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853B1 -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853B1
KR100305853B1 KR1019990012890A KR19990012890A KR100305853B1 KR 100305853 B1 KR100305853 B1 KR 100305853B1 KR 1019990012890 A KR1019990012890 A KR 1019990012890A KR 19990012890 A KR19990012890 A KR 19990012890A KR 100305853 B1 KR100305853 B1 KR 10030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engine
driver
ignition key
immo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050A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1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85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 상태 및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에 따른 림프 홈 상태를 운전자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접점 선택시, 이그니션 장치로부터 비밀번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한 비밀번호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고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지 않고, 잘못된 비밀번호의 입력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며, 잘못된 비밀번호의 입력 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상이 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을 중단하며,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된 비밀번호에 의해 엔진 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엔진이 오프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조작에 의한 키 접점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LIMP HOME CONTROL METHOD OF IMMOBILIZE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시 사용자의 이그니션 키(ignition key) 조작에 따른 스위칭 신호에 의해 자동차의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림프 홈(limp home)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은 자동차의 시동시 이그니션 키로부터의 키 코드 신호가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만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른 이그니션 키 조작에 의해서는 엔진 시동이 되지 않도록 하여 제 3자에 의한 자동차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사용자(운전자)가 이그니션 키를 키 홀더에 삽입하고 스위칭 접점을 '온'하면, 이모빌라이저 장치는 이그니션 키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이그니션 키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 코드 신호에 따른 비밀번호 신호를 엔진제어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엔진제어장치는 이모빌라이저 장치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를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고, 연료분사 및 점화시기 제어 등을 통해 엔진을 구동함으로써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모빌라이저 장치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엔진제어장치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 등으로 이그니션 키의 암호화 코드에 따른 비밀번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엔진제어장치는 림프 홈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의 연속적인 '온', '오프' 조작에 의해 비밀번호에 해당되는 펄스 신호를 인가하면, 엔진제어장치는 펄스 신호에 따른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는 운전자가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 유무를 정확히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었다. 그리고,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상태에서 이그니션 키 조작에 따른 비밀번호 인가 상태 및 인가된 비밀번호가 정확한지 여부를 알지 못하였다.
따라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도난 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동작 및 림프 홈 상태에서의 엔진 시동 동작 등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 상태 및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에 따른 림프 홈 상태를 운전자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을 도시한 동작 순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시동을 위해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접점을 선택하여, 이모빌라이저 장치에서 이그니션 키에 저장된 암호화 코드를 비밀번호 신호로 엔진제어장치에 인가하면, 엔진제어장치는 이모빌라이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 신호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만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접점 선택시, 이그니션 장치로부터 비밀번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단계와;
상기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을 인식하여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엔진 시동을 허용하고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단계와;
상기 엔진 시동 이후,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면, 엔진 시동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고, 엔진 제어를 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지 않고, 잘못된 비밀번호의 입력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며, 잘못된 비밀번호의 입력 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상이 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된 비밀번호에 의해 엔진 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엔진이 오프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조작에 의한 키 접점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로, 이그니션 키(1)와 이모빌라이저 장치(2), 엔진제어장치(3), 표시장치(4)로 이루어진다.
이그니션 키(1)는 내부에 사용자가 미리 저장한 비밀번호에 대한 암호화 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자동차 엔진 시동을 위한 운전자의 접점 선택에 따라 저장된 암호화 코드를 송신한다.
이모빌라이저 장치(2)는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1)를 통해 접점을 선택하면, 이그니션 키(1)로 암호화 코드 송신 요구 신호를 출력하며, 그에 따라 이그니션 키(1)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 코드에 따른 비밀번호 신호를 출력한다.
엔진제어장치(3)는 이모빌라이저 장치(2)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 신호를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엔진 시동을 허용하여 그에 따른 엔진제어를 실시하며,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금지한다.
지시등(4)은 엔진제어장치(3)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 소등되어 운전자가 이모빌라이저 장치(2)의 상태 및 림프 홈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을 위한 엔진 시동을 하기 위하여 이그니션 키(1)를 키 홀더에 삽입하고 스위칭 접점을 '온'하면, 이모빌라이저 장치(2)는 이그니션 키(1)와의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그니션 키(1)에 저장된 암호화 코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모빌라이저 장치(2)는 수신된 이그니션 키(1)의 암호화 코드에 따른 비밀번호 신호를 엔진제어장치(3)로 송신한다.
그러면, 엔진제어장치(3)는 이모빌라이저 장치(2)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 신호를 인증 처리하여(S1) 수신된 비밀번호 신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엔진제어장치(3)는 엔진 시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지시등(4)을 점등하여 운전자가 엔진 시동 허용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S3).
이후, 엔진 시동이 되면(S4) 엔진제어장치(3)는 지시등(4)을 소등하고, 연료분사제어 및 점화시기제어 등을 통해 엔진을 제어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S5).
그러나, 엔진제어장치(3)가 이모빌라이저 장치(2)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 신호를 인증 처리하는 과정(S1)에서 수신되는 비밀번호 신호가 없거나 신호 이상 등이 발생하여 이모빌라이저 장치(2)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림프 홈 모드로 진입하며(S2), 지시등(4)을 점멸하여 운전자가 림프 홈 모드 진입을 알 수 있도록 한다(S6).
이때, 운전자가 지시등(4) 점멸에 의해 엔진제어장치(3)의 림프 홈 모드 진입을 인식한 후, 이그니션 키(1)를 통한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비밀번호 신호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입력하면(S7), 엔진제어장치(3)는 수신되는 펄스 신호에 해당하는 비밀번호 신호를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한다(S8).
그리고, 펄스 신호로 수신된 비밀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할 경우, 엔진제어장치(3)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고, 지시등(4)을 점등하여 운전자가 엔진 시동 허용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S9). 이후, 엔진 시동이 되면(S10), 엔진제어장치(3)는 지시등(4)을 소등하고, 연료분사 제어 및 점화시기 제어 등을 통해 엔진 제어를 실시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S11).
이와 같은 상태로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하는 중, 엔진이 오프되면(S12),엔진제어장치(3)는 설정된 일정시간 내에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1) 조작에 의한 재시동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13), 재시동 신호가 있으면 연료분사 제어 및 점화시기 제어 등을 통해 엔진이 구동되도록 한다. 즉, 엔진제어장치(3)는 림프 홈 모드로 엔진 시동을 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행하는 중, 자동차의 주행을 종료하기 위한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1) 조작에 따른 엔진 오프가 아닌 운전자의 실수 또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이 오프될 경우에는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1) 조작에 의한 펄스 신호 형태의 비밀번호 신호가 없어도 단순히 이그니션 키(1)의 접점 '온' 신호만 있어도 엔진 시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행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운전자가 지시등(4) 점멸에 의해 엔진제어장치(3)의 림프 홈 모드 진입을 인식한 후, 이그니션 키(1)를 통한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에 의해 펄스 신호로 입력한 비밀번호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S8), 엔진제어장치(3)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지 않고(S14), 지시등(4)을 점멸하여(S6) 운전자가 잘못된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엔진 시동이 허용되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재차 이그니션 키(1) 조작에 의한 펄스 신호로 비밀번호를 인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에 의해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1) 조작에 의해 펄스 신호로 입력한 비밀번호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회수가 설정된 회수(t) 이상이 되면(S15), 엔진제어장치(3)는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동작을 중단(S16) 즉,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중단함으로써, 제 3자의 임의적인 키 조작에 의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에 따른 림프 홈 상태 및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상태에서의 엔진 동작 상태를 지시등(4)의 점, 소등으로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이외에도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문자 정보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한 음성 정보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상태 및 림프 홈 상태에 의한 엔진 동작 상태에 따라 운전자가 조작하여야 할 동작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 운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에 따른 림프 홈 상태 및 림프 홈 상태에 따른 엔진 동작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고장시 운전자가 엔진 시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엔진 시동을 위해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접점을 선택하여, 이모빌라이저 장치에서 이그니션 키에 저장된 암호화 코드를 비밀번호 신호로 엔진제어장치에 인가하면, 엔진제어장치는 이모빌라이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 신호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할 경우에만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접점 선택시, 이그니션 장치로부터 비밀번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단계와;
    상기 이모빌라이저 장치의 고장을 인식하여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엔진 시동을 허용하고 이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단계와;
    상기 엔진 시동 이후,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면, 엔진 시동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고, 엔진 제어를 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지 않고, 잘못된 비밀번호의 입력 상태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며, 잘못된 비밀번호의 입력 회수가 설정된 회수 이상이 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키 접점의 연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입력된 비밀번호에 의해 엔진 시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엔진이 오프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운전자의 이그니션 키 조작에 의한 키 접점 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KR1019990012890A 1999-04-13 1999-04-13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KR10030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90A KR100305853B1 (ko) 1999-04-13 1999-04-13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890A KR100305853B1 (ko) 1999-04-13 1999-04-13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050A KR20000066050A (ko) 2000-11-15
KR100305853B1 true KR100305853B1 (ko) 2001-09-13

Family

ID=1957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890A KR100305853B1 (ko) 1999-04-13 1999-04-13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487A (ko) *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비상 재시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54B1 (ko) * 2007-11-29 2009-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에스비 단말을 이용한 림프홈 구현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487A (ko) * 2001-06-12 2002-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비상 재시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050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4739B2 (en) Vehicle security apparatus and system which prevents unauthorized use of a vehicle by immobilization
US20160244022A1 (en) Vehicle control action sequence for operator authentication
KR20020030582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방법 및 그 장치
EP2332789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equipment with prime mover
US20160059825A1 (en) Vehicle anti-theft apparatus and method
KR100305853B1 (ko) 자동차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방법
US20050264399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9177919B (zh) 车辆防盗控制系统及车辆防盗控制方法
EP347027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56592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992706B1 (ko) 이모빌라이저 장착 차량의 암호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70052128A (ko) 리모콘 입력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차량 시동 장치 및 그동작방법
KR101315745B1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등록 방법
JP3630433B2 (ja) 短いアンロック時間を有する可動性付与禁止装置
KR100951987B1 (ko) 분실키 사용 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64575B1 (ko) 가속 페달을 사용한 패스워드 입력에 의한 엔진 시동 방법
KR0180349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KR100957278B1 (ko) 시동 버튼 시스템
KR101595339B1 (ko)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9980075930A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방법
JP2008001134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制御装置
KR20200083819A (ko)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14720B1 (ko)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패스워드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100195487B1 (ko) 운전면허 카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08556A (ko) 운전자 확인 및 운행 제한 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