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819B1 - 자기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819B1
KR100300819B1 KR1019970049534A KR19970049534A KR100300819B1 KR 100300819 B1 KR100300819 B1 KR 100300819B1 KR 1019970049534 A KR1019970049534 A KR 1019970049534A KR 19970049534 A KR19970049534 A KR 19970049534A KR 100300819 B1 KR100300819 B1 KR 10030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witch
cam gear
mode detection
rotar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093A (ko
Inventor
이치로 센다
히로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8002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11B33/124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of the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e.g. disk drive,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3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새시측에 지지된 구동모우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캠기어의 회전축부와, 이 회전캠기어의 회전위치로부터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를, 서로 삽입이탈이 자유자재하게 구성한다. 또 이들의 회전축부에, 서로 감합하여 회전캠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철상산부(볼록형상산부)와 홈(溝)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회전기판의 회로부분에 모드검출스위치의 출력단자를 결합시켜 부착하고,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와 새시측에 지지된 회전캠기어의 회전축부를 삽입시켜서 철상산부와 홈을 계합시킨다. 이에 의하여, 회전축부끼리의 삽입감합동작이 용이하게 또한 지장없이 행하여져서, 작업능률이 향상한다.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발명은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테이프카세트의 이동, 테이프인출포스트의 이동, 캡스턴용 핀치롤러의 이동 등을 복수의 모드(카세트에젝트모드, 카세트하강모드, 중간모드, 재생모드, 역재생모드, 빨리보내기, 되감기모드)에 연동시켜서 적정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메인캠기어를 단일의 구동모우터에 의하여 회전시키면서, 이 메인캠기어에 걸어맞추는 계합전달부품을 사이에 끼워 상기의 각 부품(테이프카세트를 이동시키는 부품, 테이프인출포스트를 이동시키는 부품, 캡스턴용 핀치롤러를 이동시키는 부품 등)을 구동시키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메인캠기어의 위치를, 절대치를 검출가능한 로타리엔코더로 이루어지는 모드검출스위치에서 검출하고, 이 모드검출스위치의 검출위치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우터의 제어를 행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모드검출스위치의 종래의 부착구조로서는, 도 5, 도 6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모드검출스위치(1)를 나사(2)로 새시(chassis)(3)에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새시(3)에는, 모드검출스위치(1)와 함께, 로딩모우터(4)와, 로딩모우터(4)의 웜기어(4a)에 그 제1기어부(5a)가 치합하는 웜호일기어(5)와, 이 웜호일기어(5)의 제2기어부(5b)에 그 제1기어부(6a)가 맞물린 메인캠기어(6)와, 메인캠기어(6)의 제2기어부(6b)에 그 제1기어부(7a)가 맞물린 서브캠기어(7)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캠기어(7)의 제2기어부(7b)에 모드검출스위치(1)의 기어부(1a)가 맞물려 있다.
모드검출스위치(1)는, 도 7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기어부(1a)의 회전축(1b)에 연결된 브러쉬(1c)가 도전패턴(1d) 위를 접접하면서 회전하는 구조로 되고,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단자(1e)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의 출력단자(1e)의 신호를 회전기판(8)측에 출력하기 위해, 회전기판(8)에 커넥터(9)가 미리 접속되어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넥터(9)에 모드검출스위치(1)의 출력단자(1e)가 접속되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모드검출스위치의 부착구조에 의하면, 모드검출스위치(1)를 회전기판(8)에 접속하기 위해, 코넥터(9)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 부분 만큼 부품수가 많아지고,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 커넥터(9)를 설치하지 않고, 모드검출스위치(1)의 출력단자(1e)와 회로기판(8)을 배선코드 등으로 접속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배선처리에 수고나 시간이 걸리고, 이에 의해서도, 작업시간의 증가 등에 의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본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발명의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새시측에 지지되어서 구동모우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캠기어의 회전축부와 이 회전캠기어의 회전위치로부터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를 서로 삽입이탈이 자유자재하게 구성하고, 이들의 회전축부에 서로 감합하여 회전캠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하고, 회로기판의 회로부분에 모드검출스위치의 출력단자를 결합시켜서 부착하고,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와 새시측에 지지된 회전캠기어의 회전축부를 삽입시켜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를 맞추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캠기어 근방개소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캠기어 및 모드검출스위치 근방개소의 일부절결정면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캠기어 및 모드검출스위치 근방개소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표시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모드검출스위치의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캠기어 근방개소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캠기어 및 모드검출스위치 근방개소의 일부절결 정면도.
도 7(a)는, 도 5에 표시된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모드검출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7(b)는, 도 5에 표시된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모드검출스위치의 스위치출력과 모드변환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전캠기어의 회전축부의 회전은 양쪽의 회전축부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사이에 끼워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에 양호하게 전달된다. 또, 회로기판의 회로부분에 모드검출스위치의 출력단자를 부착하기 위해, 코넥터를 설치하던가, 배선처리를 행하던가 하는 일이 불필요하게 되어서,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또, 본발명은, 상기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대측의 회전축부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의 감입을 안내하는 경사면 또는 만곡면을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부끼리 삽입할 때에, 회전축부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상대위치가 조금 틀려지고 있는 경우에도, 경사면 또는 만곡면에 의하여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끼워 넣어지도록 안내되어서, 회전축부끼리의 삽입감합동작이 용이하고 지장없이 행하여져서 작업능률이 향상한다.
또, 본발명은, 상기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부측 커버재에 위치결정용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움푹들어간 곳)를 형성하고, 회로기판측에 고정되는 기대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부측 커버재에 대향하는 개소의 일부에, 상기 회전축부측 커버재의 돌부 또는 오목부에 걸어막추는 오목부(움푹들어간 곳) 또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부끼리의 삽입감합작동을 행하기 전에 회전축부측 커버재와 기대와의 위치결정용의 돌부와 오목부를 미리 걸어맞춤으로써,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가 회전하여버려서 삽입감합동작에 지장을 가져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발명은, 상기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모드검출스위치에, 회로기판에 걸어맞추는 모드검출스위치를 지지하는 조부(爪部)와, 회로기판에 맞추어 모드검출스위치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돌기(突起)를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로기판의 회로부분에 모드검출스위치의 출력단자를 결합시킴에 앞서서, 미리, 모드검출스위치의 조부와 돌기를 회로기판에 맞추는 것에 의하여, 회로기판에 있어서의 정규의 위치에 위치결정되어서 지지된 상태로 모드검출스위치의 출력단자를 회로기판의 회로부분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 결합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모드검출스위치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부로 회로기판에 걸어맞추고 있기 때문에, 만일, 모드검출스위치 자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그 힘을 조부에서 받을 수가 있고, 상기 외력 때문에 모드검출스위치의 출력단자가 변형하던가, 출력단자 접합부분에서 단선이 생기던가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11)은 회전캠이고, 하방에 돌출하는 회전축부(11a)의 기단부분에는 태경홈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캠기어(11)는, 그 태경홈부(11b)가, 새시(12)에 형성된 통상부(12a)에 감입된 자세로, 회전이 자유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새시(12)에는 부착브래킷(27)이 걸려 있고, 이 부착브래킷(27)에 구동모우터로서의 로딩모우터(13)가 부착되어 있다.
로딩모우터(13)의 구동축에는 피니온(14)이 연결되고, 이 피니온(14)의 회전이 제1감속기어(15)와 제2감속기어(16)를 사이에 끼워 회전캠기어(11)에 전달된다. 즉, 제1감속기어(15) 및 제2감속기어(16)는 그들의 회전축이 새시(12)에 형성된 두 개의 구멍부와 부착브래킷(27)에 형성된 구멍부에 감입되어서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감속기어(15)의 대경기어부(15a)가 피니온(14)에 맞물리고, 제1감속기어(15)의 소경기어부(15b)가 제2감속기어(16)의 대경기어부(16a)에 치합하고, 제2감속기어(16)의 대경기어부(16b)가 회전캠기어(11)의 외주치부(11c)에 맞물리는 것에 의하여, 로딩모우터(13)의 회전이 감속되면서 회전캠기어(11)에 전달되어서, 회전캠기어(11)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캠기어(11)의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캠홈(11d)이 형성되고(상면부측만을 도면에 표시한다), 상면부의 캠홈(11d)에 일단부가 맞추어져 레버나 하면부의 캠홈에 맞추어지는 계합부품을 사이에 끼워, 테이프카세트의 이동기구, 테이프인출포스트의 이동기구, 캡스턴용 핀치롤러의 이동기구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3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는 새시(1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대략 중간부 부터 선단측은 세경(細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에 있어서의 중간부분에는, 볼록부로서의 철조산부(1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철조산부(11e)의 선단에는 선단이 약간 좁아지는 테이퍼면(11f)(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새시(12)의 하방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회전기판(21)이 배치되고, 이 회전기판(21)에 있어서의 회전캠기어(11)의 직하위치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위치에서 모드를 검출하는 모드검출스위치(22)가 부착되어 있다.
도 3, 도 4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모드검출스위치(22)는, 도전패턴(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이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대(23)와, 기대(23)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하부가 맞추어져 회전이 자유자재하게 지지된 회전축부(24)와, 이 회전축부(24)와 일체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면에 도전패턴에 접촉하는 도전브러쉬(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는 회전축부측 커버재(25)와, 기대(23)보다 하방에 돌출된 복수의 출력단자(26)로 구성되어 있다.
또, 기대(23)에는, 회전기판(21)에 걸어맞추는 모드검출스위치(22)를 지지하는 1쌍의 조부(23a)와, 회로기판(21)에 맞추어져 모드검출스위치(22)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돌기(23b)가 설치되어 있고, 회로기판(21)의 구멍부에 모드검출스위치(22)의 조부(23a)와 돌기(23b)를 끼워 넣어 위치결정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출력단자(26)를 회로기판(21)의 회로부분에 납땜하여 결합하고 있다.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는, 통형상으로 되어서 삽통공(24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삽통공(24a)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의 세경부분이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축부(24)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그 축심방향에 따라서 늘어나는 오목부로서의 홈(24b)이 형성되고,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의 세경부분을 삽입시킨 때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의 절조산부(11e)가 홈(24b)에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축부(24)의 홈(24b)이 개구되어 있는 개소도 포함해서 회전축부(24)의 선단부 내주에는 테이퍼면(24c)이 형성되어, 이 테이퍼면(24c)에 의하여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 및 철조산부(11e)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새시(12)에 지지된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가, 회전기판(21)에 고정된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에 삽입되고, 회전캠기어(11)의 철조산부(11e)가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의 홈(24b)에 감입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회전캠기어(11)의 회전이 모드검출스위치(2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4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측 커버재(25)에 있어서의 외주부 하면 근처 개소의 일부에는 박육부(25a)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박육부(25a)의 하면에는 회전축부(24)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돌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대(23)의 외주부 상면에는, 회전축부측 커버재(25)의 돌부(25b)가 걸어 맞추어질 수 있는 오목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모드검출스위치(22)를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짜맞출 때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새시(12)의 통상부(12a)로부터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를 돌출시키도록 하여 회전캠기어(11)를 새시(12)에 올려 놓은 후, 새시(12)에 로딩모우터(13), 피니온(14), 제1감속기어(15), 제2감속기어(16)를 짜맞추어서, 회전캠기어(11)를 새시(12)에 의하여 지지시킨다.
한편, 모드검출스위치(22)의 조부(23a)와 돌기(23b)를 회전기판(21)의 구멍부에 걸어맞추어 모드검출스위치(22)를 회전기판(21)에 지지시킨 후, 모드검출스위치(22)의 출력단자(26)를 회로기판(21)의 회로부분에 납땜결합한다. 이에 의하여, 코넥터나 배선코드를 사용하는 일없이 모드검출스위치(22)를 회로기판(21)에 접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모드검출스위치(22)가 부착된 회로기판(21)을 새시(12)에 대하여 짜맞추고,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를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에 삽입시킨다. 이때, 모드검출스위치(22)에 있어서, 회전축부측 커버재(25)의 돌부(25b)가 기대(23)의 오목부(23c)에 걸어맞추도록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를 회전시켜두는 것에 의하여, 회전축부(24)의 회전위치를 용이하게 위치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회전위치가 바뀌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전캠기어(11)도 소정의 회전위치에 위치결정하여 둔다. 이 회전축부(11a),(24)끼리의 삽입때, 회전캠기어(22)의 회전축부(11a)의 선단 내주에 테이퍼면(24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를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에 있어서의 철조산부(11e)에 테이퍼면(11f)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에 있어서의 홈(24b)에 테이퍼면(24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도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와의 회전위치가 조금 틀려있는 경우에도, 이들의 테이퍼면(11f),(24c)에서, 철조산부(11e)가 홈(24b)에 끼워들어가도록 안내되어, 철조산부(11e)가 홈(24b)에 양호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이렇게하여, 간단한 작업으로 능률적으로 모드검출스위치(22)를 짜맞출 수가 있다. 또, 회전캠기어(11)의 회전이 모드검출스위치에 전달되어, 회전캠기어(11)의 회전위치를 모드검출스위치(22)에 의하여,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모드검출스위치(22)에 있어서 회전축부측 커버재(25)의 돌부(25b)가 기대(23)의 오목부(23c)에 맞추어져서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가 위치결정되고 있으나, 회전축부측 커버재(25)의 돌부(25b)는 박육부(25a)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조금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회전축부측 커버재(25)의 돌부(25b)는 기대(23)의 오목부(23c)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동작에 지장을 가져오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가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에 끼워 넣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를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에 삽입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회전축부(11a),(24)에 형성한 오목부 및 볼록부로서, 홈(24b)과 철조산부(11e)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회전축부(11a),(24)의 요철관계를 역으로 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대측의 회전축부(11a),(24)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에의 끼워 들어가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경사면 대신에 만곡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5)

  1. 새시(chassis)(12)측에 지지된 구동모우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와, 이 회전캠기어(11)의 회전위치로부터 모드(mode)를 검출하는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가 서로 삽입이탈이 자유자재하게 구성되고;
    이들의 회전축부(11a,24)에 서로 끼워 맞추어져 회전캠기어(11)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회전캠기어의 회전축부의 볼록부와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의 오목부, 또는 회전캠기어의 회전축부의 오목부와 모드검출스위치의 회전축부의 볼록부가 형성되며;
    회로기판(21)의 회로부분에 모드검출스위치(22)의 출력단자가 결합되어 부착되고,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와 새시(12)측에 지지된 회전캠기어(11)의 회전축부(11a)가 삽입되어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맞춤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대측의 회전축부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감입을 안내하는 경사면 또는 만곡면이 형성된 자기기록 재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드검출스위치(22)의 회전축부(24)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축부측 커버재(25)에 위치결정용의 돌부(25b) 또는 오목부(23c)가 형성되고, 회로기판(21)측에 고정된 기대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부측 커버재(25)에 대향하는 개소의 일부에, 상기 회전축부측 커버재(25)의 돌부(25b) 또는 오목부(23c)에 걸어 맞추는 오목부 또는 돌부가 형성된 자기기록 재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드검출스위치(22)에, 회전기판(21)에 걸어맞추어져 모드검출스위치(22)를 지지하는 조부(爪部)와, 회로기판(21)에 걸어맞추어져 모드검출스위치(22)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돌기(突起)가 설치된 자기기록 재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모드검출스위치(22)에, 회전기판(21)에 걸어 맞추어져 모드검출스위치(22)를 지지하는 조부(爪部)와, 회로기판(21)에 걸어맞추어져 모드검출스위치(22)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돌기(突起)가 설치된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19970049534A 1996-09-30 1997-09-29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0300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792196A JP3544800B2 (ja) 1996-09-30 1996-09-30 磁気記録再生装置
JP96-257921 199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93A KR19980025093A (ko) 1998-07-06
KR100300819B1 true KR100300819B1 (ko) 2001-10-27

Family

ID=1731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534A KR100300819B1 (ko) 1996-09-30 1997-09-29 자기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52537A (ko)
JP (1) JP3544800B2 (ko)
KR (1) KR100300819B1 (ko)
CN (1) CN1136567C (ko)
MY (1) MY1223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9642A (ja) * 2002-03-28 200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モータの取付ベースへの取付構造
KR100485825B1 (ko) * 2002-11-05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모드 스위치 장치
CA2529911A1 (en) * 2003-06-24 2005-01-13 Integral Water Ventures L.L.C. Toilet flush tank water leakage control and water use reduction
EP2900111B1 (en) * 2012-09-25 2017-11-01 Crem International AB A brewer unit for a hot beverage dispens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845A (ja) * 1982-02-26 1983-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テ−プ装置
JPS58201213A (ja) * 1982-05-19 1983-1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テ−プレコ−ダ用パルススイツチ
KR920005244B1 (ko) * 1988-06-29 1992-06-29 주식회사 금성사 자기테이프 기록장치의 비접촉 회전식 모드 스위치장치
US4945195A (en) * 1989-03-20 1990-07-31 C & K Components, Inc. Rotary switch
JPH0865561A (ja) * 1994-08-22 1996-03-08 Nikon Corp 電子カメラの動作モード選択装置
KR200166617Y1 (ko) * 1995-03-29 2000-01-15 전주범 테이프 레코더의 릴회전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52537A (en) 1998-12-22
JPH10106080A (ja) 1998-04-24
JP3544800B2 (ja) 2004-07-21
CN1136567C (zh) 2004-01-28
MY122367A (en) 2006-04-29
CN1178983A (zh) 1998-04-15
KR19980025093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819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US5982575A (en) Tape loading apparatus with a pair of link devices having deformable bent portions
US5566036A (en) Cable connecting apparatus between audio control head and main printed circuit board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KR95000160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헤드드럼 청소장치
JP2548414Y2 (ja) リール駆動機構
KR10023802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릴및테이프카세트감지스위치이동장치
KR0152732B1 (ko) Vcr의 모드스위치 접속구조
JPH087390A (ja) モード検出スイッチ
JPH0436649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789838B2 (ja) ローディングポスト保持装置
JP3133715B2 (ja) 回転ヘッドシリンダ
JPH0810861Y2 (ja) 軸受け一体型モードスイッチ装置
US5307972A (en) Pinch roller pressing device in camera-integrated type VCR
JPH07230602A (ja) 回転シリンダ給電装置
JPH0328743B2 (ko)
JPH0516670Y2 (ko)
KR100460948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테이블 구동장치
KR013716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스위치 조립구조
KR860002750Y1 (ko)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의 릴 어셈블리 지지장치
KR200304409Y1 (ko)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KR94001167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헤드드럼 청소장치
JPS6044237U (ja) テ−プレコ−ダのリ−ル軸駆動装置
KR0116649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신호 전달장치
JPH0722141A (ja) スリップリング機構
EP1607957A2 (en) A tape d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