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057B1 - 평행오프셋기어박스와기어모터에대한유니버설마운트하우징구조 - Google Patents

평행오프셋기어박스와기어모터에대한유니버설마운트하우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057B1
KR100304057B1 KR1019980709668A KR19980709668A KR100304057B1 KR 100304057 B1 KR100304057 B1 KR 100304057B1 KR 1019980709668 A KR1019980709668 A KR 1019980709668A KR 19980709668 A KR19980709668 A KR 19980709668A KR 100304057 B1 KR100304057 B1 KR 10030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utput port
central axis
machined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101A (ko
Inventor
게하드 안토니
윌리암 엠 레쳐
Original Assignee
오자와 미토시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자와 미토시,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자와 미토시
Publication of KR2000001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3Series gearboxes, e.g. gearboxes based on the same design being available in different sizes or gearboxes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standardis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구조는 회전 입력 동력을 수용하기 위하여 정면에 형성된 입력구와 중공 또는 솔리드 출력축(2)을 통하여 회전 출력 동력을 전단하기 위하여 배면에 형성된 출력구를 갖는 일반적인 큐빅 형상의 캐스트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하우징 연결구(3a)(3b)가 상기 캐스트 하우징 부재에 일체화되어 한쌍의 일체화된 토크 암(3a)(3b)을 제공한다. 상기 각각의 일체화된 하우징 연결구(3a)(3b)는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평탄하게 가공된 표면과 상기 가공된 표면을 통하여 연장된 구멍을 갖는다. 상기 일체화된 하우징 연결구(3a)(3b)의 가공된 평판한 표면과 동일평면인 가공된 평탄한 표면을 갖는 돌출된 링 표면(6)이 상기 출력구의 주위에 연장 형성된다. 상기 돌출된 링 표면(6)은 플랜지 결합을 위하여 그 주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탭가공된 구멍을 갖는다. 상기 캐스트 하우징 부재의 양측면에 탭가공된 구멍(9)이 형성되고,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Ro)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되어 신축적인 하우징 설치 배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두 개의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가공된 표면(8)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와 기어모터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일반용 및 산업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다양한 설치와 토크 유지 배치가 가능한 기어박스와 기어모터에 대한 신규한 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광범위한 기계는 소정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동력으로서 회전 기계에너지를 사용한다. 이 회전 기계에너지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가스엔진 등과 같은 발동기에 의해 발생되고, 대부분의 경우에 기어감속장치를 사용하여 필요한 토크 및 속도레벨로 조절된다. 입력 토크 및 속도 발생장치(즉, 구동장치)는 토크의 평형을 위해서 기계(즉, 피동장치)의 구조물 또는 기초물에 의해 적절히 유지되어야 한다.
그 구동장치의 하우징 구조는 피동장치에 쉽게 부착되고, 구동축과 피동축의 얼라인먼트를 유지하고, 구동무게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디자인됨으로써 필요한 반응토크를 발생할 수 있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가장 흔한 마운팅 배치는 마운팅 피트, 플랜지, 브라켓 및 토크 암이다. 토크 암은 속이 빈 구멍이 있는 출력축을 갖는 구동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그 구동장치의 구멍에 피동장치의 솔리드 축이 끼워진다. 이러한 구동배열형식(또한 샤프트 마운트 기어박스 또는 기어 모터라 불린다)은 구동축과 피동축의 얼라인먼트를 본래부터 담보한다. 그 피동축은 또한 구동축의 무게를 지지한다. 적절한 토크 암 배열은 반응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요구된다.
최근에는 평행 오프셋 중공축 기어박스와 기어모터를 위하여 사용되는 두가지의 기본적인 토크 지지 디자인이 있다. 첫번째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이 기어박스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이 피동장치와 프레임 또는 기초물에 연결되는 타이 로드 타입 토크 암(Tie Rod Type Torque Arm)이다 두 번째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과 일체로 된 토크 암 플레이트로서 지지 브라켓, 암, 핀 또는 플레이트에 의해 피동장치에 결합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 타입은 두 조각의 하우징 구조를 갖는 기어박스에 주로 사용된다. 이 토크 암(타이 로드)은 두 조각의 기어박스를 결합하는 볼트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배열의 단점은 그 타이 로드를 위해서 상당한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욱이 양쪽 방향으로의 토크 전달을 위해서 반대 방향으로 두 개의 타이 로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긴 타이 로드 타입 토크 암 배열은 피동장치가 기어박스의 가까이에 충분히 단단한 구조적 부분을 갖고 있지 않거나 또는 접근가능한 기초물이 구동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등의 몇 가지 적용예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번째 타입은 일체화된 토크 암이 피동장치의 짧은 지지 암 또는 리브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이 디자인은 콤팩트한 구동장치의 부착과, 양 회전 방향으로의 토크를 지지 할 수 있는 토크 지지 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그 형상 때문에 일체화된 토크 암, 타이 로드 지지물의 방향전환 및 위치변환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하게 설치와 토크 지지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어박스와 기어모터에 대한 다양하고 콤팩트한 하우징 구조가 필요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우징 구조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와 기어모터에 대한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로 하는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 다양한 설치와 토크 지지 배열이 가능한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와 기어모터에 대한 다용도의 하우징 구조를 제공함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은 부분적으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다음의 설명에 대한 검토에 의해 명백하거나, 본 발명의 구체하에 의해 알려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특히 지적된 수단과 조합에 의하여 알려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설치와 토크 지지 배열이 가능한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와 기어모터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하우징 구조가 제공된다. 하우징 구조는 정면에 회전 입력 동력을 수용하는 입력구가 있고, 배면에 중공 또는 솔리드 출력축을 통하여 회전 출력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구가 있는 일반적인 큐빅 형상의 캐스트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하우징 연결구가 상기 캐스트 하우징 부재에 일체화되어 한쌍의 일체화된 토크 암을 제공한다. 상기 일체화된 하우징 연결구의 각각은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가공된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상기 각각의 일체화된 하우징 연결구의 가공된 표면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을 토크 암 타이로드, 장치의 프레임, 기초물, 브라켓, 토크 지지대 등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구멍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출력구의 주위에 연장 형성되는 돌출된 링 표면은 상기 일체화된 하우징 연결구의 가공된 평탄한 표면과 동일 평면인 가공된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상기 돌출된 링 표면은 플랜지 결합을 위하여 그 주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탭가공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탭가공된 구멍이 형성된 두 개의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가공된 표면이 상기 캐스트 하우징 부재의 양측면에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에 대한 가능한 설치 배열을 증가시킨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개시함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반응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 로드를 갖는 종래의 평행 오프셋 중공축 기어박스의 사시도.
제2도는 반응 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를 갖는 종래의 평행 오프셋 중공축 기어박스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구조를 갖는 평행 오프셋 중공축 기어박스의 정면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제3도에 나타낸 기어박스의 배면 사시도.
제5도는 하우징의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에 연결된 타이 로드 타입 토크암 배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사시도.
제6도는 하우징의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를 피동장치의 프레임에 연결하는 간단한 볼트 또는 핀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사시도.
제7도는 하우징이 피동장치의 표면에 단순히 볼트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박스의 사시도.
제8도는 첫 번째 타입의 브라켓이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사시도.
제9도는 두 번째 타입의 브라켓이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사시도.
제10도는 두 개의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가공된 표면에 의하여 설치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의 사시도.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 제3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두 가지 토크 암 배열을 포함하는 다양한 설치와 토크 지지 배열이 가능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의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H)을 나타낸다. 이 하우징(H)은 피동장치 등에 대한 용이한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평탄한 기계가공 표면(후술한다)의 세트가 일체화된, 통상은 큐빅(cubic) 형상의 하우징바디(HB)를 가지고 있다. 상기 평탄 가공된 표면은 마운팅 브라켓, 베이스 플레이트, 토크 암 및 다른 마운팅 하드웨어에 대한 다용도의 부착 베이스를 제공하는 탭가공된 구멍을 갖는다.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플랜지(1)가 전동기, 모터 또는 본래의 기어박스(도면 미도시)에 하우징(H)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우징(H)에 들어오는 회전력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중심축(Ri)의 입력구(Oi)가 이 플랜지(1)와 동축으로 하우징(H)에 설치되어 있다. 유성(Planetary) 또는 다른 타입의 기어박스 또는 기어모터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구조를 갖는 평행 오프셋 중공 또는 솔리드 출력축 헬리칼 또는 스퍼 기어박스의 본래의 스테이지에 민감한 속도비로의 조합은 특별히 적절한 조합이다.
하우징(H)에는 적절한 출력축(2)을 통하여 하우징(H)으로부터 회전력의 입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출력구(Oo)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2)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직경과 키 슬롯이 가공된 중공축이 바람직하나, 솔리드 출력축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구(3a)(3b)는 일체화된 토크암으로서 캐스트(cast: 주조) 기어 하우징(H)과 일체화되어 있고, 출력축(2)의 회전축(Ro)과 수직방향으로 향해진 면(P)내에서 마운팅 표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일체화된 토크 암(3a)(3b)은 상기 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토크 암의 길이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출력축(2)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낸 배열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평행 입력 및 출력축은 오프셋되고, 상기 일체화된 토크 암(3a)(3b)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출력축(2)의 축(Ro)으로부터 멀고, 상기 입력 플랜지(1)의 축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일체화된 토크 암(3a)(3b)은 적절한 크기의 구멍(4a)(4b)을 각각 갖는다. 일체화된 토크암(3a)(3b)의 각각의 평탄한 표면(5a)(5b)은 하우징의 출력측으로 돌출되도록 기계 가공된 평면이다.
상기 출력축(2)의 주위에 연장된 링 형상의 표면(7)이 또한 돌출되도록 가공된다. 상기 기계가공된 평탄한 표면(5a)(5b)(6)은 모두 동일한 평면(P)에 있다. 상기 출력축(2)의 주위에 연장된 상기 가공된 링 형상의 표면(6)의 원주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탭가공된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는 드릴 및 탭가공된 구멍(9)이 형성된 두 개의 평행으로 돌출되도록 가공된 평탄한 부착 표면(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측면에 가공된 평탄한 부착 표면(8)은 동일한 평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한 부착 표면(8)은 상기 기계가공된 평탄한 표면(5a)(5b)(6)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상기 평탄한 부착표면(8)의 면은 상기 회전축(Ro)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지만, 상기 일체화된 연장플레이트(3a)(3b)의 기계가공된 평탄한 표면(5a)(5b) 및 기계가공된 표면(6)의 면은 상기 출력축(2)의 회전축(Ro)에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 구조는 다양한 설치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그와 같은 설치 배열의 수는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첨부 도면 제5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타이 로드 타입 토크 암 배열을 나타낸다. 상기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3a)(3b)는 위에서 설명하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하우징 디자인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진 하우징 볼트를 제거할 필요없이 타이 로드(20)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토크 암 플레이트(3a)(3b)의 방향이 이러하기 때문에 상기 토크 암 플레이트(3a)(3b)에서 반응력으로부터의 굽힘은 위에서 설명하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토크 암 플레이트 디자인보다 훨씬 적은 스트레스를 발생시 킨다.
제6도에 나타낸 설치 배열은 상기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3a)의 구멍(4a)을 통하여 피동장치 프레임(31)에 연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볼트 또는 핀(30)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콤팩트한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토크 암 플레이트(3a)(3b)는 상기 출력축(2) 주위의 링 표면(6)과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돌출되도록 가공되어 있기때문에, 상기 하우징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동 장치(40)의 표면과 평탄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2)을 둘러싼 내부의 원주상의 표면은 센터링 목적과 종래의 일체하되는 방법에 의해 플랜지 부착에 따른 동일한 작용을 보다 좁은 공간에서 달성하는데 사용된다.
어떤 경우에는 통상 사용되던 플랜지 부착이 바람직하고, 플랜지는 상기 미리 드릴 및 탭가공된 구멍(7)을 사용하여 상기 출력축(2) 주위의 가공된 링표면(7)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3a)(3b)는 저렴하게 가공된 다양한 브라켓 타입 토크 암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되는 브라켓의 형상과 크기는 변화가능하고, 피동 장치 프레임이나 다른 작용에 따른 제한에 따라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가능한 브라켓의 변형예는 수없이 많고, 이것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구조의 설치에 대한 굉장한 유연성을 부여한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하우징 구조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브라켓 배열의 두가지 예를 나타낸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배열의 첫 번째의 예는 상기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3a)(3b)에 볼트(51)를 사용하여 결합된 앵글 형상의 부재(50)를 포함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토크 암 배열에서와 비슷한 방향으로 상기 앵글 형상 부재(50)에는 토크 암 연결 구멍(52)이 제공된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번째의 브라켓 배열와 예는 일체화된 토크 암플레이트(3a)(3b)에 볼트(61)를 사용하여 결합된 앵글 형상의 부재(60)를 포함한다. 연결 구멍(63)을 갖는 한쌍의 토크 암 연결 플레이트(62)가 상기 앵글 형상 부재(60)에 제공된다. 제9도에 나타낸 브라켓 배열이 제8도에 나타낸 브라켓 배열과 다른 점은 한 개가 아닌 두 개의 연결 플레이트가 사용된다는 것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62)를 지지하는 플랜지(64)가 상기 일체화된 토크 암 플레이트(3a)(3b)의 뒤쪽이 아니라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른 브라켓 배열도 물론 사용가능하다.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 탭가공된 구멍(9)이 형성된 두 개의 돌출되게 평행으로 가공된 표면(8)도 하우징 설치 배열이 가능하게 한다. 매우 다양한 피트, 브라켓, 특별한 토크 암 배열 등이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설치에 있어서 범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구조는 산업용의 기어박스와 기어모터 사용자에게 매우 큰 사용가능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단지 한 가지의 유니버설 하우징을 적절하게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와 저장에 필요한 비용을 낮출수 있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하고 첨부 도면에 나타낸 그대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범주와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이다.

Claims (9)

  1. 입력구와 출력구를 가지며, 상기 출력구는 상기 입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오프셋된 중심축을 갖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바디의 캐스팅과 일체화된 두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하우징 연결구로서, 그 각각이 상기 하우징을 위하여 일체화된 토크 암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내의 평면을 가지는 일체형 하우징 연결구와,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에 평행한 면내에 있으면서,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평탄한 마운팅 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하우징 연결구의 상기 평면은, 그 하나의 면이 기계가공되어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과 수직인 상기 면내에 있어서 정밀한 설치 면을 제공하기 위해 돌출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구의 주위로 연장되면서 돌출된 표면을 구비하되, 이 돌출된 표면은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과 수직인 상기 면내에 있어서 정밀한 설치 면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기계가공되어, 당해 돌출된 표면과 상기 일체 하우징 연결구의 돌출된 표면이 3점 지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4. 입력구와 출력구를 가지며, 상기 출력구는 상기 입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오프셋된 중심축을 갖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바디의 캐스팅과 일체화된 두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하우징 연결구로서, 그 각각이 상기 하우징을 위하여 일체화된 토크 암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면내의 평면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하우징 연결구와, 상기 하우징을 위한 설치 형태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하우징의 측면상에 돌출 형성되면서 또한 기계가공된 탭구멍이 형성된 두 개의 마운팅 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구의 주위로 연장되면서 돌출된 표면을 구비하되, 이 돌출된 표면은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과 수직인 상기 면내에 있어서 정밀한 설치 면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기계가공되고, 또한 볼트조임의 플랜지 장착 형태를 제공하기 위한 탭구멍을 상기 출력구의 증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6. 입력구와 출력구를 가지며, 상기 출력구는 상기 입력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오프셋된 중심축을 가지는 캐스트 하우징 바디와, 한쌍의 일체화된 토크 암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캐스트 하우징 바디와 일체화된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의 하우징 연결구로서, 그 각각이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된 면내에 있어서 기계가공된 평탄한 표면과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신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를 구비한 일체형 하우징 연결구와, 상기 출력구의 주위로 연장되면서 돌출된 표면으로서, 상기 일체형 하우징 연결구의 기계가공된 상기 평탄한 표면과 동일평면으로 된 기계가공된 평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신의 내부까지 형성되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주위에 간격을 두고 존재하는 탭구멍을 가지고 있는 돌출된 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트 하우징 바디에 형성되어 있되, 출력구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향해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또한 기계가공된 탭구멍이 형성된 두 개의 마운팅 표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하우징 연결구에 기계가공된 상기 평탄한 표면, 상기 출력구의 주위로 연장 형성된 상기 돌출된 표면 및 상기 캐스트 하우징 바디에 돌출 형성되도록 기계가공된 상기 마운팅 표면이 캐스트 하우징 바디의 세 개의 측면에 있어서 당해 하우징 바디의 정확하면서도 신축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일체형 하우징 연결구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관통구가, 상기 출력구의 중심축보다도 상기 입력구의 중심축에 더욱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행 오프셋 기어박스에 대한 유니버설 마운트 하우징.
KR1019980709668A 1996-05-29 1997-05-28 평행오프셋기어박스와기어모터에대한유니버설마운트하우징구조 KR100304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5696P 1996-05-29 1996-05-29
US60/018,556 1996-05-29
PCT/US1997/009457 WO1997045658A1 (en) 1996-05-29 1997-05-28 Universal mount housing construction for parallel offset gearboxes and gearmo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01A KR20000016101A (ko) 2000-03-25
KR100304057B1 true KR100304057B1 (ko) 2001-11-30

Family

ID=2178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668A KR100304057B1 (ko) 1996-05-29 1997-05-28 평행오프셋기어박스와기어모터에대한유니버설마운트하우징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57389A (ko)
EP (1) EP0901584A4 (ko)
JP (1) JP3514770B2 (ko)
KR (1) KR100304057B1 (ko)
CN (1) CN1114771C (ko)
AU (1) AU3373897A (ko)
WO (1) WO1997045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1158A3 (nl) * 1997-05-20 1999-05-04 Atlas Copco Airpower Nv Verbindingsstuk dat de behuizing van een aandrijving met de behuizing van een compressorelement verbindt.
JP4757983B2 (ja) * 2000-07-07 2011-08-2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分離型歯車箱、及び、半割箱鋳造用鋳型
US20050066756A1 (en) * 2003-09-30 2005-03-31 Clare Patrick S. System for securing a motor transversely to a gearbox
US8770063B2 (en) 2007-04-30 2014-07-08 Robert Bosch Gmbh Gearbox housing assembly
CN103335092B (zh) * 2012-06-19 2016-05-04 无锡市百顺机械厂 纵剪机组减速箱支架
CN103591266A (zh) * 2012-08-14 2014-02-19 苏州市兴博塑胶模具有限公司 一种齿轮盒摆放板
CN104251297B (zh) * 2013-06-28 2015-06-10 常州市瑞泰工程机械有限公司 液力-液压综合传动车轴齿轮箱箱体
JP6195535B2 (ja) * 2014-03-31 2017-09-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歯車箱
DE102015211183A1 (de) * 2015-06-18 2016-12-22 Voith Patent Gmbh Getriebegehäuse für ein Fahrzeuggetriebe
CN105443732B (zh) * 2015-12-22 2017-10-10 常州市瑞泰工程机械有限公司 液力传动车轴齿轮箱箱体
US10469025B2 (en) * 2016-09-01 2019-11-05 Sunpower Corporation Solar-tracking system drive having an offset gear
CN110762190A (zh) * 2018-07-27 2020-02-07 江苏泰隆减速机股份有限公司 一种行车用三点支撑减速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708A (en) * 1981-11-17 1991-04-23 Robert Bosch Gmbh Printing paste and method of applying said past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4393A (en) * 1956-02-14 ujenberger
US1164419A (en) * 1912-05-21 1915-12-14 James Hoyle Smith Gear-box.
US2342941A (en) * 1941-04-09 1944-02-29 Sterling Electric Motors Inc Enclosed variable-speed transmission
US2313548A (en) * 1942-04-01 1943-03-09 Frederick H Hoge Gear speed reducer and the like
US2600912A (en) * 1947-02-19 1952-06-17 Gordon L Olson Speed reducing mechanism
DE818716C (de) * 1948-12-24 1951-10-29 Rhein Getriebe G M B H Gehaeuse fuer Schneckengetriebe
NL76635C (ko) * 1949-10-31
US2762232A (en) * 1952-06-16 1956-09-11 Falk Corp Speed reducer
US2952165A (en) * 1957-11-05 1960-09-13 Falk Corp Speed reducer
FR1276339A (fr) * 1959-12-16 1961-11-17 Zd Y V I Plzen Narodni Podnik Carter de boîte de commande à multiples utilisations
AT219918B (de) * 1960-04-01 1962-02-26 Erste Oesterr Zahnraeder Übersetzungsgetriebe
US3236114A (en) * 1963-03-25 1966-02-22 Marquette Tool & Die Co Transmission for miniature racing automobiles
US3214989A (en) * 1963-04-01 1965-11-02 Falk Corp Vertical right angle speed reducer
AT271123B (de) * 1967-06-15 1969-05-27 Helmut Joerg Getriebegehäuse
FR2186109A5 (ko) * 1972-05-25 1974-01-04 Herwaythorn Sa
DE3933210A1 (de) * 1989-10-05 1991-04-11 Basf Ag Hochviskose magnetische fluessigkeiten
CH684358A5 (de) 1990-07-07 1994-08-31 Stoeber Antriebstech Gmbh & Co Getriebegehäuse, insbesondere für Stirnrad/Schneckengetriebe oder Schneckengetriebe.
DE9010311U1 (ko) * 1990-07-07 1990-10-04 Stoeber Antriebstechnik Gmbh & Co, 7530 Pforzheim, De
JP2582189B2 (ja) * 1991-01-31 1997-02-1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モータ付直交歯車装置
JP2530322Y2 (ja) * 1992-04-03 1997-03-26 株式会社椿本エマソン 省スペースのインチング装置
JPH0644663A (ja) * 1992-07-27 1994-02-18 Sony Corp ローディング装置
BG61236B1 (bg) * 1993-04-28 1997-03-31 Димов Иван Цилиндрична зъбна предавка с външно зацепване
CN2168125Y (zh) * 1993-07-12 1994-06-08 高一知 轴装电机减速器
DE9413344U1 (de) * 1994-08-18 1995-12-14 Schlicht & Kuchenmeister Getriebe
US5584207A (en) * 1995-03-20 1996-12-17 Hewlett-Packard Company Integrated driv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9708A (en) * 1981-11-17 1991-04-23 Robert Bosch Gmbh Printing paste and method of applying said p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14770B2 (ja) 2004-03-31
AU3373897A (en) 1998-01-05
CN1225711A (zh) 1999-08-11
CN1114771C (zh) 2003-07-16
JP2000513790A (ja) 2000-10-17
KR20000016101A (ko) 2000-03-25
WO1997045658A1 (en) 1997-12-04
EP0901584A1 (en) 1999-03-17
EP0901584A4 (en) 1999-12-15
US5857389A (en) 199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057B1 (ko) 평행오프셋기어박스와기어모터에대한유니버설마운트하우징구조
EP0944789B1 (en) Universal mount housing construction for right angle gearboxes and gearmotors
CA2265909A1 (en) Adapter system
JP3530406B2 (ja) 増減速装置
KR20030043838A (ko) 자기력을 이용한 회전력 증강장치
US5765961A (en) Adaptable mounting arrangement for shaft-carried speed reducer
JP2001187926A (ja) 電磁継手を備えた装置
CN218592252U (zh) 谐波减速机动态装配用支撑驱动机构
CN213685018U (zh) 一种高传递扭矩电机法兰盘
CN212509373U (zh) 行星齿轮减速箱
JP2006521526A (ja) ポンプ用のモジュラーギヤーシステム
CN214429440U (zh) 一种永磁步进电机蜗轮蜗杆输出机构、永磁步进电机及电子设备
CN220488204U (zh) 一种中空紧凑型机电一体化谐波减速机
CN218598733U (zh) 一种用于涡轮蜗杆减速器的减速齿轮组件
WO2023108528A1 (zh) 减速器、减速传动系统及包括减速传动系统的机器人关节和机器人
CN216625507U (zh) 一种内置槽轮结构圆形减速电机
KR200159580Y1 (ko) 로보트 리스트
CN219639826U (zh) 监控设备
KR102604157B1 (ko) 로봇 동력 전달 시스템
CN217769758U (zh) 一种双轴同步输出舵机
KR200340308Y1 (ko) 중장비의 선회 감속장치
CN111015722A (zh) 一种基于线驱动的三自由度的灵巧腕部结构
RU2039897C1 (ru) Редуктор для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CN113339474A (zh) 一种同步多轴传动机构以及使用方法
KR20240015955A (ko) 로봇 관절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