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657B1 -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657B1
KR100303657B1 KR1019990029098A KR19990029098A KR100303657B1 KR 100303657 B1 KR100303657 B1 KR 100303657B1 KR 1019990029098 A KR1019990029098 A KR 1019990029098A KR 19990029098 A KR19990029098 A KR 19990029098A KR 100303657 B1 KR100303657 B1 KR 100303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ber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new address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295A (ko
Inventor
마은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6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657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단말장치에 저장된 자동 다이얼 번호를 용이하게 편집하기 위하여 전화단말장치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를 새로운 번지에 저장하면서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하는 자동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터치 키와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내장한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의 편집방법에 있어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키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검출하여 전화단말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등록번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며,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선택되면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등록될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고,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새로운 번지에 저장하고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단말장치의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새로운 번지에 저장하면서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하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번거로운 과정없이 한번의 동작으로 자동 다이얼 번호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Method for editing automatic dial number of telephone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단말장치의 메모리에 단축 다이얼 번호, 원터치 번호, 그룹 다이얼 번호 등으로 등록된 자동 다이얼 번호를 한번의 키입력으로 새로운 번지로 이동하는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단말장치는 전화선과 같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전화단말장치와 정보교환을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화단말장치는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전화단말장치의 메모리에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특히 정보교환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는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원터치 키(one-touch key)나 단축 다이얼 번호(speed dial number)에 일대일 대응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원터치 키는 전화단말장치의 조작패널에 기 설정된 키로써 각각의 키에 일대일 대응하여 수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단축 다이얼 번호는 전화단말장치의 조작패널에 존재하는 숫자키의 조합으로써, 각각의 숫자키의 조합(예컨대, 01,02,03...50)에 일대일 대응하여 수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송신측 전화단말장치에서 수신측 전화단말장치로 다이얼링을 하고자 할 때, 수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에는 전화단말장치의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수신측 전화번호를 하나씩 입력하는 방법과, 전화단말장치의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수신측 전화번호가 등록된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수신측 전화번호가 등록되었다면, 사용자는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하여 수신측으로 다이얼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입력된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의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을 하므로 보다 신속하게 수신측과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중에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가 등록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단축 다이얼 번호 20번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02-345-6789를 새로운 번지인 단축 다이얼 번호 10번이나 소정의 원터치 키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수신측 전화번호 02-345-6789가 등록된 번지를 확인하고, 단축 다이얼 모드로 이동하여 단축 다이얼 번호 20번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한다.
단축 다이얼 번호 20번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가 삭제되면, 단축 다이얼 모드로 다시 이동하여 단축 다이얼 번호 10번에 수신측 전화번호 02-345-6789를 저장하거나, 원터치 키 모드로 이동하여 수신측 전화번호 02-345-6789를 소정의 원터치 키에 등록한다.
이와 같이, 수신측 전화번호가 입력된 번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수신측 전화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이동하고, 새로운 번지에 삭제한 수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이동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단말장치에 저장된 자동 다이얼 번호를 용이하게 편집하기 위하여 전화단말장치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를 새로운 번지에 저장하면서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하는 자동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 다이얼 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조작패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메모리 30 : 조작패널
31 : 원터치 키 32 : 숫자 키 33 : 서치 키
34 : 이동 키 35 : 표시창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원터치 키와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내장한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의 편집방법에 있어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키가 입력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검출하여 전화단말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등록번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선택되면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등록될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와,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새로운 번지에 저장하고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입력된 새로운 번지에 미리 입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새로운 번지에 미리 입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면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바람직하게, 전화단말장치의 조작패널에서 업/다운(up/down) 키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업(up) 키가 선택되면 표시부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바로 다음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다운(down) 키가 선택되면 표시부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바로 이전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셀룰러 폰이나 팩시밀리 등의 전화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 명세서에서는 전화단말장치의 일 예인 팩시밀리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 다이얼 번호를 편집하기 위한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조작패널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20)는 중앙처리장치(10)의 동작 프로그램과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 및 중앙처리장치(1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일대일 대응하여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폰북 리스트(phonebook list)가 저장된다.
조작패널(30)은 다수의 키, 특히 자동 다이얼을 위해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다수개의 원터치 키와 숫자키를 가지며 소정의 키 누름에 따른 키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에 인가하고, 중앙처리장치(10)의 표시 데이터에 의해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35)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터치 키(31)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검출하는 서치키(search key)(33)와, 서치키(33)의 입력에 의해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신측 전화번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를 새로운 번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키(move key)(34)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서치키(33)나 이동키(34)를 별도의 키로 구성하지 않고, 기존의 키의 조합하는 듀얼(dual) 기능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캐닝부(40)는 원고의 데이터를 스캐닝하여 디지털형태의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에 인가한다.
모뎀(50)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중앙처리장치(10)의 출력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로 변조 출력하고 아날로그형태의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NCU(Network Control Unit)(6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일반전화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Ring과 Tip으로 구성됨)의 통화 루프(Loop)를 형성하고 모뎀(50)과 일반전화망의 신호를 인터페이싱(Interfacing)한다.
프린트부(70)는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된 팩스데이터를 프린팅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처리장치(10)는 조작패널(30)을 통해 키입력이 존재하는지 체크하고(S201), 키입력이 존재하면 입력된 키가 메모리(20) 내의 폰북 리스트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서치키(33)인지 확인한다(S202).
확인결과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된 키가 서치키(33)이면, 중앙처리장치(10)는 메모리(20) 내의 폰북 리스트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중에서, 즉 원터치 키(31)나 숫자키(32)의 조합인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자동다이얼 번호인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중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해당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한다(S203).
여기서, 기 설정된 순서는 폰북 리스트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의 등록순서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측 ID의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 등 여러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폰북 리스트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중에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가 검출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검출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하고(S204),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새로운 번지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키(34)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205).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새로운 번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수신측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조작패널(30)에 기 설정된 업/다운(up/down) 키를 입력하여, 메모리(20) 내의 폰북 리스트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중에서 단계 204(S204)에서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의 이전 또는 이후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때, 이동키(34)를 선택하여 해당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선택하면 되는 것이다.
중앙처리장치(10)는 조작패널(30)을 통해 이동키(34)가 입력되지 않으면 메모리(20) 내의 폰북 리스트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검출하는 단계 203(S203)으로 복귀하고, 조작패널(30)을 통해 이동키(34)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이동할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한다(S206).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한 후,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새로운 번지를 입력하였는지 확인하고(S207), 새로운 번지가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되면 입력된 새로운 번지가 원터치 키(31)인지 확인한다(S208).
즉, 사용자는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면, 조작패널(30)에 기 설정된 원터치 키(31)나 조작패널(30)에 구비된 숫자키(32)의 조합으로 단축 다이얼 번호를 입력하여 새로운 번지를 지정할 수 있다.
확인결과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된 새로운 번지가 원터치 키(31)이면, 중앙처리장치(10)는 조작패널(3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원터치 키(31)가 유효한지 검색한다(S209).
검색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원터치 키(31)가 유효한 키가 아닌 경우(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원터치 키(31)에 미리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단계 204(S204)에서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이동할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206(S206)으로 복귀한다.
검색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원터치 키(31)가 유효한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원터치 키(31)에 단계 204(S204)에서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한다(S210).
이후, 중앙처리장치(10)는 새로운 번지로 이동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하고(S211), 조작패널(30)을 통해 멈춤키(stop key)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212).
확인결과 멈춤키가 입력되면 종료하고, 멈춤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메모리(20) 내의 폰북 리스트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203(S203)으로 복귀한다.
한편,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된 새로운 번지가 원터치 키(31)인지 확인하는 단계 208(S208)에서의 확인결과 입력된 새로운 번지가 원터치 키(31)가 아니면, 중앙처리장치(10)는 단계 207(S207)에서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된 새로운 번지가 숫자키(32)의 조합인 단축 다이얼 번호인지 확인한다(S213).
확인결과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된 새로운 번지가 단축 다이얼 번호가 아니면, 중앙처리장치(10)는 소정이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이동될 새로운 번지가 입력되지 않았기 때문에 종료한다.
확인결과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된 새로운 번지가 단축 다이얼 번호이면, 중앙처리장치(10)는 입력된 단축 다이얼 번호가 유효한지 검색한다(S214).
검색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 다이얼 번호가 유효한 번호가 아닌 경우(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미리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단계 204(S204)에서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이동할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206(S206)으로 복귀한다.
검색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 다이얼 번호가 유효 번호인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 다이얼 번호에 단계 204(S204)에서 조작패널(30)의 표시창(35)에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210(S210)으로 분기한다.
또한,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된 키가 서치키(33)인지 확인하는 단계 202(S202)에서의 확인결과 입력된 키가 서치키(33)가 아닌 경우, 중앙처리장치(10)는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15).
따라서,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간단하게 새로운 번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에 따르면 전화단말장치의 원터치 키나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를 새로운 번지에 저장하면서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하기 때문에, 반복적이고 번거로운 과정없이 한번의 동작으로 자동 다이얼 번호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원터치 키와 단축 다이얼 번호에 등록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내장한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의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검출하여 상기 전화단말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등록번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등록될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번지가 입력되면, 상기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새로운 번지에 저장하고, 상기 소정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이전의 번지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의 편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새로운 번지에 미리 입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확인결과 상기 새로운 번지에 미리 입력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면, 새로운 번지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단말장치의 조작패널에서 업/다운(up/down) 키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up) 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바로 다음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다운(down) 키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에 현재 디스플레이된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 바로 이전의 수신측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KR1019990029098A 1999-07-19 1999-07-19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KR10030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098A KR100303657B1 (ko) 1999-07-19 1999-07-19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098A KR100303657B1 (ko) 1999-07-19 1999-07-19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95A KR20010010295A (ko) 2001-02-05
KR100303657B1 true KR100303657B1 (ko) 2001-11-01

Family

ID=1960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098A KR100303657B1 (ko) 1999-07-19 1999-07-19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492A (ko)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축키 기능이 구비된 통신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4649B2 (ja) * 2004-08-18 2010-11-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ダイヤル登録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38A (ja) * 1992-06-18 1994-01-14 Sadao Osaka 電話器
JPH07177257A (ja) * 1993-12-21 1995-07-14 Toshiba Corp 短縮ダイヤル機能を有する通信装置
JPH07240780A (ja) * 1994-02-28 1995-09-12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
JPH0846676A (ja) * 1994-07-28 1996-02-16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H10243080A (ja) * 1997-02-21 1998-09-11 Nokia Mobile Phones Ltd 電話のための電話番号データベー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38A (ja) * 1992-06-18 1994-01-14 Sadao Osaka 電話器
JPH07177257A (ja) * 1993-12-21 1995-07-14 Toshiba Corp 短縮ダイヤル機能を有する通信装置
JPH07240780A (ja) * 1994-02-28 1995-09-12 Sanyo Electric Co Ltd 通信端末
JPH0846676A (ja) * 1994-07-28 1996-02-16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JPH10243080A (ja) * 1997-02-21 1998-09-11 Nokia Mobile Phones Ltd 電話のための電話番号データベ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492A (ko)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축키 기능이 구비된 통신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95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54248A (ja) 通信装置
JPH10155038A (ja) 情報通信端末
KR100222707B1 (ko) 자동 다이얼링 방법
EP2031845B1 (en) Telephone apparatus
KR100303657B1 (ko) 전화단말장치의 자동 다이얼 번호 편집방법
JPH0591213A (ja) 通信装置
EP0991250A2 (en) Mobile telephone and redial method therefor
KR100735362B1 (ko)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3339418B2 (ja) 通信端末装置
KR19980065858A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메모리 다이얼링방법
KR100211832B1 (ko) 다수전화번호 리다이알 장치 및 방법
KR100762665B1 (ko) 로밍 서비스에서의 발신 방법
KR100277730B1 (ko) 수신측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305238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366031B1 (ko) 팩시밀리의 커버시트 전송방법
KR19990048993A (ko)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등록 및 검색 방법
JPH09205664A (ja) トーンダイヤラ及び電話機及び選択呼出受信機
JPH07212452A (ja) 通信端末装置
KR20000073178A (ko) 팩시밀리의 전화번호 등록 및 전송 방법
KR100233125B1 (ko) 팩시밀리에서 방향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247063B1 (ko)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JPH0787197A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電話番号登録/検索方式及び発信方式
JPH0715549A (ja) 通信端末装置
KR20090000536A (ko) 국제 전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방법 및 장치
JP2003333167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