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9049B1 -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49B1
KR100299049B1 KR1019980035337A KR19980035337A KR100299049B1 KR 100299049 B1 KR100299049 B1 KR 100299049B1 KR 1019980035337 A KR1019980035337 A KR 1019980035337A KR 19980035337 A KR19980035337 A KR 19980035337A KR 100299049 B1 KR100299049 B1 KR 10029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rush
suction
inlet
rotating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028A (ko
Inventor
도시나리 고바야시
겐지 아이다
가즈오 사이토
아키히코 자코
사다키 고데라
게이이치 사토
도시유키 후지요시
요시히로 모리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444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95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358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897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447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99101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2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하부면에 흡입구(吸入口)를 갖는 흡입기구본체에 심체(芯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블레이드(blade) 를 갖는 회전브러시를 회전이 자유롭게 수용할수있는 회전브러시 수용실을 형성한다.
이 회전브러시수용실에 상기한 흡입구와는 별도로 외부공기를 끌어넣는 개방구를 형성한다. 이 개방구로부터 끌어넣은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로 도입하는 흡기로를 설치하여 흡입기구본체를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에의해서 상기한 흡입기구본체를 청소하려는 피청소면에 놓고 회전브러시를 회전시켜서 피청소면을 두들겨 털고 동시에 융단을 청소할때에는 흡입기구에의 먼지의 흡착을 억제하여 흡입기구본체의 이동조작성을 양호하게하므로서 청소효율을 개선하였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용 흡입기구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의 연장관선 단부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마루바닥면 등을 청소하는데 매우 적당한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와 같은 종류의 전기청소기용 흡입기구로서는 흡입기구본체에 회전브러시를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하고, 회전브러시를 전동기 혹은 터빈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회전브러시를 전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전동기의 중량이 무겁고 이동조작의 불량과 동시에 구조가 복잡화되어 부품개수가 증대하여 조립작업성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회전브러시를 터빈에 의해 회전 구동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터빈은 흡입구로부터 청소기본체에의 흡입통로에 형성된 터빈실내에 배치되고 먼지와 함께 흡인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장기 사용에 의해 터빈내에 먼지가 가득차서 터빈이 양호하게 회전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평 9-28630호 공보 등에서 회전브러시의 양단에 터빈을 배치하고 이 터빈에 외부의 청정한 공기를 공급해서 터빈을 회전시켜 그 공기를 흡입구로부터 흡기한 공기와 함께 전기청소기에 흡인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브러시의 양단에 터빈을 배치해야 하고 부품개수가 증대함과 동시에 터빈을 회전시키기 위해 다량의 외부공기를 흡인하므로서 먼지흡인 특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도록 적은 외부공기에 의해 터빈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고 회전력이 약하고 융단 등의 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 양호하게 회전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터빈수납실의 하면에는 흡입구를 형성할 수가 없고 흡입기구본체의 가로 폭에 대해서 흡입구가 적게되고 먼지등의 흡인잔류물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적으로 회전브러시를 회전 구동시킬수 있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를 상면 방향으로부터 본 단 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회전브러시 부분의 측면단 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에 장착되는 회전브러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정지상태에 있는 때의 측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에 장착되는 회전브러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회전상태에 있는 때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흡입기구본체에 장착되는 회전브러시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흡입기구본체에 장착되는 회전브러시의 별도의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a)는 정지상태의 측면단면도, (b)는 회전상태에 있 을 때의 단면도, (c)는 블레이드(15)의 상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흡입기구본체에 장착되는 회전브러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를 측면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를 측면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를 측면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흡입기구본체의 하면도
도 17은 도 16의 흡입기구본체의 부분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흡입기구본체의 부분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흡입기구본체의 회전브러시의 설명도로서, (a)는 회전정지 시의 측면단면도, (b)는 회전시의 측면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단면도
도 25는 도 23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흡입기구본체의 전면도
도 28은 도 26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32는 도 31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단면도
도 33은 도 31의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34는 도 31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35는 도 31의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간이형 흡입기구본체의 설명도로서 (a)는 그 측면단면도, (b)는 D-D선에 따른 화살표시단면도, (c)는 E-E선에 따른 화살표시단면도
도 37의 (a)는 도 36의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도, (b)는 F화살표시의 전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간이형 흡입기구본체의 설명도로서, (a)는 그 측면단면도, (b)는 G-G선에 따른 화살표시단면도, (c)는 H-H선에 따른 화살표시단면도
도 39의 (a)는 도 38의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도, (b)는 I화살표시전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단면도
도 41은 도 40의 흡입기구본체의 뚜껑체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
도 42는 도 40의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부분단면도
도 43은 도 40의 흡입기구본체의 하면도
도 44는 도 40의 흡입기구본체의 상면도
도 45는 도 40의 흡입기구본체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입기구본체
2,3 상하케이스
5. 회전판
7. 흡입구
8. 회전브러시 수용실
9. 축지지부
10. 구획 리브(rib)
11. 회전브러시
12. 심체(芯體)
15,16. 블레이드(blade)
17. 포상체(布狀體)
19. 닦는털형체(刷毛形體)
20. 개방구부
21. 제1리브
22. 제2리브
23. 외부공기도입구
26. 흡기로
112. 회전축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용 흡입기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기구본체와 그 흡입기구본체내에 형성되는 회전브러시수납실과 상기한 흡입구에 면하게 한 상태로 회전브러시 수납실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고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브러시와 흡입기구본체에 형성되고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에 외부공기를 도입해서 회전브러시를 회전시키는 개방구부를 구비한것이다.
이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회전브러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터빈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에 개방구부로부터의 외부공기를 도입하므로서 융단등의 청소시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킬수가 있음과 동시에 개방구부로부터의 외부공기를 블레이드에 도입하므로서 회전브러시의 회전효율을 일층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개방구부로부터 외부공기를 끌어들이므로서 융단등의 청소시에 있어서 마루용 흡입기구가 피청소면에 빨려 붙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고 흡입기구를 이동조작 하기 쉽게 되고 청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는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기구본체와 그 흡입기구본체내에 형성되는 회전브러시수납실과 상기한 흡입구에 면하게 한 상태로 회전브러시수납실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고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브러시와 흡입기구본체에 형성되고 회전브러시보다 전방에 외부공기를 도입해서 회전브러시를 회전시키는 개방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전브러시를 구동시키기 위한 터빈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에 개방구부로부터의 외부공기를 도입하므로서 융단등의 청소시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회전브러시를 회전구동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개방구부로부터의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의 전방측의 블레이드로 도입하므로서 회전브러시의 회전효율을 일층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개방구부로부터 외부공기를 끌어 들이므로서 융단등의 청소시에 있어서 전기청소기용흡입구가 피청소면에 빨려붙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고 흡입기구의 이동 조작성을 양호하게 해서 청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이 경우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보다 전방으로 도입하고 다시 그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의 심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블레이드에 도입하는 흡기로를 설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므로서 흡기로로 부터 도입하는 공기의 피청소면에도 충돌해서 먼지를 털어 올려서 흡입하기 쉽게 함과 동시에 흡입기로로부터 도입한 공기는 모두 회전브러시의 하측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청소기본체에 흡인되고 회전브러시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킨다. 또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통기되기 어려운 난통기성재료로 형성하면 개방구부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는 블레이드로 확실하게 막아내게되어서 회전브러시의 회전력이 증대한다.
또 상기한 블레이드는 상기한 회전브러시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그 반대방향으로 만곡 혹은 경사시켜서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하므로서 회전브러시정지시에 상기한 블레이드는 흡입되는외부공기를 보다많이 받아서 회전브러시의 회전력을 증대시킬수가있다. 따라서 흡입기구를 피청소면에 놓은때에 회전브러시는 즉각 회전을 개시하게된다.
또 상기한 개방구부로부터 흡인되는외부공기는 이음관에 가까운 중앙부에 있어서 가장 유속이 빠르기때문에 개방구부를 흡입기구본체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하므로서 개방구부로부터 흡인되어서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에 충돌하는 외부공기의 유속을 증대시켜서 회전브러시의 회전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한 개방구로부터 회전브러시의 축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블레이드에 외부공기를 도입하는 흡기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므로서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뚫어 설치하는 개방구부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가 있고 흡입기구를 품위있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확실히 블레이드에 닿게 하고 회전브러시의 회전방향주위로 흘려서 회전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흡입기구본체의 전방부에 형성한 개방구부로부터 외부공기를 상기한 회전브러시의 심체 축 중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를 도입하는 안내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개방구부로부터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모두 회전브러시 아래쪽으로부터 블레이드에 충돌해서 회전방향에 따라 흡기구로부터의 공기와 함께 청소기본체에 흡인되고 회전브러시를 효율적으로 회전시켜서 청소효율이 개선된다.
또 상기한 개방구부는 예를들면 개방구부를 축 중심 방향으로 홈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블레이드를 회전브러시의 심체 길이방향으로 나선상으로 배치하는등으로 해서 상기한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를 교차하도록 배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므로서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에 항상 평균해서 외부공기를 닿게할 수가 있고 회전브러시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한 회전브러시수납실의 축방향 수직 단면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콤팩트(compact)한 흡입기구가 얻어진다.
또 상기한 회전브러시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피청소면의 상하이동에 맞추어서 회전브러시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므로서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 선단부분이 항상 피청소면에 접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회전브러시에 걸리는 부하가 적정치로 유지되어서 회전을 유지하고 먼지가 효율적으로 제거되어서 피청소면이 깨끗해진다. 또 회전브러시의 심체에 외부공기를 받아서 회전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날개부재를 형성하면 이 날개부재가 터빈날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외부공기를 받은 때의 회전브러시의 회전력이 증대하여 회전하기 쉽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입기구본체(1)는 상부케이스(2), 하부케이스(3)와 상기한 상부케이스(2)및 하부케이스(3)에 걸어맞춤 이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뚜껑체(4)와 상기한 상하부케이스(2,3)간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관(5) 그 회전관(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이음관(6)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한 흡입기구본체(1)의 저면에는 흡입구(7), 내부에는 회전브러시수납실(8)이 형성되어있다.
상기한 흡입기구본체(1)의 양측에는 축지지부(9)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차륜(27)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있다. 흡입기구본체(1)의 상하부케이스(2,3)로부터는 구획리브(10)가 수직으로 내려서 형성되고 상기한 축지지부(9)와 회전브러시수납실(8)을 구획하고 축지지부(9)를 거쳐서 회전브러시수납실(8)에 외부공기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고있다. 회전브러시수납실(8)내에는 흡입구(7)에 면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브러시(11)가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어있다. 회전브러시(11)는 심체(12)와 그 심체(12)의 원주면 길이방향에 따라 형성된 나선상의 홈(13)에 기초부(14)를 삽입해서 장착되는 블레이드(15,16)로 구성되어있다. 회전브러시(11)의 심체(12)의 홈(13)에 장착된 제1블레이드(15)나 제2블레이드(16)가 가로로 어긋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유지캡(111)이 고정되어있다. 또 그 회전축(112)의 선단부는 구획리브(10)에 부착된 축받이부(1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되어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제1블레이드(15)는 브러시체로 구성되고 다른 한 쌍의 제2블레이드(16)는 포상체(17)와 포상체(17)의 단말부에 성형된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기초부(18)로 이루어져서 기초부(18)는 상기한 심체(12)의 나선상홈(13)에 삽입장착되어 있다. 또 제2블레이드(16)는 상기한 포상체(17)의 단말부에 닦는털형체(19)가 박혀서 형성되고 기초부(18)가 나선상의 홈(13)에 삽입장착되므로서 포상체(17)의 단말부가 파도치듯이 변형됨과 동시에 전체가 끌려서 만곡된다.
이 제2블레이드(16)를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단부(상기 닦는털형체(19)가 향하도록 결국 바람을 받아서 회전하기 쉽도록 전체를 회전방향측으로 만곡시켜서 심체(12)에 장착시키고있다.
따라서 이 제2블레이드(16)는 회전브러시(11)의 회전정지상태 및 저속회전상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측으로 만곡해있으나 회전브러시(11)가 고속회전상태로 되면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상태가 된다.
또한 블레이드(15),(16)는 상기한 기립상태에 있어서의 제2블레이드(16)의 선단부의 회전궤적의 직경이 제1블레이드(15)의 선단부의 회전궤적의 직경보다 크게되도록 형성하고있다. 또 회전브러시(1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는 흡입기구본체(1)를 바닥면에 탑재시켜도 제1블레이드(15) 및 제2블레이드(16)는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하고있다. 상기한 뚜껑체(4)의 상면에는 상기한 회전브러시(11)의 제1블레이드(15) 및 제2블레이드(16)의 거의 전체폭에 걸쳐서 외부의 공기를 회전브러시수납실(8)내로 끌어넣기위한 개방구부(20)가 형성되어있다. 이 개방구부(20)로부터 끌어넣은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11)에 도입하기 위한 개방구부(20)의 전방에 제1리브(21), 개방구부(20)의 하면에 제2리브(22), 그 상부에 커버체(24)를 설치해서 흡기로(26)를 형성하고있다. 이 흡기로(26)에 있어서의 회전브러시수납실(8)내에의 외부공기의 도입구(23)는 제2블레이드(16)의 선단부의 회전궤적의 최전방위치보다 다소 중심측, 즉 심체(11)측에 들어간 위치에 심체(11)의 길이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내려서 형성되어있다.
커버체(24)는 뚜껑체(4)에 걸어맞춤부재(25)에 의해 장착되어서, 상기한 외부공기도입구(23)의 위쪽을 덮고 외부공기도입구(23)가 직접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고있다. 상기한 개방구부(20)로부터 외부공기도입구(23)에 걸쳐서 제1리브(21),제2리브(22) 및 커버체(24)에 의해 형성되는 흡기로(26)는 개방구부(20)로부터 외부공기도입구(23)로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게 구성되어있다.
상기한 축지지부(9)에는 흡입기구본체(1)의 외경과 대략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전면차륜(27)이 장착되어있다. 또 흡입기구본체(1)의 후면부에는 후면차륜(28)이 축지되어 있다. 상기한 흡입구(7)의 전후에는 석션키퍼(suction keeper)(29)가 배치되어있다. 이 석숀키퍼(29)는 연질고무 등의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흡입구(7)의 전후방으로부터의 외부공기의 흡입을 억제해서 흡입구(7)에 면하는 융단등으로부터의 흡입력을 증대시키도록 설치되어있다. 즉 흡입구(7)에 면하는 융단의 털속으로 깊이 들어간 먼지를 흡인하기 쉽게 하고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도시를 생략한 청소기본체에 가요성 호스 및 연장관을 거쳐서 이음관(6)을 접속하고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를 구동시키면 흡입구(7)로부터 공기가 흡인된다. 흡입구본체(1)를 피청소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흡입구(7)로부터의 흡입저항이 적기 때문에 거의 공기가 흡입구(7)로부터 흡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흡입구(7)가 크게 개방되어서 흡입구(7)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의 유속은 비교적 느리고 그 외에도 개방구부(20)로부터의 외부공기의 도입이 생기지 않기때문에 회전브러시(11)는 회전하는 일이 없다. 마루판재등의 마루면이나 다다미등을 청소하기 위해 흡입구본체(1)를 피청소면에 놓은 경우에는 피청소면과 흡입구(7)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것에 의해 거의 공기는 흡입구(7)로부터 흡입된다. 이때 흡입구(7)와 피청소면과의 사이를 통과하는 기류는 빠르고 그 기류는 회전브러시(11)의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에 충돌하고 회전브러시(11)를 도 2, 도 5 중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블레이드(16)는 회전브러시(11)의 회전정지상태나 저속회전상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 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16)는 흡입구(7)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를 받아서 회전브러시(11)는 효율적으로 회전한다.
회전브러시(11)가 고속회전하면 제2블레이드(16)가 원심력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한다. 이 제2블레이드(16)의 기립상태에 있어서는 제2블레이드(16)가 마루면이나 다다미에 접촉하여 닦기청소를 한다.
제2블레이드(16)의 선단부는 휘어지기 쉬운 포상체(17)에 닦는털형체(19)가 박혀있는 것이기 때문에 마루면이나 다다미에 접촉해도 마루면이나 다다미를 손상시키는일은 없다. 한편 융단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흡입구(7)가 피청소면에 의해 덮여지고 흡입구(7)로부터의 흡기저항이 증대하여 개방구부(20)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량이 증대한다. 외부공기도입구(23)는 흡입구(7)에 비교하여 개방구면적이 극히 적게 형성되어있으므로 외부공기도입구(23)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는 빠른 유속으로 회전브러시(11)의 제1블레이드(15) 및 제2블레이드(16)에 충돌하고 회전브러시(11)를 도 2, 도 5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리브(21)및 제2리브(22)의 단말부에 형성되는 외부공기도입구(23)는 제2블레이드(16)의 선단부의 회전궤적전방위치보다 회전브러시(11)의 회전중심측에 들어간 위치에 수직으로 내려서 형성되고 더구나 제2블레이드(16)의 선단부의 회전궤적근방까지 아래쪽으로 뻗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기도입구(23)로부터 흡인된 외부공기는 반드시 제1블레이드(15)나 제2블레이드(16)에 충돌해서 이음관(6)으로 흡인된다. 더구나 외부공기도입구(23)가 심체(18)에 평행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것에 대해 블레이드(15),(16)는 심체(18)에 나선상으로 고정되어있으므로 블레이드(15,16)는 회전브러시(11)의 회전각도의 상관하지 않고 항상 외부공기도입구(23)로부터의 외부공기를 받아서 회전브러시(11)를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회전구동 시킨다.
또 개방구부(20)로부터의 외부공기를 외부공기도입구(23)에 도입하는 흡기로(26)는 외부공기도입구(23)로 향해서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있으므로 통기로면적의 변화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외부공기도입구(23)로부터 제1블레이드(15) 및 제2블레이드(16)에 충돌하는 외부공기의 유속이 증대해서 회전브러시(11)의 회전효율이 향상된다.
또 개방구부(20)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므로서 흡입기구본체(1)가 피청소면에 달라 붙는 것을 억제하고 흡입기구본체(1)의 이동조작성이 향상된다. 융단등의 청소시에 있어서는 피청소면이 저항이 되어서 회전브러시(11)의 회전수가 줄어들지만 회전브러시(11)의 회전수가 줄어들어면 제2블레이드(16)는 원심력의 저하에 수반해서 점차로 정지시의 형상으로 복원하도록 회전방향 측으로 만곡되고 피청소면과의 접촉저항이 줄어들어서 회전수가 상승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회전브러시(11)의 회전수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2블레이드(16)는 포상체(17)에 닦는털형체(19)가 박혀서 구성되어있으므로 제2블레이드(16)를 휘어지기 쉽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닦는털형체(19)를 무게로해서 원심력에 의해 제2블레이드(16)를 기립시키기 쉽게 할 수가 있고 회전브러시(11)의 약간의 회전수변동에 의해서도 제2블레이드(16)를 기립 만곡시킬 수가 있고 회전브러시(11)의 회전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블레이드(16)를 포상체(17), 기초부(18)및 닦는털형체(19)에 의해 구성했으나 연질고무 등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일체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기로(26)를 가로로 긴 슬릿(slit)형상으로 형성했으나 뚜껑체(4)의 강도가 저하해서 융단등의 청소시에 있어서의 회전브러시수납실(8)이 부압이 되는 것에 수반해서 뚜껑체(4)가 회전브러시수납실(8)측으로 변형해서 제1리브(rib)(21) 및 제2리브(22)에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기로(26)를 복수로 분할해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회전브러시(11)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종의 변형구성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적 단단한 포체(31)의 일단을 굴곡시켜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키고 심체(12)에 형성한 나선홈(13)의 한쌍에 각각 삽입고정 시켜서 기초부(14)로 하고 그 타단부에 브러시체를 심어설치 해서 제1블레이드(15)를 구성한다. 한편 제2블레이드(16)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모양의 방법으로 형성하지만 만곡되는 일이 없도록 교정해서 심체(12)에 형성한 다른 한쌍의 나선홈(13)에 장착시켜서 회전브러시(1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블레이드(15)는 정지상태에서 바람을 받아서 회전하기 쉽도록 그 선단을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해서 경사지게 부착되어있다. 따라서 제1블레이드(15)는 회전브러시(11)의 회전에 수반해서 일어서고 회전속도가 상승하면 심체(12)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한다. 즉 도 8의 회전브러시의 경우는 제1블레이드(15)가 상기한 실시예의 제2블레이드(16)와 같은 모양으로 회전수변동에 따라 기립 경사져서 회전브러시(11)의 회전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게된다.
도 9는 회전브러시(11)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심체(12)는 알루미늄을 압출성형 해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홈(13)은 각각 양단간에서 약 90도 어긋나는 것과 같은 나선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이들 홈(13)에 삽입되는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도 같은모양의 나선상을 한 것으로 된다. 또 각 한쌍의 제1블레이드(15)와 제2블레이드(16)는 각각 동종의 것이 180도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시의 균형을 양호하게 해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제1블레이드(15)는 연질탄성을 갖는 비통기성 소재, 구체적으로는 연질폴리염화비닐(PVC)이나 연질고무(예를들면 우레탄고무)등을 사용해서 기초부(14)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또 도 9(c)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블레이드(15)의 블레이드양면의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뻗는 볼록한부(15a),(15b)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있다. 또한 이 제1블레이드(15)의 블레이드 선단까지의 길이는 털길이가 긴 융단등을 청소하는 때에 블레이드 선단부가 흡인되는 융단의 털끝에 달하는 정도로서 제2블레이드(16)보다도 짧게 형성되어있다. 한편 제2블레이드(16)는 가요성을 갖는 난통기성 소재로서 올이 미세한 포상체(17)와 이 포상체(17)의 일단부에 합성수지를 성형해서 형성되는 기초부(18)와 상기한 포상체(17)와 이 포상체(17)의 일단부에 합성수지를 성형해서 형성되는 기초부(18)와 포상체(17)의 타단부(선단부)에 박힌 닦는털형체(19)로 구성되어있다. 상기한 포상체(17)에 합성수지로 성형된 기초부(18)를 형성하므로서 포상체(17)의 단말부가 파도치는 형상으로 변형하고 또 포상체(17)의 선단부에 닦는털형체(19)를 박아 넣으므로서 포상체(17)가 당겨지는 것과 같이해서 한쪽으로 만곡된다. 이 제2블레이드(16)를 도 9(a)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도면중 반시계 방향)측으로 만곡되도록 심체(12)에 장착시키고있다.
제2블레이드(16)는 회전브러시(11)의 회전정지상태 및 저속회전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도면중 반시계방향)에 대해서 후방측으로 만곡되어 있으나 회전브러시(11)가 고속회전상태가 되면 회전에 수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상태가 되고 기립상태의 제2블레이드(16)의 선단부의 회전궤적의 직경이 제1블레이드(15)의 선단부의 회전궤적의 직경보다도 큰직경이 되어서 바닥재등의 마루면에도 접촉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 회전브러시(11)의 정지상태에 있어서는 흡입기구본체(1)를 마루면에 놓아도 제1블레이드(15) 및 제2블레이드(16)는 마루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있다.
이 예에서는 회전브러시(11)의 정지상태에서 제1블레이드(15)는 직립시키고 제2블레이드(16)를 만곡시킨 구성으로 했으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15)는 만곡시키고 제2블레이드(16)를 직립시킨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이들의 블레이드는 만곡시키는 대신에 블레이드를 심체에 경사지게 장착시켜도 된다. 또 제1블레이드(15)와 제2블레이드(16)의 양쪽을 만곡시켜도 되고 제1블레이드(15)와 제2블레이드(16)의 양쪽을 심체에 경사지게 장착시켜도 된다.
도 11,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로서 도면중 앞서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도 1로부터 도 7의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이 구성으로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점은 수납실(8)내의 회전브러시(11)에 도입된 외부공기를 효율적으로 충돌시키기 위해 외부공기를 끌어넣는 개방구부(20)를 회전브러시(11)의 전방의 흡입기구본체(1)의 케이스체에 형성한 점이다.
이 구성으로 흡입기구본체(1)를 피청소면으로 부터 떨어지게 한 경우 피청소면에 부착시킨 경우 피청소면이 마루면과 같은 평탄한면인 경우 피청소면이 융단과같이 변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각각의 회전브러시(11)의 동작상태는 앞서의 실시예와 같은 모양이다. 단 본 실시예의 경우는 외부공기를 끌어넣는 개방구부(20)를 회전브러시(11)의 전방에 형성한 것에 의해 그 개방구부로부터 끌어넣은 외부공기가 모두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흘러서 이음관(6)으로 흡인되는 결과 회전브러시(11)가 효율적으로 회전한다.
또 본 실시예의 흡입기구본체(1)는 회전브러시(11)의 블레이드선단부의 거의 회전궤적을 내경으로 하는 케이스커버를 설치한 것만의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성으로 되어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 13,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면중 앞서의 실시예에 나타낸 도 1로부터 도 7의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이 구성으로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점은 상부케이스본체(2)의 상부는 회전브러시(11)의 축중심위치근방으로부터 일단 내려가서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 회전브러시(11)의 전방에 느려지는 리브(32)가 형성되어 있는 점, 상기한 한단내린부를 덮도록 상부에 개방구부가 뚫어 설치된 커버체(24)가 부착되어 있는점, 상기한 리브(32)와 상부케이스전면벽(33)과의 사이에 외부공기의 도입구(23)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이 구성으로 회전브러시(11)가 회전하는 형태는 지금까지 기술한 실시예와 같은 모양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경우에는 도입구(23)로부터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빠른 유속으로 회전브러시(11)의 전방의 피청소면에 충돌하여 피청소면의 먼지를 튀어오르게 하고 또 블레이드(15),(16)에 충돌해서 회전브러시(11)를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음관(6)으로부터 청소기본체에 흡인된다.
이 구성에 의해 피청소면이 융단과 같이 흡입구(7)가 막혀있는 경우에도 개방구부(20), 도입구(23)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하므로서 흡입기구(1)가 피청소면에 빨려 붙는 것을 억제하고 흡입기구(1)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회전브러시(11)의 회전과 외부공기도입구(23)로부터 도입하는 공기의 피청소면에의 충돌에 의해 먼지제거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15,도 16,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면 중 앞서의 실시예에 나타낸 도 1내지 도 7의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도 15내지 도 17에 있어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기구본체(1)의 최전면에는 연질고무 등으로 형성된 범퍼(35)가 부설되어있고 이 범퍼(35)에 의해 청소시에 벽면이나 가구 등에 닿아도 벽면이나 가구 및 홉입기구본체(1)자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되어있다.
회전브러시(11)의 심체(12)의 양단부에 돌출하는 회전축(112)의 선단부를 축지하는 축받이부(113)는 구획리브(1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114)에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브러시(11)는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있다. 또 축받이부(113)의 상면에는 돌기(115)가 형성되고 그 위쪽에 위치하는 뚜껑체(4)의 이면에도 돌기(116)가 형성되어서 그들간에 코일용수철(117)이 장착되고 축받이부(113)가 아래쪽으로 가세되어있다. 또한 이 코일용수철(117)로서는 회전브러시(11)의 무게나 피청소면등을 고려해서 피청소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세력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축받이부(113)는 그 하부가 회전브러시(11)의 선단부의 회전반경에 가까운 길이 여기서는 제1블레이드(15)의 길이근방까지 돌출해서 그 하면에는 축받이부(113)가 슬라이드홈(114)의 최하위치까지 밀어 내려진 때에 피청소면과 맞닿는 맞닿는면(118)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도 17에서는 흡인되는 융단등의 도시하지 않은 털끝이 상기한 축받이부(113)의 맞닿는면(118)에 접해서 약간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있으나 바닥재등의 마루면의 청소시에는 맞닿는면 (118)이 마루면에 접하는 최하점의 위치까지 축받이부(113)가 내려가서 이때 짧은 쪽의 제1블레이드(15)도 마루면에 접해서 쓰는 청소나 닦는 청소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이 구성에서 회전브러시(11)가 회전하는 형태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행해진다. 이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에는 회전브러시(11)는 코일용수철(117)의 가세력에 의해 양단의 축받이부(113)의 하부의 맞닿는면(118)이 항상 피청소면에 접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그 결과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의 어느것도 항상 피청소면에 가볍게 접하는 최적위치로 유지된다.
즉 피청소면이 마루면의 경우에는 양단의 축받이부(113)는 하부의 맞닿는면(118)이 바닥재 등의 마루면에 접하는 최하위점까지 내려간 상태가 되고 회전브러시(11)의 회전에 수반해서 블레이드(15),(16)는 어느 것이나 마루면에 접촉해서 마루면의 쓰는청소나 닦는청소를 행할 수가 있다. 한편 피청소면이 융단등의 경우에는 양단의 축받이부(113)의 맞닿는면(118)이 융단등의 털의 깊이에 따른 위치까지 들어올려진상태로된다. 따라서 블레이드(15),(16)도 피청소면과 접촉상태가 유지되고 융단상의 실밥 떼어내기나 먼지의 두드려내는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한편 접촉저항(회전부하)이 커지게 되어서 잠금되는 상태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에서는 축받이부(113)를 코일용수철(117)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세하도록 했으므로 피청소면의 종류에 적절히 대응해서 회전브러시(11)를 피청소면의 종류에 맞는 높이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청소시의 이동이나 진동등으로 회전브러시(11)가 상하운동을 반복해서 달가닥 달가닥하는 음을 내든가 하는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또한 축받이부 가세수단은 상기와 같은 코일용수철(11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탄성부재라도 되고 또 부착구조도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중 도 15 내지 도 17의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도 18의 구성으로 상기한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점은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브러시(11)의 축받이부(113)를 코일용수철(117)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세하도록 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용수철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브러시(11)의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세하도록한 점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예의 코일용수철(117)등의 탄성부재가 불필요하게되고 돌기(115)나 (116)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성이나 취급이 간단하게 됨과 동시에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단 코일용수철(117)등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한 실시예의 작용효과 즉 피청소면의 종류에 적절히 대응해서 회전브러시(11)를 피청소면의 종류에 맞는 높이로 이동시키거나 청소시의 이동이나 진동 등으로 회전브러시(11)가 상하운동을 반복해서 달가닥 달가닥하는 음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으나 회전브러시(11)의 자중을 적당히 무겁게 하므로서 그들 불합리함을 절감시킬 수가 있다.
도 19,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 중 앞서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7의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이 구성으로 앞서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회전브러시(11)의 심체(12)를 단순히 블레이드(15),(16)를 고정설치 유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외부공기를 받아서 회전하기 쉽도록 블레이드(15),(16)를 유지하는 나선상의 4개의 홈(13)의 각홈간에 나선상의 회전날개(12b)를 돌출시킨 형상으로 한 점이다.
이 구성으로 흡입기구본체(1)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동작하고 같은 모양의 작용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이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에는 또 회전날개(12b)가 회전브러시(11)를 회전시키는 터빈날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회전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심체(12)에 회전날개(12b)를 돌출시키는 구성은 최초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라도 가능하며 혹은 각각 별개로 제조한 후에 심체(12)에 별개의 회전날개(12b)를 장착시키는 방법이라도 실현할 수 있다.
도 21,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중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앞서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이 구성에서 앞서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점은 상부케이스(2)의 선단부에 리브(41),(42)를 설치해서 구획된 개방구부(40)를 형성한점, 및 하부케이스(3)의 선단부의 개방구부(40)에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11)방향으로 도입하는 안내부(43)를 형성한 점이다. 이 구성으로 흡입기구본체(1)를 피청소면에 놓은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청소기본체의 전동기를 작동시키면 상부케이스(2)의 선단부에 형성된 개방구부(40)로부터 흡인된 외부공기는 하부케이스(3)의 선단부에 형성된 안내부(43)에 안내되어서 회전브러시(11)의 축중심보다 하부의 블레이드(15) 혹은 (16)에 충돌해서 회전브러시(11)를 회전시킨다. 이때 개방구부(40)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는 모두 회전브러시(11)보다 하부로 안내되는 결과 회전브러시(11)를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흡입기구본체(1)의 기타의 동작은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같은 모양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흡입기구본체로서는 각종의 구성을 취할 수가 있고 다음에 몇 가지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 내지 도 25는 그 1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면중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앞서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브러시(11)의 양단부에는 회전브러시(11)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하는 터빈(50)이 부착되어있다. 이 터빈(50)의 회전날개(51)는 후술하는 흡기로(56)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효율적으로 받아서 회전브러시(11)를 도 1중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형성되어있다.
한편 뚜껑체(4)의 상면에는 상기한 회전브러시(11)및 터빈(50)의 거의 길이방향 전체폭에 걸치는 슬릿형상의 개방구부(53)가 형성되어있다. 이 개방구부(53)의 전방측에는 개방구부(53)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15),(16) 및 터빈(50)의 회전날개(51)에 도입하는 안내부재를 구성하는 제1리브(54)가 형성되어있다. 이 제1리브(54)는 뚜껑체(4)의 이면측으로부터 블레이드(15),(16)의 선단부회전궤적의 최전방위치보다 약간 회전중심 측으로 수직으로 내려 형성되고 제2블레이드(16)의 선단부의 최대회전궤적과는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위치까지 뻗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개방구부(53)의 후방측에도 개방구부(53)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11)의 제1블레이드(15)나 제2블레이드(16) 및 터빈(50)의 회전날개(51)에 도입하는 안내부재를 구성하는 제2리브(55)가 형성되어있다. 이 제2리브(55)는 회전브러시(11)의 회전중심보다 전방측으로 수직으로 내려 형성되어있고 상기한 제1리브(54)와 제2리브(55)의 선단간에는 외부공기도입구(57)를 설치해서 흡기로(56)가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은 흡기로(56)가 형성된 뚜껑체(4)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양측에 설치된 손잡이(4a)를 외측으로 조작하므로서 꺼내는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뚜껑체(4)를 꺼내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브러시(11)나 터빈(50)등의 손질이 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상기한 축지부(9)에 장착되는 전면차륜(27)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흡입기구본체(1)의 외형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있다. 이에 대해 흡입기구본체(1)의 후면부에는 적은 직경의 후면차륜(28)이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도시하지 않은 청소기본체 가 가요성호스 및 연장관을 거쳐서 상술한 흡입기구본체(1)의 이음관(6)에 접속되고 청소기본체의 전동송풍기를 구동시키는 때의 흡입기구본체(1)를 피청소면으로 부터 들어올린 상태 바닥재 등의 마루면이나 다다미 등의 피청소면에 흡입기구본체(1)를 놓은 상태에 있어서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같은 모양이다.
한편 융단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때에는 흡입구(7)가 피청소면에 의해 덮여지고 흡입구(7)로부터의 흡기저항이 증대하여 뚜껑체상면의 흡기로(56)로부터 흡인되는 외부 공기량이 증대한다. 흡기로(56)의 외부공기도입구(57)는 흡기구(7)와 비교해서 개방구면적이 극히 적게 형성되어있으므로 외부공기도입구(57)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는 전술한 흡기구(7)로부터 보다도 빠른 유속으로 터빈(50)의 회전날개(51)나 회전브러시(11)의 제1블레이드(15) 및 제2블레이드(16)에 충돌해서 회전브러시(11)를 도 1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브러시(11)에는 구조적으로 흡기를 효율적으로 받아서 회전시키는 터빈(50)에 의한 회전력에 추가해서 회전브러시(11)자체의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에 의한 회전력이 추가되므로 융단등의 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때에도 양호한 회전력이 얻어진다.
또 외부공기도입구(57)의 전면측에 위치하는 제1리브(54)는 전술한 바와같이 블레이드(15),(16)의 선단부 회전궤적의 최전방위치보다 약간 회전중심 측으로 수직으로 내려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기도입구(57)로부터 흡인된 외부공기가 블레이드(15),(16)에 충돌하는 일이 없이 회전브러시(11)의 전방으로 돌아 가는 것을 방지해서 확실히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에 안내시킬 수가 있고 회전브러시(11)를 효율적으로 회전구동시킬 수가 있다.
같은 모양으로 외부공기도입구(57)의 후면측에 위치하는 제2리브(55)도 블레이드(15),(16)로 향해서 회전브러시(1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수직으로 내려서 형성되어있으므로 외부공기도입구(57)로부터 흡인된 외부공기가 블레이드(15),(16)에 충돌하는 일이 없이 회전브러시(11)의 위쪽을 통과해서 직접 회전관(5)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해서 확실히 블레이드(15),(16)에 안내할 수가 있고 회전브러시(11)를 효율적으로 회전구동시킬 수가 있다. 또 회전브러시수납실(8)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있으므로 상기한 제1리브(54)나 제2리브(55)에 안내되어서 블레이드(15),(16)에 충돌한 외부공기를 발산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시켜서 회전력을 계속 부여하므로 회전브러시(11)를 일층 효율적으로 회전구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흡기로(56)가 회전브러시(11)의 양단부에 설치된 터빈(50)의 상부까지 뻗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터빈(50)에 공급하는 외부공기를 끌어넣는 개방구부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구성이 간단하게되고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또 상기한 흡기로(56)는 흡입기구본체(1)의 상면에 개방구부(53)가 있기 때문에 벽등을 청소하는때 에 벽면등에 의해 흡기가 차단되는 일이 없고 회전브러시(11)의 블레이드(15),(16)에 항상 양호한 유속으로 회전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 부차적 효과로서 흡기로(56)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므로서 흡입기구본체(1)가 피청소면에 과도하게 빨려 붙는 것을 억제하고 흡입구본체(1)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회전브러시(11)의 근소한 회전수변동에 의해서도 제2블레이드(16)를 기립, 만곡시켜 회전브러시의 회전수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수있는점은 앞서의 실시예와 같은 모양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3 내지 도 25에 나타낸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뚜껑체(4)의 상면에 개방구부(53)를 형성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기구본체(1)의 전면측에 개방구부(58)를 형성하고있다. 구체적으로는 범퍼(35)의 하측에위치하는 하부케이스(3)의 전면에 회전브러시(11) 및 터빈(50)의 거의 길이방향 전체폭에 걸치는 슬릿형상의 개방구부(58)가 형성되어있다.
본실시예에서는 하부케이스(3)의 전면측을 두껍게 형성해서 전면개방구부(58)로부터 내측으로 상면벽(59)과 저면벽(60)이 거의 평행으로 뻗고 회전브러시수납실(8)내에 외부공기도입구(62)가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상면벽(59)과 저면벽(60)은 상기한 실시예의 제1리브(54)와 제2리브(55)에 대응하고 흡기로(61)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전방으로부터 회전브러시(11)의 회전중심보다 아래쪽의 블레이드(15,16)에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성하고있다.
흡입기구본체(1)를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흡기로(61)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가 융단등의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는 블레이드(15,16)에 충돌해서 접촉시에 회전방향으로 밀어내는 것과 같이 작용하므로 접촉에 의한 회전수의 감소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방구부(58)를 전면에 형성해도 이 개방구부(58)보다도 앞에 범퍼(35)를 달아내고 있으므로 벽등을 청소하는 때에 벽면등에 의해 흡기가 차단되는 일은 없다.
도 29 내지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상기한 2가지의 실시예에서는 개방구부(53) 혹은 (58)을 설치해서 흡기로(56) 또는 (61)을 형성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구부를 형성하는 일이 없이 흡입기구본체(1)의 전측하단과 피청소면과의 간극을 유효이용해서 이 간극을 다른 것 보다 넓히므로서 털이긴 융단 등을 청소하는 때에도 폐색되지 않는 흡기로(64)를 형성함과 동시에 흡입구(7)의 전단가장자리에 상기한 간극(흡기로 64)으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11)의 회전중심보다 아래쪽의 블레이드(15,16)에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구(7)의 전단가장자리(65)의 하단을 흡입구(7)의 후단가장자리보다도 짧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단말부를 회전브러시(11)의 회전중심보다 약간 하측으로 대향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케이스(3)의 전측하단(66)이 종래보다도 높게 되어서 털이 긴 융단 등을 청소하는 때에도 간극(흡기로 64)이 생김과 동시에 굴곡형성된 흡입구전단가장자리(42)에 의해 간극(흡기로64)으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11)의 회전중심보다 아래쪽의 블레이드(15),(16)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형성하고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은 회전브러시(11)가 면하는 흡입구(7)의 전단가장자리를 이용해서 형성하고있으므로 회전브러시(11)의 양단부에 부착된 터빈(50)용의 개방구부로서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뚜껑체(4)의 상면양단부에 다수의 축구멍으로된 개방구부(4b)를 형성하고있다. 이 개방구부(4b)의 이면측에는 그 개방구부(4b)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터빈(50)의 회전날개(51)방향(전방)으로 도입하는 안내부재가 형성되어있다(도시생략).
흡입기구본체(1)를 이와같이 구성해도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기로(64)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가 융단등의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있는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에 충돌해서 접촉시에 회전방향으로 밀어 내지도록 작용하므로 접촉에 의한 회전수의 저하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이 예에서는 흡입기구본체(1)에 개방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게되고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또 흡입기구본체(1)의 상면양단부에 터빈(50)전용의 개방구부(4b)를 형성하고있으므로 터빈(50)을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고 회전브러시(11)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31 내지 도 35는 본원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
뚜껑체(4)의 상면에 개방구부(53) 그 이면측의 개방구부(53)의 전후에 리브(54,55)와 그들 리브(54,55)에 의해 흡기로(56), 외부공기도입구(57)가 형성되어 있는 점은 앞서의 도 23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그 개방구부(53)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가로폭이 회전브러시(11)가 존재하는 폭에 한정되고 앞서의 실시예보다 짧게 되어 있다. 즉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터빈(50)용의 개방구부를 회전브러시(11)용으로 설치한 상면개방구부(53)나 전면개방구부(58)를 터빈부분까지 뻗어 설치해서 형성하거나 뚜껑체(4)의 상면양단부에 개방구부(4b)를 형성하고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면개방구부(53)를 터빈용의 개방구부(53)를 회전브러시(11)가 존재하는 폭에 한정하는 대신에 흡입기구본체(1)의 양단면측에 형성하고있다.
즉 전면차륜(27)에는 그 휠커버부분에 방사상의 개방구부(27a)가 형성되고(도 35참조), 흡입기구본체(1)의 축지지부(9)부분과 그 내측의 구획리브(10)에 각각 개방구부(9a),(10a)가 형성되어있다(도 32참조)
또 회전브러시(11)의 양단부에는 프로펠러형의 터빈(50a)이 부착되어있고 그 각회전날개(51a)는 상기한 각 개방구부(27a),(9a),(10a)를 거쳐서 흡인되는 외부공기에 대해서 도 33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있다. 흡입기구본체(1)를 이와같이 구성해도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터빈(50a)을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고 회전브러시(11)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36, 도 37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본원발명을 일반적인 마루용 흡입기구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쇼퍼등의 청소에 아주 적당한 간편형의 흡입기구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흡입기구본체(100)는 대략 원통형상의 주케이스(101)와 이 주케이스(10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이음관(106)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의 마루용흡입기구는 전후로 움직여서 청소하므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관(5)을 필요로 했으나 본 실시예의 흡입기구는 가로방향으로 움직여서 청소하므로 상기와 같은 회전관(5)은 불필요하게된다. 상기한 흡입기구본체(100)(주케이스101)의 저면에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회전브러시(11)가 면하는 흡입구(107)가 형성되고 주케이스(101)내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회전브러시수납실(108)이 형성되어있다. 상기한 회전브러시(11)는 회전브러시수납실(108)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어있고 그 타단부에는 회전브러시(11)와 동축으로 프로펠러팬형의 터빈(50a)이 부착되어있다. 한편 흡입기구본체(100)(주케이스 101)의 타단면에는 터빈(50a)에 공급하는 외부공기를 끌어넣는 개방구부(101a)가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한 터빈(50a)의 회전날개(51a)는 개방구부(101a)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에 대해서 도 36(c)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있다. 또 도 36(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브러시(11)의 블레이드(15,(6)도 상기한 개방구부(101a)나 흡입구(107)로부터 흡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터빈(50a)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되는 나선상 즉 블레이드(15,16)의 개방구부(101a)측이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전방으로 위치해서 제1블레이드(15)및 제2블레이드(16)의 이음관(106)측이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나선상으로 배치되어있다.
따라서 회전브러시(11)에는 구조적으로 흡기를 효율적으로 받아서 회전하는 터빈(50a)에 의한 회전력에 추가해서 회전브러시 자체의 블레이드(15),(16)에 의한 회전력이 추가되므로 쇼퍼등의 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때에도 양호한 회전력이 얻어진다. 도 38,도 39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도 36, 도 37에 나타낸 실시예의 것에 또 상면개방구(122)의 흡기로(126)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개방구(122)는 주케이스(101)의 최상면으로부터 회전브러시(11)의 거의 길이방향 전체폭에 걸쳐서 형성되어있다. 같은 모양으로 이 흡기로(126)의 양측에는 그 흡기로(126)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의 블레이드(15),(16)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로서의 제1리브(123)와 제2리브(124)가 형성되고 그 선단측에 토출구(125)가 형성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므로서 상기한 실시예의 것에 대해서 회전브러시(11)의 회전력을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40 내지 도 45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있다.
이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일반적인 마루용흡입기구에 적용한 실시예이며 상기한 도 23 내지 도 35에 나타낸 실시예의 것에 비교해서 회전브러시수납실(8a)이 대략 원통형상이 아닌점이나 전면차륜(27a)이 적은 직경으로 후면차륜(28a)이 큰 직경인 점등의 차이는 있지만 회전브러시(11)의 양단부에 터빈(50)이 설치되어있는 기본적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특징적인 점은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터빈(50)의 각 회전날개(51)에 제1블레이드(15a)가 부착되어있고 이에 수반해서 도4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브러시(11)가 면하는 흡입구(7a)도 터빈부분까지 뻗어설치되어있다. 상기한 제1블레이드(15a)는 회전브러시(11)에 구비된 제1블레이드(15)와 같이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제1블레이드(15a)는 회전날개(51)에 따라서 만곡되어서 부착되어있으나 터빈(50)이 고속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제1블레이드(15a)의 선단부분이 기립하고 융단등의 피청소면에 접해서 실밥이나 먼지를 제거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뚜껑체(4)의 상면에는 회전브러시(11)의 거의 길이방향 전체폭에 걸친 슬릿상의 개방구부(53a)가 형성되어있다. 이 개방구부(53a)의 전후에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11)의 회전방향의 블레이드(15),(16)에 안내하는 안내부재로서의 제1리브(54a)와 제2리브(55a)가 형성되고 그 선단측에 외부공기도입구(57a)가 형성되어서 흡기로(56a)가 구성되어있다. 또 뚜껑체(4)의 상면양단부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으로 된 개방구부(4b)를 형성하고있다. 이 개방구부(4b)의 이면측에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그 개방구부(4b)로부터 흡인되는 외부공기를 터빈(50)의 회전날개(51)방향(전방)으로 도입하는 안내부재(4c)가 형성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면 터빈(50)에의한 회전력이 회전브러시(11)자체의 블레이드(15),(16)에 의한 회전력이 추가되어서 융단등의 저항이 큰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때에도 양호한 회전력이 얻어짐과 동시에 흡입구(7a) 가 터빈부분까지 뻗어설치되어서 터빈에 구비된 제1블레이드(15a)에 의해 융단등의 실밥이나 먼지등을 제거할 수가 있으므로 터빈하면측도 실밥이나 먼지 등의 흡입잔류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터빈(50)의 각 회전날개(51)에 브러시체의 제1블레이드(15a)를 구비했으나 제2블레이드라도 되고 또 그들을 조합해서 구비해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브러시(11)에 제1블레이드(15)와 제2블레이드(16)를 구비했으나 어느것이라도 된다. 공기를 통하기 어려운 블레이드(16)만으로 구성하면 또 회전력을 증대시킬수가 있으나 공기를 통하기 쉬운 제1블레이드(15)만으로 구성해도 터빈이 있으므로 융단등의 피청소면이라도 충분한 회전력을 얻을 수가 있다.
이 회전브러시수용실에 상기한 흡입구와는 별도로 외부공기를 끌어넣는 개방구를 형성한다. 이 개방구로부터 끌어넣은 외부공기를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로 도입하는 흡기로를 설치하여 흡입기구본체를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 상기한 흡입기구본체를 청소하려는 피청소면에 놓고 회전브러시를 회전시켜서 피청소면을 두들겨 털고 동시에 융단을 청소할 때에는 흡입기구에의 먼지의 흡착을 억제하여 흡입기구본체의 이동조작성을 양호하게 하므로서 청소효율을 개선하였다.

Claims (9)

  1.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와, 이 흡입구본체내에 형성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상기 흡입구에 면한 상태로 회전브러시수납실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며,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용 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에, 상기 회전브러시에 외기를 안내하여 회전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2.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와, 이 흡입구본체내에 형성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상기 흡입구에 면한 상태로 회전브러시수납실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며,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용 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의 상기 회전브러시보다 전방에 형성되고 외기를 도입하여 회전브러시를 회전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서 외기를 상기회전브러시의 심체축심보다 전방에 위치한 블레이드에 도입하는 흡기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서 외기를 상기회전브러시의 심체축심보다 전방에 위치한 블레이드에 도입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상기 흡입구본체의 회전브러시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기를 받아서 상기 회전브러시를 회전시키는 팬을 상기회전브러시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전후에는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서, 석션키퍼를 형성하여, 흡입구전후로부터의 외기의 흡입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8.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와, 이 흡입구본체내에 형성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상기 흡입구에 면한 상태로 회전브러시수납실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며,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용 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 본체에,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에 외기를 안내하여 회전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브러시의 정지상태에서는 만곡 또는 경사져서 피청소면에 비접촉상태가 되고, 회전브러시의 회전시는 원심력에 의해 신장하여 피청소면에 접촉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9. 하면에 흡입구를 갖는 흡입구본체와, 이 흡입구본체내에 형성되는 회전브러시 수납실과, 상기 흡입구에 면한 상태로 회전브러시수납실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는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용 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는, 심체와, 심체의 길이방향에 따라 나선형으로 배설된 가요성을 가지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구본체에, 외부에서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개구부를 흡입구와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회전 브러시의 회전각도와 상관없이 항상 블레이드에 외기를 공급하도록 블레이드에 대하여 교차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용 흡입구.
KR1019980035337A 1997-08-29 1998-08-29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KR100299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444397A JP3819556B2 (ja) 1997-08-29 1997-08-29 床用吸込具
JP97-234443 1997-08-29
JP234443 1997-08-29
JP25358297A JPH1189763A (ja) 1997-09-18 1997-09-18 床用吸込具
JP253582 1997-09-18
JP97-253582 1997-09-18
JP97-264471 1997-09-29
JP26447197A JPH1199101A (ja) 1997-09-29 1997-09-29 床用吸込具
JP264471 199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028A KR19990024028A (ko) 1999-03-25
KR100299049B1 true KR100299049B1 (ko) 2001-10-27

Family

ID=2733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337A KR100299049B1 (ko) 1997-08-29 1998-08-29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22798A (ko)
EP (1) EP0898926A1 (ko)
KR (1) KR100299049B1 (ko)
CN (1) CN1212859A (ko)
AU (1) AU739639B2 (ko)
TW (1) TW41059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25B1 (ko) * 1999-12-0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US8412377B2 (en) 2000-01-24 2013-04-02 Irobot Corporation Obstacle following sensor scheme for a mobile robot
US8788092B2 (en) 2000-01-24 2014-07-22 Irobot Corporation Obstacle following sensor scheme for a mobile robot
BE1014393A3 (fr) 2000-03-13 2003-10-07 Stasiuk Joseph W Dispositifs d'ouverture de recipients par patte de traction gravee au laser et procedes de fabrication de ces dispositifs.
US6956348B2 (en) 2004-01-28 2005-10-18 Irobot Corporation Debris sensor for cleaning apparatus
US6883201B2 (en) 2002-01-03 2005-04-26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US6690134B1 (en) 2001-01-24 2004-02-10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obot localization and confinement
US7571511B2 (en) 2002-01-03 2009-08-1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US6588058B2 (en) * 2001-03-20 2003-07-08 Roger P. Vanderlinden Large area surface cleaning tool
US6584640B2 (en) * 2001-03-20 2003-07-01 Roger P. Vanderlinden Large area surface cleaning tool for suctioning both dust and debris
US7429843B2 (en) 2001-06-12 2008-09-30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e coverage for an autonomous robot
US8396592B2 (en) 2001-06-12 2013-03-12 Irobo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e coverage for an autonomous robot
US9128486B2 (en) 2002-01-24 2015-09-08 Irobot Corporation Navigational control system for a robotic device
KR100470559B1 (ko) * 2002-05-11 2005-03-0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US8428778B2 (en) 2002-09-13 2013-04-23 Irobot Corporation Navigational control system for a robotic device
US8386081B2 (en) 2002-09-13 2013-02-26 Irobot Corporation Navigational control system for a robotic device
US7332890B2 (en) 2004-01-21 2008-02-19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auto-dock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7720554B2 (en) 2004-03-29 2010-05-18 Evolution Robot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estimation using reflected light sources
ATE536577T1 (de) 2004-06-24 2011-12-15 Irobot Corp Fernbediente ablaufsteuerung und verfahren für eine autonome robotervorrichtung
US8972052B2 (en) 2004-07-07 2015-03-03 Irobot Corporation Celestial navig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US7706917B1 (en) 2004-07-07 2010-04-27 Irobot Corporation Celestial navig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robot
US7620476B2 (en) 2005-02-18 2009-11-17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dry cleaning
KR101240732B1 (ko) 2005-02-18 2013-03-07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습식 및 건식 청소를 위한 자동 표면 청소 로봇
US8392021B2 (en) 2005-02-18 2013-03-05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wet cleaning
US8930023B2 (en) 2009-11-06 2015-01-06 Irobot Corporation Localization by learning of wave-signal distributions
WO2007065034A1 (en) 2005-12-02 2007-06-07 Irobot Corporation Modular robot
US8374721B2 (en) 2005-12-02 2013-02-12 Irobot Corporation Robot system
US7441298B2 (en) 2005-12-02 2008-10-28 Irobot Corporation Coverage robot mobility
EP2816434A3 (en) 2005-12-02 2015-01-28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coverage robot
EP2065774B1 (en) 2005-12-02 2013-10-23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coverage robot navigation system
KR100704487B1 (ko) * 2006-03-15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의 흡입헤드
ES2693223T3 (es) 2006-05-19 2018-12-10 Irobot Corporation Eliminación de residuos de robots de limpieza
US8417383B2 (en) 2006-05-31 2013-04-09 Irobot Corporation Detecting robot stasis
US8549678B2 (en) 2007-05-07 2013-10-08 Safety Tubs Company, Llc Accelerated tub drain
EP2995235B1 (en) 2007-05-09 2021-08-11 iRobot Corporation Compact autonomous coverage robot
CN104127156B (zh) 2010-02-16 2017-01-11 艾罗伯特公司 真空吸尘器毛刷
CN102334948B (zh) * 2010-07-27 2016-03-02 Wallstar株式会社 打扫床上用品用吸嘴
GB2487920B (en) * 2011-02-08 2013-01-09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US20140182079A1 (en) * 2011-08-23 2014-07-03 Koninklijke Philips N.V.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comprising a brush and a squeegee element
CN104245244B (zh) 2012-09-21 2016-01-20 艾罗伯特公司 移动机器人上的接近度感测
FR2999410B1 (fr) * 2012-12-19 2015-11-06 Seb Sa Trappe pour suceur d'aspirateur
CN103239188A (zh) * 2013-05-26 2013-08-14 程卫国 吸尘器上的吸嘴
GB2530933B (en) * 2013-11-25 2017-06-07 Hoover Ltd Vacuum cleaner head
CN104224047A (zh) * 2014-09-10 2014-12-24 苏州市利飞特电器有限公司 吸尘地刷
US9903494B2 (en) 2015-05-20 2018-02-27 Jeffrey J. Prior Liquid container leveler
FR3062562B1 (fr) * 2017-02-08 2019-03-15 Seb S.A. Tete de succion d’aspirateur a trois positions
KR20190054517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N107700198B (zh) * 2017-11-20 2022-12-30 浙江嘉志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管状织物的缝合装置及方法
GB2569313B (en) 2017-12-12 2020-10-28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9204080A1 (en) * 2018-04-16 2019-10-24 Rexair Llc Vacuum cleaner with airflow directing openings and brushroll
CN114158977A (zh) * 2020-09-10 2022-03-11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器用地刷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1401A1 (en) * 1990-04-11 1991-10-16 William Hendrick Williams Improved cleaning apparatus
WO1996028081A1 (fr) * 1995-03-15 1996-09-19 Hitachi, Ltd. Aspirateur et suceur pour cet aspirateu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3925A (en) * 1919-12-02 Vacuum cleaning device
US1209721A (en) * 1913-11-15 1916-12-26 James Blaine Kirby Vacuum cleaning device.
US1209722A (en) * 1914-03-28 1916-12-26 James B Kirby Vacuum cleaning-machine.
BE366569A (ko) * 1928-12-31
US2331692A (en) * 1940-10-15 1943-10-12 Hilland G Hunt Vacuum cleaner
US2777152A (en) * 1951-07-20 1957-01-15 Victor M Cosentino Suction operated cleaning brush
US2993224A (en) * 1956-10-01 1961-07-25 Ivan C Child Brush type vacuum cleaner nozzle of air motor type
WO1996008192A1 (fr) * 1994-09-14 1996-03-21 Hitachi, Ltd. Aspirateur et procede de nettoyage
KR19980023805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51401A1 (en) * 1990-04-11 1991-10-16 William Hendrick Williams Improved cleaning apparatus
WO1996028081A1 (fr) * 1995-03-15 1996-09-19 Hitachi, Ltd. Aspirateur et suceur pour cet aspira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2859A (zh) 1999-04-07
KR19990024028A (ko) 1999-03-25
US6122798A (en) 2000-09-26
EP0898926A1 (en) 1999-03-03
TW410593U (en) 2000-11-01
AU739639B2 (en) 2001-10-18
AU8191298A (en) 199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049B1 (ko) 전기청소기용흡입기구
CN105592765B (zh) 用于真空吸尘器的清洁器头
JPH11192192A (ja) 床用吸込具
KR100306267B1 (ko) 마루용 흡입구
JP3819556B2 (ja) 床用吸込具
JP3819558B2 (ja) 床用吸込具
JPH11169324A (ja) 掃除機用吸込具
JPH11197071A (ja) 床用吸込具
JP3819565B2 (ja) 床用吸込具
JP4011058B2 (ja) 床用吸込具
JPH1189763A (ja) 床用吸込具
JPH1199101A (ja) 床用吸込具
JP3819559B2 (ja) 床用吸込具
JPH11178758A (ja) 床用吸込具
JPH11192193A (ja) 床用吸込具
JP2007185546A (ja) 床用吸込具
JPH11155775A (ja) 掃除機用吸込具
JPH11178759A (ja) 床用吸込具
JPH11239555A (ja) 掃除機用吸込具
KR100282221B1 (ko) 바닥용 흡입기구
JPH11197067A (ja) 床用吸込具
JP4010918B2 (ja) 床用吸込具
JPH11169325A (ja) 掃除機用吸込具
JPH1199103A (ja) 床用吸込具
JP2000041915A (ja) 掃除機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617

Effective date: 200504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902

Effective date: 200505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50325

Effective date: 200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