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384U -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384U
KR19990041384U KR2019980008213U KR19980008213U KR19990041384U KR 19990041384 U KR19990041384 U KR 19990041384U KR 2019980008213 U KR2019980008213 U KR 2019980008213U KR 19980008213 U KR19980008213 U KR 19980008213U KR 19990041384 U KR19990041384 U KR 199900413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ire rope
sludge
tak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1088Y1 (ko
Inventor
여상철
김철
Original Assignee
여상철
이철환
주식회사 거성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철, 이철환, 주식회사 거성개발 filed Critical 여상철
Priority to KR2019980008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88Y1/ko

Links

Landscapes

  • Barrag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장 침전지의 오니제거기에 대한것으로서, 오니를 제거하는 수중대차의 견인을 종래 와이어로우프의 권선을 드럼에 원형의 여러홈을 나사식으로하여 권선을 하였으나, 이런방식에는 보통침전지의 길이가 길다보니 직경 및 폭이 매우 커지고, 와이어로프의 길이가 권선량 많큼 길어질뿐아니라 와이어로프의 진행궤적의 폭이 길다보니 와이어의 이탈,파손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개선하고 설비를 간소하기위하여 구동모타의 축 과 연결되는 부위에 단일단면의 개량회전롤러(40)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5)를 안착한후 다수의 스토퍼(71)와 다수의 회전롤러(72) 및 회전 가이드레일(91)을 사용하여 와이어로프의 입출력을 조정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 이때 입출력의 와이어로프(5)는 테이크업롤러(140), 수직전환롤러, 가이드롤러 등을 통해 안내되어 수중대차의 전후에 연결되어 오니를 제거하는 장치임.

Description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
본고안은 침전지의 오니제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처리또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지내에 설치되어 침전된 오니를 제거하여 주는 수중대차의 전후진 이동을 드럼을 사용하지않고 개량된 롤러 (쉬브)에 의해 수행되도록한 침전지의 오니제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니제거장치로는 대체로 구동견인에 따라 브릿지형,링크체인형,와이어로우프 견인형타입으로 구분 되는데 본 고안은 이들중에서 고속침강장치가 되어있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시설중량도 적게들어가는 로프견인형 오니제거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로우프견인형 제1도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전지 스라브⒧상에 ,수평으로 설치한 모타감속기(2)와 와이어드럼(3)은 체인(4)로 연결하고 드럼(3)에서 나오는 와이어 로프(5)들은 다수의 가이드로울러(6)들과 수중에 설치된 또다른 다수의 가이드 로울러(7)들을 거쳐 수중대차에 연결하여 이 수중대차를 전,후진 이동시켜 주도록 한 타입과 (나)에서와 같이 침전지 스라브(1') 상에 수평으로 설치한 모타감속기(2')의휘일(4")을 벨트(2a)로 연결하고 스프롯켓 휘일(2b)과 침전지내에 수평으로 설치한 와이어드럼 (3')의 축(3a)에 축착된 스프롯켓휘일(2c)은 체인(4')으로 연결하며 드럼(3)(3')에서 나오는 와이어 로프(5)(5')를 수중대차와 연결하여 이 수중대차를 전,후진 이동시켜 주도록 한 타입과 (다)에서와 같이 스라브(1")상에 수직으로 모타감속기(2")를 설치하고 침전지 수중하부에 수직드럼(3")과 직결축(4")으로 연결하여 이 수직드럼(3")에서 나오는 와이어로프(5")들은 다수의 가이드로울러(6")들을 통해 수중대차와 연결하여 이 수중대차를 전,후진 이동시켜 주도록 한 타입이다.
그러나 (가),(나),(다)의 타입들은 수중대차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이송을 드럼을 통하여 전,후진 시켜주기 때문에 스라브상부 또는 침전지 하부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또한 드럼에 침전지길이의 왕복거리 만큼의 와이어길이를 드럼에 감아주기 때문에 드럼의 크기 및 길이가 많이커져 비경제적 이었으며, 또한 와이어의 중심축이 드럼의 회전에 따라 변화가 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가 로울러를 이탈하던가 또는 마모되는 경우가 많아 견인기능이 저하되는 등 많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에는 드럼을 사용하므로 인하여 지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이로 인하여 드럼의 직경 및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므로 인하여 기기의 면적 및 부피가 상당히 커지는 문제와 와이어 감고푸는데에 따른 축의 이동에 편심이 발생되어 와이어 및 로라를 갉아먹는 경향이 많았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드럼을 사용하지 않고 개량된 회전로울러만 사용하였다. 상세하게는 제4도 (가)에서 보듯이 개량된회전로울러(40) 끝단상부(41)에는 와이어로프가 안착할수 있게 L형의 약간의 요철을 갖는 롤러를 장착하여 와이어로프(5)를 눌러주고 풀어줄수있게 분할판(70)에 다수의 스토퍼(71)와 다수의가이드 롤러(72)를 장착하고 또한 회전되는 스토퍼와 롤러의 상하운동을 조절할수 있게 상부에 회전롤러가 회전하는 상부부위에 가이드레일(91) 반원으로 상부판(90)에 장착하므로서 개량회전롤러(40)의 반은 원형가이드레일(91)에 따라서 (나)의 상태와 같이 다수의스토퍼(71,71'71")와 다수의롤러(72,72',72")에 의해 와이어로프(5)를 눌러서 같이돌고 그리고 다시 반회전후 제4도의 (다)에서와 같이 레일판이 없어 스토퍼(71)를 누르지 않게 돌아주므로 로프의 입출력단은 풀려지는 것으로 해결하게 되었으며 이때 다수의 회전롤러(72)는 자중에 하부로 내려가지 않게 도면4도의 (라)와 같이 상부판(90)에 회전롤러의 하부가 닿게 일부분 원호의 길이에 가이드판(92)을 부착한것이며 이때 레일이 부착된 상부판은 후레임과 연결된 다수의 볼트(93)에 의해 미세조정이 되어 적절한 응력으로 눌러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스토퍼(71)와 롤러(72)가 각각 상하운동이 되도록 분할핀의 바같쪽에 도면 (마)와같이 스토퍼,롤러의 수많큼 분할하여 적절하게 커팅(73)하여 각각의 분할핀의 끝단(76)이 상하 스프링 작용이 되도록하고 분할판(70)은 조립 및 장착이 용이하게 되도록 2개(70)(70')로 나누고 이를 연결하는 연결판(74)(74')으로 연결한다. 또 중앙에는 개량된 롤러(40)와 연결될수 있는 다수의 천공(75)을 뚫어 볼트로 연결한다. 이렇게 개량된 롤러로 와이어로프를 가동시키므로 해서 부피가 큰 스프롯켓,체인,드럼 등이 필요가 없어졌고 와이어로프의 중심선이 변하지않는 이점이 있어 기기구동에 안정상태를 유지하여 전에보다 제작경비나 설치면적이 적게들어 경제적이라 하겠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니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2도,제3도에서 침전지(10)의 바닥(10')에 침전된 오니를 배출로(12)측으로 긁어서 운반시켜 주고져할 때에는 제2도 에서와 같이 수중대차(100)가 침전지(10)의 후면내벽측(11)에 근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터(20)의 전원을 공급시켜 주면된다. 이렇게 하면 모터(20)의 구동력은 모타감속기(30)에 의해 변속되고 수직축(60)을통해 캬플링(50)을 거쳐 고안된 개량회전롤러(40)로 전달되어 이 고안된 개량회전롤러(40)를 정회전 시켜 주면 된다.
이와같이 개량회전롤러(40)가 정회전 하게되면 이롤러(40)와 접촉하고 있는 와이어로프(5)는 제4도의(가) 쪽과 같이 다수의 회전롤러(70)에 부착된 다수의스톱퍼(71)에 의해 와이어로프(5)를 눌러 같이 정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다수의 회전롤러(72)는 상부후레임(80) 과 눌러주는 간격을 조정하는 다수의 조정볼트(93)로 연결된 상부판(90)의 원형가이드레일(91)에 의해 도면 제4도의 (나) 와 같이 와이어로프(5)를 눌러 주면서 반회전을 하게되고 나머지 반회전은 도면제4도의 (다)와 같이 상부판(90)의 원형가이드레일(91)이 없으므로 그냥회전한다.
또한 모타(20)의 방향이 역회전이 되면 와이어로프(5)의 방향만 역회전 될뿐 기능은 위의열거된 사항과 똑같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고안된 개량회전롤러(40)가 정회전하게 되면 이롤러의 반은 와이어로프(5)를 눌러주며 회전하므로 와이어로프(5)는 수중대차(100)와 결속된 일단부축을 당기어서 개량회전롤러(40)에 들어가고, 반대로 역회전하게 되면 후면의 견인대에 결속된 타단부 축은 개량회전롤러(40)의 반대측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수중대차(100)가 레일(7)위를 전진하게 되면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오니는 스크레이퍼(103)에 의해 긁어져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수중대차(100)가 계속 전진되어 오니배출로(12)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그 상부측에 설치된 전복장치대(111)에 의해 스크레이퍼가 회전되어 오니를 배출로 측으로 낙하시켜 주게되며, 이때 모타는 상향부에 설치된 근접수윗지(120)에 의해 그 위치에 정지되어 있게된다.
다음에는 모타가 역구동 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개량회전롤러(40)가 역회전 하게되어 이번에는 외이어로프의 타단부측이 전방으로 당겨져서 개량된롤러(40) 롤러의 타단부로 들어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하여 수중대차(100)가 침전지의 후면내벽(11)에 근접하게 되면 회전되어 있던 스크레이퍼(103)는 전복장치대(120)에 의해 상향회동되어 원 위치로 되고, 이때 모타는 와이어로프가 같이 연결된 반대편지의 근접스윗지(120')에 의해 역구동이 정지되어 초기의 상태가 된다.
한편 이러한 작동 과정에서 수중대차(100)의 전후진 이동 및 정지위치 제어는 근접스윗지(120)에 의해 이루어 지고 정지후 가동시에는 엔코더(130)의 카운터의 감지작용에 의해 대차의 가동위치를 알려주게 된다. 즉 감속기 축이 회전되면 개량된롤러(40) 에 따라 타 롤러도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에 설치된 테이크엎 롤러(140)도 따라 회전하며 이 롤러의 축(141) 상부에 설치된 기어(142)를 통해 엔코더(130)의 축으로 전달되어 회전수를 감지하여 전기적신호를 통상의 수치제어용 콘트롤러에 보내주기 때문에 이 콘트롤러의 작용에 의해 롤러(140)의 회전에 따른 거리환산에 의한 대차의 운반된 거리 및 위치현황을 모니터링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카운터는 이롤러(140)의 외면에 착설된 카운터 핀(143)들의 이동숫자를 카운터하여 수치제어용 컨트롤러에 보내주므로 이 콘트롤러의 작용에 의해 수중대차의 정상운전상황을 감지하고 이에다라 정지 및 이동을 시켜줄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니제거장치는 스라브의 상면(13)에 모타감속기(20)(30)와 결속된 개량된롤러(40) 와 일체되게 설치하므로 종래의 드럼을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 로프(5)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수 있는 것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침전지(10)내 수중에도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오니의 침전효율을 높여주고 시설도 드럼으로 권선을 하지않으므로 와이어의 길이가 권선량많큼 짧아지므로 이에따른 경제적이점 및 체인 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마모,부식 등의 현상을 제거하고 , 개량된 롤러의 입출력의 와이어 로프는 항시 같은 궤적으로 입줄력되므로 종래 드럼시 와는 다르게 편심을 갖지 않고 항시 타롤러의 중심축에 동력전달이 되므로 롤러의 이탈 및 와이어로프의 파손되는 문제점 등이 방지된다.
또한 상부에 제5도 방향전환 테이크엎 롤러(140)는 장기간의 운전시 온도변화, 또는장기구동으로인한 피로등, 와이어로프(5)의 이완으로 긴장을 필요로할시 종래 수중에서 긴장장치를 하므로 이에따른 문제점, 예를 들어 지의 물을 빼고, 청소도 해야되는등 작업이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점등을 해소하여 주는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제1도는 본 종래의 제거장치의 예시도
제2도는 본고안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제3도는 동 평면도
제4도는 (가)는 본 고안 실시예중 구동장치부 롤러의 발취도.
(나),(다), 롤러구동시 끝단의 운전 실시예 발취도.
(라)는 롤러상부측 고정판 개략평면도
(마)는 롤러상부측 분할판 평면도
제5도는 긴장장치의 개략측면도 및 단면도
※ 도면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침전지 13 : 스라브 20 : 모 타
30 : 감속기 40 : 개량회전롤러
60 : 감속기축
70 : 분할판 71 : 스토퍼 72 : 회전롤러
80 : 상부후레임
90 : 고정판 91 : 가이드레일 92 : 가이드판
100 : 수중대차 110 : 전복장치
120 : 근접스윗지 130 : 엔코더
140 : 테이크업 롤러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Claims (2)

  1. 침전지 수중대차(100)의 전후 구동시 와이어로프(5)에 의한 권선을 와이어로프의 입력시 모타감속기와 축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개량된 롤러(40)의 끝단에 안착하게하고, 안착된 부분의 회전부분은 다수의 스토퍼(71)가 다수의 회전롤러(72)에의해 원형가이드레일(91)의 높이 고저에 따라 안내되어 눌러주고, 회전이 아닌 출력시는 각각의 스토퍼가 풀어주므로서 특징으로하며 여기서 나오는 와이어로프(5)의 일단부는 테이크업롤러(140),또는 수직방향롤러 및 수중부 가이드롤러에 의해 수중대차(100)의 전후에 연결되어지는 침전지의 오니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의 테이크엎 롤러(140)에는 엔코더(130)와 카운터(145)를 설치하며 엔코더축(131)에 축착된 기어(132)는 테이크업롤러(140)축(141)에 착설된 감지기어(142)에 맞물리게하여 회전수를 감지하게하고 카운터는 테이크업롤러(140)에 축착된 회전판(143)에 근접되게하여 카운터핀(144)들의 이동숫자를 카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니제거장치
KR2019980008213U 1998-05-19 1998-05-19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actuator for sludge eliminator of settling pond) KR200211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13U KR200211088Y1 (ko) 1998-05-19 1998-05-19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actuator for sludge eliminator of settling po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213U KR200211088Y1 (ko) 1998-05-19 1998-05-19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actuator for sludge eliminator of settling po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384U true KR19990041384U (ko) 1999-12-15
KR200211088Y1 KR200211088Y1 (ko) 2001-02-01

Family

ID=6951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213U KR200211088Y1 (ko) 1998-05-19 1998-05-19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actuator for sludge eliminator of settling po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01B1 (ko) *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01B1 (ko) *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088Y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2028841B1 (ko) 슬러지 제거장치
KR101909238B1 (ko) 슬러지 유도배출부를 가진 슬러지 수집 시스템
KR100578022B1 (ko) 공작 기계에 의해 발생되는 칩과 냉각제를 수용하고 분리하기 위한 장치(구동 장치)
JP3969210B2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ーン歯飛び防止装置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CN201572550U (zh) 环形吸泥刮渣机
KR19990041384U (ko)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
JP3988542B2 (ja) 汚泥掻寄機のチェーン破断検出装置
KR100296233B1 (ko) 침사량 자동 검출시스템에 의한 침사물 자동 인양제거장치
KR20040105180A (ko)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940003174Y1 (ko) 체인 후라이트식 오니 제거장치
KR200325920Y1 (ko) 정수장의 슬러지 제거 대차
KR950010094Y1 (ko) 침전지의 오니 제거장치
KR0185297B1 (ko) 로프견인식 오니제거대차 및 로프견인식 오니제거시스템
US2202475A (en) Grit collector
KR200325918Y1 (ko)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KR200190719Y1 (ko) 상ㆍ하수 처리장용 슬러지 수집기
KR100808608B1 (ko) 하수 처리기의 침전조 부유물 배출장치
KR200407296Y1 (ko) 원형조 슬러지 수집장치
CN214763526U (zh) 双灌联动式刮泥机
KR200178979Y1 (ko) 벨트 프레스형 탈수기의 여과포 세척장치
KR100311912B1 (ko) 침전조의 체인구동식 슬러지제거장치
KR940003173Y1 (ko) 체인 후라이트식 오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