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349B1 -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349B1
KR0180349B1 KR1019960042204A KR19960042204A KR0180349B1 KR 0180349 B1 KR0180349 B1 KR 0180349B1 KR 1019960042204 A KR1019960042204 A KR 1019960042204A KR 19960042204 A KR19960042204 A KR 19960042204A KR 0180349 B1 KR0180349 B1 KR 018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input
signal
cipher
inpu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908A (ko
Inventor
하용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34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신호의 입력에 의해 자동차의 엔진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 버튼입력수단(10)을 통해 복수개의 암호를 미리 지정된 순서에 따라 버튼입력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버튼입력수단(10)에 의한 버튼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암호치와 그 암호치의 입력순서에 일치되도록 입력되는지 판정하는 제 2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버튼입력신호가 암호치의 입력순서와 동일하지 않게 입력되고 있다고 판정되면 경고등의 점등과 더불어 엔진구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동일하다면 시동키 조작에 따른 엔진구동온신호에 따라 엔진을 구동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시동스위치를 온조작한 후 암호가 기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만 엔진시동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조작에 의한 기설정된 번호의 입력시에만 자동차의 시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난방지를 위해 도어로크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보통, 도어프레임이나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부근에 설치된 도어로크실린더에 도어키를 삽입하게 되면 도어가 개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시동키를 시동키홀더에 삽입하여 조작하는 경우에만 엔진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효과적인 도난방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단순히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해 도어키(즉, 시동키)에만 의존하게 되면 그 도난방지의 확실성이 작으므로 보다 확실한 도난방지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리모콘 등과 같은 원격키입력수단을 이용한 원격제어신호의 입력시에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고, 해당 자동차의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치와 동일한 데이터가 수록된 스마트카드를 소정의 삽입슬롯에 삽입하는 경우에만 엔진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가 최근 외국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의 자동차에도 그 적용빈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난방지시스템 즉, 이모빌라이저는 그 구비되어야하는 장비가 상당한 고가를 요구하는 바, 일반 소비자들이 상기 이모빌라이저를 장착하기에는 다소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차에 구비된 키입력수단을 통해 암호가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만 엔진시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도난방지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키신호의 입력에 의해 자동차의 엔진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 버튼입력수단을 통해 복수개의 암호를 미리 지정된 순서에 따라 버튼입력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버튼입력수단에 의한 버튼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암호치와 그 암호치의 입력순서에 일치되도록 입력되는지 판정하는 제 2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버튼입력신호가 암호치의 입력순서와 동일하지 않게 입력되고 있다고 판정되면 경고등의 점등과 더불어 엔진구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동일하다면 시동키 조작에 따른 엔진구동온신호에 따라 엔진을 구동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이 제공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제어모듈이 버튼조작수단을 통해 버튼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기설정된 암호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되는 경우에만 엔진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이 적용되는 이모빌라이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버튼조작부, 20: 데이터디코더,
30: 전자제어모듈, 32: 데이터저장부,
34: 시동회로부, 36: 엔진구동부,
38: 엔진 40: 경보등구동부,
42: 경보등.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이모빌라이저의 차량엔진 구동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참조부호 10은 다수의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의 버튼조작부를 나타내는 바, 그 버튼조작부(10)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비밀번호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전방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조작부(10)는 예컨대 0∼9까지의 숫자에 대응하여 버튼신호를 발생하는 10-버튼(101∼110)과, 상기 10-버튼(101∼110)의 출력단에 각각 직접 접속되어 상호 저항치가 다르게 설정된 제 1∼제 10저항(201∼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참조부호 20은 상기 10-버튼(101∼110)의 버튼조작에 의해 발생되어 제 1∼제 10저항(201∼210)의 상호 다른 저항치에 따라 전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되어 입력되는 버튼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디코더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30은 상기 버튼조작부(10)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디코더(20)에 의해 디코딩된 버튼입력신호와의 비교대상으로 되는 비밀번호에 대한 암호치가 설정된 암호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내며, 32는 상기 버튼조작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버튼입력신호와 상기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암호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자동차의 엔진(38)이 구동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34는 상기 전자제어모듈(30)의 시동제어에 의해 배터리전원을 공급받아 엔진(38)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시동회로부로서, 상기 시동회로부(34)는 구동수단으로서 직류직권모터를 갖추고 있다.
또, 참조부호 36는 상기 전자제어모듈(30)의 제어하에 상기 시동회로부(36)로부터의 구동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하기위한 엔진(38)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40은 상기 버튼조작부(10)를 통한 비밀번호의 입력이 상기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암호데이터와 그 숫자배열과 값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비밀번호의 입력이 잘못되었음을 지시하는 경보등(42)이 점등되도록 구동하는 경보등구동부를 나타낸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단계 300에서 자동차의 운행을 위해 운전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시동키를 시동키홀더에 주입하고 시동키를 시동온(ON)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자동차의 전장품에 구동전원이 인가되게 되어 이모빌라이저에도 구동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이어, 단계 302에서 버튼조작부(10)의 다수의 버튼을 조작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는 바, 예컨대 10-버튼(101∼110)이 순차적으로 조작되면 그 10-버튼(101∼110)의 하단에 구비된 스위치가 온상태로 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일단에 접속된 배터리전원(B+)이 그 타단에 접속된 저항(201∼210)에 인가되어 지며 상기 저항(201∼210)의 각각 다른 저항치에 따라 차별적으로 전압강하된 신호가 전자제어모듈(32)로 인가되게 된다.
그 다음에, 단계 304에서 상기 전자제어모듈(32)은 상기 버튼조작부(10)로부터 차별적으로 전압강하되어 데이터디코더(20)를 통해 디코딩되어 입력된 버튼신호를 인가받아 데이터저장부(30)에 기설정되어 저장된 암호데이터와 비교하게 되는 바, 그 비교 결과 버튼입력신호의 값과 입력순서가 암호데이터에 설정된 값과 순서에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0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전자제어모듈(32)은 경보등구동부(40)에 경보등(42)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함과 더불어 엔진구동부(36)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엔진구동부(36)에 인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304에서의 비교 결과 버튼입력신호의 입력된 수 및 입력순서가 암호데이터의 값과 동일하다면 단계 308로 진행하여 상기 전자제어모듈(32)은 엔진구동부(36)에 엔진(38)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어, 단계 310에서 상기 시동키가 시동위치로 키조작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시동위치로 키조작하게 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312로 진행하여 시동회로부(34)의 직류직권모터를 구동시킴에 의해 엔진구동부(36)가 구동되면서 엔진(38)을 구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저의 차량엔진 구동제어방법에 의하면, 시동스위치를 온조작한 후 암호가 기설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만 엔진시동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키신호의 입력에 의해 자동차의 엔진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이모빌라이저에 있어서,
    버튼입력수단(10)을 통해 복수개의 암호를 미리 지정된 순서에 따라 버튼입력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버튼입력수단(10)에 의한 버튼입력신호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암호치와 그 암호치의 입력순서에 일치되도록 입력되는지 판정하는 제 2단계,
    상기 비교결과 상기 버튼입력신호가 암호치의 입력순서와 동일하지 않게 입력되고 있다고 판정되면 경고등의 점등과 더불어 엔진구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 동일하다면 시동키 조작에 따른 엔진구동온신호에 따라 엔진을 구동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KR1019960042204A 1996-09-24 1996-09-24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KR018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204A KR0180349B1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204A KR0180349B1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908A KR19980022908A (ko) 1998-07-06
KR0180349B1 true KR0180349B1 (ko) 1999-04-01

Family

ID=1947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204A KR0180349B1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77B1 (ko) * 2005-12-28 2008-01-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의 도난 방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245A (ko) * 2000-05-26 2001-12-07 김용희 오토바이 도난 방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0862185B1 (ko) * 2007-10-11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호화 알고리즘을 내장한 이모빌라이저 유닛 및 그이모빌라이저 유닛을 이용한 인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177B1 (ko) * 2005-12-28 2008-01-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의 도난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908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2062A (en) Anti-theft system for motor vehicles
US6127922A (en)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remote systems control
US4914314A (en)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s using an electronic engine control
KR0120929B1 (ko) 전자기기 특히 자동차 오디오기기용 소유자 식별장치
US4278963A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KR0180349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를 위한 암호화방법
US4507644A (en) Touch responsive security and antitheft system
US7486170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US5641998A (en) Simplified vehicle engine control device for mounting on a vehicle without anti-theft function exhibiting an immobilizing function if used to replace a more complicated engine control device mounted on a vehicle with anti-theft function
AU681537B2 (en) Vehicle anti-theft system
JP2597173B2 (ja) 車輌盗難防止装置
GB2141567A (en) Anti-hijack devices
KR100520451B1 (ko) 키패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도어 제어장치
KR100440128B1 (ko) 차량의 도난 방지 제어장치
KR100501363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0177482B1 (ko)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차량도난 방지장치
KR100372714B1 (ko) 차량의도난방지장치및방법
KR20030017855A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0131697B1 (ko) 지문인식 및 비밀번호인식에 의한 자동차 시동방법
JPH0411544A (ja) 自動車の盗難防止装置
JPH0891176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KR19980032929U (ko) 차량의 도난방지회로
KR100195487B1 (ko) 운전면허 카드를 이용한 차량용 도난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46239Y1 (ko) 음성합성을 이용한 키 잠금장치
JPH0747927A (ja) 盗みに対する乗用車や営業車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