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633B1 -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633B1
KR100304633B1 KR1019980025896A KR19980025896A KR100304633B1 KR 100304633 B1 KR100304633 B1 KR 100304633B1 KR 1019980025896 A KR1019980025896 A KR 1019980025896A KR 19980025896 A KR19980025896 A KR 19980025896A KR 100304633 B1 KR100304633 B1 KR 10030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ller
photosensitive belt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460A (ko
Inventor
강동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6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single rotation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감광 벨트와, 상기 감광벨트에 접리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을 상기 감광벨트 측으로 승하강시키는 캠과, 상기 캠과 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방향 통제수단과, 상기 회전방향 통제수단과 연결되는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변속기어와, 상기 변속기어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주고 받는 회전력저장수단 및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기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정전시 감광 벨트와의 접촉을 해제하여 롤러와 감광벨트를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본 발명은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시, 사전 저장된 힘으로 가압된 롤러의 가압을 해제하는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출력장치에는 순환 주행되는 감광 벨트를 가압, 지지하여 상기 감광 벨트에 화상을 정착 또는 전사시키는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롤러는 감광 벨트의 일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 주행하며, 롤러와 감광 벨트의 가압상태는 인쇄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상술한 롤러는 그 역할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감광 벨트의 전사면에 부착된 현상액으로부터 액상의 캐리어를 짜내기 위한 스퀴즈 롤러, 전사면을 건조시키는 드라이 롤러, 상기 전사면에 형성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롤러 등이 있다.
먼저, 종래의 습식 프린터의 구성에 있어, 정전시 가압된 상태로 있을 경우 악화 영향을 많이 받는 롤러 중의 하나로 스퀴즈 롤러와 드라이 롤러 등이 있는데, 각 롤러중 상기 스퀴즈 롤러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다수의 롤러가 채용된 습식 프린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습식 프린터는 감광 벨트(15)와, 상기 감광 벨트(15)를 구동하는 드라이브 롤러(미도시)와, 상기 드라이브 롤러에 의해 구동되는 감광 벨트(15)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제1가이드롤러(미도시)와 제2가이드롤러(13), 또한 상기 감광 벨트(15)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상부(19)를 포함한다.
상기 현상부(19)는 현상부 하우징(19a)과, 상기 현상부 하우징(19a)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감광 벨트(15)에 현상액을 공급하는 현상 롤러(16)와, 상기 현상 롤러(16)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정전 잠상에 의해 정착형성된 현상액에 포함된 액체상태의 캐리어를 일차적으로 걸러서 회수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퀴즈 롤러(1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퀴즈 롤러(17)와, 상기 감광 벨트(15)를 사이에 두고 대응하여 백업 롤러(18)가 설치된다.
상기 스퀴즈 롤러(17)는 그 양단의 회전축이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가압부(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21)에 의해 승, 하강하는 스퀴즈 롤러(17)는 현상부 내에서 탄력적으로 승, 하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부(21)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 같은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퀴즈 롤러(17)는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 후, 감광벨트(15)에 부착된 현상액 중의 잉여분을 스퀴징할 뿐 아니라, 현상이후 감광벨트(15)에 형성되는 소위 드립라인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21)의 직하방에는 캠(13)과 같은 상하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현상부 하우징(19a)의 외부에 연결된 기어(12)가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가압부(21)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스퀴즈 롤러(17)로 하여금 상기 감광벨트(15)를 가압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정전시 상기 스퀴즈 롤러(17)를 해제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습식 프린터는 정전시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감광 벨트(15)의 전사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액 공급라인과 현상롤러(16)를 통해 공급된 현상액에 의해 현상된다. 이후 상기 현상롤러(16)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감광 벨트(15)를 가압하고 스퀴징하므로써, 전사된 현상액에 함유된 액상의 캐리어를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 프린터의 가압장치에서는 정전시 가압상태가 유지 되므로서 전원이 인가 될 때 까지는 가압해제가 불가하여, 상기 스퀴즈 롤러(17)가 상기 감광벨트(15)에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전시, 사전 축적된 힘으로 롤러의 가압력을 해제하므로써, 롤러와 감광벨트를 보호 할 수 있는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프린터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습식 프린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가 정전시 작동완료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가 정전 대기 중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감광 벨트 17...스퀴즈 롤러
19a..현상부 하우징 21...가압부
23...캠부 24...감지수단
26...모터 29, 59...회전력저장수단
30...탄성수단 31...와이어
32...원 웨이 베어링(One Way Bearing)
C1,...갭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광 벨트와, 상기 감광벨트에 접리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을 상기 감광벨트 측으로 승하강시키는 캠과, 상기 캠과 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방향 통제수단과, 상기 회전방향 통제수단과 연결되는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변속기어와, 상기 변속기어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주고 받는 회전력저장수단 및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기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력저장수단은 풀리부를 갖는 윈치기어와, 상기 풀리부에 연결되어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인장력을 저장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의 특징은 프린터에서 정전시에 롤러의 가압을 해제하는 자동복귀 구조로, 현상시 회전력저장수단으로 힘을 저장하여 두고, 정전시 회전력저장수단으로 캠을 회전시켜 가압을 해제시켜주는 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는 스퀴즈 롤러(17)를 감광벨트(15) 쪽으로 탄성가압하는 것으로 현상부(19)의 현상부 하우징(19a)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부(21)와, 상기 현상부(19)의 현상부 하우징(19a)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21)를 상기 감광벨트(15)측으로 승하강시키는 캠(23)과, 상기 캠(23)과 동축(22a)에 설치되어 상기 캠(2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캠기어(22)와, 상기 캠기어(22)와 연결되어 상기 캠기어(22)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방향 통제수단인 원 웨이 베어링(One Way Bearing, 32)과, 상기 캠기어(2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변속기어(25a)(25b)(25c)와,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25a)(25b)(25c)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25b)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주고 받는 회전력저장수단(29) 및 상기 다수의 기어 중 한 변속기어(25c)와 기어 연결되어 상기 변속기어(25c)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스테핑 모터(26, 이하 "모터"라고 한다)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26)는 수치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터(26)를 소정 회전 각도에서 멈추도록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모터(26)는 상기 콘트롤러의 신호를 받아 미세한 회전각도에서 정지가 가능한 전자 클러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광벨트(15)에 접리되는 스퀴즈 롤러(17)와, 상기 감광 벨트(1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퀴즈 롤러(17)를 지지하는 백업 롤러(18)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는 그 특징부 중 하나로서, 풀리부(29b)를 갖는 윈치기어(29a)와, 상기 풀리부(29b)에 연결되어,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31)와, 상기 와이어(3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저장하는 탄성수단(30)을 포함하는 회전력저장수단(2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31)가 풀리고 감기는 길이는, 상기 캠(23)이 360도 회전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프린터를 온 시키면 모터(26)가 역회전으로 구동된다. 이후 상기 모터(2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모터(26)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26a)가 회전된다. 다음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26a)와 연동되는 변속기어(25b)가 윈치기어(29a)를 회전시키면, 풀리부(29b)가 와이어(31)를 감게되면서 인장스프링 등으로 된 탄성수단(30)이 연장되면서 인장력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캠(23)은 캠기어(22)의 원 웨이 베어링(32)에 의해 회전 되지 않는다. 이후 모터(26)는 스텝을 완료 한 후 정지한 다음 다시 정회전하여 상기 캠(23)을 회전시켜 가압을 하며, 이때 상기 캠(23)이 가압하는 위치는 감지수단(24)에 의해 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동작이 진행될 때 윈치기어(29a)도 같이 회전된다.
상기 모터(26)는 프린팅 중에는 전기 토르크가 작용되어 캠(23)을 돌릴 수 있는 힘 즉, 윈치기어(29a)의 힘에 의해서 모터(26)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모터(26)에 계속하여 전류를 인가하므로써 모터(26)에 정지토르크를 인가하여 프린팅 중에는 캠(23)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스퀴즈 롤러(17)는 감광 벨트(1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모터(26)는 프린팅 중에는 정지되어 있고, 토르크를 회전력저장수단(29)에 인가하므로써 윈치기어(29a)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캠(23)을 감지하여 소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감지수단(24)이 상기 캠(23)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감지수단(24)은 측정에 적합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캠(23)의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감지수단(24)과 상기 모터(26)는 콘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신호는 전기신호 형태로 상기 콘트롤러로 전달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모터(26)를 제어 한다.
이후 인쇄중 정전이 되는 경우, 모터(26)의 전원은 차단되어 무부하상태가 되고, 인장스프링 등으로 된 탄성수단(30)이 수축되므로써 와이어(31)를 풀게되고, 풀리부(29b)가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의해서 풀리부(29b)에 결합된 윈치 기어(29a)의 회전에 따라서 변속기어(25b)(25a)가 회전되므로써 캠기어(22)가 회전되고 따라서, 상기 캠기어(22)에 연결된 캠(23)을 회전시켜 상기 가압부(21)에 의해 가압된 스퀴즈 롤러(17)를 상기 감광벨트(15)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킨다.
다음으로, 프린팅을 오프 시킬 때, 모터(26)를 정회전으로 회전시켜 캠(23)을 초기 상태로 가게한다. 이 때 윈치기어(29a)도 같이 회전하여 힘을 풀게 된다.
즉, 캠(23)의 회전 방향과 윈치기어(29a)의 힘을 풀어 주는 방향은 같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는 상술한 변속기어(25b)에 기어 결합되는 다수의 변속기어(59a)(59b)(59c)와, 상기 변속기어(59a)(59b)(59c) 중 한 변속기어(59c)와 기어결합되는 것으로, 다수 권회된 판스프링으로 된 태엽형의 탄성수단(51)을 포함하는 회전력저장수단(59)을 구비한다.
여기서 기타 부위의 구성 및 작동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는, 정전시 감광 벨트를 가압하는 롤러가 소정의 롤러가압수단에 의해 계속적으로 가압상태를 유지 할 때, 가압력 해소시켜 롤러와 감광벨트를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퀴즈 롤러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퀴즈 롤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롤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감광 벨트와,
    상기 감광벨트에 접리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를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을 상기 감광벨트 측으로 승하강시키는 캠과,
    상기 캠과 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캠을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방향 통제수단과,
    상기 회전방향 통제수단과 연결되는 캠기어와,
    상기 캠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변속기어와,
    상기 변속기어 중 어느 하나의 변속기어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주고 받는 회전력저장수단 및 상기 다수의 변속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변속기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저장수단은 풀리부를 갖는 윈치기어와, 상기 풀리부에 연결되어 풀리고 감기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인장력을 저장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저장수단은 다수의 변속기어와, 상기 변속기어와 기어결합되는 것으로 다수 권회된 판스프링으로 된 태엽형의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캠의 위치 각도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콘트롤러로 전달하는 감지수단이 상기 캠에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통제수단은 원 웨이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KR1019980025896A 1998-06-30 1998-06-30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KR100304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896A KR100304633B1 (ko) 1998-06-30 1998-06-30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896A KR100304633B1 (ko) 1998-06-30 1998-06-30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60A KR20000004460A (ko) 2000-01-25
KR100304633B1 true KR100304633B1 (ko) 2001-11-15

Family

ID=1954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896A KR100304633B1 (ko) 1998-06-30 1998-06-30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450B1 (ko) 2001-06-26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절연층-금속 캐패시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60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7072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印刷器の転写ローラクリーニング装置
US4770361A (en) Web takeup apparatus
US4939552A (en) Copying apparatus with drum or fixing roller cleaning belt driven from document scanner
KR920008495B1 (ko) 감일 전사 기록 장치
US5911101A (en) Photoreceptor belt cleaning apparatus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304633B1 (ko) 습식 프린터의 정전시 롤러 해제장치
JP2002287542A (ja) 定着装置及び該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868290B2 (ja) 連続記録紙へのオイル転写を防止する定着装置のオイル転写防止機構
US6072973A (en) Squeeze roller elevating apparatu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S63127658A (ja) 手動走査型印字装置
JPH0712003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04635B1 (ko) 습식 프린터의 롤러 승하강장치
KR100331309B1 (ko) 습식프린터
JPS58132770A (ja) 定着装置
JP3513349B2 (ja) 定着装置
JPH05169767A (ja) 印刷機のドラム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252097B1 (ko) 프린팅기기의 캐리어 증발장치
JP3494420B2 (ja) 熱定着装置
JPS6118749B2 (ko)
KR20000075260A (ko) 칼라 프린터의 정전 모드용 구동 시스템
JPH04182686A (ja) 定着装置
JPH0143706Y2 (ko)
JP2626553B2 (ja) 電子写真現像装置
JPH07199708A (ja) 定着装置およびウェブ
JPS61125877A (ja) 熱転写プリンタのリボンエンド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