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39B1 -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39B1
KR101595339B1 KR1020150009203A KR20150009203A KR101595339B1 KR 101595339 B1 KR101595339 B1 KR 101595339B1 KR 1020150009203 A KR1020150009203 A KR 1020150009203A KR 20150009203 A KR20150009203 A KR 20150009203A KR 101595339 B1 KR101595339 B1 KR 10159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river
vehicl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수영
김용훈
김현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북아이티융합 산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0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021/015
    • B60R2025/01
    • B60R2025/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 자동차키 뿐만 아니라,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차량 내의 각종 기기나 버튼을 조작하는 입력 패턴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양한 패턴 정보와 비교하면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허가받은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 한 후 차량의 시동이 최종적으로 걸릴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키의 도난이 차량의 도난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FOR SECRET SMART STARTING USING PATTERN INPUT}
본 발명은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 자동차키 뿐만 아니라,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차량 내의 각종 기기나 버튼을 조작하는 입력 패턴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양한 패턴 정보와 비교하면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허가받은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 한 후 차량의 시동이 최종적으로 걸릴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키의 도난이 차량의 도난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자동차키를 키박스에 삽입한 후 회동시키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시동 버튼을 누르곤 하였는바, 이처럼 키를 회동시키거나 시동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차량의 시동이 완전히 걸리게 되곤 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전자기술들이 적용되더라도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은 자동차키나 스마트키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지키는 것만을 의미하였을 뿐, 키를 분실한 경우에도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보안수단은 전무한 상태로 이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자동차키 또는 스마트키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습득한 자가 손쉽게 자동차의 시동을 킬 수 있게 되므로, 단순한 자동차키나 스마트키의 분실이 차량의 도난으로까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모님이 관리하고 있는 자동차키나 스마트키에의 접근이 용이한 아이들의 경우에도 키를 획득하는 것만으로 차량에의 제한 없는 접근이 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는바, 아이의 안전은 물론 타인의 안전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자동차키나 스마트키와는 별도로 차량의 시동이 한 번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보안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023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9114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 자동차키 뿐만 아니라,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차량 내의 각종 기기나 버튼을 조작하는 입력 패턴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양한 패턴 정보와 비교하면서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허가받은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 한 후 차량의 시동이 최종적으로 걸릴 수 있게 함으로써, 자동차키의 도난이 차량의 도난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자동차키에 의한 1차 시동과,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판단한 후 최종적으로 시동을 거는 2차 시동으로 분리하여 활성화시키는 분리시동부; 상기 분리시동부에서 1차 시동 상태에 놓인 후,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받은 정당한 운전자인지를 판단한 후 2차 시동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인식부; 및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운전자를 판단하기 위한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놓는 패턴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패턴 인식부는,
운전자의 몸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시트에 부착된 압력센서;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핸들이나, 기어나, 엑셀레이터나,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각 기기의 변화 값을 수신하는 기기조작 수신부; 운전자가 차량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조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버튼조작 수신부; 및 상기 압력센서와 기기조작 수신부와 버튼조작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운전자가 입력하는 패턴 정보로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2차 시동의 허부를 결정하는 패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 인식부는, 패턴 정보가 불일치하여 정당한 운전자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에는 경고를 발생하고, 차량에 시동을 걸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정당한 운전자에게 알리는 시동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정당한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된 시동메시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턴 등록부는,
정당한 운전자를 판단하기 위한 몸무게나 기기조작 패턴 또는 버튼조작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정당한 운전자의 패턴 정보로 등록하는 패턴저장부; 및 정당한 운전자가 자신에게 맞게 미리 설정해 놓은 사이드 미러 조작 정보와 운전석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차량내 운전편의시설의 설정정보를 상기 패턴 인식부와 연동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저장하는 맞춤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키의 도난이 차량의 도난으로까지 바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키에의 접근이 자유로운 아이들로서도 부모님 소유 차량에 설정되어 있는 패턴을 알지 못할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게 되어 아이들의 예기치 않은 운전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패턴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패턴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자동차키에 의한 1차 시동과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판단한 후 최종적으로 시동을 거는 2차 시동으로 분리하여 활성화시키는 분리시동부(100)와, 상기 분리시동부에서 자동차키에 의해 1차 시동 상태에 놓인 후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받은 정당한 운전자인지를 판단한 후 2차 시동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인식부(200)와,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운전자를 판단하기 위한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놓는 패턴 등록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시동부(100)는, 차량을 운행 가능하게 시동 거는 과정이 자동차키에 의한 1차 시동(ACC on)과, 운전자가 차량의 기기나 버튼을 조작하는 패턴을 인식하여 차량의 운행권한을 전면적으로 인가하는 2차 시동으로 분리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자동차키에만 의존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리시동부(100)는 자동차키를 키박스에 끼워 회전시키거나 무선통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시동 버튼을 눌러서 1차 시동이 걸린 후, 핸들이나 기어 또는 엑셀레이터 등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기기 조작값이나 차량에 구비된 장비들의 버튼 조작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패턴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2차 시동이 걸리게 한다.
이때, 자동차키에 의해 1차 시동이 걸리게 됨으로써 차량내의 기기나 버튼이 활성화되므로, 이후 운전자가 조작하여 입력하는 값을 상기 패턴 인식부(200)에서 수신하여 패턴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시동부에서 차량의 시동이 자동차키에 의한 1차 시동과 사용자 패턴에 의한 2차 시동으로 분리되어 활성화되게 함으로써, 자동차키의 도난이나 분실이 차량의 도난과 그로 인한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턴 인식부(200)는, 운전자가 허가받은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다양한 정보를 패턴정보로 하여 정당한 운전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는 패턴정보의 일 예로서, 운전자의 몸무게와, 핸들 등의 차량내 기기를 조작하는 기기 조작값과, 차량내 버튼을 조작하는 버튼 조작값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당한 운전자를 식별하기 위해 차량내의 장치나 기기를 조작하는 다양한 정보들이 패턴정보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 인식부(200)는, 운전자의 몸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시트에 부착된 압력센서(210)와,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핸들이나 기어나 엑셀레이터나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각 기기의 변화 값을 수신하는 기기조작 수신부(220)와, 운전자가 차량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조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버튼조작 수신부(230)와, 상기 압력센서와 기기조작 수신부와 버튼조작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운전자가 입력하는 패턴 정보로 수신하여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2차 시동의 허부를 결정하는 패턴 비교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기조작 수신부(220)는 차량 내의 기계적인 조작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버튼조작 수신부(230)는 차량 내의 전기적인 조작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것인바, 둘 중 어느 하나의 정보만을 패턴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차량 전면 버튼을 조작하는 신호는 네비게이션이나 온도조절버튼 또는 조그셔틀 등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장치를 조작하는 신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패턴 인식부(200)에서 차량을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정당한 운전자의 패턴 정보와 비교하면서 정당한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턴 인식부(200)는, 정당한 운전자로 판단된 경우 2차 시동을 걸게 함과 아울러, 패턴 정보가 불일치하여 정당한 운전자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에는 시동을 초기화하면서 경고를 발생함은 물론, 차량에 시동을 걸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정당한 운전자에게 알리는 시동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정당한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된 시동메시지 관리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난당하거나 분실된 자동차키를 이용하여 시동을 걸고자 하는 시도가 있을 경우 이를 즉시 인지하여 후속조치를 취함으로써 차량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턴 등록부(300)는,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정당한 운전자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패턴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턴 등록부에는 한 명의 정당한 운전자의 패턴 정보만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운전하고자 하는 복수의 운전자들을 식별할 수 있는 패턴 정보를 각각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패턴 등록부(300)는, 정당한 운전자를 판단하기 위한 몸무게나 기기조작 패턴 또는 버튼조작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정당한 운전자의 패턴으로 등록하는 패턴저장부(310)와, 정당한 운전자가 자신에게 맞게 미리 설정해 놓은 차량의 설정정보를 상기 패턴 인식부와 연동되도록 메모리에 저장하는 맞춤저장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마다 자신의 체형에 맞게 운전석의 위치나 각도 또는 사이드 미러나 룸미러의 각도를 설정해 놓은 차량 설정정보를 상기 맞춤저장부에 의해 등록해 놓음으로써,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입력되는 패턴정보에 의해 파악되는 운전자에 맞게 설정해 놓은 차량내 각종 운전편의시설 들이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운전에 적합한 상태로의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분리시동부에서 차량의 시동이 자동차키에 의한 1차 시동과 패턴정보에 의한 2차 시동으로 분리되어 걸리게 함으로써, 일정 시간동안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다가 처음 시동시 운전자가 차량시트에 착석하면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압력센서를 통하여 운전자의 몸무게를 감지하고, 이후,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하거나, 기어나 액셀레이터 또는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동작을 해석하여 기기조작 패턴 정보를 수신하며, 차량 전면에 구비된 다양한 버튼을 조작하는 버튼조작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메모리 등에 구비된 설정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운전자 인지 여부 및 어느 운전자인지를 판단하여 시동이 완전히 걸리게 한다.
이때,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정당한 운전자의 패턴 정보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맞춤저장부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중 누구의 패턴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그 운전자에 맞게 설정되어 있는 차량 설정정보에 따라 사이드 미러, 운전석의 위치 등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하여,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분리 시동부
200 - 패턴 인식부 210 - 압력센서
220 - 기기조작 수신부 230 - 버튼조작 수신부
240 - 패턴 비교부 250 - 시동메시지 관리부
300 - 패턴 등록부 310 - 패턴저장부
320 - 맞춤저장부

Claims (5)

  1. 삭제
  2. 차량의 시동이 걸리는 것을 자동차키에 의한 1차 시동과,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입력되는 패턴을 판단한 후 최종적으로 시동을 거는 2차 시동으로 분리하여 활성화시키는 분리시동부;
    상기 분리시동부에서 1차 시동 상태에 놓인 후,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패턴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받은 정당한 운전자인지를 판단한 후 2차 시동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패턴 인식부; 및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운전자를 판단하기 위한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해 놓는 패턴 등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 인식부는,
    운전자의 몸무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량시트에 부착된 압력센서;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가 핸들이나, 기어나, 엑셀레이터나,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각 기기의 변화 값을 수신하는 기기조작 수신부;
    운전자가 차량 전면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을 조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버튼조작 수신부; 및
    상기 압력센서와 기기조작 수신부와 버튼조작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운전자가 입력하는 패턴 정보로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2차 시동의 허부를 결정하는 패턴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인식부는, 패턴 정보가 불일치하여 정당한 운전자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에는 경고를 발생하고, 차량에 시동을 걸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정당한 운전자에게 알리는 시동메시지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정당한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된 시동메시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등록부는,
    정당한 운전자를 판단하기 위한 몸무게나 기기조작 패턴 또는 버튼조작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정당한 운전자의 패턴 정보로 등록하는 패턴저장부; 및
    정당한 운전자가 자신에게 맞게 미리 설정해 놓은 사이드 미러 조작 정보와 운전석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는 차량내 운전편의시설의 설정정보를 상기 패턴 인식부와 연동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저장하는 맞춤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등록부에는 복수의 운전자들을 식별할 수 있는 각각의 패턴 정보를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020150009203A 2015-01-20 2015-01-20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0159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03A KR101595339B1 (ko) 2015-01-20 2015-01-20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203A KR101595339B1 (ko) 2015-01-20 2015-01-20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339B1 true KR101595339B1 (ko) 2016-02-18

Family

ID=5545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203A KR101595339B1 (ko) 2015-01-20 2015-01-20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8927B2 (en) 2019-12-03 2022-10-04 Hyundai Motor Company In-vehicle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uthoriza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114A (ko) 2004-12-17 200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자동차 키 및 이를 적용한 차량 보안 시스템
KR100803060B1 (ko) * 2006-10-30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강화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30238A (ko) 2008-09-10 2010-03-18 이강민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114A (ko) 2004-12-17 200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자동차 키 및 이를 적용한 차량 보안 시스템
KR100803060B1 (ko) * 2006-10-30 2008-0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이모빌라이저 강화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30238A (ko) 2008-09-10 2010-03-18 이강민 차량의 시동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8927B2 (en) 2019-12-03 2022-10-04 Hyundai Motor Company In-vehicle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uthoriza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2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fingerprint chip
US9779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 of a driver's mobile telephone
US201400397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US10377234B2 (en) Vehicle ignition systems and methods
US10131321B1 (en) System for keyless valet parking
US20190061687A1 (en) Auto security and auto safety system
US20160244022A1 (en) Vehicle control action sequence for operator authentication
KR101754876B1 (ko) 이중 보안을 적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이중 보안 방법
GB2545982A (en) Vehicle safe and authentication system
CN107067500A (zh) 用于使用移动装置操作车辆的系统及方法
JP5272815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車両盗難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45199A (ja) 盗難防止装置および盗難防止システム
US20140052333A1 (en) Image Recognition System For A Vehicle
JP7258959B2 (ja) オープンキャビンビークル及び携帯端末
KR20140079186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차량 보안 강화 및 편의 장치 제어시스템
JP2007153190A (ja) 車両用始動装置
CN111572494A (zh) 一种车辆控制方法及装置
JP2006315582A (ja) 車両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KR101595339B1 (ko)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US1092673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643955B (zh) 一种后背门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与车辆
TW201917705A (zh) 無線通訊系統
KR101731031B1 (ko) 타인 사용이 제한된 차량용 스마트키
KR102179444B1 (ko)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134101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