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776B1 - 점화시기를이용한자동변속장치의변속충격감소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점화시기를이용한자동변속장치의변속충격감소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776B1
KR100302776B1 KR1019950015419A KR19950015419A KR100302776B1 KR 100302776 B1 KR100302776 B1 KR 100302776B1 KR 1019950015419 A KR1019950015419 A KR 1019950015419A KR 19950015419 A KR19950015419 A KR 19950015419A KR 100302776 B1 KR100302776 B1 KR 100302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ift
signal
transmission
ignition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943A (ko
Inventor
박동식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5001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776B1/ko
Publication of KR97000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엔진의 점화 시기를 지연시켜 엔진 토크를 감소시키므로 변속시 변속 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화 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엔진에 인가되는 부하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상태가 가변되는 부하 감지 수단과; 변속 장치의 입력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축 회전수 감지 수단과; 변속 장치의 출력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축 회전수 감지 수단과; 엔진의 냉각수 온도에 따라 출력신호의 상태가 가변되는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 수단과;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크랭크 축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 수단과;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형태와 기계적인 변속동작의 시작과 종료 시기를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 수단과; 변속 제어 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변속 형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변속 형태와 엔진 회전수과 부하 정도에 따라 점화 시기의 지연량을 산출하여,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산출된 점화 시기를 산출된 지연량만큼 보정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점화 동작을 실행하는 점화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변속 충격 감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켜 엔진 토크를 감소시키므로 차체로 전달되는 변속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는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변속 범위 안에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자동을 해당하는 목표 변속단의 변속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엔진(engine)의 출력 동력에 따라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er)를 동작시켜 유체의 회전력을 제어하고,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따른 해당 변속기어가 동작될 수 있도록 변속 제어장치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밸브로 유체가 작용하여 변속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체의 흐름에 따라 동작 상태가 제어되는 자동 변속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는, 해당하는 변속기어의 치합 상태를 가변시키기 위해 엔진과의 동력을 차단시키는 클러치 페달(clutch Pedal)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운전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고, 주행중 운전자의 오동작이나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엔진 스톨(engine stall)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초보자일 경우에도 운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변속시마다 클러치 페달(clutch Pedal)을 동작시켜야 하는 수동 변속 장치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많은 교통량으로 잦은 정차 동작을 필요로 하는 시내 주행시 변번하게 클러치 페달을 동작시켜야 하는 운전자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저속시의 구동력이 크기 때문에 등판 발진이 쉽고, 엔진 토오크의 전달이 유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승차감이 좋다.
그러나 해당 클러치의 동작과 해당 변속기어와의 치합 동작 등에 의해 변속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토크 컨버터로 인가되는 엔진의 회전수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가변되므로, 변속시에 발생하는 엔진의 회전수 변화로 토크 컨버터의 동작이 가변되어 변속 토크가 가변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엔진 회전수의 변화로 토크 컨버터의 동작이 가변되어 변속 토크가 가변될 때, 해당 변속기어로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가변되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심한 변속 진동(shifting turbulence)이나 변속쇼크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속시 변속 토크의 변화로 발생하는 변속쇼크 등으로 인하여 해당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고, 탑승자의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켜 엔진 토크를 감소시키므로 변속시 변속 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엔진에 인가되는 부하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상태가 가변되는 부하 감지수단과; 변속 장치의 입력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변속 장치의 출력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엔진의 냉각수 온도에 따라 출력 신호의 상태가 가변되는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수단과;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크랭크 축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과; 상기 부하 감지수단과 입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출력축 회전수 감지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형태와 기계적인 변속 동작의 시작과 종료 시기를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수단과; 상기 변속 제어수단과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수단과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변속 제어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변속형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변속 형태와 엔진 회전수와 부하 정도에 따라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산출하여,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산출된 점화시기를 산출된 지연량만큼 보정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수단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점화 플리그의 점화 동작을 실행하는 점화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충격 감소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속 페달의 동작 정도에 따라 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포지션 감지부(11)와, 토크 컨버터의 터빈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12)와, 변속 장치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축 회전수 감지부(13)와, 상기 스로틀 포지션 감지부(11)와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12)와 출력축 회전수 감지부(13)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상태와 변속 시기의 시삭과 끝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부(2)와,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부(14)와,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크랭크 축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크랭크 포지션 감지부(15)와, 상기 변속 제어부(2)와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부(14)와 크랭크 포지션 감지부(15)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변속시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른 엔진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산출하여 엔진의 점화시기를 보정하고 점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3)와, 상기 엔진 제어부(3)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엔진의 점화 동작을 실행하는 점화 장치(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인가되면 변속 제어부(2)와 엔진 제어부(3)는 동작을 시작한다(S110, S210).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 동작을 제어하고, 변속 상태를 엔진 제어부 (3)로 출력하는 변속 제어부(2)의 동작을 설명한다.
따라서 동작이 시작된 후, 변속 제어부(2)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 변화로 변속단을 가변시기기 위한 변속 제어 신호가 출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미 변속 제어부(2)의 메모리 장치에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와 자동차의 주행 속도의 변화에 따라 해당 목표 변속단을 결정하는 변속 패턴이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을 위한 별도의 제어 신호가 해당 제어장치로 출력되지 않을 경우엔, 변속 제어부(2)는 주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가(S1120)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해당하는 변속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미 설정되어 있는 변속 패턴에 따라 목표 변속단이 설정되어,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을 위해 해당 제어장치로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변속 제어부(2)는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형태를 결정한다(S130).
따라서 상기 단계(S130)에서 현재 실행되는 변속 동작의 형태가 다운 시프트인지 또는 업 시프트인지가 판단되면, 변속 제어부(2)는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상태가 업 시프트인지 또는 다운 시프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를 엔진 제어부 (2)로 출력한 후(S140), 해당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시작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12)와 출력축 회전수 감지부(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한다(5150).
상기 판독된 감지부(12, 1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변속 제어부(2)는 현재 변속 장치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있는 터빈축의 회전수와 변속 장치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변속 장치의 입/출력축의 회전수가 산출되면 변속 제어부(2)는 입/출릭비를 이용하여 현재 기계적인 변속 동작이 시작되는지를 판단한다(S160).
따라서 변속 장치의 입/출력비를 이용하여 해당 목표 변속단으로의 기계적인 변속동작이 시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변속 제어부(2)는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키기 위한 시작 신호를 엔진 제어부(3)로 출력한다(S170).
상기와 같이 목표 변속 동작의 시작 상태를 엔진 제어부(3)가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한 후, 변속 제어부(2)는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을 실행한다(S180).
그리고 변속 제어부(2)는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12)에서 인가되는 신호와 출력축 회전수 감지부(13)에서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S190), 변속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00).
상기 감지 신호가 판독되면 변속 제어부(2)는 상기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 (12)와 출력축 회전수 감지부(13)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판단된 변속 장치의 입/출력축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변속비를 산출한다.
그러므로 산출된 변속비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목표 변속비와 같을 경우엔 변속 제어부(2)는 설정된 목표 변속비로의 변속 동작을 완료한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변속비에 따라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되면, 변속 제어부(2)는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기는 동작을 종료할 수 있는 신호를 엔진 제어부(3)로 출력한 후(S1110), 주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간다(S1120).
상기와 같이 자동자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절한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이루어질 때, 변속 제어부(2)는 실행되는 변속 형태와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을 엔진 제어부(3)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해당 변속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속 제어부(2)에서 엔진 제어부(3)로 변속 상대에 따른 신호가 인가되면, 엔진 제어부(3)는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기기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므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이 시작되면(S210), 엔진 제어부(3)는 스로틀 포지션 감지부(11)와 크랭크 포지션 감지부(15)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220), 가속 페달의 동작에 따라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와 엔진의 회전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3)는 변속 제어부(2)로부터 변속 형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0).
즉, 자동차의 주행 상태로 인해 변속 상대를 가변시킬 경우,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업 시프트인지 다운 시프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해당 변속 형태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가 판독되면, 엔진 제어부(3)는 변속 형태가 업 시프트인지를 판단한다(S240).
그러나 다른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변속형태에 대한 신호가 판독되지 않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3)는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하기 위한 지연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3)는 별도의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처음 단계(S220)로 넘어가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부(14)와 크랭크 포지션 감지부(15)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한다.
그러나 변속 제어부(2)에서 인가되어 판독되는 변속 형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업 시프트에 해당하는 신호일 경우에, 엔진 제어부(3)는 업 시프트시 엔진의 회전수와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에 따라 이미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 맵을 이용하여 변속시 엔진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산출한다(S250).
그리고 변속 제어부(2)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업 시프트에 해당하는 신호가 아닐 경우엔, 엔진 제어부(3)는 다운 시프트 동작을 위해 이미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를 이용하여 변속시 엔진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산출한다(S260).
상기와 같이 실행하고자 하는 변속 동작의 업 시프트 또는 다운 시프트의 변속 형태에 따라 지연시키고자 하는 엔진의 점화시기의 지연량이 산출되면, 엔진 제어부(3)는 변속 제어부(2)로부터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의 시작 시점을 알 수 있는 신호가 판독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70).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의 시작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신호가 출력되어 판독되면, 엔진 제어부(3)는 변속 형태에 따라 각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와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산출되는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이미 설정되어 있는 최대 설정량과 비교 판단한다(S280).
그러나 변속 동작을 시작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신호가 판독되지 않을 경우엔, 엔진 제어부(3)는 상기 처음 단계(S220)로 넘어가 감지부(14,15)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판독한다.
상기 단계(S280)에서 비교 판단된 점화시기의 지연량이 최대 설정량보다 클 경우엔, 엔진 제어부(3)는 자동차의 변속 동작시에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량을 최대 설정량으로 결정한다(S290).
그러나 산출되는 점화시기의 지연량이 최대 설정량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엔, 엔진 제어부(3)는 자동차의 주행 상대와 변속 형태에 따라 산출되는 점화시기 지연량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변속시 지연시키고자 하는 엔진의 지연량이 산출되면, 엔진 제어부(3)는 상기 단계(5220)에서 판독되어 산출되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설정 온도와 비교 판단한다(S2100).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엔, 엔진 제어부(3)는 변속 엔진의 점화시기를 산출되는 지연량만큼 지연시기지 않고 자동차의 상대에 따라 설정되는 일반 점화시기를 최종 점화시기로 설정한다(S2110).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엔, 엔진의 상태가 정상 동작을 실행할 수 없을 만큼 냉각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엔진 점화시기의 지연동작으로 인한 엔진의 비정상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정상적인 점화 동작을 실행한다.
그러나 판단된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엔, 엔진의 상태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만큼 가열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3)는 변속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하기 위해, 통상시 현재 자동차 주행 상태에 따라 설정된 점화시기에서 상기 단계(5250, 5260)에서 판단된 지연량만큼 보정하여 최종 점화시기를 산출한다 (S2120).
상기와 같이 엔진의 상태에 따라 점화시기가 산출되면, 엔진 제어부(3)는 산출된 시기에 맞게 점화 장치(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엔진의 점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2130).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 중에 엔진의 점화시기를 제어한 후, 엔진 제어부(3)는 변속 제어부(2)에서 엔진 점화시기의 지연 동작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 신호가 인가되어 판독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40).
따라서 종료 신호가 판독되면, 엔진 제어부(3)는 변속 동작시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하는 동작을 마치고 주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간다(S2150).
그러나 해당 종료 신호가 판독되지 않을 경우엔, 엔진 제어부(3)는 처음 단계(S220)로 넘어가, 변속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켜 엔진토크를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실행되는 자동 변속 동작 중에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켜 엔진 토크를 저감시키므로, 변속시 차체로 전달되는 변속쇼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엔진에 인가되는 부하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 상태가 가변되는 부하 감지수단과; 변속 장치의 입력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변속 장치의 출력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엔진의 냉각수 온도에 따라 출릭 신호의 상태가 다변되는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수단과; 엔진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크랭크 축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과; 상기 부하 감지수단과 입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출력축 회전수 감지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헝태와 기계적인 변속 동작의 시작과 종료 시기를 판단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 제어수단과; 상기 변속 제어수단과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수단과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변속 제1 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변속형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변속 형태와 엔진 회전수와 부하 정도에 따라 점G화 시기의 지연량을 산출하여,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산출된 점화시기를 산출된 지연량만큼 보정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수단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 점화 플러그의 점화 동작을 실행하는 점화 장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감지수단은, 가속 페달의 동작 정도에 따라 상대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포지션 감지부(11)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회전수 감지수단은, 토크 컨버터의 터빈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터빈축 회전수 감지부(12)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장치.
  4. 다른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제어 신호가 출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변속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실행되는 변속 동작이 업 시프트인지 다운 시프트인지 판단하여 판단된 변속 형태에 대한 신호를 엔진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고, 입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출력축 회전수 감지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판단된 변속비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변속 동작이 시작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기계적인 변속 동작이 시작되면, 변속시 점화시기를 지연할 수 있는 시작 신호를 엔진 제어수단으로 출력한 후, 변속 동작을 제어하고, 입력축 회전수 감지수단과 출력축 회전수 감지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판단된 변속비를 이용하여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목표 변속 동작이 완료되면, 변속시 점화시기의 지연 동작을 종료하는 종료 신호를 엔진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변속 제어 단계와; 엔진 냉각수 온도 감지수단과 엔진 회전수 감지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한 후, 변속 제어수단으로부터 변속 형태에 대한 신호가 판독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변속 형태에 대한 신호가 판독되면, 변속 형태를 판단하여 변속 형태와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시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최대 설정량과 비교하여, 최대 설정량보다 클 경우엔, 점화시기의 지연량을 최대 설정량으로 설정하고, 엔진의 냉각수 온도를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엔, 일반적인 점화시기에서 산출된 지연량만큼 보정하여, 엔진의 점화시기를 지연시키고, 설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엔, 엔진의 점화시기를 일반 점화시기로 설정하여, 지연 종료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엔진의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시기를 이용한 자동 변속 장치의 변속 충격 감소방법.
KR1019950015419A 1995-06-12 1995-06-12 점화시기를이용한자동변속장치의변속충격감소장치및방법 KR10030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419A KR100302776B1 (ko) 1995-06-12 1995-06-12 점화시기를이용한자동변속장치의변속충격감소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419A KR100302776B1 (ko) 1995-06-12 1995-06-12 점화시기를이용한자동변속장치의변속충격감소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43A KR970001943A (ko) 1997-01-24
KR100302776B1 true KR100302776B1 (ko) 2001-11-22

Family

ID=3752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419A KR100302776B1 (ko) 1995-06-12 1995-06-12 점화시기를이용한자동변속장치의변속충격감소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18B1 (ko) * 2002-04-12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218B1 (ko) * 2002-04-12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43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4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vehicle speed at a predetermined vehicle speed
US4807497A (en) System for integrally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engine
JP2000230443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装置
JPH0138012B2 (ko)
JPH08156652A (ja) 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JP2001322456A (ja) 自動変速機付き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302776B1 (ko) 점화시기를이용한자동변속장치의변속충격감소장치및방법
JP3193244B2 (ja) 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JPH0475420B2 (ko)
JP3304654B2 (ja) エンジントルク制御装置
JPS63254256A (ja) 自動変速機塔載車の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JP2001214772A (ja) 車両用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装置
JP3650180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46483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動作開始時期検出装置
KR100220061B1 (ko) 자동 변속기의 총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323976B2 (ja) 変速ショック低減装置
JP3582098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すべり量制御装置
JP2714054B2 (ja) 自動変速機付き車両用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980700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858434A (ja) 自動変速機搭載車の発進制御装置
JP3446494B2 (ja) 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制御方法
JP2006112384A (ja) トルクダウン制御装置
JPS6323414B2 (ko)
JP2912030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980199B2 (ja) 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