상부에 덮어진 이물질 수거함(34)으로 점차 채워지게 되며, 혼합수는 폭기통(31)과 내통(32)사이의 통로를 통해 하부로 이동된다.
내통(32)의 하부는 도 3에서와 같이 외통(33)과 연통되도록 통로가 트여져 하부로 이송된 혼합수는 다시 내통(32)과 외통(33) 사이통로를 통해 상부로 이송되어 다시 환수관(22)을 따라 혼합조(20)로 복귀된다.
이와같이 환수관(22)을 통해 혼합조(20)로 복귀시키는 이유는 상기와같은 폭기반응을 무수히 많은 회수로 반복토록 하므로써, 보다 완전하게 물과 천연엽록소가 분해 결합되고, 부유물을 완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물에 혼합되지 아니한 부유물등을 완전 제거하므로써, 물과 천연엽록소가 분자결합된 혼합수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기포발생수단(40)은 혼합수가 공급관(37)을 통해 상기 반응조(30)로 공급될 때 기포를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콤프레셔에 의해 소정압의 대기중 산소(02)를 공급하여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혼합수내의 살균정화기능을 위해 오존발생기(41)로 부터 발생되는 오존(0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오존발생기(41)는 공급관(37)과 대략 T형밸브에 의해 연통되게 접속되어 혼합수가 공급될 때 오존이 함께 공급토록 설치된다.
이 오존(03)은 폭기통(31)에서 폭기를 위해 공급되어 혼합수와 혼합될 때 물분자와의 반응에 의해 산소(02)로 변환되어 혼합수의 성질에는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반응조(30)의 이물질 수거함(34)의 상부에 다시 활성탄(35)을 망체용기에 채워지게 설치하므로써, 반응조(30)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오존(03)을 활성탄(35)이 제거 흡착토록 하는 것이다.
또, 이물질 수거함(34)에 부유물이 계속 채워지면 드레인관(36)을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며, 상기 혼합조(20)의 내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여러종류의 세라믹부재(21)를 채워지게 하는 것이 혼합효과가 증대됨은 물론, 미용이나 인체에 유익하다.
이 세라믹부재(21)로는 제오라이트나 맥반석, 원적외선세라믹등이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천연엽록소를 적정 비율로 수용화하므로서 건강보조식품용의 경우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미용수의 경우 피부를 촉촉히유지하고 모공을 좁혀주도록 하여 화장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공급되는 물속의 이물질이나 화학물질을 처리하기위한 여과수단(10)과;
    이 여과수단(10)에 의해 여과된 순수 물과 천연엽록소가 소정의 비율로 채워지는 혼합조(20)와;
    이 혼합조(20)내에 물과 천연엽록소가 혼합되어 있는 혼합수를 펌프(38)의 펌핑작용으로 공급관(37)을 통해 유입시켜, 상부가 트여진 폭기통(31)과 하부가 트여진 내통(32)을 거쳐 외통(33)사이의 통로를 통해 다시 혼합조(20)로 순환되도록 하는 반응조(30)와;
    상기 반응조(30)의 공급관(37)에 접속되어 혼합수가 반응조(30)에서 반응될 때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수단(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40)은 오존발생기(41)로 부터 발생되는 오존(03)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30)의 외통(33)과 혼합조(20)에는 환수관(22)이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30)의 상부에는 이물질 수거함(34)과 망체용기에 담겨진 활성탄(3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KR1019990023112A 1999-06-19 1999-06-19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KR10030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12A KR100309118B1 (ko) 1999-06-19 1999-06-19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112A KR100309118B1 (ko) 1999-06-19 1999-06-19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006A KR20010003006A (ko) 2001-01-15
KR100309118B1 true KR100309118B1 (ko) 2001-09-29

Family

ID=1959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112A KR100309118B1 (ko) 1999-06-19 1999-06-19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9638B2 (ja) * 2003-10-02 2010-01-20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914498B1 (ko) * 2007-06-05 2009-08-31 박인복 오존을 이용한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0950Y1 (en) * 1978-10-24 1979-06-30 Yung Sik Choi Extraction device of chlorophyll by super sonic waves
JPS5869884A (ja) * 1981-10-21 1983-04-26 Toyo Hatsuka Kogyo Kk フエオホ−バイトの製法
JPS5933231A (ja) * 1982-08-19 1984-02-23 Seikou Kin 葉緑素抽出装置
US5108908A (en) * 1988-08-02 1992-04-28 Imedex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proteinic solutions containing pigments such as heminic groups or chlorophylls in view of their decolorization and products thus obtain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0950Y1 (en) * 1978-10-24 1979-06-30 Yung Sik Choi Extraction device of chlorophyll by super sonic waves
JPS5869884A (ja) * 1981-10-21 1983-04-26 Toyo Hatsuka Kogyo Kk フエオホ−バイトの製法
JPS5933231A (ja) * 1982-08-19 1984-02-23 Seikou Kin 葉緑素抽出装置
US5108908A (en) * 1988-08-02 1992-04-28 Imedex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proteinic solutions containing pigments such as heminic groups or chlorophylls in view of their decolorization and products thus obtai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006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0053B2 (ja) 酸素水製造機
CN200963325Y (zh) 多功能臭氧气液消毒治疗仪
KR100996923B1 (ko)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기능성 세정수의 다목적 생산장치
KR100309118B1 (ko) 천연엽록소를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US202103095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hydrogen water
CN2294411Y (zh) 臭氧超声波净化机
CN104403799A (zh) 一种杜仲的综合利用方法
JP2787465B2 (ja) オゾン水を利用する手腕の消毒装置
CN102847454A (zh) 医用清创臭氧水制备装置
CN107311366A (zh) 一种富氢水净水机
CN107927500A (zh) 一种超声波辅助酶法制备碱蓬饮料的方法
KR20140019650A (ko) 자작나무 수액, 자작나무 농축액 및 수소수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을 이용한 음료, 식품, 주류 또는 화장품
CN106389286A (zh) 一种具有美容和抗菌作用的超临界蜂胶酊剂配方及工艺
KR100512148B1 (ko) 자연식물 추출성분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CN206204064U (zh) 一种富氢水直饮净水机
CN2340439Y (zh) 解毒保鲜柜
KR101096628B1 (ko) 꾸지뽕을 이용한 비누
CN2789232Y (zh) 柜式医疗电解制水机
CN217340455U (zh) 一种芳香植物精油连续过滤处理系统
KR101589015B1 (ko) 천연광물 소재를 포함하는 미네랄수 제조장치
CN206629394U (zh) 一种黄精根茎消毒浸泡盆
CN2321774Y (zh) 多用途水转换连续臭氧消毒水器
KR100564783B1 (ko) 함초를 이용한 뜸과 미용재 제조법
KR20100093719A (ko) 수액음료의 제조방법
CN106219836A (zh) 一种富氢水直饮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