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233B1 -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233B1
KR100296233B1 KR1019990002709A KR19990002709A KR100296233B1 KR 100296233 B1 KR100296233 B1 KR 100296233B1 KR 1019990002709 A KR1019990002709 A KR 1019990002709A KR 19990002709 A KR19990002709 A KR 19990002709A KR 100296233 B1 KR100296233 B1 KR 10029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sediment
automatic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968A (ko
Inventor
강준
Original Assignee
강준
주식회사 제일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준, 주식회사 제일엔테크 filed Critical 강준
Priority to KR101999000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23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2Active control mechanisms with external energy, e.g. with solenoid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55Conveyor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이 공급되고 소정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 및 궤도안내구동기어가 고정 지지되게 대응 형상으로 이루어져 낙하되는 침사가 모아져 반출되게 소정의 호퍼가 구비된 기본프레임이 형성된 구동장치와, 상기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위치된 한 쌍의 무한궤도가 각각 연결되고, 그 궤도 사이에 다수개의 버킷이 상호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양측단이 한정된 범위까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침사수로 내부의 설정구간에서 퇴적된 침사가 담겨지도록 형성된 무한궤도인양장치와, 상기 침사수로 내측면의 설정위치에 각각 회동되게 결합된 다수개의 가이드스프라켓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침사수로의 내측 및 바닥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무한궤도 및 버킷이 상호 접촉되면서 설정범위 유동됨이 없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 이송가이드장치와, 상기 침사수로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두고, 그 내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수직선상의 종/횡측방향으로 각각 왕복 이동되게 형성되고 침사 인양장비의 가동전/후에 각각 작동되어 상기 침사수로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사퇴적량을 측정압입판이 수직으로 승하강되면,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측정수치가 검출되게 이루어진 침사량측정장치와, 상기 침사량측정장치에 의해 침사량이 측정되어 감지된 검출수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 및 침사량측정장치을 제어 단속하게 이루어진 중앙연산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장 내로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불순물질등이 퇴적된 침사의 침사퇴적량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측정장치가 자동으로 감지 및 설정수치에 따른 연산처리 후 검출된 정확한 테이터에 따라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침사물 인양제거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퇴적된 침사를 손쉽고 편리하게 인양 제거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장치의 효율적인 운전 및 제어가 최적의 상태로 가동되어 상기 장치 가동에 따른 운영비용이 절감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유입된 침사퇴적량을 검출하여 침사를 인양 제거하므로 설치된 장비가 매몰되는 사고의 발생을 원칙적으로 차단하여 추가적인 매몰방지수단이 불필요함은 물론 설정된 침사수로 내에 본 장치가 설치된 상태로 작동되므로 궤도컨베이어의 위치변화에 따른 잦은 파손 및 탈선 등의 고장 및 안전사고가 방지됨과 동시에 별도의 궤도안내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와류발생 없이 침사수로의 설정구간에 침사가 자연스럽게 퇴적되어 침사를 손쉽고 간단하게 인양 제거하여 침사의 인양효율성이 향상되며, 무인자동화 운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장비를 단순화 및 극소하고 필수구성의 장치를 추가하여 제작공정 및 기간을 단축하고 생산원가 및 시공비용등이 절감되며 정확한 테이터에 의한 효율적인 작동으로 운영비용 및 고장 발생을 극소화시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 이익 등이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Automatic lifting removal apparatus of deposit by Automatic detect system of deposit amount}
본 발명은 침사수로내에 퇴적된 침사물의 량을 자동으로 측정한 후 이를 인양하여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침사물 측정 및 인양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장 또는 하수 및 폐수처리장내의 유입수에 잔존하는 오염된 다량의 미세한 모래, 흙, 각종 불순물질등이 일정한 침사수로(沈沙水路)를 따라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침전(沈澱)된 침사(沈沙)를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침사량을 자동 측정한 다음 그 설정치의 침사량이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침사물이 인양 제거될 수 있게 한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또는 하수 및 폐수처리장등에 설치된 일정한 침사수로(沈沙水路)를 따라 계속적으로 유입되어 처리해야할 오수(汚水)내에는 오염된 각종 불순물이 미세한 알갱이 상태로 함유되어 함께 흐르면서 자체 비중에 의해 침사수로의 바닥면에 계속적으로 자연 낙하하여 가라앉게 되어 자연스럽게 침사물이 퇴적되었다.
이러한, 상기 침사수로에 퇴적되는 침사를 신속하게 인양 제거하여야만 처리장의 침사수로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의 흐름 원활하게 함은 물론 유입되는 침사에 의해 매몰되어 인양장치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정수장 또는 하수 및 폐수처리장등의 침사수로 바닥에 퇴적되어 침전된 침사를 주기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침사수로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각종 방법과 수단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침사물 인양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수장, 하수 및 폐수처리장의 일정한 침사수로 내에 퇴적된 침사물을 인양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의 침사물 인양제거장치가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9를 참고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서 주요 부재번호 1은 구동부이고, 2는 궤도컨베이어이며, 3은 궤도안내프레임이고, 4는 매몰방지구동부이며, 5는 인양물반출부를 각각 가리킨다.
상기 구동부(1)는 전원이 공급되고 소정의 신호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구동모터(1a), 이 구동모터(1a)의 동력이 전달되게 상호 연결된 안내체인기어(1b)와, 상기 구동모터(1a) 및 안내체인기어(1b)가 고정 지지되게 대응 형상으로 이루어져 침사수로 외부 설정위치에 설치되게 형성되고 설정지점 도달시에 낙하되는 침사가 모아져 반출되도록 소정의 호퍼(1c)가 형성된 기본프레임(1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궤도컨베이어(2)는 한 쌍의 체인 선단 및 후단이 각각 상호 맞대응되어 연결되고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무한궤도(2a)와, 상기 무한궤도(2a)들의 간격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연결되고 설정된 거리를 두고 침사가 수용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버킷(2b)과, 상기 무한궤도(2a)가 절곡되는 부분에 취부되어 무한궤도(2a)가 설정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원활하게 회동되어 안내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스프라켓(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궤도안내프레임(3)은 일정한 모양과 형상으로 이루어져 선/후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가변스프라켓(3a)이 취부되고, 이 가변스프라켓(3a)이 상기 무한궤도(2a)가 안내되게 상호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스프라켓(2c) 중에서 최전후방에 위치된 각각의 고정스프라켓(3b)을 축으로 상기 가변스프라켓(3a)이 일정각도 승하강 이동되게 소정의 링크아암(3c)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부 중간부분에 연결고리(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매몰방지구동부(4)는 전원 및 신호에 따라 정역회동이 가능한 인양모터(4a)와, 상기 인양모터(4a)와 상호 연결되어 함께 정역회동되게 형성된 귄취드럼(4b)과, 상기 권취드럼(4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궤도안내프레임(3)의 연결고리(3d)에 결합되어 권취드럼(4b)에 감기거나 풀어지게 되어 상기 궤도안내프레임(3)을 승하강시키게 형성된 와이어(4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양물반출부(5)는 호퍼(1c)에서 낙하되는 침사를 소정의 벨트 위에 계속적으로 받아 지정된 장소까지 수평 이송하여 침사를 설정지점에 연속적으로 집결되도록 배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가이드레일(6)은 한 쌍으로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선후단이 각각 만곡되고 하부에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브라켓트가 구비되어 침사수로(8)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지지되어 상기 무한궤도(2a) 및 버킷(2b)이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레일(7)은 한 쌍으로 침사수로 하부 바닥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어 상기 무한궤도(2a) 및 버킷(2b)이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유도함은 물론 침사수로(8)의 바닥면과 접촙됨이 없이 퇴적된 침사를 자연스럽게 담아 이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침사수로(8)의 침사물 인양제거장치는 설정된 침사수로(8)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 중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 즉, 모래, 흙, 불순물질등이 각 비중에 의해 침사수로(8) 바닥에 가라앉게 되어 침전된 침사를 주기적으로 인양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1)의 구동모터(1a)를 사용하여 궤도컨베이어(2)를 작동하게 되고, 이에 궤도컨베이어(2)에 설정간격을 두고 취부된 다수개의 침사인양용 버킷(2b)이 상/하부 가이드레일(6, 7) 및 다수의 가이드스프라켓(2c)을 따라 이송하게 되고, 이때 버킷(2b)은 침사수로(8)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의 진행방향과 정반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침사수로(8)의 하부 바닥면에 퇴적된 침사를 긁어오면서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킷(2b)속에 모아져 담겨진 침사는 설정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버킷(2b)이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면서 내부에 수거된 침사가 쏟아져 소정의 호퍼(1c)내에 반복적으로 계속 투입되어 버려진 침사가 호퍼(1c)에 예비 집결되고, 이를 다시 연속적으로 인양물반출부(5)의 벨트 위에 쏟아지면 상기 벨트가 지정된 장소까지 침사를 이송하여 배출되어 침사수로 내에 퇴적된 침사를 최종 집결시켜 제거된다.
또한, 침사수로(8)의 침사물 인양제거장치를 연속적인 운전을 하지 않고 소정의 타이머 등에 의한 간헐적으로 운전 사용할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침사수로(8)를 따라 유입되는 오수에 함유된 침사에 의해 매몰됨이 방지되도록 상기 매몰방지구동부(4)의 인양모터(4a)를 구동시키면 궤도안내프레임(3)과 상호 연결된 인양용 와이어(4c)가 정역회동되는 권취드럼(4b)에 귄취되고, 이에 고정스프라켓(3b)을 축으로 상기 궤도안내프레임(3)의 선/후단에 구비된 가변스프라켓(3a)과 고정 및 가변스프라켓(3b, 3a)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링크아암(3c)이 함께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궤도안내프레임(3)이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되어 위치 고정되게 작동되므로, 상기 궤도컨베이어(2) 및 궤도안내프레임(3)이 침사에 의해 매몰됨이 방지되게 작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침사물 인양제거장치는 먼저 처리장의 침사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오수(汚水)에 잔존하는 다량의 미세한 모래, 흙, 각종 불순물질등의 침사가 이동중 자연스럽게 낙하되어 퇴적되고, 이렇게 퇴적된 침사량의 상태를 정확한 검출에 따른 테이터를 파악하지 못하여,
첫째, 작업자의 임의선택에 따른 간접방법, 즉 오수의 유입량에 따른 일정시간 내지는 설정된 주기를 기준으로 정하여 상기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인양제거장치를 수시로 작동하여 침사수로 내에 퇴적된 침사를 반복적으로 인양 제거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장치의 효율적인 운전 및 제어가 최적의 상태로 가동되지 못하여 장치 가동에 따른 운영비용이 증가되는 결점이 있고,
둘째, 상기 장치가 작동되어 대략적인 침사의 인양 제거작업이 이루어진 경우, 매몰방지구동수단에 의해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궤도안내프레임이 계속적으로유입되는 침사에 의해 매몰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을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시켜 위치 고정되므로, 추가적인 작동수단이 요구됨과 동시에 궤도컨베이어의 위치변화에 따른 잦은 파손 및 탈선 등의 고장발생률이 높아지며 상승되어 위치된 프레임이 침사수로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고 상기 프레임과 이동되는 오수간의 접촉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어 침사수로의 설정구간에 침사가 퇴적되지 못하고 상기 장치의 작동범위를 벗어난 곳에 침사가 퇴적되어 침사의 인양효율성이 떨어지는 중대한 결점이 있으며,
셋째, 설치된 장치는 작업자가 항상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되므로, 무인자동화 시스템은 불가능하고 침사수로의 내/외부에 상호 조합 연결된 다수의 장치 및 설비로 이루어져 상기 장비전체의 대형화에 의해 침사수로도 함께 대응되는 규모로 시공되어 설비의 제작원가 및 시공비용등이 상승되고 장기간의 시공기간이 소요되며 잦은 고장 발생으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되어 경제적 손실이 가중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수장 또는 하수 및 폐수처리장의 침사수로를 따라 유입되는 오수에 잔존하는 오염된 다량의 미세한 모래, 흙, 각종 불순물질등이 설정된 침사수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침전된 침사를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침사량을 자동 측정한 다음 측정한 데이터에 따른 검출수치와 임의 설정수치를 상호 대비하여 비교 판단 후 설정수치이상의 침사량이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침사물이 인양되어 제거될 수 있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량 측정수단을 구비한 침사물 인양제거장치가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침사수로 내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침사량측정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표시된 ' A '부의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량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 측단면도,
도 6a는 도 5에 표시된 ' B '부의 개략 평면도,
도 6b는 도 6b에 표시된 B - 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량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 단면도,
도 8은 도 7에 표시된 C - C선 단면도,
도 9는 종래 침사물 인양제거장치가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동장치,110 : 구동모터
120 : 궤도안내구동기어,130 : 호퍼(hopper)
140 : 기본프레임,150 : 버킷카운터센서
160 : 텐션조절부,200 : 무한궤도인양장치
210 : 무한궤도(infinitytrack),220 : 버킷(bucket)
300 : 이송가이드장치,310 : 가이드스프라켓
320 : 가이드레일,400 : 침사량측정장치
410 : 횡측이송부,411 : 종동스프라켓
412 : 이송스크류,413 : 이송가이드레일
420 : 구동부,421 : 동력전달체인
422 : 구동스프라켓,430(440,450):측정검출부
430A(440A,450A):이동프레임,430B(450A):에어실린더
430C(440C,450C):침사접촉로드,430D(440D,450D):측정감지부
431(451):고정브라켓,432(444,453):스크류너트
433(445,454):이송롤러,434(455):작동로드
435 : 연결봉,436(448,456):측정압입판
441 : 피니언(pinion),442(452):구동체
443 : 랙기어가이드,446 : 랙기어연결봉
447(459):상/하접촉돌조,449a: 측정감지기
449b(459a):상부리미트스위치,449c(459b):하부리미트스위치
452a: 구동베벨기어,457 : 동력전달중간체
457a: 종동베벨기어,457b: 이송너트
458 : 로드가이드,458a: 오수유출공
600 : 침사수로,700 : 반출컨베이어장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이 공급되고 소정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게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 및 궤도안내구동기어가 고정 지지되게 대응 형상으로 이루어져 낙하되는 침사가 모아져 반출되게 소정의 호퍼가 구비된 기본프레임이 형성된 구동수단과, 상기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위치된 한 쌍의 무한궤도가 각각 연결되고, 그 궤도 사이에 다수개의 버킷이 상호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양측단이 한정된 범위까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침사수로 내부의 설정구간에서 퇴적된 침사가 담겨지도록 형성된 무한궤도인양수단과, 상기 침사수로 내측면의 설정위치에 각각 회동되게 결합된 다수개의 가이드스프라켓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침사수로의 내측 및 바닥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무한궤도 및 버킷이 상호 접촉되면서 설정범위 유동됨이 없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 이송가이드수단과, 상기 침사수로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두고, 그 내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수직선상의 종/횡측방향으로 각각 왕복 이동되게 형성되고 침사 인양장비의 가동전/후에 각각 작동되어 상기 침사수로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사퇴적량을 측정압입판이 수직으로 승하강되면,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측정수치가 검출되게 이루어진 침사량측정수단과, 상기 침사량측정수단에 의해 침사량이 측정되어 감지된 검출수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 및 침사량측정장치을 제어 단속하게 이루어진 중앙연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기본프레임의 하부면에 상기 무한궤도의 버킷이 유입 및 배출되게 대응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킷의 유입 횟수가 감지되어 검출되도록 버킷카운터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기본프레임의 하부면에 버킷의 배출되게 형성된 관통홀쪽 하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무한궤도의 인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텐션조절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사량측정수단은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침사수로의 내부 양측벽면에 회동되게 각각 연결되어 지지 고정되고 일단에 동력이 전달되게 종동스프라켓이 구비된 이송스크류가 형성되고, 이 이송스크류의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이송가이드레일이 위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벽면에 고정된 횡측이송부와, 상기 횡측이송부의 종동스프라켓에 동력이 전달되게 동력전달체인이 상호 연결된 구동스프라켓이 구비되어 전원 및 신호에 따라 정역회동되게 이루어진 구동부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동에 따라 좌/우 횡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부가 상호 연결되며 전원 및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침사수로의 바닥면까지 수직으로 승하강되어 왕복 이동되고,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퇴적된 침사량을 검출 가능하게 구비된 측정검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정검출부는 상부면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하단이 부착된 고정브라켓이 형성되고 하부면의 중간연부에 한 쌍의 스크류너트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연부에 한조의 이송롤러가 각각 형성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고정브라켓 상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왕복되게 작동로드가 형성된 에어실린더와, 상기 에어실린더의 작동로드 하단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그 일측면에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형성된 연결봉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측정압입판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이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게 형성된 침사접촉로드와, 상기 침사접촉로드의 연결봉 일측에 형성된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의 작동시 승하강되는 이동거리에 따라 표시눈금이 가변되는 것이 감지되어 검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측정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처리장 내로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불순물질등이 퇴적된 침사의 침사퇴적량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측정장치가 자동으로 감지 및 설정수치에 따른 연산처리 후 검출된 정확한 데이터에 따라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침사물 인양제거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퇴적된 침사를 손쉽고 편리하게 인양 제거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장치의 효율적인 운전 및 제어가 최적의 상태로 가동되어 상기 장치 가동에 따른 운영비용이 절감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유입된 침사퇴적량을 검출하여 침사를 인양 제거하므로 설치된 장비가 매몰되는 사고의 발생을 원칙적으로 차단하여 추가적인 매몰방지수단이 불필요함은 물론 설정된 침사수로 내에 본 장치가 설치된 상태로 작동되므로 궤도컨베이어의 위치변화에 따른 잦은 파손 및 탈선 등의 고장 및 안전사고가 방지됨과 동시에 별도의 궤도안내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와류발생 없이 침사수로의 설정구간에 침사가 자연스럽게 퇴적되어 침사를 손쉽고 간단하게 인양 제거하여 침사의 인양효율성이 향상되며, 무인자동화 운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장비를 단순화 및 극소하고 필수구성의 장치를 추가하여 제작공정 및 기간을 단축하고 생산원가 및 시공비용등이 절감되며 정확한 데이터에 의한 효율적인 작동으로 운영비용 및 고장 발생을 극소화시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 이익 등이 증대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침사량 측정수단을 구비한 침사물 인양제거장치가 침사수로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침사수로 내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침사량측정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표시된 ' A '부의 개략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량측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6a는 도 5에 표시된 ' B '부의 개략 평면도, 도 6b는 도 6b에 표시된 B - 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량측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표시된 C - C선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는 먼저, 전원이 공급되고 소정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구동모터(110)의 동력이 전달되게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120)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110) 및 궤도안내구동기어(120)가 고정 지지되게 대응 형상으로 이루어져 낙하되는 침사가 모아져 반출되게 소정의 호퍼(130)가 구비된 기본프레임(140)이 형성된 구동장치(100)와, 상기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120)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위치된 한 쌍의 무한궤도(210)가 각각 연결되고, 그 궤도 사이에 다수개의 버킷(220)이 상호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양측단이 한정된 범위까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침사수로(600) 내부의 설정구간에서 퇴적된 침사가 담겨지도록 형성된 무한궤도인양장치(200)와, 상기 침사수로(600) 내측면의 설정위치에 각각 회동되게 결합된 다수개의 가이드스프라켓(3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침사수로(600)의 내측 및 바닥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한 쌍의 가이드레일(320)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무한궤도(210) 및 버킷(220)이 상호 접촉되면서 설정범위 유동됨이 없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 이송가이드장치(300)와, 상기 침사수로(600)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두고, 그 내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수직선상의 종/횡측방향으로 각각 왕복 이동되게 형성되고 침사 인양장비의 가동전/후에 각각 작동되어 상기 침사수로(600)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사퇴적량을 측정압입판(436)이 수직으로 승하강되면,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측정수치가 검출되게 이루어진 침사량측정장치(400)와, 상기 침사량측정장치(400)에 의해 침사량이 측정되어 감지된 검출수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100) 및 침사량측정장치(400)를 제어 단속하게 이루어진 중앙연산처리장치(CPU:도시생략)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100)는 기본프레임(140)의 하부면에 상기 무한궤도(210)의 버킷(220)이 유입 및 배출되게 대응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킷(220)의 유입 횟수가 감지되어 검출되도록 버킷카운터센서(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100)는 기본프레임(140)의 하부면에 버킷(220)의 배출되게 형성된 관통홀쪽 하단에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무한궤도(210)의 인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텐션조절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사량측정장치(400)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침사수로(600)의 내부 양측벽면에 회동되게 각각 연결되어 지지 고정되고 일단에 동력이 전달되게 종동스프라켓(411)이 구비된 이송스크류(412)가 형성되고, 이 이송스크류(412)의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이송가이드레일(413)이 위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벽면에 고정된 횡측이송부(410)와, 상기 횡측이송부(410)의 종동스프라켓(411)에 동력이 전달되게 동력전달체인(421)이 상호 연결된 구동스프라켓(422)이 구비되어 전원 및 신호에 따라 정역회동되게 이루어진 구동부(420)와, 상기 이송스크류(412)의 회동에 따라 좌/우 횡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부가 상호 연결되며 전원 및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침사수로(600)의 바닥면까지 수직으로 승하강되어 왕복 이동되고,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퇴적된 침사량을 검출 가능하게 구비된 측정검출부(4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정검출부(430)는 상부면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하단이 부착된 고정브라켓(431)이 형성되고 하부면의 중간연부에 한 쌍의 스크류너트(432)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연부에 한 조의 이송롤러(433)가 각각 형성된 이동프레임(430A)과, 상기이동프레임(430A)의 고정브라켓(431) 상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왕복되게 작동로드(434)가 형성된 에어실린더(430B)와, 상기 에어실린더(430B)의 작동로드(434) 하단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그 일측면에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형성된 연결봉(435)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측정압입판(436)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작동로드(434)의 이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게 형성된 침사접촉로드(430C)와, 상기 침사접촉로드(430C)의 연결봉(435) 일측에 형성된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435)의 작동시 승하강되는 이동거리에 따라 표시눈금이 가변되는 것이 감지되어 검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측정감지부(430D)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 침사량측정장치(400)의 다른 측정검출부(440)는 상부면에 일측에 피니언(441)이 구비된 구동체(442)가 부착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랙기어가이드(443)가 형성되며 하부면의 중간연부에 한 쌍의 스크류너트(444)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연부에 한 조의 이송롤러(445)가 각각 형성된 이동프레임(440A)과, 상기 피니언(441)의 정역회동시 동력이 전달되게 일측면이 상호 연결되고, 그 타측면에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표시된 랙기어연결봉(446)이 형성되며 중간 및 상단부에 상/하접촉돌조(447)가 형성되고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측정압입판(448)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441)의 정역회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게 형성된 침사접촉로드(440C)와, 상기 침사접촉로드(440C)의 랙기어연결봉(446) 일측에 형성된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정확하게 감지되게 상기 랙기어가이드(443) 상단에 측정감지기(449a)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440A)의타측 상/하부면에 상기 상/하부리미트스위치(449b, 449c)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연결봉(446)의 작동시 상/하접촉돌조(447)에 의해 상기 구동체(442)의 구동을 제어 단속되게 구비되고 랙기어연결봉(446)의 승하강되는 이동거리에 따라 표시눈금이 가변되는 것이 감지되어 검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측정감지부(440D)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침사량측정장치(400)의 또 다른 측정검출부(450)는 상부면에 일측에 하단이 부착된 고정브라켓(451)이 형성되고 타측에 구동베벨기어(452a)가 구비된 구동체(452)가 형성되며 하부면의 중간연부에 한 쌍의 스크류너트(453)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연부에 한 조의 이송롤러(454)가 각각 형성된 이동프레임(450A)과, 상기 고정브라켓(451)의 상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왕복되게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형성된 작동로드(455)의 하단에 측정압입판(456)이 구비된 에어실린더(450B)와, 상기 구동체(452)의 동력이 전달되게 외측 중간에 종동베벨기어(457a)가 형성되고, 그 상/하면에 수직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내측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이송너트(457b)가 구비된 동력전달중간체(457)와, 상기 이송너트(457b)에 끼워져 동력이 전달되게 상호 결합되어 승하강되게 외측면에 대응 스크류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작동로드(455)가 삽입되어 승하강되게 형성된 침사접촉로드(450C)와, 상기 작동로드(455)의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정확하게 감지되게 상기 고정브라켓(451)의 내측 대응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455) 승하강시 이동거리가 감지되고 측정되어 검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측정감지부(450D)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침사접촉로드(450C)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상단 및 중간부 내부에 각각 로드가이드(458)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 승하강 작동시 유동됨이 방지되게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침사접촉로드(450C)는 상단 및 중간부 외측면에 상/하접촉돌조(459)가 형성되고, 이 상/하접촉돌조(459)의 간섭에 의해 온(ON)/오프(OFF)되어 상기 구동체(452)의 작동이 제어 단속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부리미트스위치(459a, 45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침사접촉로드(450C)는 내부에서 승하강되는 상기 작동로드(455)의 측정압입판(456)이 침사량 측정시 내부에 유입된 오수가 배출되어 측정이 정확하게 검출되도록 중간부분에 다수개의 오수유출공(45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처리장 내에 설정된 침사수로(600)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 중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 즉, 모래, 흙, 불순물질등이 각 비중에 의해 침사수로(600) 바닥에 가라앉게 되어 퇴적된다.
상기 퇴적된 침사량을 먼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침사량을 측정한 다음 검출수치와 설정수치를 상호 대비하여 비교 검토 후 설정수치 이상인 경우 구동장치(100)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침사를 인양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100)의 구동모터(110)를 사용하여 상기 무한궤도인양장치(200)의 무한궤도(210)가 작동되고, 이에 무한궤도(210)에 취부된 다수개의 침사인양용 버킷(220)이 상/하부에 위치된 가이드레일(320) 및 다수의 가이드스프라켓(310)의 안내하는 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반복 이송하게 되고, 이때 버킷(220)은 침사수로(600)를 따라 이동되는 오수의 진행방향과 정반대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바닥면에 퇴적된 침사를 긁어오면서 내부에 담아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상기 버킷(220)속에 담겨진 침사는 설정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버킷(220)이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면서 내부에 수거된 침사가 쏟아져 소정의 호퍼(130)내에 반복적으로 계속 투입되고 투입된 침사가 호퍼(130)에 예비 집결되고, 이를 다시 하부로 배출하여 소정의 반출컨베이어장치(700)의 벨트 위에 쏟아지면 상기 반출컨베이어장치(700)의 벨트가 지정된 장소까지 인양된 침사를 이송하여 배출되어 침사수로(600) 내에 퇴적된 침사가 최종 집결되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침사수로(600)에 퇴적된 침사가 자동적으로 인양 제거되며 침사량측정장치(400)는 침사수로(600)의 바닥면에 퇴적된 침사량을 측정 계산하여 무한궤도(210) 전체가 몇 회전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운전을 하게 되며, 또 운전이 종료되면 침사량측정장치(400)가 작동하여 계속 유입되는 침사퇴적량을 측정하게 되며 일정높이 이상 퇴적된 경우 상기 구동장치(100)가 작동되어 침사를 인양 제거하게 된다.
먼저, 침사량측정장치(400)의 측정검출부(430)는 침사수로(600)의 양측벽면을 이용하여 침사량측정장치(400) 전체 취부된 횡측이송부(410)가 소정의 브라켓등에 의해 지지 고정되며 측정포인트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폭 방향에 대한측정포인트를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전체가 정역회동에 따라 좌/우측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되고 이송거리는 구동부(420)의 회전수를 콘트롤 제어함으로써 측정포인트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무한궤도(210) 작동시는 침사량측정장치(400)가 간섭되지 않도록 침사접촉로드(430C)의 측정압입판(436)이 소정높이 상승되어 위치 고정되고 무한궤도(210) 정지시 침사량 측정작업을 다시 수행한다. 이때 에어실린더(430B)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측정압입판(436)이 퇴적된 침사의 상부면에 닿게 되고 계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설정된 압력이상시 상기 에어실린더(430B)가 정지되고 상기 측정감지부(430)에 의해 작동거리를 측정하여 검출된 측정값을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CPU)에 전송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갖고 연산처리 후 측정된 검출수치가 설정된 설정값이상 또는 이하시 그에 따라 구동장치(100)가 작동 내지는 정지된다.
또한, 다른 측정검출부(440)는 앞서 상기된 측정검출부(430)의 기본적인 작동은 같으나, 침사량의 측정압입판(448) 승하강시 구동체(442)의 피니언(441)의 정역회동에 의해 상기 침사접촉로드(440C)의 랙기어연결봉(446)이 수직 상/하 작동되고 상기 랙기어연결봉(446) 중간 및 상단부에 형성된 상/하접촉돌조(447)가 별도 취부된 상/하부리미트스위치(449b, 449c)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구동체(442)가 온(ON)/오프(OFF)되도록 콘트롤 제어 단속되게 작동된다.
상기 랙기어가이드(443) 상단에 구비된 측정감지기(449a)에 의해 상기 랙기어연결봉(446)의 이동거리를 측정감지부(440D)가 이를 감지하여 측정하고 검출된 측정값을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CPU)에 전송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갖고 연산처리후 측정된 검출수치가 설정된 설정값이상 또는 이하시 그에 따라 구동장치(100)가 작동 내지는 정지된다.
상기한, 또 다른 측정검출부(450)는 앞서 상기된 측정검출부(430, 440)들의 기본적인 작동은 같으나, 침사접촉로드(450C)를 먼저 구동체(452)의 구동베벨기어(452a)를 정역회동시키면 상호 연결된 종동베벨기어(457a)가 회동되고 일체로 형성된 이송너트(457b)가 함께 회전되어 내부에 상호 나사 결합된 침사접촉로드(450C)가 침사수로(600)의 바닥면까지 승하강되면 외측면 중간 및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하접촉돌조(459)가 대응 구비된 상/하부리미트스위치(459a, 459b)에 접촉되고, 이에 구동체(452)가 온(ON)/오프(OFF)되어 작동 내지는 정지된다.
상기 침사접촉로드(450C)가 하강되어 바닥면에 접촉되면 내부에 위치되어 상/하 작동되는 침사량 측정압입판(456)이 상기 에어실린더(450B)의 작동로드(455)에 의해 하강되고 설정압력 이상시 상기 에어실린더(450B)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작동로드(455)의 이동거리를 측정감지부(450D)가 이를 감지하여 측정하고 검출된 측정값을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CPU)에 전송되면 전송된 데이터를 갖고 연산처리 후 측정된 검출수치가 설정된 설정값이상 또는 이하시 그에 따라 구동장치(100)가 작동 내지는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장 내로 오수와 함께 유입되는 각종 불순물질등이 퇴적된 침사의 침사퇴적량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측정장치가 자동으로 감지 및 설정수치에 따른 연산처리 후 검출된 정확한 데이터에 따라침사수로(600) 내에 설치된 침사물 인양제거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퇴적된 침사를 손쉽고 편리하게 인양 제거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장치의 효율적인 운전 및 제어가 최적의 상태로 가동되어 상기 장치 가동에 따른 운영비용이 절감되고,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유입된 침사퇴적량을 검출하여 침사를 인양 제거하므로 설치된 장비가 매몰되는 사고의 발생을 원칙적으로 차단하여 추가적인 매몰방지수단이 불필요함은 물론 설정된 침사수로 내에 본 장치가 설치된 상태로 작동되므로 무한궤도(210)의 위치변화에 따른 잦은 파손 및 탈선 등의 고장 및 안전사고가 방지됨과 동시에 별도의 궤도안내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와류발생 없이 침사수로의 설정구간에 침사가 자연스럽게 퇴적되어 침사를 손쉽고 간단하게 인양 제거하여 침사의 인양효율성이 향상되며, 무인자동화 운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장비를 단순화 및 극소하고 필수 구성의 장치를 추가하여 제작공정 및 기간을 단축하고 생산원가 및 시공비용등이 절감되며 정확한 데이터에 의한 효율적인 작동으로 운영비용 및 고장 발생을 극소화시켜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 이익 등이 증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전원 및 신호입력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모터(110)의 동력이 전달되게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120)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110) 및 궤도안내구동기어(120)가 고정 지지되게 대응 형상으로 이루어져 낙하되는 침사가 모아져 반출되게 소정의 호퍼(130)가 구비된 기본프레임(140)이 형성된 구동장치(100)와;
    상기 한 쌍의 궤도안내구동기어(120)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위치된 한 쌍의 무한궤도(210)가 각각 연결되고, 그 궤도 사이에 다수개의 버킷(220)이 상호 일정한 거리를 두고 양측단이 한정된 범위까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침사수로(600) 내부의 설정구간에서 퇴적된 침사가 담겨지도록 형성된 무한궤도인양장치(200)와;
    상기 침사수로(600) 내측면의 설정위치에 각각 회동되게 결합된 다수개의 가이드스프라켓(3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침사수로(600)의 내측 및 바닥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 대칭되게 한 쌍의 가이드레일(320)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무한궤도(210) 및 버킷(220)이 상호 접촉되면서 설정범위 유동됨이 없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형성된 이송가이드장치(300)와;
    상기 침사수로(600)의 내부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두고, 그 내부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수직선상의 종/횡측방향으로 각각 왕복 이동되게 형성되고 침사 인양장비의 가동전/후에 각각 작동되어 상기 침사수로(600)의 바닥면에 침전된 침사퇴적량을 측정압입판(436)이 수직으로 승하강되면,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측정수치가 검출되게 이루어진 침사량측정장치(400)와;
    상기 침사량측정장치(400)에 의해 침사량이 측정되어 감지된 검출수치의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100) 및 침사량측정장치(400)를 제어 단속하게 이루어진 중앙연산처리장치(CP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00)는 기본프레임(140)의 하부면에 상기 무한궤도(210)의 버킷(220)이 유입 및 배출되게 대응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버킷(220)의 유입 횟수가 감지되어 검출되도록 버킷카운터센서(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량측정장치(400)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침사수로(600)의 내부 양측벽면에 회동되게 각각 연결되어 지지 고정되고 일단에 동력이 전달되게 종동스프라켓(411)이 구비된 이송스크류(412)가 형성되고, 이 이송스크류(412)의 양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이송가이드레일(413)이 위치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벽면에 고정된 횡측이송부(410)와,
    상기 횡측이송부(410)의 종동스프라켓(411)에 동력이 전달되게 동력전달체인(421)이 상호 연결된 구동스프라켓(422)이 구비되어 전원 및 신호에 따라 정역회동되게 이루어진 구동부(420)와,
    상기 이송스크류(412)의 회동에 따라 좌/우 횡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부가 상호 연결되며 전원 및 설정신호에 따라 상기 침사수로(600)의 바닥면까지 수직으로 승하강되어 왕복 이동되고,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퇴적된 침사량을 검출 가능하게 구비된 측정검출부(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검출부(430)는 상부면에 일측으로 편심되어 하단이 부착된 고정브라켓(431)이 형성되고 하부면의 중간연부에 한 쌍의 스크류너트(432)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연부에 한 조의 이송롤러(433)가 각각 형성된 이동프레임(430A)과,
    상기 이동프레임(430A)의 고정브라켓(431) 상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왕복되게 작동로드(434)가 형성된 에어실린더(430B)와,
    상기 에어실린더(430B)의 작동로드(434) 하단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그 일측면에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형성된 연결봉(435)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측정압입판(436)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작동로드(434)의 이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게 형성된 침사접촉로드(430C)와,
    상기 침사접촉로드(430C)의 연결봉(435) 일측에 형성된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정확하게 감지되는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봉(435)의 작동시 승하강되는 이동거리에 따라 표시눈금이 가변되는 것이 감지되어 검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측정감지부(43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검출부(440)는 상부면에 일측에 피니언(441)이 구비된 구동체(442)가 부착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랙기어가이드(443)가 형성되며 하부면의 중간연부에 한 쌍의 스크류너트(444)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연부에 한 조의 이송롤러(445)가 각각 형성된 이동프레임(440A)과,
    상기 피니언(441)의 정역회동시 동력이 전달되게 일측면이 상호 연결되고, 그 타측면에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표시된 랙기어연결봉(446)이 형성되며 중간 및 상단부에 상/하접촉돌조(447)가 형성되고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측정압입판(448)이 상호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441)의 정역회동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게 형성된 침사접촉로드(440C)와,
    상기 침사접촉로드(440C)의 랙기어연결봉(446) 일측에 형성된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정확하게 감지되게 상기 랙기어가이드(443) 상단에 측정감지기(449a)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프레임(440A)의 타측 상/하부면에 상기상/하부리미트스위치(449b, 449c)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랙기어연결봉(446)의 작동시 상/하접촉돌조(447)에 의해 상기 구동체(442)의 구동을 제어 단속되게 구비되고 랙기어연결봉(446)의 승하강되는 이동거리에 따라 표시눈금이 가변되는 것이 감지되어 검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측정감지부(44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검출부(450)는 상부면에 일측에 하단이 부착된 고정브라켓(451)이 형성되고 타측에 구동베벨기어(452a)가 구비된 구동체(452)가 형성되며 하부면의 중간연부에 한 쌍의 스크류너트(453)가 각각 형성되며 양측연부에 한 조의 이송롤러(454)가 각각 형성된 이동프레임(450A)과,
    상기 고정브라켓(451)의 상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왕복되게 구비되고, 그 일측면에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형성된 작동로드(455)의 하단에 측정압입판(456)이 구비된 에어실린더(450B)와,
    상기 구동체(452)의 동력이 전달되게 외측 중간에 종동베벨기어(457a)가 형성되고, 그 상/하면에 수직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내측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이송너트(457b)가 구비된 동력전달중간체(457)와,
    상기 이송너트(457b)에 끼워져 동력이 전달되게 상호 결합되어 승하강되게 외측면에 대응 스크류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작동로드(455)가 삽입되고, 그 하단에 형성된 측정압입판(456)이 침사량 측정시 내부에 유입된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측정이 정확하게 검출되도록 설정위치에 다수개의 오수유출공(458a)이 형성된 침사접촉로드(450C)와,
    상기 작동로드(455)의 측정수치의 표시눈금이 정확하게 감지되게 상기 고정브라켓(451)의 내측 대응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455) 승하강시 이동거리가 감지되고 측정되어 검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측정감지부(45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접촉로드(450C)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상단 및 중간부 내부에 각각 로드가이드(458)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 승하강 작동시 유동됨이 방지되게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접촉로드(450C)는 상단 및 중간부 외측면에 상/하접촉돌조(459)가 형성되고, 이 상/하접촉돌조(459)의 간섭에 의해 온(ON)/오프(OFF)되어 상기 구동체(452)의 작동이 제어 단속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부리미트스위치(459a, 459b)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KR1019990002709A 1999-01-28 1999-01-28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KR10029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709A KR100296233B1 (ko) 1999-01-28 1999-01-28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709A KR100296233B1 (ko) 1999-01-28 1999-01-28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968A KR20000051968A (ko) 2000-08-16
KR100296233B1 true KR100296233B1 (ko) 2001-07-03

Family

ID=1957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709A KR100296233B1 (ko) 1999-01-28 1999-01-28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68B1 (ko) * 2008-06-19 2009-02-09 한국전진기술(주) 침사지 준설장치 및 방법
KR101062134B1 (ko) 2010-10-29 2011-09-02 조창균 침사 인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40B1 (ko) * 2004-08-11 2006-05-10 효림산업주식회사 원형 침사 제거장치
KR100826575B1 (ko) * 2008-01-31 2008-04-3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하수처리시설의 침사제거장치
CN112196483A (zh) * 2020-09-08 2021-01-08 中国地质科学院勘探技术研究所 一种钻井用砂样自动收集装置
CN115518452A (zh) * 2022-10-29 2022-12-27 安徽省金寨县水电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应用于滤池过滤的自动启停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68B1 (ko) * 2008-06-19 2009-02-09 한국전진기술(주) 침사지 준설장치 및 방법
KR101062134B1 (ko) 2010-10-29 2011-09-02 조창균 침사 인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968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233B1 (ko)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KR100826575B1 (ko) 하수처리시설의 침사제거장치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1390257B1 (ko) 로터리 제진기
JP3969210B2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ーン歯飛び防止装置
KR100248974B1 (ko) 자동제어에 따른 슬러지 제거시 제어방법
JP5774418B2 (ja) ノッチチェーン式汚泥掻寄機
KR100277507B1 (ko) 체인 이상 정렬 및 파단 방지장치
US4709804A (en) Self-cleaning trash rack
KR101615922B1 (ko) 체인 탈선방지 기능을 가지는 슬러지 수집장치
KR102411599B1 (ko) 부력식 스컴 스키머
CN110981148A (zh) 一种泥水分离方法
KR100221959B1 (ko) 슬러지 제거장치
KR200376637Y1 (ko)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JP2004008926A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ーン破断検出装置
KR101428801B1 (ko) 슬러지 수집기
KR100474096B1 (ko) 헤어라인 형성장치
KR940003174Y1 (ko) 체인 후라이트식 오니 제거장치
KR100337593B1 (ko) 폐수처리에 있어 윈치와이어 구동에 의한 바 스크린장치
US4080291A (en) Cleaning device for sedimentation tank
CN205461276U (zh) 一种带式机械格栅机
KR102575450B1 (ko) 직진성 확보형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
KR102293342B1 (ko) 클리닝 카트를 갖는 침전조
KR19990041384U (ko)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
KR102344243B1 (ko) 침사 인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