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649B1 - 전압 강하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압 강하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649B1
KR100305649B1 KR1019980061956A KR19980061956A KR100305649B1 KR 100305649 B1 KR100305649 B1 KR 100305649B1 KR 1019980061956 A KR1019980061956 A KR 1019980061956A KR 19980061956 A KR19980061956 A KR 19980061956A KR 100305649 B1 KR100305649 B1 KR 100305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voltage
active
driv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5398A (ko
Inventor
권기창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8006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64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5Internal voltage generators for integrated circuits, e.g. step down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강하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엑티브(Active) 드라이버가 동작할 때 기준전압(VR)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캐패시턴스(Cgs),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캐패시턴스(Cgd)에 의한 커플링(Coupling)의 영향 때문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로 기준전압(VR)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기를 상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에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디바이스(Device)가 전원전압의 변화로 인해 오동작을 할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압 강하 변환기는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 수단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동안 디바이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엑티브 드라이버로 구성된 n개의 엑티브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바이스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대기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기준전압과 엑티브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 수단을 구동시키는 전압을 발생하는 n개의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압 강하 변환기
본 발명은 전압 강하 변환기(Voltage Down Convert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엑티브(Active) 드라이버가 동작할 때 기준전압(VR)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캐패시턴스(Cgs),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캐패시턴스(Cgd)에 의한 커플링(Coupling)의 영향 때문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로 기준전압(VR)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기를 상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에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디바이스(Device)가 전원전압의 변화로 인해 오동작을 할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현시킨 전압 강하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압 강하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기준전압(VR)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부(10)와, 디바이스(Device)가 동작하는 동안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엑티브 드라이버(20_n)와, 상기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비이스(Device)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대기 드라이버(30_n)로 구성된다.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10)는 온도와 외부전원전압의 변화에 둔감한 특성을 가지며 제 1기준전압(VR1)을 발생시키는 제 1기준전압 발생단(12)과, 상기 제 1기준전압(VR1)을 내부전원전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레벨까지 승압시킨 제 2기준전압(VR2)을 발생시키는 제 2기준전압 발생단(14)과, 상기 제 2기준전압(VR2)을 입력으로하여 드라이버를 구동할 수 있는 기준전압(VR)으로 출력하는 제 3기준전압 발생단(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대기 드라이버(30_n)와 엑티브(Active) 드라이버(20_n)의 차이는 디바이스(Device)가 사용하는 전류의 차이로서 상기 대기 드라이버(30_n)는 디바이스(Device)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 사용하는 작은 양의 전류를 공급하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20_n)는 디바이스(Device)가 동작할 때 사용하는 큰 전류를 공급하는 드라이버이다. 상기 대기 드라이버(30_n)는 작은 사이즈(Size)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는 큰 사이즈(Size)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대기 드라이버(30_n)와 엑티브(Active) 드라이버(20_n)는 디바이스(Device) 전체에 균일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여러개를 동시에 사용하며 디바이스(Device) 전체에 고루 분포하게 된다. 또한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개수는 대기(Standby) 드라이버의 개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를 가지게 하여 디바이스(Device)의 동작중 사용하는 큰 전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준전압발생부(10)의 특징은 파워 온(Power On) 이후 디바이스(Device)가 어떤 상태에 있더라도 계속하여 전류를 소모하기 때문에 전류소모가 작은 것을 요구하며 이를 위해 작은 사이즈(Size)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동하게 되며, 디바이스(Device)의 동작중 안정된 정전압을 공급해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라이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세 회로도이다.
상기 드라이버의 구성은, 기준전압(VR)과 전원전압(Vdd)을 비교 검출하는 비교부(40)와, 상기 비교부(40)의 출력신호에 의해 외부인가전압(Vext)을 출력단의 전원전압(Vdd) 노드로 스위칭해 주는 PMOS 트랜지스터 P1과,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Vss) 사이에 접속된 저항 R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엑티브(Active) 신호가 NMOS 트랜지스터(N3)의 문턱 전압보다 높은 전위가 입력되어질 때 트랜지스터 N1, N2의 게이트 전압인 전원전압(Vdd)와 기준전압(VR)의 전위를 비교하여 전원전압(Vdd)의 전위가 기준전압(VR)의 전위보다 낮은 경우 I1이 I2보다 커져 노드 Nd1의 전위를 낮추어 드라이브 PMOS 트랜지스터인 P1을 턴온(Turn On)시킨다. 한편, 전원전압(Vdd)의 전위가 기준전압(VR)의 전위보다 높은 경우 I1이 I2보다 작아져 노드 Nd1의 전위를 높게 하여 P1을 턴 오프(Turn Off)하는 방식이다.
엑티브(Active) 신호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어 드라이버가 엑티브(Active) 상태가 되면 트랜지스터 N3가 턴 온되어 노드 Nd는 그라운드(Ground) 전위로 떨어지게 되며, 노드 Nd2의 전위도 전원전압(Vdd)가 기준전압(VR)보다 낮은 전위일 경우 그라운드(Ground) 전위를 향하여 떨어지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N1의 게이트-소오스간의 캐패시턴스(Cgs)와 게이트-드레인간의 캐패시턴스(cgd)의 커플링(Coupling) 작용에 의해 작은 구동능력을 가지는 기준전압(VR)(도 1에 보인 기준 전압발생기의 출력)의 전위는 쉽게 레벨 다운(Level Down)되며, 다수개의 엑티브(Active) 드라이버가 동시에 작용할 때 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에 의한 영향은 더욱 크게 기준전압(VR)의 전위를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엑티브(Active)가 끝나는 시점에서 노드 Nd2와 노드 Nd1은 대기(Standby) 레벨인 외부인가전압(Vext) 레벨이 되며, 이때 커플링(Coupling) 작용에 의해 기준전압(VR)의 전위는 레벨 업(Level Up)된다. 기준전압(VR)의 전위가 레벨 업(Up) 혹은 레벨 다운(Down) 되는 것은 드라이빙되는 전원전압인 전원전압(Vdd)의 전위가 업(Up) 혹은 다운(Down)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원전압(Vdd)이 흔들리게 되면 디바이스(Device) 동작중 결함(Fail)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디바이스(Device)가 불안하게 동작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에서 probe_전원전압(Vdd)는 전원전압(Vdd) 레벨을 의미하며, 엑티브(Active) 되는 순간(20ns) 기준전압(VR)의 전위는 커플링(Coupling) 작용에 의해 상당히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엑티브(Active)가 끝나는 시점(200ns)에서 기준전압(VR)의 전위는 다시 커플링(Coupling)의 영향을 받는 것을 볼 수 있다. 엑티브(Active)되어진 이후 기준전압(VR)의 전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노드 Nd1의 전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도 4에서 보듯이, 기준전압(VR)의 전위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전원전압(전원전압(Vdd)) 또한 기준전압(VR)의 전위에 따라 큰 폭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전압 강하 변환기에 있어서는, 엑티브(Active) 드라이버가 동작할 때 기준전압(VR)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게이트 소오스간의 캐패시턴스(Cgs), 게이트 드레인간의 캐패시턴스(Cgd)에 의한 커플링(Coupling)의 영향으로부터 노이즈가 발생되어 디바이스(Device)가 동작중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엑티브(Active) 드라이버가 동작할 때 기준전압(VR)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캐패시턴스(Cgs),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캐패시턴스(Cgd)에 의한 커플링(Coupling)의 영향 때문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로 기준전압(VR)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기를 상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에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디바이스(Device)가 전원전압의 변화로 인해 오동작을 할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현시킨 전압 강하 변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압 강하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라이버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전압과 기준전압 시뮬레이션 결과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강하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와 엑티브 드라이버단의 회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전압과 기준전압의 시뮬레이션 결과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의 또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50 : 기준전압 발생부 12 : 제 1기준전압 발생단(VR1)
14 : 제 2기준전압 발생단(VR2) 16 : 제 3기준전압 발생단(VR)
20_1∼20_n : 엑티브 드라이버부 30_1∼30_m : 대기 드라이버부
40, 42 : 비교부
200_1∼200_n :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
300_1∼300n : 엑티브 드라이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압 강하 변환기는,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 수단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동안 디바이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엑티브 드라이버로 구성된 n개의 엑티브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바이스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대기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기준전압과 엑티브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 수단을 구동시키는 전압을 발생하는 n개의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온도와 외부전원전압의 변화에 둔감한 특성을 가지며 제 1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 1기준전압 발생부와, 상기 제 1기준전압을 내부전원전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레벨까지 승압시킨 제 2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 2기준전압 발생부와, 상기 제 2기준전압을 입력으로하여 드라이버를 구동할 수 있는 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제 3기준전압 발생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기준전압과 전원전압을 비교 검출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외부인가전압을 출력단의 전원전압 노드로 스위칭해 주는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 저항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MOS 트랜지스터는 PMO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상기 비교부로 기준전압을 입력하는 단자와 접지전압 사이에 커패시터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엑티브 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기준전압과 전원전압을 비교 증폭하는 제 1 비교부와, 상기 제 1 비교부의 제 1 출력 신호와 제 2 출력 신호를 비교 증폭하는 제 2 비교부와, 상기 제 2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외부인가전압을 출력단의 전원전압 노드로 스위칭해 주는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 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MOS 트랜지스터는 PMO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전압 강하 변환기는 엑티브(Active) 드라이버가 동작할 때 기준전압(VR)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캐패시턴스(Cgs),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캐패시턴스(Cgd)에 의한 커플링(Coupling)의 영향 때문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로 기준전압(VR)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기를 상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에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디바이스(Device)가 전원전압의 변화로 인해 오동작을 할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강하 변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기준전압(VR)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부(10)와,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동안 디바이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엑티브 드라이버로 구성된 n개의 엑티브 드라이버부(300_n)와, 상기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바이스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대기 드라이버부(30_m)와, 상기 기준전압(VR)과 엑티브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부(300_n)를 구동시키는 전압을 발생하는 n개의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200_n)로 구성된다.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10)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온도와 외부전원전압의 변화에 둔감한 특성을 가지며 제 1기준전압(VR1)을 발생시키는 제 1기준전압 발생단(12)과, 상기 제 1기준전압(VR1)을 내부전원전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레벨까지 승압시킨 제 2기준전압(VR2)을 발생시키는 제 2기준전압 발생단(14)과, 상기 제 2기준전압(VR2)을 입력으로하여 드라이버를 구동할 수 있는 기준전압(VR)으로 출력하는 제 3기준전압 발생단(1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압강하 변환기는 도 1에서 보인 N개의 엑티브(Active) 드라이버(20_n)를 적어도 1개 이상의 엑티브(Active) 드라이버(30_k)를 가지는 소규모 그룹의 엑티브 드라이버부(300_n)로 나누고, 상기 각 엑티브 드라이버부(300_n)마다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부(200_n)를 추가하였다. 전체 그룹의 개수를 n개라 하면,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의 개수도 n개가 되며, n과 하나의 엑티브 드라이버의 개수인 K를 곱하면 전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개수가 된다.
상기 엑티브(Active) 기준전압 발생부(200_n)는 엑티브(Active) 드라이버(300_n)를 구동할 수 있는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며, 입력으로서 엑티브(Active) 신호와 기준전압(VR)을 이용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200_n)와 엑티브 드라이버단(300_n)의 회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200_n)와 엑티브 드라이버단(300_n)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엑티브 드라이버단(20_n)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도 6은 작은 크기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부(200_n)와 큰 크기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엑티브(Active) 드라이버(300_n)가 연결된 형태이며, AVR 신호는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부(200_n)의 출력을 의미한다. 기준전압(VR)은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의 입력이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와는 분리되어 있다. 또한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는 기준전압(VR)과 동일한 전위를 발생시킨다.
상기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부(200_n)는 작은 사이즈(Size)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도 3에서 보인 트랜지스터 N1에 의한 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인 게이트 드레인간 캐패시턴스(Cgd), 게이트 소오스간 캐패시턴스(Cgs)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전압과 기준전압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기준전압(VR)의 전위는 거의 정전압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원전압(전원전압(Vdd)) 또한 응답속도에 의한 진동을 할뿐 도 4의 전원전압(전원전압(Vdd))에 비해 상당히 안정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기준전압(VR)을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와 분리시키는 형태가 아닌 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형태로서, 엑티브 드라이버의 입력인 기준전압(VR)에 디커플링(Decoupling) 캐패시턴스를 연결하여 엑티브(Active)되어 질 때 발생되는 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의 효과를 최소화한 방식이다. 이는 도 6의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를 디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로 치환한 것과 같다. 이 방식은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를 이용한 방식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의 입력인 기준전압(VR)에 디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를 연결하는 것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엑티브 신호(Active Signal)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기준전압(VR)과 전원전압(Vdd)을 비교 증폭하는 제 1 비교부(250)와, 상기 제 1 비교부(250)의 제 1 출력 신호(Nd4)와 제 2 출력 신호(Nd5)를 비교 증폭하는 제 2 비교부(42)와, 상기 제 2 비교부(42)의 출력신호에 의해 외부인가전압(Vext)을 출력단의 전원전압(Vdd) 노드로 스위칭해 주는 PMOS 트랜지스터 P4와,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 저항 R2로 구성된다.
도 9는 도 6에서 보인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가 기준전압(VR)과 같은 레벨의 전압인 A기준전압(VR)을 발생시켜 엑티브(Active) 드라이버를 구동하는 반면, 기준전압(VR)과 엑티브(Active) 드라이버를 분리시키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에 기준전압(VR)과는 다른 기준전압을 발생시켜 엑티브(Active) 드라이버를 구동하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기준전압(VR)을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와 분리시키는 면에서는 엑티브(Active) 기준전압(VR) 발생기를 사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상기 도면에서, 도 6, 도 9와 도 8의 차이는 전자는 기준전압(VR)을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에서 분리하는 형태고, 후자는 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의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결국 3가지 방법 모두 기준전압(VR)을 커플링(Coupling) 캐패시턴스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분리 혹은 최소화하여 안정된 레벨의 기준전압(VR)을 디바이스(Device)에 공급하여 안정된 내부 전원전압(전원전압(Vdd))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압 강하 변환기에 의하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가 동작할 때 기준전압(VR)이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의 게이트와 소오스간의 캐패시턴스(Cgs), 게이트와 드레인간의 캐패시턴스(Cgd)에 의한 커플링(Coupling)의 영향 때문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로 기준전압(VR)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기를 상기 엑티브(Active) 드라이버에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디바이스(Device)가 전원전압의 변화로 인해 오동작을 할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안정된 동작을 실현시켰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압 강하 변환기에 있어서,
    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 발생 수단과,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동안 디바이스의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엑티브 드라이버로 구성된 n개의 엑티브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디바이스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대기 드라이버 수단과,
    상기 기준전압과 엑티브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상기 엑티브 드라이버 수단을 구동시키는 전압을 발생하는 n개의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변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온도와 외부전원전압의 변화에 둔감한 특성을 가지며 제 1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 1기준전압 발생부와,
    상기 제 1기준전압을 내부전원전압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레벨까지 승압시킨 제 2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 2기준전압 발생부와,
    상기 제 2기준전압을 입력으로하여 드라이버를 구동할 수 있는 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제 3기준전압 발생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변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기준전압과 전원전압을 비교 검출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외부인가전압을 출력단의 전원전압 노드로 스위칭해 주는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 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변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MOS 트랜지스터는 PM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변환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상기 비교부로 기준전압을 입력하는 단자와 접지전압 사이에 커패시터를 추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변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티브 기준전압 발생 수단은,
    엑티브 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기준전압과 전원전압을 비교 증폭하는 제 1 비교부와,
    상기 제 1 비교부의 제 1 출력 신호와 제 2 출력 신호를 비교 증폭하는 제 2 비교부와,
    상기 제 2 비교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외부인가전압을 출력단의 전원전압 노드로 스위칭해 주는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접속된 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변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MOS 트랜지스터는 PM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강하 변환기.
KR1019980061956A 1998-12-30 1998-12-30 전압 강하 변환기 KR100305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956A KR100305649B1 (ko) 1998-12-30 1998-12-30 전압 강하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956A KR100305649B1 (ko) 1998-12-30 1998-12-30 전압 강하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398A KR20000045398A (ko) 2000-07-15
KR100305649B1 true KR100305649B1 (ko) 2001-11-02

Family

ID=1956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956A KR100305649B1 (ko) 1998-12-30 1998-12-30 전압 강하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6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398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716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JP3042012B2 (ja) パワーオンリセット装置
US8044950B2 (en) Driver circuit usable for display panel
JP2005512444A (ja) コンデンサを用いた高電圧レベルシフタ
KR19990013822A (ko) 레벨 시프트 회로
KR940018864A (ko) 반도체 장치
KR970012752A (ko) 반도체 집적회로
KR100521385B1 (ko) 고전압 발생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3186034B2 (ja) 基準電圧発生回路
JP4073708B2 (ja) 半導体集積回路
KR19990050472A (ko) 승압전압 발생회로
KR100296612B1 (ko) 출력버퍼의출력전류를크게할수있는반도체기억장치
JP6406947B2 (ja) 集積回路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昇圧方法
KR100521360B1 (ko) 전원 전압에 가변되지 않는 지연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CN101231876B (zh) 半导体存储器器件的电压生成电路及其方法
KR100305649B1 (ko) 전압 강하 변환기
JP2007142698A (ja) スタートアップ回路
EP1026690A2 (en) Reference voltage shifter
KR100548557B1 (ko)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원발생장치
JP2010232848A (ja) 半導体メモリの内部電源のスタートアップ回路
KR0165385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스탠바이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
KR100850276B1 (ko) 반도체 장치에 적합한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
KR100734076B1 (ko) 초기화 및 파워업 신호 발생 회로
JP2005039635A (ja) 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
KR970003189A (ko) 복수의 접지전원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