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307B1 - 이미지픽업방법및이방법을이용한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픽업방법및이방법을이용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307B1
KR100302307B1 KR1019980710416A KR19980710416A KR100302307B1 KR 100302307 B1 KR100302307 B1 KR 100302307B1 KR 1019980710416 A KR1019980710416 A KR 1019980710416A KR 19980710416 A KR19980710416 A KR 19980710416A KR 100302307 B1 KR100302307 B1 KR 10030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torage memory
image
temporary stor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804A (ko
Inventor
마코토 요코이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00016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비용 및 회로크기의 감소와 전력손실의 감소를 이룰 수 있는 이미지 픽업장치가 제공된다. 기록모드에서, YUV 신호처리회로(11)로부터 주어진 주기에서 일 프레임 출력의 YUV 데이터는 DMA 제어장치(12)를 거쳐 DRAM 운송루트를 통해 DRAM(14)에 주기적으로 기록된다. 일 프레임의 YUV 데이터의 기록(writing-in)은 선결된 맵에 의해 된다. DMA 제어장치(12)는 DRAM(14)상에서 주기적으로 디벨로프된 YUV 데이터를 이미지맵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YUV 신호처리회로(11)로부터 비디오 인코더(15)로 판독/출력한다. 따라서, CCD(6)에 의해 픽업된 이미지 정보의 DRAM(14)상에서의 주기적인 갱신에 따라, 비디오 인코더(15)는 자동으로 갱신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비디오신호를 생성하고, 현재 이미지는 VRAM 제어장치 및 VRAM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16)상에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픽업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장치
본 발명은 물체의 이미지를 픽업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를 실행하고 기록하기 위한 이미지 픽업장치, 이미지 픽업방법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미지 픽업장치의 구조 및 작동은 물체의 이미지를 픽업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록모드와, 이미 기록된 픽업된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하고 표시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록모드에서, CCD(전하결합소자)로부터 픽업된 이미지 데이터는 다음 시퀀스에서 다루어진다.
우선, CCD는 선결된 사이클을 위한 하나의 대응하는 이미지로서 광전변환출력을 발생한다. 이 출력은 샘플링/홀딩회로에 의해 샘플/홀드되고,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신호는 YUV 신호처리회로에 의해 디지털 휘도 및 색차를 포함하는 다중화된 신호(적어도 하나 이상의 휘도신호 및 색차를 포함하는 신호, 이후 YUV 데이터로 칭함)로 변환되고, DMA(직접 기억장치 액세스) 제어장치에 출력된다.
DMA 제어장치는 입력된 YUV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기록하고, 이 데이터를 DRAM I/F(다이나믹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DRAM(다이나믹램)에 DMA-전송한다.
이 YUV 데이터가 DRAM에 DMA-전송된 후, CPU는 이 YUV 데이터를 DRAM I/F를 통해 DRAM으로부터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VRAM 제어장치를 통해 VRAM(비디오램)에 기록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비디오 인코더(이후 비디오 인코더 = VE로 간단히 칭함)는 VRAM 제어장치를 통해 VRAM으로부터 YUV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판독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비디오신호는 생성되어 표시장치에 출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표시장치는 CCD로부터 방금 얻은 이미지 정보에 기초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장치에 표시된 현재 이미지로, 사용자가 이를 기록/보존하는 타이밍으로 셔터키는 작동하고, 트리거를 발생시킨다. 이 트리거에 따라 CCD로부터 방금 얻은 일 이미지의 YUV 데이터를 DRAM(다이나믹램)에 DMA-전송한 후, CPU(중앙처리장치)는 CCD로부터 DRAM으로의 통로를 막고, 시프트를 기록/보존 상태로 실행시킨다. 이 기록/보존 상태에서, CPU는 DRAM에 기록된 일 프레임의 YUV 데이터를 DRAM I/F를 통해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압신기회로(compander circuit)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CPU는 압신기회로에 압축된 부호 데이터를 이 압신기회로로부터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일 프레임의 압축-처리된 YUV 데이터 및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된 완전히 압축된 데이터로, CPU는 CCD로부터 DRAM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재시작할 수 있다.
재생모드의 상태에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다음의 시퀀스에서 표시장치 상에 표시된다.
이미지 픽업장치가 기록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될 때, CPU는 CCD로부터 DRAM으로의 통로를 막고, 사용자가 이미지 선택키 등을 누름에 따라 특정 일 프레임의 부호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압신기회로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CPU는 압신기회로에 의해 신장-처리를 실행하고, 일 프레임의 YUV 데이터를 VRAM 제어장치를 통해 VRAM 속에 디벨로프(develop)한다. 다음에 비디오 인코더는 VRAM 속에 디벨로프된 일 프레임의 YUV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이는 표시장치 상에 표시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서, 일 프레임의 YUV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및 재생 모드에서 DRAM 속에 디벨로프되고, DRAM 속에 YUV 데이터 디벨로프먼트(development)의 각각의 완료에서, 이 YUV 데이터는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DRAM으로부터 VRAM으로 전송되고, 표시된다. 즉, 작동용 메모리로서 DRAM을 사용하고 표시용 메모리로서 VRAM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이미지의 표시를 실행하므로, 작동용 및 표시용의 이들 각기 다른 메모리는 존재하고, 따라서 비용 및 회로크기의 증가를 초래한다. 게다가, 두 메모리가 각기 따로 존재한다면, 기록모드의 CCD로부터 얻은 이미지 정보의 각각의 갱신에서 그리고 재생모드의 압축된 YUV 데이터의 각각의 신장에서, DRAM 속에서 디벨로프된 YUV 데이터는 VRAM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그래서 피할 수 없는 전력손실이라는 손해를 일으킨다.
1997년 4월 22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9-118764호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고로 통합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외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B는 다른 방향에서 본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디지털 카메라의 도식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DMA 제어장치의 세부 및 다른 블록과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도식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일 프레임에 대응하는 YUV 데이터의 이미지맵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5D는 YUV 신호처리회로의 YUV 데이터 기록라인과 비디오 인코더의 YUV 데이터 판독라인 사이의 관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있어서 YUV 신호처리회로의 YUV 데이터 기록라인과 비디오 인코더의 YUV 데이터 판독라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는 기록모드에서 데이터의 이동통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기록모드에서 이미지를 받아들일 때 데이터의 이동통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C는 재생모드에서 데이터의 이동통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표시화면 3: 렌즈
4: 셔터키 5: 기타키 6: CCD
7: 시간발생기 8: 수직 드라이버 9: 샘플/홀드회로
10: A/D 컨버터 11: YUV 신호처리회로 12: DMA 제어장치
13: 압신기회로 14: DRAM 15: 디지털 비디오 인코더
16: 표시장치 17: CPU 18: 플래시 메모리
19: 키섹션 20: 제1 선입선출 21: DMA 제어장치회로
22: DRAM 인터페이스 23: 제2 선입선출 24: 제3 선입선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크기의 회로 및 비용의 감소와, 전력손실의 감소를 이룰 수 있는 이미지 픽업장치 및 이미지 픽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은: 물체의 이미지를 픽업하고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이미지 픽업수단(image pick-up means);
이미지 픽업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이 신호를 기초로 물체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발생수단;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이미지 데이터를 픽업작동에 응하여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물체 이미지를 표시하고, 기록수단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지를 재생작동에 응하여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
작동을 위한 메모리수단; 및
이미지 데이터를 선결된 포맷으로 메모리수단으로부터 표시제어수단에 전송하는 동안,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수단 및 기록수단으로부터 선결된 포맷으로 메모리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용 및 회로크기의 감소를 이룰 수 있고, 게다가 VRAM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것도 또한 불필요하고, 그래서 전력손실이라는 손해를 피할 수 있다. 게다가, 보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는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상은: 물체의 이미지를 픽업하고 이 물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이미지 픽업수단;
이미지 픽업수단으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임시저장 메모리(temporary storing memory);
임시저장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이미지 픽업수단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저장메모리 및 표시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용 및 회로크기의 감소를 이룰 수 있고, 게다가 VRAM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것도 또한 불필요하고, 그래서 전력손실이라는 손해를 피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데이터 전송은 제어수단을 통하지 않으므로, 제어수단상에 적은 로드가 생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상은: 이미지 데이터를 픽업하기 위한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image pick-up element);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임시저장 메모리;
임시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회로(compressing circuit);
압축회로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보존메모리(preservation memory);
임시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임시저장메모리내의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회로 및 표시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보존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는 종래 장치의 VRAM 제어장치 및 VRAM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게다가, 제어수단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래서 로드 상에 적은 로드가 가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상은: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픽업하는 단계(S1);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S2); 및
상기 단계와 중복되는 동안 임시저장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송신하는 단계(S3, S4)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용 및 회로크기의 감소를 이룰 수 있고, 게다가 VRAM으로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 것도 또한 불필요하고, 그래서 전력손실이라는 손해를 피할 수 있다. 이 데이터 전송은 제어수단을 통하지 않으므로, 제어수단 상에 적은 로드가 가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상은: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픽업하는 단계(S1);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저장메로리에 저장하는 단계(S2);
임시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신기회로(compander circuit)에 의해 압축하는 단계(S5);
압신기회로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존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6); 및
상기 단계(S5)와 중복되는 동안 임시저장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하는 단계(S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존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는 종래 장치의 VRAM 제어장치 및 VRAM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게다가, 제어수단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래서 제어수단상에 적은 로드가 가해진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바람직한 양상은: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존메모리로부터 신장기회로(expander circuit)에 송신하는 단계(S9); 및
신장기회로에 의해 신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보존메모리에 송신하고, 임시보존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송신하는 단계(S10-S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존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는 종래 장치의 VRAM 제어장치 및 VRAM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게다가, 제어수단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제어수단상에 적은 로드가 가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실시예의 양상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외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는 몸체(1)의 배면상의 표시화면(2)과, 정면 코너부상의 렌즈(3)와, 상면상에 셔터키(4) 및 이미지 선택키와 같은 기타 키가 배열되는 직사각형 평행육면체 구성의 몸체(1)를 갖는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양상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CCD(6)는 렌즈(3) 뒤에 배열되고, 각각의 주어진 주파수에서 대응하는 일 이미지로서 광전변환출력을 발생하도록, 시간발생기(7) 및 수직 드라이버(8)에 의해 구동된다. 광전변환출력은 샘플/홀드회로(9)에 의해 샘플/홀드 처리되고, A/D 컨버터(10)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리고, 디지털 휘도 및 색차를 포함하는 다중화된 신호(적어도 하나 이상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이후 YUV 데이터로 칭함)는 YUV 신호처리회로(11)에 의해 DMA(직접 기억장치 액세스) 제어장치(12)에 출력된다. 압신기회로(13), DRAM(다이나믹램)(14) 및 비디오 인코더(15)는 DMA 제어장치(12)에 접속된다. 표시 이미지 화면(2)을 구비하는 표시장치(16)는 비디오 인코더(15)에 접속된다. CPU(17) 및 플래시 메모리(18)는 버스라인을 통해 DMA 제어장치(12)에 접속된다. 작동정보는 셔터키(4) 및 기타키(5)를 포함하는 키섹션(19)으로부터 CPU(17)에 입력된다.
도 3은 DMA 제어장치(12) 및 DMA 제어장치(12)와 다른 블록 사이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YUV 신호처리회로(11)의 YUV 데이터 출력은 제1 FIFO(선입선출)(20)에 기록되고, DMA 제어장치회로(21)에 의해 DRAM I/F(22)를 통해 DRAM(14)에 DMA-전송된다. 게다가, DRAM(14)으로부터 DRAM I/F(22)를 통한 비디오 인코더(15)로의 DMA 전송에 의해, DMA 제어회로(21)는 YUV 데이터를 제2 FIFO(23)에 기록하고, 비디오 인코더(15)의 판독-제어 신호에 응하여 출력한다. 게다가, DMA 제어회로(21)는 YUV 데이터의 8×8 기본블록을 DRAM(14)으로부터 DRAM I/F(22)를 통해 추출(extract)하고, 이 블록을 DMA 전송에 의해 제3 FIFO(24)에 전송한다. 그리고, DMA 제어회로(21)는 압신기회로(13)의 판독 제어신호에 따라 YUV 데이터를 제3 FIFO(24)로부터 압신기회로(13)에 출력한다.
배열된 본 실시예의 양상과 관련하여, 도 7A(S1-S4)를 참조하여 기록모드의 데이터 이동 통로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CCD로부터 얻은 이미지 데이터는 주어진 주파수에서 YUV 신호처리회로(11)로부터의 일 프레임 출력의 YUV 데이터에 대응하여 만들어진다(S1). 이 데이터는 DMA 전송에 의해 주기적인 방식으로 DMA 제어장치(12)를 통하여 DRAM(14)에 기록된다(S2).
게다가, DMA 제어장치(12)는 YUV 신호처리회로(11)로부터 DRAM(14)으로 디벨로프된 YUV 데이터를 이미지맵(image map)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DRAM(14)으로부터 주기적으로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15)에 전달한다(S2-S3). CCD(6)에 의해 얻은 이미지 정보의 DRAM(14)상의 주기적인 갱신에 따라, 비디오 인코더(15)는 자동으로 갱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그래서 종래 장치상에 제공된 VRAM 제어장치 및 VRAM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16)의 표시화면(2) 상에 현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회로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VRAM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손실이라는 손해를 피할 수 있다.
일련의 작동(S1-S4)이 CPU(17)의 명령에 의해 될지라도, 이 데이터는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CPU(17)를 통과하지 않는다.
도 7B와 관련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상의 셔터키(4)가 이미징 타임으로 즉, 기록모드로 눌릴 때, 데이터가 이동한 통로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S1 내지 S4). CPU(17)는 이미지 기록/홀드 상태로 시프트하고, YUV 신호처리회로(11)로부터 DRAM(14)으로 프레임의 전송 완료시에 DMA 제어장치(12)가 YUV 데이터를 얻는 것을 중지시킨다. 이 중지와 동시에, 압신기회로(13)는 시작되고 DMA 제어장치(12)는 일 프레임의 YUV 데이터를 이미지맵에 대응하는 8×8 기본블록단위로 DRAM(14)으로부터 압신기회로(13)를 향하여 DMA-전송한다(S5). CPU(17)는 압신기회로(13)에서 발생된 압축된 데이터를 압신기회로(13)로부터 연속으로 판독하고, 이를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한다(S6).
이 때, 또한 압신기회로(13)에서의 데이터 압축 동안, 비디오 인코더(15)로의 DMA 제어장치(12)의 YUV 데이터 전송(S7)은 계속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인코더(15)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에 의해, 이미지 정보가 압축-처리됨에 따라 표시장치(16)가 동일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S8).
압신기회로(13)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및 플래시 메모리(18)로의 데이터 기록과 다른 것은 CPU(17)의 명령하에 DMA 제어장치 등에 의해 된다.
게다가 재생모드에서, 이 데이터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한다. 즉, YUV 신호처리회로(6) 및 이것의 진행단계는 CPU(17)의 명령에 의해 중지상태로 설정된다. 오퍼레이터에 의한 그 밖의 키중 이미지 선택키의 작동에 따라, 특정 이미지의 부호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18)로부터 판독되어 압신기회로(13)에 기록된다(S9). 그리고, 압신기(13)의 신장-처리에 의해 얻은 8×8 기본블록단위의 데이터는 DRAM(14)에 대한 이미지맵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CPU(17)의 명령하에 DMA 제어장치에 의해 DMA-전송된다(S10). 동시에 DMA 제어장치(12)는 이미지맵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비디오 인코더(15)로의 DMA-전송을 실행하고, 이에 의해 신장된 이미지는 표시장치(16)의 표시화면(2) 상에 자동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된 이미지 선택키의 작동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는 선행기술 장치의 VRAM 제어장치 및 VRAM을 사용하지 않고 표시장치(16)의 표시화면(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18)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및 압신기회로(13)로의 데이터 기록과 다른 것은 CPU(17)의 명령하에 DMA 제어장치 등에 의해 되고, 데이터는 CPU(17)를 거치지 않으므로 고속 데이터 이동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서, 메모리영역으로의 YUV 신호처리회로(11)내 YUV 데이터의 주기적인 디벨로프먼트영역 및 비디오 인코더(15)의 메모리로의 YUV 데이터의 판독영역은 DRAM(14) 상의 동일한 영역과 정합된다. 그러나, YUV 신호처리회로(11)내 YUV 데이터의 프레임 디벨로프먼트주기 및 비디오 인코더(15)내 YUV 데이터의 프레임 판독주기는 반드시 서로 동기화 되지는 않으므로, 두 주기가 이런 방법으로 동일영역에 액세스 한다면, 표시장치(16) 상의 이미지 표시는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관계에 따라 퇴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즉, YUV 신호처리회로(11)내 YUV 데이터의 디벨로프먼트영역 및 비디오 인코더(15)의 YUV 데이터의 판독영역이 동일한 경우, 도 5A 내지 5C는 YUV 신호처리회로(11)의 YUV 데이터 기록라인 및 비디오 인코더(15)의 YUV 데이터 판독라인을 시간을 기초로 하여 나타낸다. 여기서, 라인은 이미지의 수평선을 의미하고, 이 이미지의 수평선은 세로축으로 표시되고 시간은 가로좌표 상에 설정된다. 게다가, 도 5A 내지 5C에서, 일점쇄선은 YUV 신호처리회로(11)의 디벨로프먼트를 도시하고, 인접 일점쇄선 사이의 간격은 디벨로프먼트주기이다. 게다가, 실선은 비디오 인코더(15)의 제1 필드(field)의 판독에, 점선은 제2 필드의 판독에 대응한다. 따라서, 인접 실선 사이의 간격과 인접 점선 사이의 간격은 비디오 인코더(15)의 판독주기이다. 게다가, 도 5A 내지 5C에서, YUV 신호처리회로(11)의 디벨로프먼트주기와 비디오 인코더(15)의 판독주기 사이의 관계는 디벨로프먼트주기 = 판독주기인 도 5A의 경우, 디벨로프먼트주기 〉판독주기인 도 5B의 경우 및 디벨로프먼트주기〈 판독주기인 도 5C의 경우에 대응한다.
도 5A 및 5C의 경우 각 시간(t1, t2 및 t3)에서 디벨로프먼트라인과 판독라인 사이의 교차점이 생기고, 도 5B의 경우 각 시간(t1, t2, t3 및 t4)에서 디벨로프먼트라인과 판독라인 사이의 교차점이 생긴다. 이렇게 하여, 디벨로프먼트라인과 판독라인 사이의 교차점의 발생은 표시화면(2) 상에 표시된 필드(1/2 프레임)에서 디벨로프먼트 프레임의 전/후 갱신된 이미지 사이에 혼합된 상태가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이동 물체라도 이미지가 비추어진다면, 표시된 물체 이미지는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YUV 신호처리회로(11)의 디벨로프먼트 타이밍과 비디오 인코더(15)의 판독 타이밍 사이에 간헐적 관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교차점(t1, t2)이 생기지만, 이 시간 간격은 확장되고, 도 5A 내지 5C의 경우에서처럼 표시된 물체 이미지 상에는 변위(displacement)가 생긴다. 그러나, 이 변위는 눈의 감각에 대해 현저하지는 않는다. 이런 간헐적 관계를 얻도록 시간발생기(7)에 의해 CCD(6) 또는 YUV 신호처리회로(11)의 외면을 구동시킬지라도, 동일한 영역은 YUV 신호처리회로(11) 및 비디오 인코더(15)에 의해 액세스되고, 이동 물체로부터 이미지를 픽업하자마자 생긴 표시된 물체 이미지 상의 변위를 금할 수 있다.
도 6은 변위 물체 이미지 상의 어떠한 변위도 두 영역을 이용하여 제거되는 것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양상을 도시한다. 즉, YUV 신호처리회로(11)의 디벨로프먼트주기와 비디오 인코더(15)의 필드(1/2 프레임)의 판독주기의 관계는 디벨로프먼트주기 〉판독주기로 설정된다. 게다가, A영역과 B영역은 DRAM(14)에 제공되고, DMA 제어장치회로(21)에 의해 YUV 신호처리회로(11)는 A 및 B영역 상에 교호하는 디벨로프먼트를 수행한다. 이 때에, YUV 신호처리회로(11)는 A영역 상의 디벨로프먼트의 완료시에 오르고 B영역 상의 디벨로프먼트의 완료시에 떨어지는 영역제어신호(S)를 DMA 제어장치회로(21)에서 발생시킨다. 비디오 인코더(15)는 영역제어신호(S)가 저-레벨 상태에 있을 때 B영역으로부터 판독한 신호와, 고-레벨 상태에 있을 때 A영역으로부터 판독한 신호를 실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 영역상의 디벨로프먼트라인 및 판독라인 사이에는 교차점이 생기지 않고, 이동 물체 이미지를 취할 때 생긴 표시화면에 표시된 물체의 어떠한 변위라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픽업방법 및 장치로 소규모회로, 비용절감 및 전력손실의 감소를 이룰 수 있어 앞으로의 이용이 주목된다.

Claims (21)

  1. 물체의 이미지를 픽업하고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이미지 픽업수단;
    이미지 픽업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물체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발생수단;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물체 이미지를 표시하고, 재생작동에 응하여 기록수단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
    상기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작동 메모리수단; 및
    상기 작동 메모리수단내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상기 표시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수단은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이미지 데이터가 교대로 기록되는 한쌍의 영역을 포함하고, 전송수단은 기록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된 쌍으로 된 영역중일 영역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제어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3. 물체의 이미지를 픽업하고 물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이미지 픽업수단;
    상기 이미지 픽업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물체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발생수단;
    이미지 픽업수단으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임시저장 메모리;
    임시저장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이미지 픽업수단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발생수단으로부터 임시저장 메모리 및 표시수단에 전송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상기 표시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픽업수단,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전송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전송수단은 임시저장 메모리의 한 쌍의 영역에 픽업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교대로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임시저장 메모리에 전송하고, 이미지된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전송하기 위하여 영역 쌍의 기록되지 않은 상태로 메모리로부터 이미지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전송수단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로 부호화하기 위한 비디오 인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7. 이미지 데이터를 픽업하기 위한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
    상기 이미지 엘리먼트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물체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발생수단;
    상기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임시저장 메모리;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회로;
    압축회로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보존 메모리;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임시저장 메모리내의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회로 및 표시수단에 직접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전송수단을 제어하고, 압축회로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존메모리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로 부호화하기 비디오 인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장치.
  10.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보존메모리;
    보존메모리의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신장회로;
    신장회로에 의해 신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저장 메모리;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신장회로에 의해 신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저장 메모리에 직접 전송하고,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부터 판독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직접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이미지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전송수단을 제어하고, 보존메모리의 데이터를 신장회로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이미지 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신호로 부호화하기 위한 비디오 인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이미지 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픽업된 데이터를 임시저장 메모리에 추가로 전송하고, 이 데이터를 임시저장 메모리내의 한 쌍의 영역에 교대로 기록하고, 상기 영역 쌍중 기록되지 않은 상태의 영역의 메모리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이미지 표시장치.
  14.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픽업하는 단게(S1);
    상기 픽업 엘리먼트에 의해 픽업된 상기 이미지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단계(S1-S2);
    상기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고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2); 및
    상기 단계와 중복하는 동안 임시저장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송신하는 단계(S3, 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 S4)는 임시저장 메모리로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부호화하는 단계(S3); 및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송신하는 단계(S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픽업방법.
  16. 이미지 픽업 엘리먼트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픽업하는 단계(S1);
    상기 픽업 엘리먼트에 의해 픽업된 상기 이미지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단계(S1-S2) ;
    상기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2);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신기회로(compander circuit)에 의해 압축하는 단계(S5);
    압신기회로에 의해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수단에 의해 보존메모리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S6); 및
    상기 단계(S5)와 중복하는 동안, 상기 전송수단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록/표시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임시저장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에 의해 부호화하기 위한 단계(S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록/표시방법.
  18. 보존메모리로부터의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수단에 의해 압신기회로에 송신하는 단계(S9) ; 및
    압신기회로에 의해 신장되고 적어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전송수단에 의해 임시보존 메모리에 송신하고, 임시보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송신하는 단계(S10-S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록/표시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압신기회로에 의해 신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임시보존 메모리에 송신하는 상기 단계는 신장기회로(expander circuit)에 의해 신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수단에 의해 임시보존 메모리에 송신(S10)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록/표시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보존메모리로부터의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압신기회로에 송신하는 상기 단계(S9)는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보존 메모리로부터 상기 신장기회로(expander circuit)로 송신하는 단계(S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록/표시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임시보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수단에 송신하는 상기 단계(S10-S12)는 임시보존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전송수단에 의해 부호화수단(encoding means)으로 전송하는 단계(S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기록/표시방법.
KR1019980710416A 1997-04-22 1998-04-20 이미지픽업방법및이방법을이용한장치 KR100302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8764 1997-04-22
JP11876497 1997-04-22
PCT/JP1998/001801 WO1998048572A1 (en) 1997-04-22 1998-04-20 Image pick-up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image pick-up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04A KR20000016804A (ko) 2000-03-25
KR100302307B1 true KR100302307B1 (ko) 2001-11-22

Family

ID=1474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416A KR100302307B1 (ko) 1997-04-22 1998-04-20 이미지픽업방법및이방법을이용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920774A1 (ko)
KR (1) KR100302307B1 (ko)
TW (1) TW449739B (ko)
WO (1) WO1998048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7735C (zh) 1999-02-08 2009-04-08 三洋电机株式会社 移动图像记录装置与数码照相机
JP2005012764A (ja) * 2003-05-22 2005-01-13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通信装置、画像送信方法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301A (en) * 1978-03-30 1981-04-14 Polaroid Corporation Electronic imaging camera
JPH06350951A (ja) * 1993-06-11 1994-12-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信号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6271B2 (ja) * 1989-07-27 2001-11-0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2301A (en) * 1978-03-30 1981-04-14 Polaroid Corporation Electronic imaging camera
JPH06350951A (ja) * 1993-06-11 1994-12-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04A (ko) 2000-03-25
TW449739B (en) 2001-08-11
WO1998048572A1 (en) 1998-10-29
EP0920774A1 (en) 199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02142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digital still camera using the same
EP0862326A3 (en) Image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3348917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
US6661452B1 (en) Digital camera capable of decreasing a required memory capacity
KR100302307B1 (ko) 이미지픽업방법및이방법을이용한장치
JP3931942B2 (ja) 画像ファイル装置
US20020039202A1 (en) Image processor
JPH1010813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276858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273605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H10327428A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3567258B2 (ja) 電子カメラ装置
KR100211842B1 (ko) 디지탈 비디오 캠코더에서 전송용 메모리의 최소화장치 및 방법
US615141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apability of synthesizing contents of plural memories
JPH11882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3075265B2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画像データの処理装置
JP3237627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0253280A (ja) 撮像装置
KR100577646B1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메모리 운영장치 및 운영방법
JP2000356984A5 (ko)
JP3322683B2 (ja) 画像データ変換装置
JPS6234490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10308913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H1033656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3123436A (ja) ビデオカセットテープ並びにビデオ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