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580B1 - 비터비디코더의경로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비터비디코더의경로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580B1
KR100306580B1 KR1019980039799A KR19980039799A KR100306580B1 KR 100306580 B1 KR100306580 B1 KR 100306580B1 KR 1019980039799 A KR1019980039799 A KR 1019980039799A KR 19980039799 A KR19980039799 A KR 19980039799A KR 100306580 B1 KR100306580 B1 KR 10030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path memory
path
outpu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953A (ko
Inventor
제영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580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9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 H03M13/41Sequence estimation, i.e.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codes using the Viterbi algorithm or Viterbi process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2Reduction of hardware complexity or efficient processing
    • H03M13/6505Memory efficient implemen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경로 메모리를 레지스터로 구성함으로써, 트레이스 백의 깊이가 커지는 경우에는 경로 메모리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레지스터로 경로 메모리를 구현하는 경우 칩의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시프트를 전체 레지스터에 대하여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경로 메모리를 램(RAM)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모든 메모리 셀이 연속적으로 액세스될 필요가 없이 필요한 값들만 읽혀지게 함으로써,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칩의 크기를 축소시켜 집적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
본 발명은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의 트레이스 백(Trace Back)에서 필수적인 경로 메모리(Path Memory)를 램(Random Access Memory)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칩 크기를 줄인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 디코딩용 비터비 디코더는 복조기(Demodulator)로부터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입력부와; 커런트 스테이트 매트릭(Current State Metric : CSM)을 계산하고, 그 계산결과를 프리비어스 스테이트 매트릭(Previous State Metric : PSM)으로 하여 다음 스테이트에서 다시 커런트 스테이트 매트릭을 계산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가산비교선택부(Adder-Compare-Selector, ACS)와; 상기 가산비교선택부에서 비교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데이터의 오류를 검색하고,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트레이스 백으로 구성되는데, 이중 트레이스 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스 백의 깊이가 th인 각각 th+1 스테이지를 갖는 병렬의 시프트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시스템 클럭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시프트 동작을 수행하는 경로 메모리(10)와; 시작클럭이 액티브(active)상태일 때 가산비교선택부(ACS)로부터 경로선택신호(PS)를 선택하고, 시작클럭이 액티브상태가 아닐 때는(non-active) 상기 경로 메모리(10)의 출력을 선택하는 제1 선택부(11)와; 제3 선택부(13)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로 메모리(10)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추적되는 현재상태수에 해당하는 경로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2 선택부(12)와;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가산비교선택부(ASC)로부터 공급된 최소상태수(MS)를 선택하고,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가 아닐 때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의 출력을 선택하는 제3 선택부(13)와; 논리조합회로로 구현되어 상기 제2 선택부(12) 및 제3 선택부(13)의 출력을 입력받아 논리조합하여 출력하는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와;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승부호화안(Convolution Coding Scheme)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정보심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15)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트레이스 백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메모리(10)는 트레이스 백의 깊이가 th인 각각 th+1 스테이지를 갖는 시프트레지스터의 형태를 띄며, 이때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의 스테이지는 병렬로 구성되어 있다. 경로 메모리(10)는 시스템 클럭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시프트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선택부(11)는 시작클럭에 따라 상기 경로 메모리(10)의 출력과 가산비교선택부(ACS)로부터 인가된 경로선택신호(PS)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 메모리(10)에 공급한다. 즉 시작클럭이 액티브(active)상태일 때 가산비교선택부(ACS)로부터 경로선택신호(PS)를 선택하고, 시작클럭이 액티브상태가 아닐 때는(non-active) 상기 경로 메모리(10)의 출력을 선택한하여 상기 경로 메모리(10)로 출력한다. 시작클럭(도 2b)은 매 심벌클럭펄스(도 2c)마다 동기적으로 액티브 상태가 되고, 시스템 클럭(도 2a)은 하나의 심벌구간안에서 tb번의 액티브한 상태가 된다.
아래에 도시된 표 1은 시스템 클럭과 시작클럭에 따른 경로 메모리(10)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 초기 7개의 심벌구간에서 경로 메모리(10)는 입력신호를 저장하기만 하고, 8번째 심벌부터 실제 트레이스 백 동작이 수행된다. 8번째 심벌에서 경로 메모리(10)의 출력은 7번째 시간포인트의 경로선택신호에 해당하는 PS(7)이다. 이러한 신호는 다음 트레이스 백 위치를 생성할 뿐 아니라 제1 선택부(11)를 통해 경로 메모리(10)의 입력으로 피드백하기 위해 제2 선택부(12)로 전송된다.
Symbol Clock System Clock Memory Contents
1 1 PS(1)
2 PS(1)
3 PS(1)
7 PS(1)
2 1 PS(2) PS(1)
2 PS(1) PS(2)
7 PS(1) PS(2)
3 1 PS(3) PS(1) PS(2)
2 PS(2) PS(3) PS(1)
4 1 PS(4) PS(1) PS(2) PS(3)
7 1 PS(7) PS(1) PS(2) PS(3) PS(4) PS(5) PS(6)
7 PS(1) PS(2) PS(3) PS(4) PS(5) PS(6) PS(7)
8 1 PS(8) PS(1) PS(2) PS(3) PS(4) PS(5) PS(6) PS(7)
2 PS(7) PS(8) PS(1) PS(2) PS(3) PS(4) PS(5) PS(6)
3 PS(6) PS(7) PS(8) PS(1) PS(2) PS(3) PS(4) PS(5)
4 PS(5) PS(6) PS(7) PS(8) PS(1) PS(2) PS(3) PS(4)
상기 표 1에서, PS(t)는 PS0(t)-PS5(t)를 나타내고, t는 시간포인트를 나타낸다.
상기 경로 메모리(10)의 출력은 제1 선택부(11)와 제2 선택부(12)로 인가되는데, 상기 제2 선택부(12)는 제3 선택부(13)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로 메모리(10)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며, 제3 선택부(13)는 시작클럭에 따라 최소상태수(MS)와 트레이스 백 계산부(14)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즉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가산비교선택부(ASC)로부터 공급된 최소상태수(MS)를 선택하고,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가 아닐 때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의 출력을 선택하여 제2 선택부(12) 및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선택부(13)는 추적되는 현재상태수에 해당하는 경로선택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14)는 논리조합화로로써, 구현되는데, 아래의 표 2는 상승부호화안을 위한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의 진리치표를 도시한다.
제3 비교부 출력 제2 비교부 출력 트레이스 백
00(S0) 0 00
00(S1) 1 01
01(S2) 0 10
01(S3) 1 11
10(S4) 0 00
10(S5) 1 01
11(S6) 0 10
11(S7) 1 11
데이터변환부(15)는 매 심벌주기마다 디코딩된 정보심벌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의 출력에 영향을 끼친다. 즉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승부호화안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정보심벌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승부호화안에서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14)의 마지막 출력의 바로 전 출력은 디코딩된 정보심벌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S0또는 S1의 이전 출력은 "0"의 디코딩된 정보심벌로 생성하는 반면, S2또는 S3의 이전 출력은 "1"의 디코딩된 정보심벌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경로 메모리를 레지스터로 구성함으로써, 트레이스 백의 깊이가 커지는 경우에는 경로 메모리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레지스터로 경로 메모리를 구현하는 경우 칩의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시프트를 전체 레지스터에 대하여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경로 메모리(Path Memory)를 램(Random Access Memory)을 이용하여 저전력 메모리블록과 이를 제어하는 블록으로 구현하여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칩 크기를 줄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시작클럭 및 시스템 클럭의 신호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3에서 시작클럭 및 시스템 클럭의 신호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2 : 경로 메모리 11, 23 : 제1 선택부
12, 24 : 제2 선택부 13 : 제3 선택부
14, 25 : 트레이스 백 계산부 15, 26 : 데이터변환부
20 : 메모리제어부 21 : 다운카운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의 구성은, 제2 선택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로 메모리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추적되는 현재상태수에 해당하는 경로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선택부와;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가산비교선택부(ASC)로부터 공급된 최소상태수(MS)를 선택하고,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가 아닐 때 트레이스 백 계산부의 출력을 선택하는 상기 제2 선택부와; 논리조합회로로 구현되어 상기 제1 선택부 및 제2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논리조합하여 출력하는 트레이스 백 계산부와;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승부호화안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정보심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시작클럭과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어드레스 신호와 쓰기/읽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제어부와; 상기 메모리제어부에서 출력한 쓰기/읽기 제어신호에 의해 쓰기/읽기 제어를 받고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가산비교선택부(ACS)로부터 입력되는 경로선택신호를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경로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제어부는 시스템 클럭에 동기하여 시스템 클럭이 로우(low)일 때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다운 카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클럭과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어드레스 신호와 쓰기/읽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제어부(20)와; 상기 메모리제어부(20)에서 출력한 쓰기/읽기 제어신호에 의해 쓰기/읽기 제어를 받고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가산비교선택부(ACS)로부터 입력되는 경로선택신호를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경로 메모리(22)와; 제2 선택부(24)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로 메모리(22)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추적되는 현재상태수에 해당하는 경로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선택부(23)와;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가산비교선택부(ASC)로부터 공급된 최소상태수(MS)를 선택하고,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가 아닐 때 트레이스 백 계산부(25)의 출력을 선택하는 상기 제2 선택부(24)와; 논리조합회로로 구현되어 상기 제1 선택부(23) 및 제2 선택부(24)의 출력을 입력받아 논리조합하여 출력하는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25)와;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25)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승부호화안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정보심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26)로 구성하며, 상기 메모리제어부(20)는 시스템 클럭에 동기하여 시스템 클럭이 로우(low)일 때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다운 카운터(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메모리제어부(20)에서 시작클럭과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어드레스 신호와 쓰기/읽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메모리제어부(20)는 내부에 위치한 다운 카운터(21)에서 시스템 클럭에 동기하여 시스템 클럭이 로우(low)일 때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어드레스는 한번의 쓰기와 트레이스 백 깊이 만큼의 읽기 어드레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쓰기 또는 읽기 제어신호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어진 시작클럭의 하이(high) 부분에서 쓰기 제어신호가, 로우 부분에서는 읽기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메모리제어부(20)에서 출력한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경로 메모리(22)는 가산비교선택부(ACS)로부터 입력되는 경로선택신호(PS)를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출력한다(즉, 모든 메모리 셀이 연속적으로 액세스될 필요가 없이 필요한 값들만 읽혀지게 된다).
그리고, 제1 선택부(23), 제2 선택부(24), 트레이스 백 계산부(25) 및 데이터변환부(26)의 동작 설명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는 경로 메모리를 램(RAM)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모든 메모리 셀이 연속적으로 액세스될 필요가 없이 필요한 값들만 읽혀지게 함으로써, 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고 칩의 크기를 축소시켜 집적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2 선택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경로 메모리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하여 추적되는 현재상태수에 해당하는 경로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제1 선택부와;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일 때 상기 가산비교선택부(ASC)로부터 공급된 최소상태수(MS)를 선택하고, 시작클럭이 액티브 상태가 아닐 때 트레이스 백 계산부의 출력을 선택하는 상기 제2 선택부와; 논리조합회로로 구현되어 상기 제1 선택부 및 제2 선택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논리조합하여 출력하는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와; 상기 트레이스 백 계산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승부호화안에 기초하여 디코딩된 정보심벌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시작클럭과 시스템 클럭을 입력받아 어드레스 신호와 쓰기/읽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제어부와; 상기 메모리제어부에서 출력한 쓰기/읽기 제어신호에 의해 쓰기/읽기 제어를 받고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상기 가산비교선택부(ACS)로부터 입력되는 경로선택신호를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출력하는 경로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제어부는 시스템 클럭에 동기하여 그 시스템 클럭이 로우(low)일 때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다운 카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터비 디코더의 경로 메모리 장치.
KR1019980039799A 1998-09-24 1998-09-24 비터비디코더의경로메모리장치 KR10030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99A KR100306580B1 (ko) 1998-09-24 1998-09-24 비터비디코더의경로메모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799A KR100306580B1 (ko) 1998-09-24 1998-09-24 비터비디코더의경로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53A KR20000020953A (ko) 2000-04-15
KR100306580B1 true KR100306580B1 (ko) 2001-11-30

Family

ID=1955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799A KR100306580B1 (ko) 1998-09-24 1998-09-24 비터비디코더의경로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750A (ko) 2015-09-04 2017-03-14 최중갑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33B1 (ko) * 2005-12-09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터비 복호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261A (ko) * 1993-12-18 1995-07-28 양승택 코드 분할 다중 접근방식 비터비 복호기
JPH07336239A (ja) * 1994-06-07 1995-12-22 Japan Radio Co Ltd ビタビ復号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261A (ko) * 1993-12-18 1995-07-28 양승택 코드 분할 다중 접근방식 비터비 복호기
JPH07336239A (ja) * 1994-06-07 1995-12-22 Japan Radio Co Ltd ビタビ復号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750A (ko) 2015-09-04 2017-03-14 최중갑 화강석에 세라믹 프린트 인쇄기 및 3d 인쇄기를 이용한 세라믹 유약 다채무늬 판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53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175A (en) State metric memory arrangement for a viterbi decoder
KR100306580B1 (ko) 비터비디코더의경로메모리장치
US8401126B2 (en) Viterbi decoding apparatus
JP3535833B2 (ja) ブロックインタリーブ装置,ブロックデインタリーブ装置,ブロックインタリーブ方法,およびブロックデインタリーブ方法
US6351839B1 (en) State metric memory of viterbi decoder and its decoding method
JP2001320284A (ja) ビタビ復号器
US6385258B1 (en) Viterbi decoder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000139B2 (en) Interface circuit for selectively latching between different sets of address and data registers based on the transitions of a frequency-divided clock
JP200227979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061988B2 (en) Interleaver memory access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148826B2 (en) Data in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utilizing data input circuit
JPH05342881A (ja) 記憶回路
KR0155516B1 (ko) 비터비 복호기에서 한개의 메모리를 사용한 상태 매트릭 메모리 운용방법 및 그 장치
KR100306581B1 (ko) 하나의램을이용한인터리버/디인터리버방법
US5577005A (en) Circuit for using chip information
US6504881B1 (en) Viterbi decoder with enhanced test function
US11881875B1 (en) Waveform generator using a waveform coding scheme for both long states and toggle states
JPH10112735A (ja) Dqpsk変調用マッピング回路
KR20020020545A (ko) 차세대 이동 통신 단말기 모뎀용 비터비/터보 디코더의부분 공유 출력 버퍼
JP3103746B2 (ja) 半導体遅延装置
KR100259193B1 (ko) 비터비 디코더
KR100217041B1 (ko) 비터비 디코더
KR100239727B1 (ko) 행렬 전치회로
KR100237651B1 (ko) 셀룰러(Cellullar) 시스템의 부호화 장치
KR0148060B1 (ko) Viterbi 복호기의 ACS를 위한 메모리 최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