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754B1 -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754B1
KR100306754B1 KR1019990046782A KR19990046782A KR100306754B1 KR 100306754 B1 KR100306754 B1 KR 100306754B1 KR 1019990046782 A KR1019990046782 A KR 1019990046782A KR 19990046782 A KR19990046782 A KR 19990046782A KR 100306754 B1 KR100306754 B1 KR 100306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transfer
paper
amoun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696A (ko
Inventor
이종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7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용지의 두께 차이에 따라 전전사램프에서 방사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쇄용지의 피딩시에 인쇄용지의 저항값을 감지하여 인쇄용지의 두께를 체크하고,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여 전전사램프에 연결된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소정의 저항을 스위칭하는 전전사램프의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전사램프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전전사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부와, 인쇄용지의 저항에 따른 전류량을 측정하여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용지두께 검출부와, 인쇄용지의 종류와,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용지두께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을 소정범위로 구분한 용지두께 전류량과,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전전사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량과,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광량 조절부에 구비된 소정의 저항값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과 일대일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소정의 저항에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스위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공급되는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전전사램프에서 방사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균일한 전사성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ation intensity of pre transfer lamp in imag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전전사램프의 광량 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광드럼에 광을 방사하는 전전사램프(PTL: Pre Transfer Lamp)의 광량을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전사효율을 향상시키는 전전사램프의 광량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전사램프의 광량 조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공급된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전전사램프에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을 연결하고,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저항을 스위칭하여 전전사램프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전전사램프의 광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프린터 및 복합기 등과 같이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쇄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기 위하여 픽업롤러(101), 대전롤러(102), 감광드럼(OPC: Organic Photoconductive)(103), 전사롤러(104), 현상롤러(105), 공급롤러(106), 정착기(107) 및 노광장치(108)로 이루어진다. 즉, 고압의 대전전압에 의해 대전된 대전롤러(102)가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03)의 외주면에 도포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면, 노광장치(108)에서 발생된 광이 대전된 감광드럼(103)의 표면상에 인쇄하고자 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후, 고압의 공급전압을 인가받은공급롤러(106)와, 공급롤러(106)보다 낮은 레벨의 전압을 인가받은 현상롤러(105)의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공급롤러(106)로부터 현사롤러(105)에 음전하가 이동한다. 이와 같이 현상롤러(105)로 공급된 토너는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고압의 전사롤러(104)는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도포된 토너가 형성한 가시상을 이송되는 인쇄용지(109)에 전사시킨다. 인쇄용지(109)에 전사된 가시상은 정착기(107)내에 구성된 가열롤러(110)와 압착롤러(111)의 고열 및 압력에 의해 인쇄용지(109)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과정이 종료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공급전압과 현상전압 및 전사전압과 대전전압은 인쇄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각각 공급롤러(106)와 현상롤러(105) 및 전사롤러(104)와 대전롤러(102)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정착기(107)내의 가열롤러(110)는 인쇄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105)와 전사롤러(104) 사이에는 전전사램프(112)가 설치되어,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전전사램프(112)에서 발생하는 650nm의 파장을 갖는 광을 주사하여 감광드럼(103)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를 다운시킴으로써, 감광드럼(103)에 대한 토너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전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즉, 전전사램프(112)는 화상형성장치내의 용지이송경로 하단에 설치되며, 전사작업 이전에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도포된 토너에 광을 방사하여 토너의 전위를 그라운드레벨에 근접한 값으로 상승시킴으로써, 토너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전사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전전사램프(112)내의 발광소자(113)로부터 방사된 광은 볼록렌즈(114)에 의해 감광드럼(103)의 표면에 점의 형태로 포커싱된다.
이와 같이, 인쇄용지의 하단부에서 감광드럼(103)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를 그라운드레벨에 근접한 값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전전사램프(112)를 구동할 때, 전전사램프(112)로부터 방사된 광은 인쇄용지(109)를 통하여 감광드럼(103)에 도달하게 된다.
그런데, 전전사램프의 밝기는 고정되어 있고,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광이 인쇄용지를 투과하여 감광드럼에 도달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사에 영향을 미치는 광량은 인쇄용지를 투과하여 감광드럼 표면에 닿는 광량이 된다. 따라서, 인쇄용지의 두께, 즉 인쇄용지의 저항 차이에 따라 인쇄용지를 투과하는 광량이 조금씩 달라서 균일한 전사효율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인쇄용지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후 인쇄용지를 투과하여 감광드럼의 표면에 닿는 광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일반용지와 동일한 광량을 비추면 전사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쇄용지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된 후 인쇄용지를 투과하여 감광드럼의 표면에 닿는 광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일반용지와 동일한 광량을 비추면 역전사 등이 발생하여 오히려전사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용지의 두께 차이에 따라 전전사램프에서 방사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쇄용지의 피딩시에 인쇄용지의 저항값을 감지하여 인쇄용지의 두께를 체크하고,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여 전전사램프에서 방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전전사램프의 광량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전사램프에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을 연결하고, 전전사램프에서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광량을 방사하도록 소정의 저항을 스위칭하는 전전사램프의 광량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전사램프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 : 감광드럼 204 : 전사롤러
205 : 전전사램프 206 : 발광소자
207 : 렌즈 300 : 제어부
310 : 메모리 320 : 용지두께 검출부
330 : 광량조절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전사램프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전전사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부와, 인쇄용지의 저항에 따른 전류량을 측정하여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용지두께 검출부와, 인쇄용지의 종류와,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용지두께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을 소정범위로 구분한 용지두께 전류량과,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전전사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량과,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광량 조절부에 구비된 소정의 저항값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과 일대일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소정의 저항에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스위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은 각각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어부는 인쇄용지의 종류가 두꺼운 용지이면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저항값이 작은 저항과 연결된 출력단자를 스위칭하고, 인쇄용지의 종류가 얇은 용지이면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저항값이 큰 저항과 연결된 출력단자를 스위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하여 인쇄용지의 저항에 따른 전류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인쇄용지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기 위하여 전전사램프에연결된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검출된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저항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소정의 저항을 스위칭하여 전전사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소정의 저항을 검출하는 단계는 용지두께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인쇄용지의 저항에 따른 전류량이 포함되는 인쇄용지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저항값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감광드럼(203)의 표면에 광을 방사하기 위하여 인쇄용지의 현상롤러와 전사롤러(204) 사이에 설치되고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하단에 위치한 전전사램프(205)와, 전전사램프(205)에서 방사되는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저항(R1,R2,R3)으로 이루어진 광량조절부(330)와,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저항(R1,R2,R3) 중에서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소정의 저항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전전사램프(205)는 내부에 광을 방사하는 발광소자(206)와, 발광소자(206)와 일대일 대응하는 렌즈(207)를 포함하며, 발광소자(206)의 각 발광부는 인쇄용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광량조절부(330)는 전전사램프(205)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발광소자(206)에 흐르는 전류를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조절하기 위한 부분으로, 발광소자(206)의 입력단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저항(R1,R2,R3)이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저항(R1,R2,R3)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저항(R1,R2,R3)을 사용하였으나, 저항(R)의 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3개의 저항값은 R1 > R2 > R3의 관계를 갖는다.
제어부(300)는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저항(R1,R2,R3)에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구비하며, 각각의 출력단자 중에서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전류량이 전전사램프(205)의 발광소자(206)에 공급되도록 소정의 저항을 스위칭한다.
한편,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전전사램프(205)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메모리(310)와 용지두께 검출부(320)를 더 포함하는데, 용지두께 검출부(320)는 용지카세트에서 픽업된 후 감광드럼(203)과 전사롤러(204) 사이로 이송되는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부분으로,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일실시예로는, 인쇄용지의 선단을 정렬하는 레지스터 롤러에 소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하고, 레지스터 롤러의 전압입력단과 접지사이에 전류검출저항을 연결한다. 인쇄용지가 소정레벨의 전압이 인가된 레지스터 롤러의 사이로 이송되면, 레지스터 롤러에 인가된 소정레벨의 전압에 의해 레지스터 롤러 및 전류검출저항으로 소정의 전류가 유입된다. 여기서, 이송중인 인쇄용지의 저항치가 높은 경우, 즉 인쇄용지가 두꺼운 경우에는 유입되는 전류의 량이 작고, 이송중인 인쇄용지의 저항치가 낮은 경우, 즉 인쇄용지가 얇은 경우에는 유입되는 전류의 량이 크다.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는, 용지카세트에서 픽업된 후 감광드럼(203)과 전사롤러(204)로 공급되는 인쇄용지의 이송경로 상에 센서를 장착한다. 여기서, 센서는 포트 인터럽터(photo-interrup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 인터럽터는 반사에 의해 물체를 검출하는 반사형으로써, 발광소자인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소자인 포토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발광 다이오드에서 방출한 빛이 이송경로 상의 인쇄용지에서 반사되어 포토트랜지스터에 입력되고, 포토트랜지스터의 후단에 전압을 감지하는 센싱 저항에 의하여 전류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어느 방법으로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해도 무방하다.
메모리(310)는 제어부(3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전사램프(205)에서 방사된 광이 인쇄용지의 두께 차이와 무관하게 감광드럼(203)의 표면전위를 균일하게 상승시키기 위하여 인쇄용지의 종류에 일대일 대응하는 저항값이 실험에 의해 기 저장된다.
여기서, 감광드럼(203)의 표면전위를 -800[V]에서 -380[V]으로 상승시키고자 전전사램프(205)에서 광을 방사하고, 인쇄용지는 얇은 용지, 일반 용지, 두꺼운 용지 등 3단계로 구분한다.
인쇄용지를 일반용지로 사용하여 감광드럼(203)의 표면전위를 -800[V]에서 -380[V]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전전사램프(205)의 발광소자(206)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체크한다.
또한, 인쇄용지를 일반용지가 아닌 두꺼운 용지를 사용하여, 전전사램프(205)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203)에 도달하여 감광드럼(203)의 표면전위를 -380[V]으로 상승시키는데 전전사램프(205)의 발광소자(206)에 공급된 전류량을 체크한다.
또한, 인쇄용지를 일반용지가 아닌 얇은 용지를 사용하여 전전사램프(205)에서 방사된 광이 감광드럼(203)에 도달하여 감광드럼(203)의 표면전위를 -380[V]으로 상승시키는데 전전사램프(205)의 발광소자(206)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체크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0)에서는 동일한 전류량을 출력하고, 전전사램프(205)의 발광소자(206)에 공급되는 전류량은 얇은 용지에서는 10mA, 일반 용지에서는 20mA, 두꺼운 용지에서는 30mA로 각각 다르기 때문에, 제어부(300)와 전전사램프(205) 사이에 설치되는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저항(R1,R2,R3)은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전류량이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전전사램프(205)에 공급되도록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는다.
즉, 인쇄용지가 얇은 용지인 경우 제어부(300)는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저항 중에서 높은 저항값을 스위칭하고, 인쇄용지가 두꺼운 용지인 경우 제어부(300)는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저항 중에서 낮은 저항값을 스위칭하고, 인쇄용지가 일반 용지인 경우 제어부(300)는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저항 중에서 얇은 용지보다는 높고 두꺼운 용지보다는 낮은 저항값을 스위칭해야 한다.
따라서, 메모리(310)에는 인쇄용지의 종류와,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범위로 구분한 용지두께 검출부(320)에서의 전류량과,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전전사램프(205)의 발광소자(206)에 공급되는 전류값과, 동일한 전류량을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전전사램프(205)에 공급하기 위한 저항값이 룩-업 테이블형태로 저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전원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인가되었는지 확인하고(S401),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정용 상용전압을 대전전압, 현상전압, 전사전압, 공급전압으로 각각 변환하여 각각의 롤러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대전시킨다(S402).
이후,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는지 확인하고(S403),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며, 픽업된 인쇄용지가 감광드럼(203)과 전사롤러(204) 사이로 공급되도록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킨다(S404).
이때, 용지두께 검출부(320)는 인쇄용지가 감광드럼(203)과 전사롤러(204) 사이로 공급되기 전에 인쇄용지의 저항치에 따른 전류량을 검출한다(S405).
제어부(300)는 용지두께 검출부(320)에서 인쇄용지의 저항치에 따른 전류량이 검출되면, 메모리(310)의 룩-업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검출된 전류량이 포함되는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한다(S406).
한편, 용지카세트에 적재되어 감광드럼(203)과 전사롤러(204) 사이에 공급되는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동안에, 대전롤러(102)는 감광드럼(203)의 외주면에 도포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고, 노광장치(108)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인쇄데이터에 따라 광을 발생하여 감광드럼(203)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현상롤러(105)에서 공급된 토너는 감광드럼(20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단계까지 완료되고, 용지두께 검출부(320)에서 인쇄용지의 두께가 검출되면, 제어부(300)는 메모리(310)의 룩-업 테이블에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단계 405(S405)에서 검출된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광량조절부(330)의 저항값을 검출한다(S407).
제어부(300)는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저항(R1,R2,R3)과 일대일 대응하는 출력단 중에서 단계 407(S407)에서 검출된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에 연결된 출력단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단으로 전류를 공급한다(S408).
만일, 단계 406(S406)에서 검출된 인쇄용지의 두께가 두꺼운 용지라면, 제어부(300)는 광량조절부(3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저항(R1,R2,R3) 중에서 두꺼운 용지에 대응하는 저항(R3)에 연결된 출력단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두꺼운 용지에 대응하는 저항(R3)을 통하여 전전사램프(205)의 발광소자(206)에 공급된 전류에 의하여 발광소자(206)에서 광을 방사하고, 발광소자(206)에서 방사된 광은 렌즈(207)와 인쇄용지를 통하여 감광드럼(203)의 표면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전전사램프(205)에서 방사된 광이 두꺼운 인쇄용지를 통하여 감광드럼(203)에 도달하더라도, 일반용지에 비하여 그 광량이 세기 때문에 감광드럼(203)의 표면전위를 -800[V]에서 -380[V]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203)의 전위가 -800[V]에서 -380[V]으로 상승한 후, 인쇄용지는 감광드럼(203)과 전사롤러(204) 사이에 유입되고, 감광드럼(203)의 표면전위가 상승함에 따라 부착력이 약해진 토너는 인쇄용지 위에 전사하는 전사작업을 수행한다(S409).
따라서,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전전사램프에서 방사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균일한 전사효율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전사램프의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공급되는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전전사램프에서 방사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균일한 전사성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전사된 상기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전사램프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전사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을 포함하는 광량 조절부;
    상기 인쇄용지의 저항에 따른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는 용지두께 검출부;
    상기 인쇄용지의 종류와, 상기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상기 용지두께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을 소정범위로 구분한 용지두께 전류량과, 상기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전전사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량과, 상기 인쇄용지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광량 조절부에 구비된 소정의 저항값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과 일대일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소정의 저항에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스위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은 각각 서로 다른 저항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용지의 종류가 두꺼운 용지이면 상기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저항값이 작은 저항과 연결된 출력단자를 스위칭하고, 상기 인쇄용지의 종류가 얇은 용지이면 상기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저항값이 큰 저항과 연결된 출력단자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장치.
  4. 대전롤러에 의해 감광드럼의 표면이 대전되고, 노광장치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잠상이 가시화되고, 전전사램프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에 도포된 토너의 전위가 감소되며, 전사롤러에 의해 인쇄용지에 이미지상이 전사되며, 정착기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에 전사된 상기 이미지상이 정착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용지의 저항에 따른 전류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전사램프의 광량을 상기 인쇄용지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전전사램프에 연결된 적어도 세 개이상의 저항 중에서 상기 검출된 인쇄용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소정의 저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저항이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소정의 저항을 스위칭하여 상기 전전사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저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용지두께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인쇄용지의 저항에 따른 전류량이 포함되는 인쇄용지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기 설정된 저항값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KR1019990046782A 1999-10-27 1999-10-27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06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782A KR100306754B1 (ko) 1999-10-27 1999-10-27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782A KR100306754B1 (ko) 1999-10-27 1999-10-27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96A KR20010038696A (ko) 2001-05-15
KR100306754B1 true KR100306754B1 (ko) 2001-11-02

Family

ID=1961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782A KR100306754B1 (ko) 1999-10-27 1999-10-27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528B1 (ko) * 2002-06-24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01692B1 (ko) 2004-07-14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의 하프톤 처리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96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321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ransfer voltage in printer using electrophotography system
CN1892468B (zh) 纸张检测设备和打印方法
US611159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fer voltage based on specific resistance of paper in laser beam printer
US876818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98898B1 (ko)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US20190171152A1 (en) Paper sensor device
KR100306754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US67508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a laser scan unit
US521447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oner density detecting device
US8582159B2 (en)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light source elemen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 device built therein
JP200730418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01890A1 (en) Fusing system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6433811B1 (en) Method for adjusting print density in a printer
KR100312724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제어방법
KR10048586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0728367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33969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onstant-current power supply
JPH06301257A (ja) 電子写真装置
KR19980014151A (ko) 예열장치가 장착된 현상기 유니트
KR19980083887A (ko) 전자사진 장치의 정착 성능 향상 방법
JP3266374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照光装置
KR0174667B1 (ko) 정착온도의 보정방법과 장치
JP200728349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9990056563A (ko) 프린터의 용지두께 자동감지 방법 및 장치
JPH06294738A (ja) 自動画質補償の温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