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973B1 - 자동차용클러치마찰차의토션댐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클러치마찰차의토션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973B1
KR100301973B1 KR1019930004276A KR930004276A KR100301973B1 KR 100301973 B1 KR100301973 B1 KR 100301973B1 KR 1019930004276 A KR1019930004276 A KR 1019930004276A KR 930004276 A KR930004276 A KR 930004276A KR 100301973 B1 KR100301973 B1 KR 10030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ring
plate
torsion damper
gu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442A (ko
Inventor
장-루이뻬이앙
에릭발리베
장삐에르칼레
Original Assignee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메이르 마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레메이르 마르
Publication of KR93001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8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 F16D13/686Attachments of plates or lamellae to their supports with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made of rubber or like material transmitting torque from the linings to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9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2013/642Clutch-plates; Clutch-lamellae with resilient attachment of frictions rings or linings to their supporting discs or plates for allowing limited axial displacement of these rings or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션댐퍼는 마찰수단(17 내지 19)과,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링(8)에 고정되어 있는 클러치판(2)과 같은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2)은 그것(2)의 평면상에 놓여있는 기단 영역(26)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편위된 횡방향 연장 중앙부(25)를 규정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접시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에 따라서 상기 주앙부(25)는 댐퍼판(9)과 마찰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마찰차 및 그 유사품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차의 토션 댐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퍼의 부분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선 2-2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댐퍼의 탄성 트러스트 링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 및 제4도와 각기 유사한 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한 댐퍼의 지지 디스크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이너 2 : 클러치판
3 : 허브 4 : 내부 스플라인
5 : 입력축 6 : 탄성 수단
8 : 가이드 링 9 : 댐퍼판
11, 12, 13 : 윈도우 17∼19 : 마찰 수단
15 : 트러스트 링 20 : 베어링
본 발명은 토션 댐퍼, 특히 자동차(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사용되는 클러치 마찰차 형태의 토션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토션 댐퍼는 원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수단에 대항하여 소정의 각변위 범위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각운동할 수 있도록 동축되게 장착된 제 1 및 제 2 부재를 구비한다.
종래의 마찰 수단은, 첫째, 토션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제 2 동축부재쪽으로 마찰을 가하는 트러스트 링과, 둘째, 상기 제 1 동축부재와 트러스트 링상이에 배치되는 예비압축 상태의 축방향 작용식 탄성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토션 댐퍼를 사용하면, 입력축에 연결된 동축 부재중 하나와 출력축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동축부재간에서 이루어지는 토오크의 전달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어하여, 토션 댐퍼가 속해 있는 구동 계통에서 진동(특히, 음향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토션 댐퍼를 구성하는 2개의 동축부재중 하나는 중앙 댐퍼판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다른 하나의 동축부재는 상기 댐퍼판의 양쪽에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품은 금속으로 제조된다. 탄성수단 및 트러스트 링은 댐퍼판과 가이드 링중 하나와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끼워맞춤되어서 마찰링을 댐퍼판과 다른 하나의 가이드 링과의 사이에 파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션댐퍼의 일예로서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183388 A 호에 기술된 것이 있다. 이 토션 댐퍼에 있어서는, 마찰링이 트러스트 링에 대하여 거울상의 형태로 배치되고, 댐퍼판과 금속 대 금속의 마찰접촉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토션 댐퍼는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으며, 이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459914 A 호는 지지 디스크와 일체로된 탄성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이 탄성수단은 가이드 링과 댐퍼판으로 이루어진 요소들중 하나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 공보의 구성에 의하면, 금속 대 금속의 마찰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을 파지하기 위한 일련의 경사 핑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족할만한 수준의 마찰력을 얻으려면, 금속 대 금속의 접촉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함과 아울러 다른 여러가지의 장점을 얻을 수 있는 토션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수단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수단의 작용에 대항하여 소정의 각변위 범위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각운동할 수 있도록 동축되게 장착된 제 1 및 제 2 부재로 이루어진 토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중 하나는 2개의 금속제 가이드 링을 구비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부재는 축방향으로 상기 2개의 가이드 링사이에 배치된 금속제 댐퍼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링과 상기 댐퍼판으로 이루어진 요소들중 하나에는 지지 디스크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는 그것의 주 평면내에 있는 루트 영역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중앙부를 규정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 및 루트 영역은 경사부에 의해서 서로 이어져 있고, 상기 중앙부는 순환(endless) 현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와 중앙부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윈도우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로써 상기 지지 디스크는 댐퍼판과 가이드 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요소들중 다른 하나와 중앙부에서 마찰 접촉하기에 적합한 접시형상을 갖게 되는 토션 댐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토션 댐퍼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일반적으로 클러치 판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그렇게 표기할때도 있으나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님)의 중앙부는 견고하며, 토션 댐퍼 자체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경하지 않고도 부품의 갯수를 줄일 수 있도록 댐퍼판 또는 그에 연관된 가이드 링과 상당한 면적에 걸쳐서 직접적으로 마찰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는, 클러치판의 열처리후 어떤 수선작업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 FR 2183388 A 호의 명세서를 참조하면, 그내에 개시되어 있는 클러치판 즉, 지지 디스크는 방사상 내향으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그것에 소망하는 정도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클러치판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템퍼링 작업후 수선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퍼의 지지 디스크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클러치판과 같은 지지 디스크의 형상은 접시형상이므로, 클러치판의 중앙부와 관련 가이드 링사이에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환상 베어링의 삽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베어링은 적당한 감마물질(anti-friction material)로 제조하여 가이드 링과 허브(통상적으로 토션 댐퍼내에 구비됨)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품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프랑스 특허출원 제 FR 241737 A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 명세서의 개시내용에 있어서는 탄성수단이 트러스트 링과 일체적인 바, 탄성부와 트러스트부를 갖는 단일부푼(이하에서는 탄성 트러스트 링이라 함)이 제공되어 있다. 실제로, 이 탄성부는 트러스트부의 내주변으로부터 돌출된 핑거들로 구성되며, 이 핑거들은 조립체의 축선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토션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그들을 결합시키는 작동 핑거를 달고 있다.
이 구조는, 이하의 단점, 즉 첫째로 트러스트부에 고른 압력 분배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마찰접촉부분의 평균 반경이 탄성부의 내주변에 근접될 것이며; 둘째로, 트러스트부가 원추형상 윤곽을 체용하기가 쉬우므로, 트러스트부상에 고정되어 있는 마찰라이너에 불균일한 마모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는 마찰접촉이 발생하는 트러스트부의 평균 반경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유형의 토션 댐퍼에 있어서는 탄성 트러스트 링의 트러스트부가 횡방향으로 연장된 평면 구역을 규정하는 바, 이평면 구역은 제 2 탄성부에 의해 외주변이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토션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와 상기 평면구역 사이에서 조립체의 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탄성 트러스트 링의 안쪽 및 바깥 주변부 모두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통해서, 토션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상에서 지지되는 부분에서 탄성 트러스트 링을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 디스크상에 제공된 링부는 따라서 방사상으로 정확하게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링부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평균직경은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감소하게 된다. 상기 반경은 토션 댐퍼의 전체적인 작동수명 기간을 통해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안정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탄성 트러스트 링이 토션 댐퍼의 제 2 동축부재에 대해 맞물리도록 하여 직접 마찰 접촉을 이루게끔 하는 것이다.
탄성 트러스트 링은 댐퍼판 바로위나 결합된 가이드 링 바로위(즉, 경우에 따라서는 결합된 가이드 링이나 댐퍼판)에서 마찰접촉으로 맞물려 탄성 트러스트링은 다음에 토션 댐퍼의 다른 동축부재와 회전가능한 관계로 연결된다.
지지 디스크의 링부는 열처리된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판 및 가이드링은 금속판이기 때문에 고 마찰계수가 얻어질 수 있으며, 지지 디스크의 중앙링부는 마모율이 낮다.
지지 디스크의 중앙부와 결합되는 본 발명의 토션 댐퍼는, 그것에 대한 어떠한 기본적인 수정없이도, 구성부품 수의 감소와 함께 향상된 성능, 특히 고 마찰력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토션 댐퍼를 포함하는 자동차 클러치용 마찰차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마찰차는 클러치판(2)의 형태인 지지 디스크를 지탱하는 허브(3)를 포함하는데, 클러치판(2)에는 클러치의 마찰 라이너(1)가 부착된다. 클러치판(2)과 허브(3)는 각기 토션 댐퍼의 토오크 입력부와 토오크 출력부를 구성한다.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1도에서 리벳에 의해 클러치판(2)상에 고정된 라이너(1)는 클러치의 압력판과 작용판(도시하지 않음)사이에 고정되도록 정렬되는데, 상기 압력판과 작용판은 모두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축상에 장착되어 같이 회전하게 된다. 허브(3)는 내부 스플라인(4)을 가지며, 그것에 의해서 허브(3)는 자동차 기어박스의 입력축(5)상에 장착된다.
토션 댐퍼는 입력부[즉, 클러치판(2)과 라이너(1)]를 허브(3)로 구성된 출력 연결하며, 또한 2개의 동축부재를 포함하는데, 2개의 동축부재는 소정의 각변위의 범위내에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부재(6)의 작용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수단(17∼19)의 작용에 대항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댐퍼의 제 1 동축부재는 2개의 방사상 가이드 링(8)과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 형태로 되어 있지만 별개의 마찰 패드로 분리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는) 라이너(1)를 구비하는 클러치판(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링(8)은 서로 동일하다. 댐퍼의 제 2 동축부재는 허브(3)와 중앙 댐퍼판(9)(종종 허브판으로 지칭됨)을 포함하는데, 중앙 댐퍼판(9)은 가이드 링(8)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이드 링과 평행하게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링(8)은 허브(3)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댐퍼판(9)은 허브(3)에 고정된다(본 실시예에서는 댐퍼판(9)이 허브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요소 (8),(9),(2)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클러치판(2)은 탄성을 갖는다.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560330 A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댐퍼판은 물론, 탄성수단(6)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이나 그밖의 다른 적절한 탄성수단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특정한 마찰수단과 함께, 그 사이에 개재되는 (사다리꼴 치형의) 헐거운 커플링 수단으로 허브(3)상에 장착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댐퍼판(9)는 허브(3)상에 허브와 함께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구성 요소 사이에 간극이 제공될 수 있다. 허브(3)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배치를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컨대 시밍(seaming) 또는 크림핑(crimping)에 의해 가이드 링(8)이 허브(3)에 고정되고, 댐퍼판(9)이 허브(3)에 대해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클러치판(2)이 예컨대 리벳팅 또는 용접에 의해 댐퍼판상에 고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판(2)은 스페이서 바 형태의 스페이서(10)를 통해 가이드 링(8)에 고정되는데, 스페이서(10)는 댐퍼판(9)의 양측에 배열된 가이드 링의 조립체를 완성한다. (예컨대, 프랑스 특허 공부 제 FR 2560330 A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체결은 편평한 스페이서 부재와 별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수단(6)이 쌍으로 배열된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 쌍은 하나의 스프링이 다른 하나의 스프링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6)의 각 쌍은 가이드 링(8)에 형성된 윈도우(11)내에 일부가 장착되며, 또한 댐퍼판(9)에 형성된 윈도우(12, 13)내에 일부가 장착된다. 각기 중앙 삽입구(centring spigot)를 갖는 트러스트 삽입체(6a)(제2도 참조)는 스프링(6)의 각 원주방향 단부와 윈도우(11, 13)의 측방향 연장 에지부 사이에 결합된다. 각 중앙 삽입구는 관련된 쌍의 2개의 스프링중 작은쪽 스프링 내부를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동일하며 공통 피치원(common pitch circle)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4쌍의 스프링(6)이 있다. 가이드 링(8)내의 윈도우(11)는 댐퍼판(9)내의 윈도우(12, 13)와 대향하는 관계로 배열된다.
트러스트 삽입체(6a)를 갖는 스프링(6)의 쌍은 4개의 윈도우(11) 및 2개의 윈도우(12)내에 어떠한 간극없이 장착된다. 그러나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바(10)중 2개가 그것을 통과하게 하도록 그 일측상에만 원주방향으로의 연장부를 갖는 2개의 윈도우(13)와 스프링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스프링(6)과 원주방향으로 번갈아 있는 다른 2개의 스페이서 바(10)는 댐퍼판(9)을 관통하며 원주방향으로 밀폐된 또 다른 2개의 구멍(14)을 통과한다.
물론, 특정한 적용에 따라 단지 하나의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윈도우가 제공될 수 있고, 스페이서가 통과하는 구멍이 개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연히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 점과 관련하여, 앞에서 언급한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560330 A 호가 참조로 인용된다. 마찬가지로, 코일 스프링(6)중 일부가 탄성 재료, 예컨대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블록에 의해 대체될 수 있으며, 모든 스프링이 가이드 링과 댐퍼판 내의 윈도우에 간극없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찰수단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며 미리 압축된 탄성 요소(18, 19)와 함께 트러스트 요소(17)를 포함한다. 트러스트 요소(17)는 토션 댐퍼의 2개의 동축 부재중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에 의해 댐퍼의 다른 동축부재에 대한 마찰력을 설정한다. 탄성 요소(18, 19)는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와 트러스트 요소(17)사이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수단 (17,18,19)은 메인 스프링(6)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허브(3)의 외측 주변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18, 19)는 트러스트 요소(17)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들이 요소(17)로 구성된 트러스트부와 요소(18, 19)로 구성된 탄성부를 갖는 탄성 트러스트 링(15) 형태의 단일 구성 요소를 구성한다. 이것은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트러스트부(17)는 클러치 마찰차의 축과 직각을 이루며 댐퍼판 및 가이드 링에 평행한 편평한 방사상 트러스트 영역을 규정한다. 상기 트러스트부(17)는 그 내측 주연부가, 조립체의 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면 토션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와 편평 트러스트부(17)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또는 내측 탄성부(18)에 결합된다.
평면 트러스트 부재(17)는 그 외측 주연부가, 조립체의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토션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와 편평 트러스트 부재(17)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또는 외측 탄성부(19)에 의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트러스트 링(15)은 그 편평 트러스트부(17)를 통해 댐퍼판(9)에 직접 마찰되도록 배치되며, 탄성부(18, 19)는 대응하는 가이드 링(8)을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링은 클러치판(2)에 직접 부착되지 않은 것이다. 트러스트 링(15)은 미리 압축된 상태로 댐퍼판(9)과 연관된 가이드 링(8) 사이에 장착된다.
내측 탄성부(18)는 작동 핑거(actuating fingers)(16)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핑거(16)는 각각 관련된 가이드 링(8)내에 형성된 상보적 노치(22)내에 결합되어 가이드 링(8)과 트러스트 링(15)을 결합하여 함께 회전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러스트 링(15)은 금속으로 제조되며, 특히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도록 열처리 된다. 이것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미리 압축된 탄성 트러스트 링(15)은 물론, 그것의 편평 트러스트 영역(17)상에 접착 결합될 수 있는 마찰 링 또는 라이너를 통해서 댐퍼판(9)에 대해 마찰력을 야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요소들은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183388 A 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역으로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후자의 경우에 댐퍼판(9)은 탄성 트러스트 링(15)이 그 윈도우의 내측 에지부내에 노치를 갖도록 형성되며, 탄성 트러스트 링(15)은 그 작동 핑거(16)가 상기 노치와 결합함으로써 댐퍼판(9)에 결합된다. 상기 링(15)은 그 뒤 가이드 링(8)에 대해 직접적으로 마찰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금속 클러치판(10)이 다른 금속 가이드 링(8)에 직접 고정되어, 댐퍼판(9)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 링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찰 접촉은 금속 대 금속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재와 같은 감마 재료로 제조된 베어링(20)은, 허브(3)의 외주부와 클러치판(2)과 인접한 가이드 링(8)의 내주부 사이에 방사상으로 개재된다. 이러한 베어링(20)은 환형이며, 가이드 링(8)의 내면과 접촉하는 횡단부를 규정하는 대략 L-형의 단면을 갖는다. 베어링(20)은 3개의 돌출부(21)를 갖도록 형성되며(제1도 및 제2도 참조), 이들 돌출부(21)는 관련된 가이드 링(8)내의 반원형 노치(22)내에 결합된다. 2개의 가이드 링이 서로 동일하므로, 한 가이드 링의 노치(22)는 트러스트 링(15)의 작동 핑거(16)와 결합되며, 다른 가이드 링의 노치는 베어링(20)의 돌출부(21)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트 링(15)은 대략 2등변 사다리꼴 형태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므로, 그것의 평면 트러스트부(17)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접시 링(Belleville rings)(18, 19)을 구성하는 요소에 의해서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된 링의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접지 링중 내측 링(18)은 영역(17)의 내주부에서 연장하며, 다른 링(외측 링)(19)은 평면 트러스트부(17)의 영역의 외주부에서 연장된다.
트러스트 링(15)의 링부(18, 19)의 자유단이 연관된 가이드 링(8)에 의해 지지되므로, 트러스트 링(15)은 안정하게 된다. 이것의 효과는 트러스트 영역(17)의 평균직경이 베어링(20)의 외주부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상태로 트러스트 영역(17)이 방사상으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내부 접시 링 요소(18)는, 트러스트 영역(17)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작동 핑거(16)를 형성하도록, 국부적으로 차단된다. 핑거(16)는 트러스트 링(15)이 토션 댐퍼의 제 1 동축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동되게 한다. 링 요소(18, 19)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강성을 갖는다. 그러나 힘은 링(15)의 외주부에 우선적으로 가해진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트러스트 링(15)의 내측 탄성부(18)와 외측 탄성부(19)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탄성 핑거(40, 41)의 세트로 구분된다. 그러나, 트러스트 영역(17)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하는 3개의 축방향 핑거(16)가 여전히 있다. 이러한 탄성 핑거(40, 41)의 수를 줄임으로써, 트러스트 영역(17)에 다각형 형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 변형예에 있어서, 작동 핑거는 내측 링(18) 또는 그 핑거(40)의 일부가 연장부가 되도록 경사지게 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내측 및 외측 탄성 링부는 아코디언(accordion) 형태로 경사지게 될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과 그 다음의 풀림 작업에 의해서 제조된 금속 클러치판(2)은 댐퍼판(9)(제1도 및 제7도)에 대해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 링에 대해서 금속 대 금속의 접촉관계로 직접 마찰결합을 하도록 배열된다.
지지 디스크(2)는, 통상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링(8)이나 댐퍼판(9)을 포함하는 요소중 하나에 부착되며, 클러치판(2)은 댐퍼판(9)과 마찰 결합을 하도록 가이드 링(8)중 하나에 부착된다.
제7도를 참조하면, 클러치판(2)은 중앙부(25)를 갖는데, 이 중앙부(25)는 클러치판(2)의 주 부분 또는 외측 부분의 평면내의 루트 영역(root zone)(26)에 대해 축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며 스포크(spoke)의 형태의 경사부(27)를 통해 루트 영역(26)에 결합된다. 상기 중앙부(25)는 순환 형상을 가지며 횡방향 (방사상) 평면내에 위치되어, 경사부(27)와 중앙부(25)가 함께 제7도에 도시된 윈도우(30)세트를 규정한다. 스프링(6)과 같은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이 윈도우(30)내에 수용된다. 클러치판(2)은 내부가 움푹들어간 접시형상을 갖도록 되어, 이에 의해 클러치판(2)이 댐퍼판(9)과 가이드 링(8)을 구성하는 2개의 요소중 다른 하나(즉, 본 실시에에서는 댐퍼판)에 대해 마찰 결합되도록 한다.
클러치판의 중앙부(25)는 허브(3)와 베어링(20)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는다. 상기 링(25)은 트러스트 링(15)의 트러스트 영역(17)에 평행하게 연장되는데, 이들은 축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관계를 이룬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루트 영역(26)은 클러치판(2)을 그 면의 내측을 확장시키며, 루트 영역(26)은 가이드 링(9)과 접촉하도록 연장한다. 변형예에 있어서, 중앙부(25)는 다각형일 수도 있다.
제7도에서 4개로 도시된 경사부(27)에 의해 루트 영역(26)이 중앙링부(25)에 연결됨으로써, 클러치판(2)의 내부로 움푹들어간 접시형상은 서로 평행하면서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두 부분(25, 26)을 형성한다. 이러한 축방향 오프셋은 베어링(20)의 횡단부의 두께 역할을 하며, 이 베어링은 결합된 가이드 링과 중앙링부(25)에 대한 회전이 없이 이들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제한된다.
경사부(27)는 스프링(6)이 장착되는 윈도우(30)를 분리시킨다. 각 경사부(27)는 절곡부(2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경사부(27)는 이 절곡부(28)를 통해 루트 영역(26)에 결합된다. 한편, 다른 절곡부(29)에 의해 경사부(27)가 중앙링부(25)에 결합된다. 각 경사부(27)는 2개의 연속적인 윈도우(30) 사이로 연장되며, 본 실시예에서 이것은 중앙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경사부(27)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판(9) 쪽으로 경사져 있으며, 대략 윈도우(30)의 방사상 내측 절반에 걸쳐 연장된다. 이러한 윈도우(30)는 스프링과 간섭되지 않도록 윈도우(11)보다 약간 크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 루트 영역(26)은 윈도우의 다른 절반(즉, 방사상 외측 절반)에 걸쳐 연장하는 4개의 방사상 텅(tongues)(31)으로 분할된다. 이에 따라, 절곡부(28)는 텅(31)을 경사부(27)로부터 분리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459914A 호에서와 같이 베어링(20)에 대해 어떠한 실질적인 파지력도 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목적은 댐퍼판에 마찰 접촉을 제공하며, 따라서 링부(25)의 횡단 배향을 제공하는 것이다. 텅(31)과 경사부(27)가 충분히 강하게 제조된 경우에는, 베어링(20)의 횡단부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구성 요소의 수가 최소로 줄어든다. 트러스트 링(15)은 댐퍼판(9)과 적절한 가이드 링(8) 사이에서 중앙링부(25)와 베어링(20)을 축방향으로 충분히 파지할 수 있다.
여러가지 요소들은 물론 반대로 구성될 수 있는데, 금속 댐퍼판(9)은 금속 가이드 링(8)과 마찰 결합하는 클러치판에 부착되며 탄성 금속 트러스트 링(15)은다른 가이드 링(8)과 마찰결합을 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댐퍼판(9)은 허브(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이드 링(8)은 허브(3)에 고정된다.
토션 댐퍼는 하나의 가이드 링에 의해 지지되는 평형 리벳(23)을 갖는다.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토션 댐퍼의 두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동안, 스프링(6)은 압축되며, 클러치판(2)은 중앙링부(25)가 댐퍼판이나 연관된 가이드 링에 대해 마찰 접촉을 함에 따라, 탄성 트러스트 링이 댐퍼판이나 연관된 가이드 링에 대해 마찰 접촉을 한다. 이렇게 하여 실질적인 전체 마찰 효과가 얻어진다. 토션 댐퍼의 2개의 동축부재 사이의 변위는 연속적으로 감겨진 스프링(6)의 상호 결합이나 그 관련된 구멍(13, 14)의 원주방향 에지에 대한 스페이서(10)의 결합에 의해 제한된다.
물론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트러스트 링(15)은 그것의 외측부를 통해 적절한 가이드 링(8)에 회전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뒤 윈도우(11)의 방사상 내측에 윈도우(11)과 교호적으로 가이드 링(8)에 형성된 구멍(24)(제1도 및 제2도 참조)내에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핑거를 포함한다.
제7도에 도시되며 클러치판(2)의 경사부(27)에 형성된 홀은 앞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이러한 홀은 구멍(24)과 대향하는 관계로 있으며, 경사부(27)의 강성을 감소시킨다.
클러치판(2)는 물론 마찰 라이너를 갖지 않는 종류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토션 댐퍼는, 토션 댐퍼의 작용에 대항하여 서로에 대해 각운동을 하도록 장착된 2개의 질량부를 포함하는 이중 감쇠 플라이 휘일의 일부로 할 수 있다. 가이드 링(8)은 서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지지 디스크(2)는 구동축상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183388A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트러스트 링(15)을 생략하고, 예컨대 구멍(24)내에 결합될 수 있는 작동 핑거를 갖는 트러스트 링으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트러스트 링은 관련된 가이드 링(8)에 의해 회전되며 이 트러스트 링은 댐퍼판에 대해 직접 마찰 결합하고 주름진 링 또는 접시 링과 같은 적절히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의 작용을 받는다.
이러한 트러스트 링은 또한, 상기 프랑스 특허 공보 제 FR 2183388A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댐퍼판(9)의 윈도우(12, 13)의 내주부에 형성된 보조 구멍에 결합되는 핑거를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인 견지에서, 경사부(27)와 중앙링부(25)에 의해 클러치판(2)이 템퍼링된 후 클러치판(2)의 보수 작업에 대한 필요가 제거됨을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경사부(27)와 링부(25)를 갖지 않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소(27, 25)는 클러치판(2)이 매우 만족할만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Claims (8)

  1. 자동차용 클러치 마찰차의 토션 댐퍼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수단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수단의 작용에 대해 소정의 각변위 범위내에서 상대적으로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동축되게 설치된, 제 1 부재(1, 8) 및 제 2 부재(3, 9)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중 하나는 2개의 금속제 가이드 링(8)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부재는 축방향으로 상기 2개의 가이드 링사이에 배치된 금속제 댐퍼판(9)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링(8)과 상기 댐퍼판(9)으로 이루어진 요소들중 하나에는 지지 디스크(2)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2)는 그것의 주 평면내의 루트 영역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오프셋된 중앙부(25)를 규정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앙부(25)와 루트 영역(26)은 경사부(2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중앙부(25)는 순환(endless) 현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부(27)와 중앙부(25)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윈도우(30)를 규정하며, 이에 의해 상기 지지 디스크(2)는 상기 중아부(25)를 통해 상기 댐퍼판(9)과 상기 가이드 링(8)으로 이루어진 상기 요소들중 다른 하나와 마찰결합 하도록 내측으로 움푹들어간 접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중 하나는 허브(3)상에 허브(3)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중앙부(25)는 상기 허브(3)를 둘러싸는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판(9)은 상기 허브(3)상에 허브(3)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링(8)은 상기 가이드 링(8) 중 하나에 인접한 상기 지지 디스크(2)에 고정되며, L-형상의 단면을 갖는 환형 베어링(20)이 상기 허브(3)의 외주변과 상기 지지 디스크(2)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 링(8)의 내주변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개재되고, 상기 베어링(20)은 상기 지지 디스크(2)의 상기 중앙부(25)와 상기 연관 가이드 링(8)과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제한되며 상기 베어링(20)이 상기 지지 디스크(2)의 상기 중앙부(25) 및 상기 연관 가이드 링(8)에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경사부(27)는 상기 경사부(27)를 루트 영역(26)에 연결하는 절곡부(28)와 상기 경사부(27)를 상기 중앙링부(25)에 연결하는 다른 절곡부(29)에 의해 한정되며, 2개의 연속적인 상기 윈도우(30) 사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 영역(26)은 상기 윈도우(30)의 반경방향 치수의 일부에 걸쳐 연장하는 복수의 방사상 텅(31)으로 분할되며, 상기 경사부(27)는 상기 윈도우(30)의 반경방향 치수의 나머지 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수단은 상기 댐퍼의 상기 제 1부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댐퍼의 상기 제 2 부재에 대해 마찰력을 야기하도록 상기 댐퍼의 상기 제 1 부재에 고정된 탄성 트러스트 링(15) 형태의 단일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트러스트 링(15)은 편평한 횡단 영역(17)을 구비하고 또한 그 내주부에 조립체의 축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댐퍼의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편평한 횡단 영역(17)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탄성부(18)를 가지며, 상기 횡단 영역(17)의 외주부에서 상기 조립체의 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댐퍼의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횡단 영역(17) 사이에 배치되는 외측 탄성부(19)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탄성 트러스트 링이 상기 지지 디스크(2)의 중앙부(25)에 대해 파지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영역(17)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접시링 요소(18, 19)에 의해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링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디스크(2)의 상기 중앙부(25)는 상기 탄성 트러스트 링(15)의 상기 횡단 영역(17)과 평행하게 서로 대향된 관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 댐퍼.
KR1019930004276A 1992-03-19 1993-03-19 자동차용클러치마찰차의토션댐퍼 KR100301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203299A FR2688841B1 (fr) 1992-03-19 1992-03-19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friction d'embra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FR92.03299 1992-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442A KR930019442A (ko) 1993-10-18
KR100301973B1 true KR100301973B1 (ko) 2001-10-22

Family

ID=942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276A KR100301973B1 (ko) 1992-03-19 1993-03-19 자동차용클러치마찰차의토션댐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301973B1 (ko)
ES (1) ES2064265B1 (ko)
FR (1) FR2688841B1 (ko)
GB (1) GB2265687B (ko)
IT (1) IT12614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4505B1 (fr) * 1999-06-04 2001-07-13 Valeo Amortisseur de torsion pour embrayage a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0779492B1 (ko) * 2002-03-20 2007-11-2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토크센서
CN104662325B (zh) * 2012-10-01 2016-11-16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扭振减振器和用于扭振减振器的摩擦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7837A1 (de) * 1971-06-04 1972-12-14 Luk Lamellen & Kupplungsbau Kupplungsscheibe
FR2459914A1 (fr) * 1979-06-25 1981-01-16 Ferodo Sa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US4401201A (en) * 1980-12-22 1983-08-30 Borg-Warner Corporation Clutch driven plate assembly
FR2500557B1 (fr) * 1981-02-25 1985-06-14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560330B1 (fr) * 1984-02-23 1986-07-25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US4895237A (en) * 1987-03-13 1990-01-2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Component for use in the power train of a motor vehicle
FR2614080B1 (fr) * 1987-04-14 1992-04-1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a palier de cent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64265B1 (es) 1998-09-01
FR2688841A1 (fr) 1993-09-24
ES2064265R (ko) 1998-02-01
ITRM930170A0 (it) 1993-03-18
FR2688841B1 (fr) 1998-03-13
GB2265687A (en) 1993-10-06
ES2064265A2 (es) 1995-01-16
ITRM930170A1 (it) 1994-09-18
IT1261421B (it) 1996-05-23
GB2265687B (en) 1995-05-24
KR930019442A (ko) 1993-10-18
GB9305575D0 (en) 1993-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282B1 (ko) 자동차용댐핑플라이휠
US4613029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an automobile clutch friction disc
KR950013930B1 (ko) 자동차용 디스크형 마찰 클러치의 비틀림 감쇄 장치
KR880000417B1 (ko) 댐퍼 디스크(damper disc)
US4585428A (en) Damper disc
US5562542A (en) Torsion damper,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EP0510038B1 (en) Friction clutch driven plates
US5169357A (en) Torsion damp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lutch friction disc for a motor vehicle
KR100545416B1 (ko) 토션댐퍼
JPS639142B2 (ko)
US5505288A (en) Damper disc assembly
JPS61286617A (ja) ねじり減衰装置
KR20070026221A (ko) 마찰 클러치 및 사전 조립된 모듈
JPS5923129A (ja) 自動車の摩擦クラツチ板用ねじり振動止め組立体
JPH0141848B2 (ko)
US4690660A (en) Damper disc
KR100516572B1 (ko) 토션댐퍼
US5769721A (en) Torsion damper with a control ring,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friction clutch
US6062103A (en) Motor vehicle double damping flywheel, comprising improved means for friction damping of vibrations
EP0790433B1 (en) Plate member having radially extending support portions for a damper disc assembly
US4499981A (en) Damper disc with concentric springs including hourglass-shaped springs to reduce the effect of centrifugal forces
KR100301973B1 (ko) 자동차용클러치마찰차의토션댐퍼
US5857914A (e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outer radial portions of disk portions of a damper disk assembly
JPH0343494B2 (ko)
EP0588818B1 (en) Friction clutch driven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