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250B1 - 단계적으로스위치되는환기설비를구비한가진공기조절장치를이용한실내온도조정공정 - Google Patents

단계적으로스위치되는환기설비를구비한가진공기조절장치를이용한실내온도조정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250B1
KR100304250B1 KR1019970703364A KR19970703364A KR100304250B1 KR 100304250 B1 KR100304250 B1 KR 100304250B1 KR 1019970703364 A KR1019970703364 A KR 1019970703364A KR 19970703364 A KR19970703364 A KR 19970703364A KR 100304250 B1 KR100304250 B1 KR 10030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control deviation
rotational speed
valu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482A (ko
Inventor
요세프 암만
Original Assignee
아돌프 헤프; 볼프강 쿤켈
호발 인터리쯔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돌프 헤프; 볼프강 쿤켈, 호발 인터리쯔아게 filed Critical 아돌프 헤프; 볼프강 쿤켈
Publication of KR97070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명시된 과정에서, 실제 온도 값(x)은 제어 편차(xe)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온도 값(w)으로부터 감산된다. 편차(xe)가 제1 임계값(s1) 보다 크고 상수 또는 증가시에, 제1 회전 속도인 작은 실행 속도가 스위치 온 된다. 제어 편차(xe)가 감소하고 제2 임계값(s2)아래로 떨어질 시에, 제1 회전 속도는 스위치 오프된다. 제어편차가 제3 임계값(s3)보다 높을 시, 또는, 편차가 증가나 상수적임과 동시에 시간(yi)에 대한 편차 적분이 예정된 값(i2)을 초과할 시에, 제2 회전 속도인 큰회전 실행 속도가 스취치 온된다. 편차(xe)가 감소하고 제4 임계값(s4)아래로 떨어질 시에, 제2 회전 속도는 스위치 오프된다. 온도 경향을 고려하여, 회전 속도 양자를 초기에 스위치 온 및 오프하고, 시스템 데드 타임을 위해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정 실내에서 온도 변동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계적으로 스위치되는 환기 설비를 구비한 공기 조절 장치를 이용한 실내 온도 조정 공정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팬(fan)을 포함하는 재순환 공기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 온도 값은 측정되어, 제어 편차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한 온도 값과 비교되며, 팬의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에 따라 최소한 두 단계로 스위치(switch)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방법을 실행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런 방법을 실행하는 청구항 11의 미리 특징된(precharacterising)부에 따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유형의 제어장치는 DE-A-4113374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종래의 공기 조정 설비는 공기 조정 수단 셀(vehicle cell)에서 이용되고, 셀 내에 위치한 신체의 체감 온도에 종속적으로 부는 기류의 밀도를 제어한다. 체감온도에 부가해서, 다음의 파라미터 즉 체감 온도, 주변 공기 온도, 태양 복사 에너지, 배전판 세팅(setting), 실내 온도 및, 공기 믹서 플랩(flap) 세팅의 변화의 스피드가 결정되고, 제어 파라미터로서 고려된다. 상기 종래의 공기 조절 설비에 있어서, 측정 및 제어 따른 기술적인 복잡성은 상당한 것이다.
EP-A-0518322는 공기 조절 설비를 위한 제어 장치를 명시하는 데, 상기 조절 설비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제어 유닛은 공기 조절 디바이스에 의해 방전된 공기의 바람직한 온도값을 제어하고, 제2 제어 유닛은 공기 조절 디바이스에 의해 방전된 공기의 온도에 종속적으로 환기 밸브 및 난방 소자를 제어한다.
전술된 유형의 종래의 공기 조절 장치는 다음 3가지 방식 중의 하나로 실내 온도를 제어한다:
(1) 순환된 공기의 온도는 정상적(constantly)으로 제어된다.
(2) 순환된 공기의 흐름 속력은 팬의 회전 스피드에 의해 정상적으로 제어된다.
(3) 순환된 공기의 흐름 속력은 팬의 회전 속도에 의해 점진적으로 제어된다.
2 가지 정상 유형 제어기의 제어 장치의 제조 단가는 비교적 높다. 비교하면, 제3유형의 제어기는 더 경제적으로 생산되어, 양호하게도 실제로 이용된다. 상기 유형의 제어기가 본 발명에 대한 개시 포인트이다.
공지된 유형의 비정상(non-constant) 제어기는 도1a 및 1b의 다이어그램을 참조로 아래에 기술된다.
상기 제어기의 목적은 도1b의 바람직한 값(w)에 가능하면 가깝게 조정되도록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비정상 멀티포인트 제어기에 있어서, 이는 오직 바람직한 값의 양 측상의 제어 발진에 의해서만 발생할 수 있다. 팬의 회전 속도는 2단계로 스위치 될 수 있다. 제1단계는 저전력으로 이루어지고, 제2단계는 고전력으로 이루어진다. 공지된 제어 장치에서, 2 속도는 단지 실제 온도 값의 예정된 임계값에 따라서만 스위치된다. 제2단계인, 고전력 속도는 온도가 실제 온도 값의 임계값(w2온) 아래로 떨어질 시에 언제나 스위치 온(on)되며, 상기 실제 온도 값은 비교적 큰 제어 편차에 대응한다. 제1 단계 속도 및 제2 단계 속도 양자의 잦은 스위칭 과정과 작동(actuation)을 피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제어 편차가 미리 허용된다. 따라서 도 1b에서 도시된 것처럼, 바람직한 값(w)의 상하의 실내 온도에서의 현저한 편차가 발생한다. 임계값(w1오프및 w1온)에서 제1단계의 스위치 온 및 오프는 도1b에 도시된 온도 곡선(x)의 제어 특성에 약간 영향을 미친다. 하강하는 실제 온도 값 곡선의 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해서 (w2온및 w2오프)에서 제2단계를 스위치 온 및 오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 온도 값은 비교적 빠르게 제2단계로 스위치 되도록 반응하고, 상승하여 바람직한 값 w에 접근하고, 바람직한 값을 초과한다.
상기 제어기에서 과도한 잡음 부하(loading)를 피하도록 스위칭 간격은 상당히 크게 선택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 상기 종래의 제어기를 가지고는 현저한 실내 온도 변동은 필연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 유형의 제어기를 이용할 시에, 이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질 시에 성취된다.
제1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정상 또는 감소 시에, 스위치 온되는 경우,
제1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감소하고, 제2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시에, 스위치 오프되는 경우,
제2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제3 임계값 보다 더 클 시에 및/혹은, 시간을 초과한 제어 편차의 적분이 제어 편차의 증가 또는 정상에 따른 예정된 값을 초과할 시에, 스위치 온되는 경우,
제2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감소하고, 제3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시에, 스위치 오프되는 경우 및,
제어 편차의 제1 임계값이 제2 임계값보다 더 작거나 동일하도록 세트될 경우에, 제2 임계값은 제4 임계값보다 더 작거나 동일하도록 세트되며, 제4 임계값은 제3 임계값보다 더 작거나 동일하도록 세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순환 공기 난방 디바이스, 순환 공기 냉방 디바이스와, 난방 및 냉방 디바이스의 조합을 가지고 실행된다. 청구항 11의 특성을 지닌 제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그런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제 온도 값의 예정된 임계값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하지 않게 한다. 상기 임계값 제어가 바람빅한 온도 상하에서의 실질적인 온도 발진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인식돼 왔는데, 상기 발진은 이용자의 편의를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온도 경향(tendency)을 결정 조건(decision condition)으로 구체화함으로써, 동일 또는 감소된 스위치 주파수를 가지고 바람직한 온도 값에 비교적 가까운 근사치를 얻는다. 2개의 회전 속도의 스위치 온 및 오프는 온도 변화 경향에 근거하여 미리(prematurely)초기화되어, 시스템의 데드(dead) 시간을 고려하고, 온도 곡선은 비교적 작은 편차를 가진 바람직한 값에 가깝에 유지된다. 일반적인 동작에 있어서의 잇점으로, 고전력이라는 사실에 기인하여 특히 분열성(disruptive)이 있는 제2회전 속도는 단지 극도의 환경, 예를 들어, 난방된 실내의 창문이 갑자기 열릴 시나, 새벽에는 감소하고, 바람직한 온도 값의 갑작스러운 증가가 있을 시에만 이용된다. 스위칭 주파수도 역시 최소로 유지된다. 따라서 또한 이용자가 비정상 제어기를 가지고 비싼 정상 제어장치의 편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시간을 초과한 제어 편차의 적분은 인터럽트되어 0으로 세트되고, 적분은 제1 및 제2 회전 속도가 스위치 오프 되자마자 재개된다. 제어 편차의 크기 뿐만 아니라, 온도 교정 동안의 제어 편차의 지속 기간도 역시 고려된다.
작은 제어 발진과 함께, 가능한 한 빨리 제어 편차를 검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서는 제어 편차의 제1 임계값이 0으로 세트된다.
불안정(unsteady) 제어 시스템에서라도, 한계 내에서 스위칭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또는 제2 회전 속도가 오직 제1 및/또는 제2 회전 속도에서의 팬의 최소 가동(running) 주기 후에 스위치 오프된다. 최소 가동 주기는, 예를 들어 2 내지 6, 양호하게는 3, 사이클일 수 있다.
야간 동작 시에, 제1 회전 속도는 스위치되지 않은 상태로 남을 수 있다. 반면에, 제2 회전 속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회전 속도의 스위칭 조건 아래에서 스위치되지만, 제2회전 속도의 스위칭 조건은 야간 동작 시에 무시된다.
양호한 특정 실시 예에서, 퍼지 논리 디바이스(확산 논리 디바이스)가 회전 속도를 스위치 하기 위해 이용된다. 퍼지 논리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제어 실행을 사용자-특정 요건에 더 잘 부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측정 및 제어 신호는 양호하게도 디지털로 처리된다. 특히 큰 디지털 제어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중앙 제어 공기 조절 디바이스를 가진 슈퍼마켓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의해 에너지 소비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현존하는 제어 액세서리 및 부품은 주요 기술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장착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특성과 상술은 독립항에서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원 명세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a는 실온값에 대해 그려진(plot) 2개의 회전 속도 단계 내에서 팬을 제어하는 공지된 비정상 제어 방법에서의 팬의 스위칭 상태를 도시한다.
도1b는 도1a에 따른 공지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간에 따라 그려진 실제 온도 값의 변동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양호한 실시 예의 기본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3는 한 쪽은 퍼지 논리이고 다른 쪽은 크릿프(crisp) 논리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의 스위칭 조건의 다이어그램이다.
도4는 도2에 따른 제어 장치를 이용할 시에 시간에 대해 그려진 실제 온도값의 변동 및 팬의 스위치 조건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회로에 있어서 중요한 성분 및 그의 접속의 개략도이다.
제어 장치(100)는 팬의 형(form)내에서 제어된 시스템, 다수 전력 또는 회전 속도 단계로 스위치될 수 있는 상기 팬, 온도 센서 및 변환기를 가지는 온도 측정 디바이스(2), 측정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감산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합산 소자(3), 미분 디바이스(4), 적분 디바이스(5), 제어기(6), 제어된 시스템(1)의 입력에서 제어기에 의해 개시되는 제어 소자(7) 및, 제어기(6)의 출력으로부터 적분 디바이스(5)의 입력으로 피드백되는 피드백 루프(8)를 가진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 제어기는 다수의 비교기 디바이스(11 내지 16) 및, 비교의 결과를 계산하고 그것에 따라 제어 신호(y)를 발생하며 퍼지 논리 디바이스 또는 통상적인 크릿프 논리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결정 논리 디바이스(1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정 디바이스(2)에 의해 결정되는 실제 온도 값(x)은 공기 조절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되도록 실내에서 측정되거나 팬으로의 입구 흐름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온도 센서 설비는 제어 편차의 발생 및 그것의 교정 사이에서 제어신호(y)를 바꿈으로써 데드 주기가 가능한 작도록, 통상적으로 선택된다.
실제 온도 값(x)은 합산 소자(3)내에서 고정된 바람직한 온도 값(w)과 비교된다. 둘 사이의 차이는 가산 소자(3)의 출력에서 나타나는 제어 편차(xe)이다. 상기 제어 편차는 한편으로는 미분 소자(4)에, 다른 편으로 제어기(6)의 입력으로 및, 최종적으로 적분 소자(5)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미분 요소(4)는 제어 편차(xe)의 시간에 대한 변화를 결정한다. 상기 변화는 제어기(21)의 제1 입력에 인가된다. 적분 소자(5)의 제1 입력을 거쳐 인가되는 제어 편차(xe)는 각 시간에 대해 제어기에서 적분된다. 적분 소자(5)는 2개의 회전 속도 단계가 스위치 오프될 시에, 피드백 루프(8) 및 제2 입력을 거쳐 리셋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어 편차(S1, S2, S3, 및 S4)의 4개의 임계값 및 적분 한계값(i2)은 제어기(6)로의 입력이다. 제어기는 세 개의 제어기 입력(21, 22 및 23)을 거쳐 제어 편차인, 미분 및 적분에 대응하는 가변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제어기 입력(21)을 거쳐 공급되는 제어 편차(xe)는 바람직한 온도 값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네 개의 임계값(S1, S2, S3, 및 S4)과 비교기(11, 12, 13 및 14)내에서 비교된다. 제어편차의 시간을 초과한 변화율, 즉 dxe/dt, 은 제2 입력(22)을 거쳐 제5 비교기(15)에 공급되고 0과 비교된다. 제어 편차에서의 상기 변화가 0보다 크거나 동일할 시에 이런 비교기(15)는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제6 비교기(16) 내에서, 제3 제어기 입력(23)을 거쳐 공급되는 적분은 제어 편차(xe)내에서 한계 값(i2)과 비교된다. 판단 논리 디바이스(17)는 여섯 개의 비교기(11 내지 16) 내에서의 결과에 따라, 제1 회전 속도 단계 및 제2 회전 속도 단계 양자의 스위칭 온 및 오프 조건을 결정한다.
도3는 양호한 실시 예에 대한 제어 기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스위칭 온 및 오프를 위한 조건은 퍼지 논리내의 제1단으로 들어가고, 대응하는 조건은 크릿프 논리내의 제2단에 들어간다. 이런 양호한 실시 예에서, 1 및 2 단계는 최소한 3 사이클동안 구동될 시에만,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야간 동작에서의 제어는 주간 동작에서의 제어와 다르다. 야간 동작에서, 제1 회전 속도 단계는 스위치 되지 않는 대신, 제1 회전 속도 단계의 스위칭 조건 아래서, 제2 회전 속도 단계가 스위치된다. 제1 회전 속도 단계의 스위칭 조건은 야간 동작에서는 무시된다. 잇점으로서, 야간 동작에서 더 작은 스위칭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적분 디바이스는 야간 동작 시에 동작하지 않은 채로 남는다.
도4는 도3의 제어 기준을 이용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시간에 대해 그려진 실제 온도 값의 변화 및 스위칭 상태를 도시한다. 난방 디바이스가 스위칭 온될 시에, 실제 온도 값은 거의 17℃ 아래에 있다. 제어 편차(xe)가 제어 편차의 제3 임계값(S3)(비교기(13)에 의해 결정된) 보다 크기 때문에, 난방 요구는 높아지고 제2 회전 속도 단계는 스위치 온 된다. 제2 회전 속도 단계에서, 많은 열이 난방 디바이스로부터 난방될 실내로 전달되어, 실제 온도 값은, 제어 편차가 포인트(J)(도2의 비교기(14))에서 제어 편차의 제4 임계값(S4)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빠르게 올라간다. 이런 시간에 제2 회전 속도 단계를 스위치 오프할 조건이 충족된다. 팬은 완벽하게 스위치 오프된다. 그러나, 시스템의 데드 타임에 기인해서, 실제 온도 값은 다른 포인트(I)로부터 바람직한 온도값(w)(포인트(K))으로 상승한다. 그후에 실제 온도 값은 하강한다. 포인트(K)후에 즉시로, 제1 회전 속도 단계를 스위칭 온하는 조건이 만족되며, 실제 온도 값은 바람직한 온도값(비교기 11) 아래로 떨어지며 온도는 떨어진다(비교기 15). 즉, 제어편차는 제어 편차의 제1 임계값(S1)을 초과하는데, 상기 임계값은 본 양호한 실시예에서 0이며, 제어 편차는 역시 증가한다. 제1 회전 속도 단계가 스위치 온 되고 최소값(L 포인트) 아래로 하강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시스템의 데드 타임의 결과, 실제 온도 값은 초기에 떨어진다. 그 후에 온도는 제1 회전 속도에서 동작하는 팬의 영향아래서 상승한다. 포인트(M)에서, 제어 편차(xe)는 제어 편차의 제2 임계 값(S2) 아래로 떨어지며, 제1 회전 속도 단계는 스위치 오프된다. 그러나, 온도는 바람직한 값(w)을 한층 넘어 최대(N)까지 상승하고, 그 후에 다시 바람직한 값(w)(0 포인트) 아래로 하강해서, 팬은 다시 제1 회전 속도 단계 내로 스위치된다. 실제 온도 값이 포인트(P)에서 다시 바람직한 온도 값에 도달할 시에, 제1 회전 속도 단계는 다시 스위치 오프된다.
도4의 다이어그램(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이 도1b의 다이어 그램(공지된 제어 방법)과 비교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온도 변동이 50%이상 감소되는 것은 명백하다. 더 안정된 실내 온도의 결과, 따라서 이용자의 편의는 향상된다. 더욱이, 상당한 에너지가 본 방법에 의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다른 이점으로써, 팬은 단지 운전되는(warming up)상태의 개시, 즉 실내가 아직 저온 일시에만 제2 회전 속도에서 구동한다. 일반 동작 시에는, 만일 바람직한 온도 값에 이미 도달했다면,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1 회전 속도만으로도 충분하다. 이런 방식에서는 과도하고 특히 분산적인 잡음 로드가 이용자로부터 제거된다.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다른 개발 속에서 가능하다. 제어 편차의 임계값은 방법 내에서 알맞게 예정되거나 설비-지정 파라미터(k1)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비교기는 슈미트 트리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대신에, 1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결합된 1개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 동일하게 가능하며, 상기에서 모든 비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실행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또한 미분 및 적분 디바이스의 모든 동작을 인계할 수 있다. 제어 방법은 양호하게 많은 회전 속도 단계로도 융통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팬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임의대로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제2회전 속도 단계는, 예를 들어, 더 낮은 회전속도에서 2개의 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3)

  1. 최소한 하나의 팬을 가지는 재순환 공기 조절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으로서, 실제 온도 값은 측정되어, 제어 편차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한 온도 값고 비교되며, 팬의 회전 속도는 최소한 두 단계 내에서 제어 편차에 따라서 스위치 되는 실내 온도의 조정 방법에 있어서, 제1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정상 또는 증가 시에, 스위치 온 되는 단계, 제1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감소하여 제2 임계값 아래로 하강할 시에, 스위치 오프되는 단계, 제2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제3 임계값보다 클 시 및/또는 시간을 초과한 제어 편차의 적분치가 제어편차의 증가 또는 정상에 따라 예정된 값을 초과할 시에, 스위치 온되는 단계, 제2 회전 속도 단계는 제어 편차가 감소하여 제4 임계 값 아래로 떨어질시에, 스위치 오프되는 단계 및, 제어 편차의 제1 임계값은 제2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더 작도록 세트되고, 제2 임계값은 제4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더 작도록 세트되며, 제4 임계값은 제3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더 작도록 세트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편차는 난방 시에, 바람직한 온도 값에서 실제 온도 값을 감산해서 결정되고, 냉방시에는, 실제 온도 값에서 바람직한 값을 감산해서 결정되며, 제어 편차의 제1 내지 제4 임계 값은 0과 동일 또는 더 크도록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시간을 초과한 제어 편차의 적분이 인터럽트되어 0으로 세트되고, 적분은 제1 및 2 회전 속도 단계가 스위치 오프 되자마자 재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4. 제1 내지 3항의 한 항에 있어서, 제어 편차의 제1 임계값이 0으로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5. 제1 내지 4항의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회전 속도 단계는 팬이 최소 시간의 주기 동안에 제1 및/또는 제2 회전 속도로 가동할 시에, 단지 스위치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6. 제4 및 5항에 있어서, 시간의 최소 주기는 각 경우에 3 사이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7. 제1 내지 6항의 한 항에 있어서, 야간 동작 시에 제1 회전 속도 단계는 스위치 되지 않은 상태로 있지만, 제2회전 속도 단계는 제1 회전 속도 단계 스위칭 조건 아래로 스위치되며, 제2 회전 속도 단계의 스위칭 조건은 야간 동작 시에 무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8. 제1 내지 7항의 한 항에 있어서, 실온 값은 야간 동작 시에 정상값에 의해 감소 또는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9. 제1 내지 8항의 한 항에 있어서, 퍼지 논리 디바이스를 포함한 제어기는 회전 속도를 스위칭하는 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방법.
  10. 제1 내지 8항의 한 항에 있어서, 측정 및 제어 신호는 디지털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방법.
  11. 최소 1개의 팬을 가진 재순환 공기 조정 디바이스와; 실제 온도 값을 결정하는 최소 1개의 온도 센서(2)와; 바람직한 온도 값(w)을 세트하는 최소한 1개의 제어 소자(7)와; 실제 온도 및 바람직한 온도 값간의 제어 편차를 형성하는 합산 소자(3)와; 시간에 따른 제어 편차의 변화를 결정하는 미분 디바이스(4) 및; 팬의 회전 속도를 스위칭하는 결정 논리 디바이스(17)를 포함하는 실내 온도 제어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합산 소자(3)에 결합되어 제어 편차의 각각의 4개의 임계 값과 제어 편차를 비교하는 4개의 비교기(11, 12, 13, 14) 및; 미분 디바이스(4)에 결합되어, 시간에 대한 제어 편차의 변화를 0과 비교하는 제5 비교기(15)를 포함하는데, 제1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제1 임계값보다 크고, 정상 또는 증가 시에, 스위치 온되고, 제1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감소하여 제2 임계 값 아래로 하강할 시에, 스위치 오프되고, 제2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제3 임계값보다 클 시에 스위치 온되고, 제2 회전 속도는 제어 편차가 감소하여 제4 임계 값 아래로 하강할 시에, 스위치 오프되고, 제1 임계값은 제2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세트되고, 제2 임계값은 제4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세트되며, 제4 임계값은 제4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어 편차를 적분하는 적분 디바이스(5) 및 적분 디바이스(5) 뒤에 접속된 다른 비교기(16)가 또한 제공되는 데, 상기 비교기(16)는 시간을 초과한 제어편차의 적분치와 예정된 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 장치.
  13. 제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결정 논리 디바이스(17)는 퍼지 논리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온도 제어 장치.
KR1019970703364A 1994-11-22 1995-11-14 단계적으로스위치되는환기설비를구비한가진공기조절장치를이용한실내온도조정공정 KR100304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41494.3 1994-11-22
DE4441494A DE4441494A1 (de) 1994-11-22 1994-11-22 Verfahren zur Regelung der Raumtemperatur unter Verwendung eines Klimagerätes mit stufenweise geschaltetem Ventilator
PCT/EP1995/004468 WO1996016363A1 (de) 1994-11-22 1995-11-14 Verfahren zur regelung der raumtemperatur unter verwendung eines klimagerätes mit stufenweise geschaltetem venti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482A KR970707482A (ko) 1997-12-01
KR100304250B1 true KR100304250B1 (ko) 2001-11-22

Family

ID=653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364A KR100304250B1 (ko) 1994-11-22 1995-11-14 단계적으로스위치되는환기설비를구비한가진공기조절장치를이용한실내온도조정공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93822B1 (ko)
JP (1) JPH10508966A (ko)
KR (1) KR100304250B1 (ko)
CN (1) CN1094605C (ko)
AT (1) ATE166162T1 (ko)
DE (2) DE4441494A1 (ko)
WO (1) WO1996016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7504C1 (de) * 1998-10-15 2000-11-16 Deutsche Bahn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Luftvolumenströme in einer raumlufttechnischen Anlage
DE19922163C2 (de) * 1999-04-15 2002-03-07 Jens Riedel Absaug- und Filteranlage mit einer Vielzahl von über Einzelleitungen oder eine gemeinsame Abluftsammelleitung an ein zentrales Filter- /Abscheidergehäuse anschließbaren Verbrauchern
DE102007040594A1 (de) * 2007-01-24 2008-07-31 Brahms, Martin, Dipl.-Ing. Verfahren zur Temperierung eines Multifunktionsgehäuses
US9157763B2 (en) * 2008-02-06 2015-10-13 Rosemount, Inc. Minimal dead time digitally compensated process transmitter
DE102010009776B4 (de) * 2010-03-01 2014-01-02 Rittal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geln eines in oder an einem Schaltschrank angebrachten Kühlgerätes
EP3211340A1 (en) * 2016-02-26 2017-08-30 Enerbrain S.r.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CN105627529B (zh) * 2016-03-31 2018-07-31 西安建筑科技大学 基于变速积分pid型迭代学习算法的空调控制系统及方法
CN107270468A (zh) * 2016-04-06 2017-10-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风档控制方法、装置和空调器
EP3242182B1 (en) * 2017-02-14 2022-06-29 Grundfos Holding A/S Method for carrying out outside temperature-related control and corresponding server.
CN114838469A (zh) * 2022-02-28 2022-08-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
CN116795152A (zh) * 2023-05-29 2023-09-22 深圳市华图测控系统有限公司 一种应用于文物储藏柜展柜的恒湿控制方法以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65506A1 (de) * 1973-06-18 1975-04-17 Merten Kg Pulsotronic Elektronischer thermostat
DE2507760A1 (de) * 1975-02-22 1976-08-26 Otto Tuchenhagen Vorrichtung zur traegheitsarmen temperaturmessung in raumtemperatur-reglern
GB8718182D0 (en) * 1987-07-31 1987-09-09 Sens Air Marketing Ltd Rabe sensing controller
GB2210966B (en) * 1987-10-01 1991-07-10 Hunter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ntilating fan control arrangement
JP2690803B2 (ja) * 1990-04-24 1997-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制御装置
KR920016791A (ko) * 1991-02-01 1992-09-25 이헌조 에어콘의 루버위치 및 팬속도 조절회로
US5207379A (en) * 1991-06-11 1993-05-04 Landis & Gyr Powers, Inc. Cascaded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unit venti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284A (zh) 1997-11-05
ATE166162T1 (de) 1998-05-15
CN1094605C (zh) 2002-11-20
DE59502187D1 (de) 1998-06-18
WO1996016363A1 (de) 1996-05-30
EP0793822B1 (de) 1998-05-13
EP0793822A1 (de) 1997-09-10
JPH10508966A (ja) 1998-09-02
KR970707482A (ko) 1997-12-01
DE4441494A1 (de) 199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250B1 (ko) 단계적으로스위치되는환기설비를구비한가진공기조절장치를이용한실내온도조정공정
CN108375175B (zh) 空调系统控制方法及装置
CN106705353B (zh) 一种多联机空调控制方法
CN107514742B (zh) 一种分区送风空调器电加热控制方法及空调器
CN108626842A (zh) 一种降功耗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9373530A (zh) 空调器的控制方法
US4407446A (en) Control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CA2010935C (en) Adaptive anticipator mechanism for limiting room temperature swings
CN109210692A (zh) 一种空调自动控制方法和空调
JP3276028B2 (ja) 換気装置
CN113757977B (zh) 一种基于双模糊控制的变频房间空调器压缩机频率控制方法
JPH05322279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US6241155B1 (en) Automatic adjusting control system for air-conditioner
JPH0615977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S591801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5915748A (ja) 空気調和装置
JPH04236049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S6011050A (ja) ユニツトク−ラ−冷却扇の速度制御装置
JPH11151192A (ja) 食器洗浄機及びヒータ装置
JP2512991B2 (ja) 空調システム制御装置
KR100282817B1 (ko) 인버터 에어컨의 쾌적온도 설정방법
JPH05118616A (ja) 空気調和機
CN112113306A (zh) 一种维持环境温度的自适应响应方法
JP2004278936A (ja) 室内換気システム
JPH0435043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