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409Y1 -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409Y1
KR200304409Y1 KR20-2002-0030822U KR20020030822U KR200304409Y1 KR 200304409 Y1 KR200304409 Y1 KR 200304409Y1 KR 20020030822 U KR20020030822 U KR 20020030822U KR 200304409 Y1 KR200304409 Y1 KR 200304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ower transmission
screw
tape recorder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도영
심재훈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0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Gears, Cam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시 데크상에서 이동하는 각종 구동기구들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데크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기어 각각을 데크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데크의 바닥면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며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축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을 가지는 지지돌기와, 회전축공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결합되어 동력전달기어의 회전구동시 그 회전중심이 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테이프 레코더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킴과 아울러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Gear installing device for tape recorder}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테이프 레코더의구동시 각종 구동기구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동력전달기어를 데크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기어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이 데크 메카니즘(Deck Mechanism)을 가지는 테이프 레코더는, 자기테이프를 데크 내부에 형성된 소정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면서 영상/음성데이터를 기록/재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상기 테이프 레코더 중 캠코더의 무빙데크(100;Moving deck)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100)는 메인샤시(110)와, 자기테이프(미도시)의 로딩/언로딩시 메인샤시(110)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서브샤시(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시 데크(100)의 내부에서 이동되거나 회전구동되는 구동기구들과, 그 구동기구들에 캡스턴모터(150) 및 로딩모터(14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구들은 폴베이스 조립체(171), 핀치롤러 조립체(173) 등과 같이 자기테이프의 로딩/언로딩시 데크(100) 상에서 이동하는 주행가이드장치(170)와, 테이프 카세트(미도시)의 테이프릴(미도시)을 회전구동시키는 릴테이블(16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데크(1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동력전달기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력전달기어들 중 특히, 메인기어(180)와 같이 메인샤시(110) 또는 서브샤시(12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어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기어장착장치에 의해 메인샤시(110) 또는 서브샤시(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상기 동력전달기어들 중 메인기어(180)를 일례로 들어 동력전달기어가 데크(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기어장착장치는 장착공(115)과, 스터드부재(20)와, 체결부재(10)를 포함한다.
장착공(115)은 메인기어(180)의 회전축공(185)에 대응되게 메인샤시(110)상에 형성된다. 스터드부재(20)는 메인기어(180)의 회전축공(185)을 관통하여 장착공(115)에 고정되며, 그 외주면이 회전축공(185)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체결부재(10)는 통상적으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사용되며, 스터드부재(20)의 나사공(25)에 결합되는 나사부(15)와, 그 나사부(15)의 단부외경이 확장되어 형성된 나사머리부(11)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메인기어(180)의 회전구동시 그 메인기어(180)의 수평방향유동은 메인기어(180)의 회전축공(185)과 접촉되는 스터드부재(20)의 외주면에 의해 규제되고, 메인기어(180)의 종방향유동은 메인샤시(110)의 바닥면과, 체결부재(10)의 나사머리부(11)의 하면이 규제한다. 이와 같은 기어장착장치는 메인기어(180) 이외에도 서브샤시(120) 및 메인샤시(110)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든 동력전달기어 각각의 설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에 의하면, 스터드부재(20)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품을 메인샤시(110) 또는 서브샤시(120)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고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키는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테이프 레코더의 소형경량화를 추구하는 최근에는 전술된 문제점의 해결이 절실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적은 수의 부품으로 저렴하고 간단하게 각종 동력전달기어들을 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의 캠코더의 무빙데크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메인기어의 장착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착장치가 적용된 데크의 일부를 도시해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메인기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데크 110 : 메인샤시
120 : 서브샤시 270 : 메인기어
275 : 플랜지부 310 : 체결부재
311 : 나사부 313 : 가이드부
315 : 나사머리부 320 : 지지돌기
325 : 나사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는, 동력전달기어가 탑재되도록 상기 데크의 바닥면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축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을 가지는 지지돌기와, 상기 회전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회전구동시 그 회전중심이 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장착시 상기 회전축공에 접촉되어 그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가 확장되어 형성된 나사머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적이 상기 나사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설명된 종래의 테이프 레코더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동력전달기어들 중 메인기어(270)의 경우를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어장착장치가 채용된 메인샤시(110')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이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기어장착장치는 지지돌기(320)와, 체결부재(3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돌기(320)는 메인기어(270)가 탑재되도록 메인샤시(110')의 바닥면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대략 중앙부에 메인기어(270)의 회전축공(275)에 대응되는 나사공(325)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기(320)는 메인샤시(110')의 해당부위를 인덴팅(indenting)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며, 이에 따라, 메인샤시(110')의 제조시와 동시에 그 형성이 가능하다.
체결부재(310)는 종래의 스크류(10;도 2 참조)와는 다르게 메인기어(270)의 상방유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메인기어(27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310)는 지지돌기(320)의 나사공(325)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311)와, 그 나사부(311)의 상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사부(311)와 나사공(325)의 결합시 메인기어(270)의 회전축공(275)에 삽입되는 가이드부(313)와, 그 가이드부(313)의 상단면의 단면적이 확장되어 형성된 나사머리부(315)를 포함하는 가이드 바디 스크류(Guide body screw)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사용된다.
한편, 메인기어(270)의 하면에는 그 메인기어(270)가 지지돌기(320)의 상부에 탑재될 때 지지돌기(320)가 삽입되는 플랜지부(278)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메인기어(270)의 장착시 메인샤시(110')와 메인기어(270)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그 접촉마찰력에 의해 메인기어(270)의 회전구동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메인기어(270)의 회전구동시 그 메인기어(270)의 수평방향유동 및 종방향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기어장착장치를 사용한 메인기어(270)의 장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기어(270)의 플랜지부(278)에 지지돌기(320)가 삽입되도록 메인기어(270)를 메인샤시(110') 상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메인기어(270)의 회전축공(275)에 체결부재(310)를 삽입하여 그 체결부재(310)의 나사부(311)를 지지돌기(320)의 나사공(325)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러한 나사부(311)와 나사공(325)의 나사결합은 가이드부(313)가 지지돌기(320)에 접촉될때 까지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체결부재(310)의 나사머리부(315)가 메인기어(270)의 상면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간격은 가이드부(313)의 길이에 따라 그 조정이 가능하며, 그 크기가 통상적으로 0.1㎜ 내외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3)의 횡단면적이 나사부(311)의 횡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부(313)가 나사부(311)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나사부(311)의 상단까지 나사공(325)에 나사결합된 이후에도 작업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체결부재(310)를 강제로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공(325)의 나사선이 가이드부(313)의 외주면을 파고드는 것을 억제하여 체결부재(310)의 나사머리부(315)와 메인기어(270)의 상면이 접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어장착장치에 의해 메인기어(270)가 장착되면, 메인기어(270)의 회동구동시, 그 메인기어(270)의 종방향유동은 나사머리부(315) 및 플랜지부(278)에 의해 규제되고, 그 수평방향유동은 플랜지부(278) 및 가이드부(313)에 의해 규제되어 메인기어(270)가 종래와 동일하게 회전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샤시(110')에 설치되는 메인기어(270)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꼭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메인샤시(110') 및 서브샤시(120)의 일부를 절곡시켜 지지돌기(320)를 형성시킬 수 있고, 그 지지돌기(320)상에 동력전달기어가 장착되는 경우라면 각각의 동력전달기어의 장착이 모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기어장착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같은 다른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라도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르면, 스터드부재와 같은 별도의 절삭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그 스터드부재보다 저렴한, 예컨대 가이드 바디 스크류를 사용하여 동력전달기어를 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적은 수의 저렴한 부품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 레코더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과 수정 및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시 데크상에서 이동하는 각종 구동기구들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데크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전달기어 각각을 상기 데크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기어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가 탑재되도록 상기 데크의 바닥면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축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을 가지는 지지돌기; 및
    상기 회전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회전구동시 그 회전중심이 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부;
    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장착시 상기 회전축공에 접촉되어 그 동력전달기어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가 확장되어 형성된 나사머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적이 상기 나사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KR20-2002-0030822U 2002-10-16 2002-10-16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KR200304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22U KR200304409Y1 (ko) 2002-10-16 2002-10-16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22U KR200304409Y1 (ko) 2002-10-16 2002-10-16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409Y1 true KR200304409Y1 (ko) 2003-02-19

Family

ID=4933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22U KR200304409Y1 (ko) 2002-10-16 2002-10-16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4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49491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200304409Y1 (ko) 테이프 레코더의 기어장착장치
US6556385B2 (en) Head sending mechanism, backlash eliminating mechanism therefor and actuator assembly
US5833109A (en) Pinch roller driving device for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KR10043637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아이들러 조립체
JPH0221064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0040104292A1 (en) Magnetic tape cartridge
US20030053259A1 (en) Head feeding mechanism
US7218469B2 (en) Reel driving apparatus an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the same
US7121492B2 (en) Reel cover of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276450B1 (ko) 헤드 드럼 조립체
KR10051386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로딩 모터 브래킷
JP3461223B2 (ja) 回転ドラム装置及び記録又は再生装置
US6634535B2 (en) Roller shaft
US7163172B2 (en) Reel driving device
KR10020741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레버 조립구조
JPH0319073Y2 (ko)
US5862027A (en) Cam gear driving apparatus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KR100465169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폴베이스 조립체 구동장치
GB2308221A (en) A pinch roller type tape drive assembly
US20050134998A1 (en) Pole base assembly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195191B2 (en) Oil spattering prevention apparatus for tape recorder
JP300685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10510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ロ−デイング機構
JPH08315464A (ja) 情報記録また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