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489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489B1
KR100302489B1 KR1019990043826A KR19990043826A KR100302489B1 KR 100302489 B1 KR100302489 B1 KR 100302489B1 KR 1019990043826 A KR1019990043826 A KR 1019990043826A KR 19990043826 A KR19990043826 A KR 19990043826A KR 100302489 B1 KR100302489 B1 KR 10030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ell array
memory cell
signal lines
array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710A (ko
Inventor
조호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489B1/ko
Priority to US09/612,072 priority patent/US6331963B1/en
Priority to JP2000306687A priority patent/JP2001148193A/ja
Publication of KR2001003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710A/ko
Priority to US09/940,030 priority patent/US64269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am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공개한다. 이 장치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 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고, 워드 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블록들 각각의 복수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중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에 각각 연결되는 소정 개수의 그룹들의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블록 선택 신호들 중의 해당 블록 선택신호들 및 해당 컬럼 어드레스에 각각 응답하여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컬럼 디코더들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이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공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용량이 가로 방향으로 증가하더라도 동일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을 컬럼 선택 신호라인에 따라 상하로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 및 입출력 게이트들의 수를 증가하지 않게 되어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layou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출력 라인의 수가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칩 사이즈를 증가하지 않고 배치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신호 라인 배치 방법은 워드 라인과 입출력 라인의 방향이 동일하고, 컬럼 선택 신호라인과 비트 라인은 워드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신호 라인 배치 방법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최소의 크기로 많은 셀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그래픽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초당 전송 비트 수를 넓히기 위하여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수가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그래픽 분야에 적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 방법 또한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 방법과 달라지게 되었다.
즉, 그래픽 분야에 적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호 라인 배치 방법은 워드 라인과 컬럼 선택 신호라인을 동일 방향으로 배치하고, 비트 라인 및 입출력 라인을 워드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게 되었다.
도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1, 10-2, ..., 10-8), 로우 디코더들(12-1, 12-2, ..., 12-8), 컬럼 디코더들(14-1, 14-2, ..., 14-9), 및 컬럼 프리 디코더(16)로 구성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CSL2, CSL3)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입출력 라인쌍((IO1, IO1B), (IO2, IO2B),..., (IOm, IOmB))이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CSL2, CSL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은 이웃하는 블록과 공유하는 라인들이다. 예를 들면,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 0(10-1)과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 1(10-2)사이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2, CSL3)은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 0(10-1)이 활성화되면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 0(10-1)을 선택하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 1(10-2)이 활성화되면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 1(10-2)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1에 나타낸 블록도는 8개의 로우 디코더들(12-1, 12-2, ..., 12-8) 각각이 각각의 블록 선택신호들(BLS0, BLS1, ..., BLS7)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k비트의 로우 어드레스(RA0~k)를 입력하여 디코딩한다.
컬럼 프리 디코더(16)는 컬럼 어드레스(CA0, CA1)를 디코딩하여 디코딩 출력신호들(CA0B1B, CA01B, CA0B1, CA01)을 발생한다. 컬럼 디코더(14-1)는 '하이'레벨의 블록 선택신호(BLS0)에 응답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0B1B)가 '하이'레벨이면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0)을 활성화하고, 디코딩 출력신호(CA01B)가 '하이'레벨이면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1)을 활성화한다. 컬럼 디코더(14-9)는 '하이'레벨의 블록 선택신호(BLS7)에 응답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0B1B)가 '하이'레벨이면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0)을 활성화하고, 디코딩 출력신호(CA01B)가 '하이'레벨이면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1)을 활성화한다. 컬럼 디코더(14-2)는 '하이'레벨의 블록 선택신호(BLS0) 또는 블록 선택신호(BLS1)에 응답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0B1)가 '하이'레벨이면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2)을 활성화하고, 디코딩 출력신호(CA01)가 '하이'레벨이면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3)을 활성화한다. 컬럼 디코더들(14-3, ..., 14-8)은 컬럼 디코더(14-2)와 동일한 방법으로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CSL2, CSL3)을 활성화한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컬럼 프리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인버터들(I1, I2, I3, I4, I5, I6), 및 NAND게이트들(NA1, NA2, NA3, NA4)로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버터들(I1, I2)은 컬럼 어드레스(CA0, CA1)를 각각 반전한다. NAND게이트(NA1)와 인버터(I3)는 '하이'레벨의 인버터들(I1, I2)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하이'레벨의 디코딩 출력신호(CA0B1B)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2)와 인버터(I4)는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0)와 '하이'레벨의 인버터(I2)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하이'레벨의 디코딩 출력신호(CA01B)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3)와 인버터(I5)는 '하이'레벨의 인버터(I1)의 출력신호와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1)를 입력하여 '하이'레벨의 디코딩 출력신호(CA0B1)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4)와 인버터(I6)는 '하이'레벨의 컬럼 어드레스(CA0, CA1)를 입력하여 '하이'레벨의 디코딩 출력신호(CA01)를 발생한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NOR게이트(NOR1), 인버터들(I7, I8, I9), 및 NAND게이트들(NA5, NA6)로 구성되어 있다.
도3에서, 도1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들(14-1, 14-2, ..., 14-9) 각각의 구성을 14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도3에서, 신호들(C1, C2)로 나타낸 것은 도1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들(14-1,14-2, ..., 14-9) 각각으로 인가되는 두 개씩의 블록 제어신호들을 각각 나타내고, 신호(I1, I2)로 나타낸 것은 도1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들(14-1, 14-2, ..., 14-9) 각각으로 인가되는 두 개씩의 디코딩 출력신호들((CA0B1B, CA01B), (CA0B1, CA01))을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신호들(O1, O2)로 나타낸 것은 도1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들(14-1, 14-2, ..., 14-9)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씩의 컬럼 선택 신호들을 각각 나타낸다.
도3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OR게이트(NOR1)와 인버터(I7)는 신호들(C1, C2)중의 하나이상이 '하이'레벨이면 '하이'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5)와 인버터(I8)는 '하이'레벨의 인버터(I7)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1)를 출력신호(O1)로 출력한다. NAND게이트(NA6)와 인버터(I9)는 '하이'레벨의 인버터(I7)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2)를 출력신호(O2)로 출력한다.
도4는 도1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2)의 실시예의 상세 블록도로서, 메모리 셀들(20-11, 20-12, ..., 20-1(4m), 20-21, 20-22, ..., 20-2(4m), ..., 20-n1, 20-n2, ..., 20-n(4m)), 프리차지 회로들(22-1, 22-2, ..., 22-(4m)), 센스 증폭기들(24-1, 24-2, ..., 24-(4m)), 및 입출력 게이트들(IOG1, IOG2, ..., IOG(4m))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10-2)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n)은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CSL2, CSL3)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비트 라인쌍들((BL1, BL1B), (BL2, BL2B), ..., (BL(4m), BL(4m)B))은 입출력라인쌍들((I01, IO1B), ..., (IOm, IOmB))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셀들(20-11, 20-12, ..., 20-1(4m), 20-21, 20-22, ..., 20-2(4m), ..., 20-n1, 20-n2, ..., 20-n(4m))은 각각의 워드 라인들(WL1, WL2, ..., WLn)과 비트 라인쌍들((BL1, BL1B), (BL2, BL2B), ..., (BL(4m), BL(4m)B))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입출력 게이트(IOG1) 및 미도시된 입출력 게이트들(IOG5, ..., IOG(4m-3))은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0)에 연결되고, 입출력 게이트(IOG3)와 미도시된 입출력 게이트들(IOG7, ...), 및 입출력 게이트(IOG(4m-1))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1)에 연결되고, 입출력 게이트(IOG4)와 미도시된 입출력 게이트들(IOG8, ...), 및 입출력 게이트(IOG(4m))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2)에 연결되고, 입출력 게이트(IOG2), 및 미도시된 입출력 게이트들(IOG6, ..., IOG(4m-2))은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3)에 연결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낸 회로의 데이터 입출력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모리 셀들(20-12, 20-14, ..., 20-1(4m))에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경우에, 라이트 명령이 인가되면, 프리차지 회로들(22-1, 22-2, .., 22-(4m))이 동작하여 비트 라인쌍들((BL1, BL1B), (BL2, BL2B), ..., (BL(4m), BL(4m)B)을 프리차지 한다. 그리고, 워드 라인(WL1)이 인에이블되고,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2)이 선택되어 입출력 게이트(IOG4)와 미도시된 입출력 게이트들(IOG8, ...), 및 입출력 게이트(IOG(4m))가 온된다. 그러면, 데이터 입출력 라인쌍들((IO1, IO1B), ..., (IOm, IOmB))을 통하여 전송된 데이터가 센스 증폭기들(24-4, ..., 24-(4m))로 각각 전송된다. 센스 증폭기들(24-4, ..., 24-(4m))은 데이터를 증폭하여 해당 비트라인쌍들((BL4, BL4B), ..., (BL(4m), BL(4m)B))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메모리 셀들(20-14, ..., 20-1(4m))로 전송된 데이터가 라이트된다.
다음으로, 메모리 셀들(20-14, ..., 20-1(4m))로 부터 데이터를 리드하는 경우에, 리드 명령이 인가되면, 프리차지 회로들(22-1, 22-2, .., 22-(4m))이 동작하여 비트 라인쌍들((BL1, BL1B), (BL2, BL2B), ..., (BL(4m)), BL(4m)B))을 프리차지 한다. 그리고, 워드 라인(WL1)이 인에이블되고,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2)이 선택되어 입출력 게이트(IOG4)와 미도시된 입출력 게이트들(IOG8, ...), 및 입출력 게이트(IOG(4m))가 온된다. 그러면, 메모리 셀들(20-14, ..., 20-1(4m))에 저장된 데이터가 해당 비트 라인쌍들((BL4, BL4B), ..., (BL(4m), BL(4m)B))로 전송된다. 그리고, 센스 증폭기들(24-4, ..., 24-(2m))은 비트 라인쌍들(BL4, BL4B), ..., (BL(4m), BL(4m)B))로 전송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데이터 입출력 라인쌍들((IO1, IO1B), ..., (IOm, IOmB))로 전송한다.
그런데,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크기가 가로 방향으로 증가하게 되면, 이에 따라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칩 사이즈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일 도1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10-1, 10-2, 10-3, 10-4)의 크기가 가로 방향으로 두배로 증가하고,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CSL2, CSL3)의 수가 2배로 증가하는 경우에 종래의 배치 방법에 의해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성하여 보면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5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메모리 셀어레이 블록 0, 1, 2, 3(30-1, 30-2, 30-3, 30-4), 로우 디코더들(32-1, 32-2, 32-3, 32-4), 컬럼 디코더들(34-1, 34-2, 34-3, 34-4, 34-5), 및 컬럼 프리 디코더들(36, 3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5에 나타낸 블록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1에 나타낸 블록도에 비해서 2배로 증가된 크기를 가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30-1, 30-2, 30-3, 30-4), 2배로 증가된 수를 가지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 CSL7)로 구성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30-1, 30-2, 30-3, 30-4)의 크기가 가로 방향으로 두배로 증가함으로써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가 2배로 증가하게 된다.
도5에 나타낸 컬럼 프리 디코더(36)의 구성은 도2에 나타낸 컬럼 프리 디코더(16)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6은 도5에 나타낸 컬럼 프리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인버터들(I10, I11, I12, I13, I14)로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직렬 연결된 3개의 인버터들(I10, I11, I12)은 컬럼 어드레스(CA2)를 버퍼하고 반전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2B)를 발생한다. 그리고, 직렬 연결된 2개의 인버터들(I13, I14)은 컬럼 어드레스(CA2)를 버퍼하고 반전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2)를 발생한다.
도7은 도5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NOR게이트(NOR2), NAND게이트들(NA10, NA11, NA12, NA13), 및 인버터들(I15, I16, I17, I18, I19)로구성되어 있다.
도7에서, 도5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들(34-1, 34-2, 34-3, 34-4, 34-5) 각각의 구성을 34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7에서, 제어신호들(C1, C2)은 컬럼 디코더들(34-1, 34-2, ..., 34-5) 각각으로 인가되는 두 개씩의 블록 선택 신호들을, 입력 신호들(I1, I2, I3, I4)은 컬럼 프리 디코더(36)로부터 출력되는 4개의 디코딩 출력신호들(CA0B1B, CA01B, CA0B1, CAB1)을, 입력신호(I5)는 컬럼 프리 디코더(36)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디코딩 출력신호들(CA2B, CA2)중의 하나를 각각 나타낸다.
도7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OR게이트(NOR2)와 인버터(I15)는 제어신호들(C1, C2)을 논리합하여 두 개의 제어신호들(C1, C2)중의 하나의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이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10)와 인버터(I16)는 '하이'레벨의 인버터(I15)의 출력신호 및 입력신호(I5)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1)를 출력신호(O1)로 출력한다. NAND게이트(NA11)와 인버터(I17)는 '하이'레벨의 인버터(I15)의 출력신호 및 입력신호(I5)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2)를 출력신호(O2)로 출력한다. NAND게이트(NA12)와 인버터(I18), 및 NAND게이트(NA13)와 인버터(I19) 각각 또한 '하이'레벨의 인버터(I15)의 출력신호 및 입력신호(I5)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3, I4)를 각각 출력신호(O3, O4)로 출력한다.
도8은 도5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30-2)의 상세 블록도로서, 8m개의 메모리 셀(MC)들이 워드 라인들(WL1, WL2, ..., WLn) 각각에 연결되고, 4개의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CSL2, CSL3)이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4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4, CSL5, CSL6, CSL7)이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8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 CSL7) 각각에 입출력 게이트들(IOG1, IOG2, ..., IOG8)이 연결되어 있다.
도8은 도5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메모리 셀들과 입출력 게이트들, 및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는 것으로, 메모리 셀들의 용량이 가로 방향으로 2배로 증가하게 됨으로써 입출력 게이트들 및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이 2배로 증가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 그 동작은 도4에 나타낸 블록도의 동작 설명을 참고로 하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즉,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용량이 가로방향으로 2배로 증가하는 경우에 입출력 게이트들 및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의 수가 2배로 증가하게 됨으로써 칩 사이즈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용량 증가에 따라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라인 로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배치되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가 증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칩 사이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 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워드 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블록들 각각의 복수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중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에 각각 연결되는 소정 개수의 그룹들의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블록 선택 신호들중의 해당 블록 선택신호들 및 해당 컬럼 어드레스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컬럼 디코더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이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치 방법은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워드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입출력 라인쌍 및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이 배열되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에 연결되는 블록들로 그룹화하여 상하로 배치하는 단계, 및 해당 블록 선택신호들 및 해당 컬럼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배치되는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이 공유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컬럼 프리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실시예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5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6은 도5에 나타낸 컬럼 프리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7은 도5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8은 도5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실시예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10은 도9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11은 도9에 나타낸 다른 하나의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9는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도5에 나타낸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30-1, 30-2, 30-3, 30-4) 각각을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0, CSL1, CSL2, CSL3)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30-11, 30-21, 30-31, 30-41)과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CSL4, CSL5, CSL6, CSL7)에 연결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30-12, 30-22, 30-32, 30-42)로 나누어서 상하로 배치하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두 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배치한 것이 도5에 나타낸 블록도와 상이하다.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의 2개씩의 공유하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컬럼 디코더들(40-1, 40-2, 40-3, ..., 40-8, 42)이 블록 선택신호 및 서로 다른 프리 디코드된 컬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활성화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종래의 반도체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의 공유하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블록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동일한 프리 디코드된 컬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컬럼 선택 신호 라인들을 활성화하였다.
도9에서, 로우 디코더들(32-1, 32-2, 32-3, 32-4)은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동일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로우 디코더가 사용되므로, 동일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대해서 로우 디코더를 공통으로 구비하도록 구성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컬럼 디코더들(40-1, 40-8) 각각은 블록 선택신호(BLS0)와 디코딩 출력신호(CA2B), 블록 선택신호(BLS3)와 디코딩 출력신호(CA2)에 각각 응답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0B1B, CA01B)를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0, CSL1)으로 각각 출력하고, 디코딩 출력신호(CA0B1, CA01)를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4, CSL5)으로 각각 출력한다. 컬럼 디코더들(40-2, 40-5) 각각은 블록 선택신호(BLS0) 또는 블록 선택신호(BLS1)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B), 블록 선택신호(BLS0) 또는 블록 선택신호(BLS1)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에 각각 응답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0B1)를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2, CSL6)으로 각각 출력하고, 디코딩 출력신호(CA01)를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3, CSL7)으로 각각 출력한다. 컬럼 디코더들(40-3, 40-6) 및 컬럼 디코더들(40-4, 40-7)은 입력되는 블록 선택신호들 및 디코딩 출력신호들이 상이할 뿐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컬럼 디코더(42)는 블록 선택신호(BLS3) 또는 (BLS0)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B)에 응답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0B1B, CA01B)를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0, CSL1)으로 각각 출력하고, 블록 선택신호(BLS3) 또는 (BLS0)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에 응답하여 디코딩 출력신호(CA0B1B, CA01B)를 컬럼 선택 신호라인(CSL4, CSL5)으로 각각 출력한다.
도9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도5에 나타낸 블록도에 비해서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도5에서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가 20개였는데 도9에서는 18개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9에 나타낸 블럭도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크기가 도5에 나타낸 블록도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크기의 반으로 줄어들게 되어,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길이가 도1에 나타낸 블록도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라인 로딩이 증가되지 않게 된다.
도10은 도9에 나타낸 블록도의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NOR게이트(NOR3), NAND게이트들(NA14, NA15), 및 인버터들(I20, I21, I22)로 구성되어 있다.
도10에서, 도9에 나타낸 컬럼 디코더들(40-1, 40-2, ..., 40-8) 각각의 구성을 40으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10에서, 제어신호들(C1, C2)은 컬럼 디코더들(34-1, 34-2, ..., 34-5) 각각으로 인가되는 두 개씩의 블록 선택 신호들을, 입력 신호들(I1, I2)은 컬럼 프리 디코더(36)로부터 출력되는 두개씩의 디코딩 출력신호들((CA0B1B, CA01B), (CA0B1, CAB1))을, 입력신호(I3)는 컬럼 프리 디코더(36)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디코딩 출력신호들(CA2B, CA2)중의 하나를 각각 나타낸다.
도10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OR게이트(NOR3) 및 인버터(I20)는 제어신호들(C1, C2)중의 하나의 제어신호가 '하이'레벨이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발생한다. NAND게이트(NA14)와 인버터(I21)는 '하이'레벨의 인버터(I20)의 출력신호 및 '하이'레벨의입력신호(I3)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1)를 출력신호(O1)로 출력한다. NAND게이트(NA15)와 인버터(I22)는 '하이'레벨의 인버터(I20)의 출력신호 및 '하이'레벨의 입력신호(I3)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2)를 출력신호(O2)로 출력한다.
즉, 컬럼 디코더들(40-1, 40-2, ..., 40-8) 각각은 입력되는 두 개의 블록 선택신호들중의 하나의 '하이'레벨의 블록 선택신호 및 디코딩 출력신호들(CA2B, CA2)중의 하나의 '하이'레벨의 디코딩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입력신호가 디코딩 출력신호(CA0B1B, CA01B)인 경우에는 디코딩 출력신호(CA0B1B, CA01B)를 각각 컬럼 선택 신호라인으로 출력하고, 입력신호가 디코딩 출력신호(CA0B1, CA01)인 경우에는 디코딩 출력신호(CA0B1, CA01)를 각각 컬럼 선택 신호라인으로 출력한다.
도11은 도9에 나타낸 다른 하나의 컬럼 디코더의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NAND게이트들(NA16, NA17, NA18, NA19, NA20, NA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11에서, 제어신호들(C1, C2)은 컬럼 디코더(42)로 인가되는 두 개의 블록 선택 신호들(BLS3, BLS0)을, 입력 신호들(I1, I2)은 컬럼 프리 디코더(36)로부터 출력되는 두개의 디코딩 출력신호들(CA0B1B, CA01B)을, 입력신호들(I3, I4)은 컬럼 프리 디코더(38)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디코딩 출력신호들(CA2B, CA2)을 각각 나타낸다.
도11에 나타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AND게이트(NA16)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2) 및 입력신호(I3)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1)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NAND게이트(NA17)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1) 및 입력신호(I3)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1)를 반전하여 출력한다.NAND게이트(NA20)는 NAND게이트들(NA16, NA17)의 출력신호를 비논리곱하여 출력신호(O1)로 출력한다.
즉, NAND게이트들(NA16, NA17, NA20)은 블록 선택신호(BLS3)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B)가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디코딩 출력신호(CA0B1B)를 출력신호(O1)로 출력하고, 블록 선택신호(BLS3)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가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디코딩 출력신호(CA01B)를 출력신호(O1)로 출력한다.
그리고, NAND게이트(NA18)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1) 및 입력신호(I3)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2)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NAND게이트(NA19)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C2) 및 입력신호(I4)에 응답하여 입력신호(I2)를 반전하여 출력한다. NAND게이트(NA21)는 NAND게이트들(NA18, NA19)의 출력신호를 비논리곱하여 출력신호(O2)로 출력한다.
즉, NAND게이트들(NA18, NA19, NA21)은 블록 선택신호(BLS0)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B)가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디코딩 출력신호(CA0B1B)를 출력신호(O2)로 출력하고, 블록 선택신호(BLS0) 및 디코딩 출력신호(CA2)가 '하이'레벨인 경우에는 디코딩 출력신호(CA01B)를 출력신호(O2)로 출력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가 많지 않으므로 그 감소 효과가 그다지 크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그 감소 효과가 커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은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 및 입출력 게이트들의 수를 증가하지 않음으로써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의 용량이 증가하더라도 컬럼 선택 신호 라인들의 길이가 증가되지 않게 됨으로써 컬럼 선택 신호라인의 라인 부하가 증가되지 않게 된다.

Claims (5)

  1.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 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고, 상기 워드 라인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블록들 각각의 복수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중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에 각각 연결되는 소정 개수의 그룹들의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블록 선택 신호들 중의 해당 블록 선택신호들 및 해당 컬럼 어드레스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컬럼 디코더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이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 사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워드 라인과 동일 방향으로 배열된 n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중의 n/2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상기 복수개의 제1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과 동일한 블록들을 각각 가지고, 상기 n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중의 나머지 n/2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컬럼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상기 n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디코딩 출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컬럼 디코더들;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블록 선택 신호들중의 해당 블록 선택신호들 및 상기 디코딩 출력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의 좌우에 배치되는 n/4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컬럼 디코더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위치하는 n/4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이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컬럼 디코더들 각각은
    상기 n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소정 비트의 컬럼 어드레스를 프리 디코딩하여 상기 디코딩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컬럼 디코더들 각각은
    상기 해당 블록 선택신호들 및 상기 디코딩 출력신호들중의 소정 비트의 디코딩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코딩 출력신호들중의 나머지 비트의 디코딩 출력신호들을 상기 n/4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로 각각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복수개의 워드 라인들과 복수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워드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입출력 라인쌍 및 복수개의 비트 라인쌍들이 배열되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을 상기 복수개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의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에 연결되는 블록들로 그룹화하여 상하로 배치하는 단계; 및
    해당 블록 선택신호들 및 해당 컬럼 어드레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사이에 배치되는 소정 개수의 컬럼 선택 신호라인들을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이 공유하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치방법.
KR1019990043826A 1999-10-11 1999-10-1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 KR10030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26A KR100302489B1 (ko) 1999-10-11 1999-10-1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
US09/612,072 US6331963B1 (en) 1999-10-11 2000-07-07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layout method thereof
JP2000306687A JP2001148193A (ja) 1999-10-11 2000-10-05 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この装置の配置方法
US09/940,030 US6426913B1 (en) 1999-10-11 2001-08-27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layou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26A KR100302489B1 (ko) 1999-10-11 1999-10-1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710A KR20010036710A (ko) 2001-05-07
KR100302489B1 true KR100302489B1 (ko) 2001-11-02

Family

ID=1961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826A KR100302489B1 (ko) 1999-10-11 1999-10-1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6331963B1 (ko)
JP (1) JP2001148193A (ko)
KR (1) KR100302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7474B2 (ja) * 2000-04-04 2010-04-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KR100408720B1 (ko) * 2001-06-28 2003-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디코더회로
US7095653B2 (en) * 2003-10-08 2006-08-22 Micron Technology, Inc. Common wordline flash array architecture
KR20090084236A (ko) 2008-01-31 2009-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칩 어레이
IT201900001947A1 (it) 2019-02-11 2020-08-11 Sk Hynix Inc Struttura di decodificatore per una architettura di memoria
US11087824B2 (en) * 2020-01-10 2021-08-10 Micron Technology, Inc. Column select swizzle
CN116052531B (zh) * 2022-05-27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336A (en) * 1992-09-10 1994-06-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ower line arranged in a meshed shape
JP3672946B2 (ja) * 1993-11-30 2005-07-2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US5835436A (en) * 1995-07-03 1998-11-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ynamic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data between array blocks at high speed
JP3577148B2 (ja) * 1995-11-28 2004-10-1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JPH09288614A (ja) * 1996-04-22 1997-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制御回路
JP3889848B2 (ja) * 1997-03-26 2007-03-0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JP2000040358A (ja) * 1998-07-21 2000-02-0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0100156A (ja) * 1998-09-25 2000-04-07 Fujitsu Ltd 半導体記憶装置のセル情報書き込み方法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4191827B2 (ja) * 1998-10-14 2008-12-0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JP2000200489A (ja) * 1999-01-07 2000-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6198682B1 (en) * 1999-02-13 2001-03-06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Hierarchical dynamic memory array architecture using read amplifiers separate from bit line sense amplifiers
US6208575B1 (en) * 1999-02-13 2001-03-27 Robert J. Proebsting Dynamic memory array bit line sense amplifier enabled to drive toward, but stopped before substantially reaching, a source of vol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48193A (ja) 2001-05-29
US6426913B1 (en) 2002-07-30
KR20010036710A (ko) 2001-05-07
US20020024871A1 (en) 2002-02-28
US6331963B1 (en) 2001-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450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large band width and allowing efficient execution of redundant repair
US5848006A (en) Redundant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a single now address decoder for driving both sub-wordlines and redundant sub-wordlines
KR100400307B1 (ko) 로오 리페어회로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30248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배치방법
JP2006147145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配置方法
US721855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ing column redundancy circuits therein that support multiple memory blocks
US717720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0580933A (zh) 其中存储故障地址的寄存器的位置被合并的存储器设备
KR20010026103A (ko) 멀티 뱅크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라인 배치방법
KR100402045B1 (ko) 데이타 판독 억세스를 향상시킨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374632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메모리셀 어레이 블락 제어방법
EP0337457A2 (en) Memor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 arrays with different organization
US7215591B2 (en) Byte enable logic for memory
KR100301039B1 (ko) 칼럼선택선신호를제어하여데이터를마스킹하는반도체메모리장치및이의칼럼디코더
US6377492B1 (en) Memory architecture for read and write at the same time using a conventional cell
US6370079B1 (en) Integrated circuits having reduced timing skew among signals transmitted therein using opposingly arranged selection circuits
US6466494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memory circuit
KR100301047B1 (ko) 2비트프리페치용칼럼어드레스디코더를갖는반도체메모리장치
JP2871967B2 (ja) デュアルポート半導体記憶装置
JPH0935483A (ja) 内部複写機能付きの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571625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51293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블록 선택신호 발생방법
KR2001010695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46131A (ko) 레이아웃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칼럼디코더 및 칼럼 디코딩 방법
JP2001093294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