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707B1 - 자동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707B1
KR100222707B1 KR1019970009306A KR19970009306A KR100222707B1 KR 100222707 B1 KR100222707 B1 KR 100222707B1 KR 1019970009306 A KR1019970009306 A KR 1019970009306A KR 19970009306 A KR19970009306 A KR 19970009306A KR 100222707 B1 KR100222707 B1 KR 10022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hone number
telephone
memory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780A (ko
Inventor
장현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707B1/ko
Priority to US09/044,013 priority patent/US6097808A/en
Publication of KR1998007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48Auto-dialling or Auto-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58Abbreviated dialing, e.g. one-touch 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3Predictive input, predictive dialling by comparing the dialled sequence with the content of a telephone dir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팩시밀리나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다이얼링하려는 전화번호를 예측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DTMF신호 송출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전화번호 검색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수신측이 있어서 교환기가 링백톤을 제공하는지를 검색하는 수신측 검색단계와, 상기 수신측이 없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자동다이얼링키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하는 자동다이얼 검색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자동 다이얼링키를 입력하였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중에서 사용자가 키입력하지 않은 전화번호들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자동 다이얼링키를 입력하지 않았으면 상기 DTMF신호 송출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다이얼링단계와, 상기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나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나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자동 다이얼링 방법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나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얼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팩시밀리는 사무실뿐만 아니라 점차 가정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생활용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전화기는 단순한 통화기능을 넘어서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도록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한 전화기(이하 '전화기'라 함)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팩시밀리 또는 전화기의 사용자는 팩스를 전송하거나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 반드시 해당 전화번호를 모두 키입력하여 다이얼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운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의 팩시밀리나 일부 전화기는 단축키 기능을 구비하였다.
종래 팩시밀리나 전화기는 상기 단축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해진 수의 별도의 단축키를 구비하였다. 사용자는 상기 팩시밀리나 전화기 내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단축키 처리절차에 따라 각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키입력하였다. 이때 팩시밀리나 전화기는 상기 각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가 특정 단축키를 입력하면 상기 특정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였다.
그런데, 상기 단축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단축키를 구비하여야 했다. 이에따라 팩시밀리 또는 전화기에 구비되는 단축키의 개수에 따라 단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화번호의 수가 한정된다. 또한 사용자는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있어야만 단축키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단축키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를 자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로 갱신하여 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단축키 기능은 단축키의 개수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의 수에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축키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를 자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로 갱신하여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다이얼링하려는 전화번호를 예측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자동 다이얼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의 팩시밀리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다이얼링 방법.
도 3은 도 2의 전화번호 검색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4는 도 2의 전화번호부 갱신단계의 상세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DTMF신호 송출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전화번호 검색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수신측이 있어서 교환기가 링백톤을 제공하는지를 검색하는 수신측 검색단계와, 상기 수신측이 없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자동다이얼링키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하는 자동다이얼 검색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자동 다이얼링키를 입력하였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중에서 사용자가 키입력하지 않은 전화번호들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자동 다이얼링키를 입력하지 않았으면 상기 DTMF신호 송출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다이얼링단계와, 상기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나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다이얼링하려는 전화번호를 예측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하는 것으로, 팩시밀리 또는 중앙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통상의 팩시밀리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 도 1이다. 상기 도 1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팩시밀리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다이얼링 방법의 처리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NCU(Network Control Unit;12)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를 받아 전화라인과 모뎀(14)을 연결하여 전송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모뎀(14)의 아날로그 변조 출력과 상기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수신입력을 인터페이싱한다. 상기 모뎀(14)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출력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조 출력하고, 아날로그 수신 입력을 복조하여 출력한다. 메모리부(18)는 롬(20)과 램(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2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다이얼링 방법의 흐름도에 따른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램(18)은 팩시밀리의 송수신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부를 저장한다. 조작패널(26)은 사용자와 중앙처리장치(10)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의 키와,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팩시밀리의 제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스캐너(2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하에 원고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스캐닝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로 출력한다. 프린터(2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프린팅한다. 센서부(26)는 팩시밀리의 각 부분의 상태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에 따른 정보를 중앙처리장치(10)에 제공한다. 스피커(30)는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링 음등을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다이얼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후크-오프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도 2의 (3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조작패널(26)에 구비된 다이얼키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다이얼키를 입력하면 (36)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3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다이얼러(도시하지 않았음) 등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현재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전화라인을 통하여 교환기측으로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DTMF신호를 교환기측으로 송출하는 것을 다이얼링한다고 한다. 상기 DTMF신호의 송출이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3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램(22)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만일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상에 다수가 있다면, 중앙처리장치(10)는 다수의 전화번호들중에 다이얼한 횟수(이하 "사용횟수"라 함)가 가장 큰 번호를 검색해낸다. 상기 전화번호의 검색이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4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0)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42)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조작패널(26)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숫자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46)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4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조작패널(26)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44)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따른 번호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 (42)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이외에 중앙처리장치(10)가 검색해 낸 전화번호도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알 수 없다. 이에따라 상기 (42)단계에서의 디스플레이에는 중앙처리장치(10)가 검색해낸 전화번호에서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따른 번호만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는 점멸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번호와 그렇지 않은 번호의 구분을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4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현재까지 교환기로 송출한 DTMF신호에 대응하는 수신측이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수신측에 링신호를 제공하는지를 검색한다. 즉, 중앙처리장치(10)는 교환기가 링백톤을 제공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수신측이 있으면 (52)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중앙처리장치(10)가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해 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해서 조작패널(26)에 구비된 자동다이얼키를 입력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자동다이얼키를 입력하였으면 (50)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32)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다음 다이얼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50)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 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에서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순차적으로 전화선로를 통하여 교환기에 송출한다. 상기 송출이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5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전화번호부를 갱신하고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부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전화번호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주로 하여 적응적으로 구성하며, 사용자가 특정 전화번호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삭제한다.
상기 전화번호부는 램(22)에 저장되며, 상기 램(22)에 저장된 전화번호부의 메모리 맵을 나타낸 것이 표 1이다.
[표 1]
제1전화번호저장영역 제1전화번호
제1사용횟수
제1최종사용날짜
제2전화번호저장영역 제2전화번호
제2사용횟수
제2최종사용날짜
"? "?
제N전화번호저장영역 제N전화번호
제N사용횟수
제N사용날짜
상기 표 1과 같이 전화번호부에는 전화번호외에 해당 전화번호의 사용횟수, 최종사용날짜가 함께 저장된다. 상기 전화번호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해내는 방법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의 (38)단계의 상세흐름도를 도시한 것이 도 3이다. 상기 도 3의 (5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변수i를 0으로 초기화한다. 상기 검색변수i가 초기화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5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램(22)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가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숫자와 동일한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숫자와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가 동일하면 (58)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2)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와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숫자와의 비교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숫자가 '1,2,3'인 경우에, 상기 '1,2,3'은 세자리 숫자이므로, 중앙처리장치(10)는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의 앞 세자리가 '1,2,3'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가 '1,2,3'이면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숫자와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인지한다.
여기서, 현재 전화번호 레지스터는 중앙처리장치(10)가 검색해 낸 전화번호부상의 전화번호(이하 '현재 전화번호'라 함)를 임시저장한다. 그리고, 사용횟수 레지스터는 상기 현재 전화번호의 사용횟수를 임시저장한다. 상기 현재전화번호 레지스터와 사용횟수 레지스터는 초기에 초기화된다.
상기 (5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횟수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전화번호의 사용횟수가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인지된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의 사용횟수보다 큰지를 검색한다. 이때 현재 전화번호의 사용횟수가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의 사용횟수보다 크면 (62)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거나 현재 전화번호 레지스터나 사용횟수 레지스터가 초기화된 상태라면 (6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0)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현재 전화번호 레지스터에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이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횟수 레지스터에 상기 전화번호부의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의 사용횟수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이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6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검색변수i를 증가한다. 상기 검색변수i의 증가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6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검색변수i번째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의 마지막 전화번호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검색변수i번째 전화번호가 전화번호부의 마지막 전화번호이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56)단계를 수행하여 다음 검색변수I번째의 전화번호가 사용자가 현재까지 입력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지를 검색한다.
한편, 상기 전화번호부의 저장내역은 사용자의 사용빈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갱신된다. 상기 전화번호의 갱신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52)단계의 상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 도 4이다. 상기 도 4의 (66)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도 2의 (46)단계의 수신측 전화번호나, 자동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램(22)의 전화번호부에 기저장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기저장되어있으면 (68)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다이얼링한 전화번호의 사용횟수를 증가하고, 최종사용날짜를 갱신하고 종료한다.
상기 (70)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새로운 전화번호를 저장할 메모리 영역이 남아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새로운 전화번호를 저장할 메모리 영역이 남아 있으면 (74)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전화번호부에서 사용횟수가 가장 적고, 최종사용날짜가 가장 오래된 전화번호를 삭제한다. 상기 전화번호의 삭제가 종료되면 중앙처리장치(10)는 (7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는 새로운 전화번호를 저장할 메모리 영역이 있을 경우에는 그 메모리에 영역에 새로운 전화번호와 사용횟수 최종사용날짜를 저장한다. 그리고, 새로운 전화번호를 저장할 메모리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72)단계에서 전화번호를 삭제한 메모리 영역에 새로운 전화번호와 사용횟수와 최종사용날짜를 저장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에 사용자의 사용횟수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하는 전화번호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고자 하여 하나의 다이얼키를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0)는 전화번호부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중 가장 많이 사용한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조작패널(26)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번호와, 이후 전화번호부에서 검색해 낸 전화번호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고 자신이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번호이면 조작패널(26)의 시작키만 누르면 중앙처리장치(10)는 나머지 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한다.
이와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된 번호가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번호가 아니면 사용자는 다음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키를 입력한다. 이때 역시 중앙처리장치(10)는 전화번호부에서 첫번째 입력한 다이얼키와 두번째 입력한 다이얼키가 모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조작패널(26)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역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고 자신이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번호이면 시작키만 누르면 중앙처리장치(10)는 나머지 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한다.
통상 단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는 한계가 있고, 그 번호들이 서로 유사하기란 매우 어렵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다이얼키를 많이 누르지 않아도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번호를 쉽게 검색해 낼 수 있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다이얼링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다이얼링하고자 하는 번호가 전화번호부상에 없을 경우에 중앙처리장치(10)는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종료하면, 전화번호부에 사용자가 새로이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등재하여 다음 다이얼링시에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으로 다이얼링할 수 있는 전화번호의 수에 제약이 없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고 이후, 사용자가 다이얼키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중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 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점이 있다.

Claims (6)

  1. 자동 다이얼링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전화라인을 통해 송출하는 DTMF신호 송출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전화번호 검색단계와,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수신측이 있어서 교환기가 링백톤을 제공하는지를 검색하는 수신측 검색단계와,
    상기 수신측이 없을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자동다이얼링키를 입력하는지를 검색하는 자동다이얼 검색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자동 다이얼링키를 입력하였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중에서 사용자가 키입력하지 않은 전화번호들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자동 다이얼링키를 입력하지 않았으면 상기 DTMF신호 송출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다이얼링단계와,
    상기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나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저장단계가,
    상기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전화번호의 사용횟수를 증가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전화번호 및 사용횟수를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저장단계가,
    상기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사용날짜를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다이얼링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저장단계가,
    상기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메모리 영역이 있는지를 검색하는 메모리 검색단계와,
    상기 메모리영역이 없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중에 사용횟수가 가장 적고, 사용날짜가 가장 오래된 전화번호를 삭제하는 전화번호 삭제단계와,
    상기 전화번호를 저장할 메모리 영역이 있으면 그 메모리 영역에 전화번호와 사용횟수와 사용날짜를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화번호를 삭제함에 따라 발생한 메모리 영역에 전화번호와 사용횟수와 사용날짜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검색단계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다수개가 저장되어 있으면, 그 중 사용횟수가 가장 큰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가,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중에서 사용자가 키입력한 다이얼키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다이얼링방법.
KR1019970009306A 1997-03-19 1997-03-19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22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306A KR100222707B1 (ko) 1997-03-19 1997-03-19 자동 다이얼링 방법
US09/044,013 US6097808A (en) 1997-03-19 1998-03-19 Automatic dial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306A KR100222707B1 (ko) 1997-03-19 1997-03-19 자동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80A KR19980073780A (ko) 1998-11-05
KR100222707B1 true KR100222707B1 (ko) 1999-10-01

Family

ID=1950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306A KR100222707B1 (ko) 1997-03-19 1997-03-19 자동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97808A (ko)
KR (1) KR100222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5753B1 (en) * 1998-03-31 2001-09-04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lly intelligent and adaptive dialing of telephone and other network access numbers
KR100278020B1 (ko) * 1998-04-14 2001-01-15 윤종용 휴대폰에서 저장된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다이얼링하는 방법
US6608895B1 (en) * 1998-11-04 2003-08-19 Tadiran Telecom Business Systems, Ltd. Method of anticipatory dialing
KR100713522B1 (ko) * 2001-02-05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과금코드 자동 다이얼 방법
US7702801B1 (en) * 2001-04-19 2010-04-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Determining logon status in a broadband network system and automatically restoring logon connectivity
US6947770B2 (en) * 2001-06-22 2005-09-20 Ericsson, Inc. Convenient dialing of names and numbers from a phone without alpha keypad
US6928305B2 (en) * 2001-08-29 2005-08-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between computing devices
US6643371B2 (en) 2001-08-31 2003-11-04 Wildsee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7099684B2 (en) * 2002-12-30 2006-08-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gainst an inadvertent keystroke
US7706832B2 (en) * 2005-05-20 2010-04-27 Kyocera Wireles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liases to manage contac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16344A1 (en) * 2005-07-15 2007-01-18 Arinc,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 communications and control using adapted portable data storage and display devices
US20080107253A1 (en) * 2006-11-07 2008-05-08 Mediatek India Technology Pvt. Ltd. Methods and systems for speed dial
US8504096B2 (en) 2008-12-23 2013-08-06 At&T Mobility Ii Llc Abbreviated dialing
US8798250B1 (en) 2013-02-11 2014-08-05 Blackberry Limited Autocorrect for phone numbe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4853T3 (es) * 1989-06-09 1998-06-16 Nec Corp Aparato para consultar el contenido de una memoria de marcador en un equipo telefonico.
FI89652C (fi) * 1990-09-27 1993-10-25 Nokia Mobile Phones Ltd Foerfarande foer snabbval vid en telefonapparat
CA2042068C (en) * 1991-05-08 1995-03-21 Gez Microsystems, Inc. Telephone dialler with fast access telephone directory and "call back" feature
US5509067A (en) * 1992-02-26 1996-04-16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ing via one-touch and two-touch operation
JPH0646121A (ja) * 1992-04-23 1994-02-18 Nec Corp 電話機
JPH0795279A (ja) * 1993-09-20 1995-04-07 Fujitsu Ltd メモリダイヤル制御方式
US5636270A (en) * 1993-12-30 1997-06-03 Davey; Melville G. Method of producing signals commonly used with telephones
US5568546A (en) * 1994-10-31 1996-10-2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bbreviated dialing assignment
US5677949A (en) * 1994-12-22 1997-10-14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with minimal switches for dialing
US5644633A (en) * 1995-03-20 1997-07-01 Digitran Corporation Automatic telephone dialer system
KR0185613B1 (ko) * 1995-05-27 1999-05-15 김광호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US5677950A (en) * 1995-08-24 1997-10-14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with dial history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97808A (en) 2000-08-01
KR19980073780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2707B1 (ko) 자동 다이얼링 방법
US6829337B2 (en) Telephone apparatus with capability of adding, deleting and comparing telephone numbers
US5966436A (en) Redialing method
EP0991250A2 (en) Mobile telephone and redial method therefor
JP3141301B2 (ja) 電話機
KR0171301B1 (ko) 디지탈 국설 교환기의 국선 메시지 대기방법
JP3614319B2 (ja) 電話機
KR100269766B1 (ko) 전화기에서의 단축 다이얼 방법
KR100222787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선택 등록방법
KR100238480B1 (ko) 전화단말장치의 재다이얼방법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KR19980065858A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메모리 다이얼링방법
JPH06334726A (ja) 電話機
KR100193832B1 (ko) 일련의 가입자 번호 순차 자동 다이알링 방법
JPH03117256A (ja) 通信装置
JPH06334722A (ja) 公衆回線を用いる通信装置
KR19980038697A (ko)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팩시밀리의 모드를 전환설정하는 방법
JPH06311275A (ja) 通信装置
JP2002314671A (ja) 通信端末装置
JP2002314670A (ja) 通信端末装置
JPH04138760A (ja) データ通信装置
KR19990001888A (ko) 통신단말장치의 국제번호 등록 및 다이얼링 방법
JPH0426265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11577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22447A (ja) 複数電話番号順次自動発呼機能付き電話回線端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