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528B1 -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528B1
KR100457528B1 KR10-2002-0035417A KR20020035417A KR100457528B1 KR 100457528 B1 KR100457528 B1 KR 100457528B1 KR 20020035417 A KR20020035417 A KR 20020035417A KR 100457528 B1 KR100457528 B1 KR 10045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hotosensitive drum
lamp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227A (ko
Inventor
박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5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7Feet

Landscapes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노광기에 의해 감광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감광드럼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 전의 감광드럼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켜서 전사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보조램프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전사보조램프 및 감광드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사보조램프의 광을 감광드럼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광유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보조 인쇄회로기판, 연결선 및 커넥터 등의 부품수를 제거함으로써 재료비가 절감되며 조립공정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re-transfer lamp}
본 발명은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사보조램프(pre-transfer lamp)가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토너화상을 형성시키기위한 화상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토너화상은 기기 본체의 급지카세트로부터 급지된 기록용지 상에 소정의 전사장치에 의해서 전사된다. 상기 화상형성부는 감광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감광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이 기록용지에 전사되는 것이다. 토너화상이 정착된 기록용지는 정착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토너화상이 기록용지에 정착된 후, 배지부에 의해서 배지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드럼(11)의 회전방향에서 대전롤러(12), 노광기(13), 현상롤러(14) 및 전사롤러(15)가 하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대전롤러(12)는 감광드럼(11)의 표면을 고전압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상기 노광기(13)는 대전된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롤러(14)는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시켜서 감광드럼(11) 상에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롤러(14)는 토너적재부(16)의 공급롤러(19)로부터 현상제인 토너(17)를 공급받는다. 전사롤러(15)는 용지 카세트(미도시)로부터 용지이송경로(20)로 급지된 용지에 상기 토너화상을 전사시킨다. 이어서 정착부(미도시)의 압력 및 온도에 의해서 상기 전사된 토너화상은 기록용지(50)에 융착되어서 정착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14) 및 전사롤러(15) 사이에는 감광드럼(11) 상의 전위를 낮추는 다수의 전사보조램프(pre-transfer lamp: PTL)(31)가 배치되어 있다. 전사보조램프(31) 및 감광드럼(11) 사이에는 상기 전사보조램프(31)를 보호하는 투명커버(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사보조램프(31)는 광을 발산하여서 감광드럼(11)의 전위를 낮춤으로써 토너(17) 및 감광드럼(11) 사이의 밀착력을 완화시키고, 결국 정착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전사보조램프(31)는 보조 인쇄회로기판(30) 상에 위치하며, 이 보조 인쇄회로기판(30)은 연결선(34) 및 커넥터(36)를 통하여 메인 인쇄회로기판(40)에 연결된다. 참조번호 22는 용지 카세트로부터의 용지를 가이드하는 용지가이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는 전사보조램프(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보조 인쇄회로기판(30)을 사용하므로 이 보조 인쇄회로기판(30)을 위한 별도 공간을 필요로 하며,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30) 및 메인 인쇄회로기판(4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선(34) 및 커넥터(36) 등이 부가적으로 필요하므로, 재료비 상승과 조립 부품수 증가로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인쇄회로기판 및 전자보조램프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부가적인 부품수를 줄인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감광드럼 12: 대전롤러
13: 노광기 14: 현상롤러
15: 전사롤러 20: 용지이송경로
130: 전사보조램프 132: 광유도체
140: 메인 인쇄회로기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노광기에 의해 감광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감광드럼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 전의 감광드럼에소정의 광을 조사시켜서 전사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보조램프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전사보조램프 및 감광드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사보조램프의 광을 감광드럼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광유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사보조램프는,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유도체는, 상기 전사보조램프로부터의 광이 집광되어서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조사되도록 그 끝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유도체는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폴리 카보네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사보조램프 및 광유도체 사이의 간극은 1~2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이며, 종래의 발명과 동일한 구조의 물건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드럼(11)의 회전방향에서대전롤러(12), 노광기(13), 현상롤러(14) 및 전사롤러(15)가 하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대전롤러(12)는 감광드럼(11)의 표면을 고전압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상기 노광기(13)는 대전된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롤러(14)는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로 현상시켜서 감광드럼(11) 상에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롤러(14)는 토너적재부(16)의 공급롤러(19)로부터 현상제인 토너(17)를 공급받는다. 전사롤러(15)는 용지 카세트(미도시)로부터 용지이송경로(20)로 급지된 용지에 상기 토너화상을 전사시킨다. 이어서 정착부(미도시)의 압력 및 온도에 의해서 상기 전사된 토너화상은 기록용지(50)에 융착되어서 정착된다.
한편, 상기 현상롤러(14) 및 전사롤러(15) 사이에는 전사(transfer) 이전의 감광드럼(11)에 소정의 광을 조사하여 전사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전사보조램프(pre-transfer lamp: PTL)(130)와, 상기 전사보조램프(130) 및 감광드럼(11)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사보조램프(130)의 광을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안내하는 광유도체(13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사보조램프(130)의 하부에는 이들에 전기를 공급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40)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사보조램프(130)는 감광드럼(1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대략 12~18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LED)이다.
상기 광유도체(132)는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폴리 카보네이트로 이루어 진다. 상기 광유도체(132)는 상기 전사보조램프(130)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받아서 감광드럼(11)에 조사하도록, 전사보조램프(130)에 인접한 일단이전사보조램프(130)에 근접할수록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 유격을 감안해서 약 1~2 mm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보조램프(130)로부터 입사된 광이 감광드럼 상에 효율적으로 조사되도록 감광드럼과 인접한 일단의 형상이 볼록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대전롤러(12)가 감광드럼(11)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대전롤러(12)에 인가된 고압전압으로 감광드럼(11)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이어서 노광기(13)는 대전된 감광드럼(11)의 표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즉, 화상이 형성되는 부위의 전위를 낮춤으로써 비화상영역의 전위와 구별되는 전위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정전잠상은 소정의 전위를 가지는 토너(17)가 부착된 현상롤러(14)와 만나면서 현상되어서 토너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전사보조램프(130)로부터 조사된 광은 광유도체(132)를 통과하여 광유도체(132)의일단에 형성된 볼록부(132a)에서 집광되어서 감광드럼(11)에 조사된다. 이 광은 감광드럼(11)의 표면전위인 비화상부 및 화상영역을 동시에 낮추며, 동시에, 비화상부 및 화상영역 사이의 전위차를 크게 낮춘다. 즉, 토너화상 및 감광드럼(11) 사이의 부착력을 감소시켜서 이어지는 전사과정이 용이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어서 용지이송경로(20)를 통과하는 용지(50)에 전사롤러(15)로 전사키키고,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부에서 가압 및 열로써 정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는 보조 인쇄회로기판, 연결선 및 커넥터 등의 부품수를 제거함으로써 재료비가 절감되며 조립공정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노광기에 의해 감광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감광드럼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와, 상기 전사 전의 감광드럼에 소정의 광을 조사시켜서 전사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보조램프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연결되며,
    상기 전사보조램프 및 상기 감광드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사보조램프의 광을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광유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광유도체는, 상기 전사보조램프로부터의 광이 집광되어서 상기 감광드럼 표면에 조사되도록 그 끝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보조램프는,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도체는 투명 아크릴 또는 투명 폴리 카보네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보조램프 및 광유도체 사이의 간극은 1~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2002-0035417A 2002-06-24 2002-06-24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45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417A KR100457528B1 (ko) 2002-06-24 2002-06-24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417A KR100457528B1 (ko) 2002-06-24 2002-06-24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227A KR20040000227A (ko) 2004-01-03
KR100457528B1 true KR100457528B1 (ko) 2004-11-17

Family

ID=3731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417A KR100457528B1 (ko) 2002-06-24 2002-06-24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5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696A (ko) * 1999-10-27 2001-05-15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696A (ko) * 1999-10-27 2001-05-15 윤종용 화상형성장치의 전전사램프 광량 제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227A (ko) 200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0464B2 (en) Image-forming apparatus
KR20080063992A (ko) 화상형성장치
KR100428628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457528B1 (ko) 전사보조램프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3757582B2 (ja) 画像形成装置
US83589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with electrode
JPS58199358A (ja) プロセスキツト
JP5099844B2 (ja) 除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19687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사장치
JP200730418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141376A (ja) 光除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263058B1 (ko) 화상형성장치의 광유도체를 구비한 제전램프
US105093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S59228683A (ja) 電子複写機
JPS60169862A (ja) 多色電子写真装置
JP3135559U (ja) トナーを記録媒体に定着させるトナー定着装置及び関連のレーザープリンタ
KR20070074775A (ko) 화상형성장치
KR100208788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JP200301550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フライホイールの取り外し方法
KR910001091B1 (ko) 복사기용 전자 사진장치
KR10028018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제전장치
JPH0128523Y2 (ko)
KR100224906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방법 및 그 장치
KR100438692B1 (ko) 전자사진방식인쇄기
JPH1184966A (ja) 除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