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918Y1 -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918Y1
KR200325918Y1 KR20-2003-0017768U KR20030017768U KR200325918Y1 KR 200325918 Y1 KR200325918 Y1 KR 200325918Y1 KR 20030017768 U KR20030017768 U KR 20030017768U KR 200325918 Y1 KR200325918 Y1 KR 200325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ey
sludge
elastic member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 구 노
노병기
Original Assignee
연 구 노
노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 구 노, 노병기 filed Critical 연 구 노
Priority to KR20-2003-0017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이러한 본 고안은 감아걸기 전동방식으로 감지센서를 동작시켜 오동작을 방지하고, 그에 따르는 슬러지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며, 2개의 수로 각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호 엇갈려 교차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러지를 수로 일측의 호퍼에 모아 처리토록 하는 슬러지 처리 시스템으로써, 침전조의 호퍼 전방측 상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전방측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이 탄성부재를 당겨 감지센서를 동작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침전조의 대략 중앙부위에 설치된 안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하단이 편심되게 감아지는 풀리와; 하단의 감지부가 이동하는 대차에 접촉되면 상단의 회전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지봉과; 상기 풀리와 감지봉의 회전판을 감아걸기로 연결하여 회전판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을 풀리에 전달하여 와이어가 당겨지도록 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되는 감아걸기전동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는 검출장치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location detection system of the sludge removal system composed with rope pulling}
본 고안은 정수장의 슬러지를 모아 처리하는 로프견인식 시스템의 대차 위치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아걸기 전동방식으로 구성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안정적인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대차위치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이 좋은 지하수나, 용출수는 염소 소독만으로 급수하는 경우가 있으나, 하천이나 호소를 수원으로 하는 수도에서는 탁도와 세균류 등의 유해 불순물을 제거하지 아니하면 음용수로써 사용할 수 없어 반드시 정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정화과정에서 흔히 오니(汚泥)라고도 하는 슬러지가 발생한다. 이러한 슬러지는 혼화지에서 약품을 혼합시키면 알루미늄의 수화물이 생겨 수중의 점토입자와, 세균 등이 상호 운동으로 결합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탁질과 수산화알루미늄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수에 따라서는 유기물을 20∼30% 함유하는 경우도 있으며, 보통 하수오니와 마찬가지로 98%이상의 함수율이 있어 처리, 처분이 곤란하며 특히 수산화알루미늄의 플록을 함유하는 오니는 탈수, 농축이 곤란하고, 때문에 어떤 양 이상의 정수오니는 황산처리를 하여 수산화 알루미늄을 황산 알루미늄으로 회수하고, 아울러 탈수성을 향상시킨다.
통상, 정수장의 슬러지는 대차에 의해 침전조 일측에 갖추어진 호퍼에 모아져 처리되며, 이러한 대차는 로프견인 시스템에 의해 이동한다.
다시 말해 상기 대차는 2개의 첨전조에 상호 엇갈리게 교차로 이동하며, 스크레이퍼로 첨전조 바닥의 슬러지를 긁어 수집하는 구성으로, 침전조 바닥에 길이 방향으로 레일을 설치하고, 권취롤과 모터로 구성된 로프견인수단을 구비하되, 침전조의 각 요소에 견인로프의 견인을 안내하는 로울러를 설치하여 이 견인로프에 대차를 걸어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침전조의 호퍼측에는 대차위치검출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대차위치검출수단은 대차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고, 제어부는 그 신호에 따라 로프견인수단의 모터를 제어하여 대차를 후진시킨다.
여기서 종래의 대차위치검출수단(200)은 도 6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동작하는데, 먼저 침전조(10)의 상단부에 리미트 스위치(210)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210)를 동작시키는 이동 파이프(220)를 구비하되, 상기 이동 파이프(220)의 하단에는 플렉시블부(230)가 갖추어지고, 상기 플렉시블부(230)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이동 로울러(240)에 의해 상하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이동 로울러(240)는 캠(260)의 캠 곡선에 의해 가이드 레일(24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캠(260)은 감지봉(250)과 연결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조의 검출수단은 대차가 감지봉(250)을 건드려 회전시키는 것으로 스위치(200)가 동작한다.
다시 말해, 견인로프에 의해 견인되는 대차가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호퍼측에 이르면, 그 상부측에 매달려 있는 감지봉(250)을 치게되고, 이와 동시에 감지봉(250)이 회전한다.
감지봉(250)이 회전하면 그 상단에 위치한 캠(260)이 회전하고, 이동 로울러(240)는 캠 곡선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플렉시블부(230)와 이동 파이프(22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이동 파이프(220)는 리미트 스위치(210)를 눌러 동작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검출수단(200)은 고장 잦고, 오동작의 발생 빈도가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캠 곡선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 로울러(240)가 양측의 가이드 레일(241)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 레일(241)에 이동 로울러(240)가 억지 끼워지거나 또는 틀어져 이동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완충 및 이동 파이프(220)의 복원을 가능하게는 플렉시블부(230)가 너무 연하거나, 강하여도 승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것을 적당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매우 어려운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국 슬러지 제거 시스템 전체의 오동작을 가져오게 되고, 대차의 고장률을 높아지며, 슬러지 제거에도 문제가 발생하는 한편, 그에 따르는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을 입게되는 여러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감아걸기 전동방식으로 감지센서를 동작시켜 오동작을 방지하고, 그에 따르는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견인로프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동작 방지에 따른 슬러지 제거 시스템 전체의 고장률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으로 슬러지 제거를 가능하게 하며, 그에 따르는 경제적, 시간적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견인로프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모터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며, 2개의 수로 각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호 엇갈려 교차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러지를 수로 일측의 호퍼에 모아 처리토록 하는 슬러지 처리 시스템으로써, 침전조의 호퍼 전방측 상부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전방측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이 탄성부재를 당겨 감지센서를 동작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침전조의 대략 중앙부위에 설치된 안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하단이 편심되게 감아지는 풀리와; 하단의 감지부가 이동하는 대차에 접촉되면 상단의 회전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지봉과; 상기 풀리와 감지봉의 회전판을 감아걸기로 연결하여 회전판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을 풀리에 전달하여 와이어가 당겨지도록 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되는 감아걸기전동부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는 검출장치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로프견인 시스템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로프견인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대차위치검출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대차위치검출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대차위치검출장치에 의해 동작하는 대차의 일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종래의 대차위치검출장치의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프견인 시스템 10 : 침전조
11 : 호퍼 20 : 대차
30 : 로프견인수단 40 : 제어부
50 : 견인로프 100 : 위치검출장치
110 : 감지센서 120 : 와이어
121 : 탄성부재 122 : 로울러
130 : 감지봉 131 : 중심축
132 : 회전판 133 : 감지부
140 : 풀리 141 : 회동축
150 : 감아걸기전동부 151,152 : 종동, 원동 스프로켓
160 : 안착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검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이동하는 대차의 일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검출장치(100)는 슬러지 처리를 위한 시스템(1)에 적용되어 대차(2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처리시스템(1)은 도면과 같이 침전조(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로프견인수단(30)과, 컨트롤박스 즉 제어부(40)와, 대차(20) 그리고, 본 고안의 위치검출장치(100)로 구성된다.
상기 로프견인수단(30)은 권취롤(31)과, 상기 권취롤(31)을 회전시키는 모터(32)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32)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로프견인수단(30)은 첨전조(10)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권취롤(31)에 감아진 견인로프(50)는첨전조(10)에 각 요소 즉, 전후방측 각각 배치된 풀리(13)에 감아져 무한궤도 형식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견인로프(50)는 권취롤(31)로부터 각 침전조(10)에 설치된 풀리(13)에 감아져 다시 권취롤(31)에 감이지는 무한궤도 형식으로, 모터(32)의 동작에 따라 회전방향이 달라지며 대차(20)를 이동시킨다.
상기 대차(20)는 도 5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면에 설치되는 시브(23)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레이퍼(25)와, 이들의 구동하는 감아걸기전동부(24)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저면에는 첨전조(10)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을 가능케하는 바퀴(22)가 설치되고, 이 바퀴(22)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전후 좌우측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시브(23)는 전진과 후진 시브(23a),(23b) 2개로 구성되며, 이들은 보조 프레임(2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대차(20)의 정중앙에 일렬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후진 시브(23a)(23b) 각각에는 견인로프(50)가 연결되며, 이들 각각의 회전축에 후술하는 감아걸기전동부(24)의 원동 및 종동 스프로켓(24a)(24b)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전방측에는 축수부(25b)가 갖추어지며, 이 축수부(25b)에 스크레이퍼(25)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동축(25a)이 축설된다.
상기 스크레이퍼(25)는 사각 함체형상으로 하단부에 슬러지는 긁는 긁기판이갖추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25)의 너비는 침전조(10)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구성되어 침전조(10) 바닥에 침적된 슬러지가 빠짐없이 긁어지도록 한다.
상기 감아걸기전동부(24)는 바람직하기로 밸트, 와이어, 체인 전동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나, 여기서는 미끄럼이 없는 체인 전동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부(24)는 전,후진 시브(23a)(23b)와 연동하는 전진 및 후진 스프로켓(24a)(24b)을 구비하고, 이들에 감아져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24c)으로 구성되며, 이들과 연계되어 회전하는 로프 풀리(26)도 갖추어져 있다.
상기 로프 풀리(26)는 베이스 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26b)가 감아지는 풀리부(26a)와, 상기 감아걸기전동부(24)와 연결되는 스프로켓부(미도시)로 구성되며, 이들은 일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26b)는 그 양단이 스크레이퍼(25)에 연결되는데, 일단은 스크레이퍼(25)의 상부측에, 다른 단부는 하부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중앙이 풀리부(26a)에 감아지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전방측면과, 상면 각각에는 스크레이퍼(25)의 회전 즉 전전과 후진에 따른 회전을 제어하며, 로프의 견인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스토퍼(2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대차(20)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을 제어하는 본 고안의 위치검출장치(1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구성으로, 먼저 침전조(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10)와, 상기 감지센서(110)를 동작시키는 와이어(120)와, 상기와이어(120)가 감아지며 이 와이어(120)를 당겨 감지센서(110)가 동작되도록 하는 풀리(140)와, 대차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감지봉(130)과, 이들 감지봉(130)과 풀리(140)를 연결하는 감아걸기 전동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110)는 침전조(10)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봉(111)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광 또는 다른 형태의 여러 감지 센서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20)는 일단이 탄성부재(121)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풀리(140)에 감아진 상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와이어(120)는 침전조(10)의 깊이를 감안하여 길게 구성되며, 그 상부는 로울러(122)에 감아진 상태에서 끝단이 탄성부재(121)와 연결되는데, 상기 탄성부재(121)는 첨전조(10)의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트(125)에 하단이 연결 고정되어 와이어에 의해 인장, 복원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21)는 와이어(120)와는 별도로 또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하단은 풀리(140)에 감아진다. 상기 로울러(122)는 브라켓트(125)의 상면에 세워진 지지대(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즉, 브라켓트(125)의 상면에 양측으로 지지대(123)를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대(123) 사이에 로울러(122)를 삽입설치하되, 이들을 관통하여 회전축(124)이 설치된 것으로, 로울러(122)는 회전축(12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와이어(120)의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상기 풀리(140)는 안착판(160)에 회동축(1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지봉(130)은 가늘고 긴 형태의 관체로 구성되어, 하단에 높이 조절 및 대차가 접촉되는 감지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133)는 나사결합식으로 구성되어 길이 즉 높낮이를 조절하며 대차(20)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봉(130)의 상단에는 회전판(132)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판(132)은 안착판(160)에 설치된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감아걸기전동부(150)는 바람직하게 체인 전동방식이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 밸트, 와이어 등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체인 전동방식은 회전판(132)의 중심축(131)에 원동스프로켓(151)을 설치하고, 풀리(140)의 회동축(141)에 종동 스프로켓(152)이 설치된 구성으로 여기에 체인(153)을 감아 회전판(132)의 회전력을 풀리(140)에 전달한다.
다른 실시 예로 기어 전동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풀리(140)와 회전판(132)의 외주연 각각에 기어 이빨을 형성하고, 이들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아이들 기어가 맞물려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안착판(160)은 침전조(10)의 측벽면 대략 하부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포스트(161)에 지지된 구조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슬러지가 모아지는 호퍼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콘트롤 박스 즉 제어부(40)를 통해 시스템(1)을 가동하면, 로프견인수단(30)의 모터(32)가 회전한다. 모터(32)가 회전함에 따라 권취롤(31)이 어느 일방으로 회전하고, 로프(50)를 권취 견인하고, 이 견인 로프(50)에 연결된 대차(20)가 레일(12)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대차(20)는 무한궤도 형식으로 이동하는 로프(50)와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침전조(10)에서 상호 엇갈리게 교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나의 대차(20)가 전진하면 다른 하나의 대차(20)는 후진을 하게된다.
또한, 상기 대차(20)는 전진방향 즉, 슬러지를 긁기는 상태에서는 스크레이퍼(25)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반대로 후진하는 상태에서는 슬러지의 역진이 방지되도록 들어 올려진 상태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견인로프(50)가 전진 시브(23a)를 당기면 시브(23a)에 감아진 로프(50)가 풀리면서 전진 시브(23a)가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원동, 종동 스포로켓(24a)(24b)가 회전하며, 후진 시브(23b)가 회전한다.
스프로켓(24a)(24b)이 회전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와이어 풀리(26)가 회전하며, 이것에 의해 스크레이퍼(25)의 하방이 당겨져 수직으로 세워진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25)가 스토퍼(27)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면, 순차적으로 와이어 풀리(26)와, 원동 및 종동 스프로켓(24a)(24b) 그리고, 각 시브(23a)(23b)의 회전이 정지됨과 아울러 비로소, 전진 시브(23a)에 견인력이 발생하여 대차(20)가 이동된다.
반대로 후진 상태에서는 각 시브(23a)(23b)와 스프로켓(24a)(24b)과, 그리고 와이어 풀리(26)가 역회전하여 스크레이퍼(25)가 들어 올려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역진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대차(20)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전,후진 시브(23a)(23b)가 대차(20)의 정중앙에 일렬로 배열되어, 로프(50) 견인력이대차(20)의 정중앙에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대차(20)가 틀어지거나, 휘어지는 일이 없으며, 레일(12)로부터 탈선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상기 대차(20)가 스크레이퍼(25)로 슬러지를 긁어 호퍼(11)측으로 슬러지를 투입하여 처리토록 하는데, 이때 대차(20)는 검출장치(100)의 검출부(133)를 밀어내며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검출부(133)가 회전한다,
검출부(133)가 회전하면 그 상단의 회전판(132)이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감아걸기전동부(150)로 연결된 풀리(140)가 회전한다. 풀리(140)가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120)는 풀리(140)의 외주연에 감아지고, 그에 따라 와이어(120)는 탄성부재(121)를 당기는 형태가 된다.
탄성부재(121)가 당져지면서, 그 상단이 감지센서(110)와 접촉되고, 감지센서는 제어부(40)에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감지센서(110)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40)는 모터(32)의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32)를 역회전시키며 따라서 대차(20)는 후진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120)에 의해 인장된 탄성부재(121)는 그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120)가 승강하며, 순차적으로 풀리(140)와, 감아걸기전동부(150) 그리고, 회전판(132)이 회전하여 다음의 준비 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대차위치검출장치는 감아걸기전동에 의해 감지센서를 동작시킴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 시스템의 대차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검출봉을 밀어내면, 검출봉은 회전판의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감아걸기전동부가 와이어가 감아진 풀리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탄성부재가 감지센서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동작과정이 정확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용이하게 복원되며, 따라서 오동작의 우려가 없고, 그에 따라 시스템의 고장률을 감소됨은 물론 장기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검출장치의 오동작에 따른 대차의 고장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교환, 보수 및 수리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시간적, 경제적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구동모터에 의해 권취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며, 2개의 수로 각각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호 엇갈려 교차 방향으로 대차가 이동하며 슬러지를 침전지 일측의 호퍼에 모아 처리토록 하는 슬러지 처리 시스템으로써,
    상기 호퍼의 전방측에 위치하며, 침전조 상면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전방측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단이 연결되고, 이 탄성부재를 당겨 감지센서와 접촉되도록 하는 와이어와;
    상기 침전조의 대략 중앙부위에 설치된 안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하단이 감아지는 풀리와;
    가늘고 긴 봉재 형태로 상단에 상기 안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을 구비되어, 하단이 이동하는 대차가 부딪치면 그 추돌력에 의해 상기 회전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지봉과;
    상기 풀리와 감지봉의 회전판을 감아걸기로 연결하여 회전판의 회전력을 풀리에 전달하여 와이어가 당겨지도록 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복원되는 감아걸기전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아걸기전동부는 체인, 와이어, 밸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아걸기전동부는 회전판의 중심축에 설치되는 원동 스프로켓과, 풀리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 스프로켓과, 이들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와 감지봉의 회전판 각각의 외주연에 기어 이빨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광센서 중 어느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KR20-2003-0017768U 2003-06-05 2003-06-05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KR200325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68U KR200325918Y1 (ko) 2003-06-05 2003-06-05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768U KR200325918Y1 (ko) 2003-06-05 2003-06-05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478A Division KR20040105180A (ko) 2003-06-05 2003-06-05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918Y1 true KR200325918Y1 (ko) 2003-09-13

Family

ID=4933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768U KR200325918Y1 (ko) 2003-06-05 2003-06-05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9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1980192B1 (ko) 침전물 중앙 수집형 수처리용 침전조
KR102151503B1 (ko) 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0894174B1 (ko) 오니 수집장치
KR20080008711A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0808469B1 (ko)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KR20040105180A (ko)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KR200325918Y1 (ko) 로프견인식 슬러지 제거시스템의 대차위치검출장치
WO1993023136A1 (en) Sludge scraping-up apparatus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KR100800069B1 (ko) 롤러형 슬러지 수집기
KR200325920Y1 (ko) 정수장의 슬러지 제거 대차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0185297B1 (ko) 로프견인식 오니제거대차 및 로프견인식 오니제거시스템
JP2577754Y2 (ja) 沈殿槽における汚泥等の処理装置
KR940003174Y1 (ko) 체인 후라이트식 오니 제거장치
KR100311912B1 (ko) 침전조의 체인구동식 슬러지제거장치
KR200201940Y1 (ko) 오니 제거기
KR200364137Y1 (ko) 수중대차식 슬러지 수집설비
KR100808608B1 (ko) 하수 처리기의 침전조 부유물 배출장치
KR101633321B1 (ko)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된 보교식 슬러지 수집기
KR100232721B1 (ko) 쎈터레일식 슬러지 제거 및 대차위치 검출장치
KR200211088Y1 (ko) 침전지의 오니제거기 구동장치(actuator for sludge eliminator of settling pond)
KR101980191B1 (ko) 수처리 침전조용 굴절형 슬러지 수집 장치
CN220010984U (zh) 一种备煤车间用运煤皮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