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599B1 - 부력식 스컴 스키머 - Google Patents

부력식 스컴 스키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599B1
KR102411599B1 KR1020220021193A KR20220021193A KR102411599B1 KR 102411599 B1 KR102411599 B1 KR 102411599B1 KR 1020220021193 A KR1020220021193 A KR 1020220021193A KR 20220021193 A KR20220021193 A KR 20220021193A KR 102411599 B1 KR102411599 B1 KR 10241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scum
skimmer
members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돈
송태규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2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지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로 흐르는 원수의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을 상기 침전지에 고정된 배출수로로 배출하기 위한 부력식 스컴 스키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식 스컴 스키머는, 상기 배출수로의 하류 측에 위치하고, 자체 부력으로 인해 상기 원수의 수위에 추종하여 승강하며, 상기 배출수로로 스컴을 안내하는 슈트를 구비한 부력통; 상기 부력통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부력통과 함께 승강하는 좌우측 승강 부재;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이 상기 슈트를 따라 상기 배출수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컴을 회전하면서 걷어내는 스키머; 및 상기 침전지의 좌벽 지상 및 우벽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와 결합한 좌우측 지상 가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력식 스컴 스키머{FLOATABLE SCUM SKIMMER}
본 발명은 침전지에 설치되는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가 포함하는 스컴 스키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지를 따라 흐르는 원수의 수위를 자동으로 추종하도록 마련된 부력식 스컴 스키머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 후 처리되고 있다. 하수 처리 과정은 정수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데, 정수 과정에서는 하수가 하천의 자정작용이 발동될 수 있는 범위까지 정화된 후 하천과 같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고,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농축, 탈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
정수 과정에서는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하수, 즉, 원수가 침전지로 유입되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원수가 흐르는 침전지에서는 물보다 비중이 큰 슬러지가 바닥에 침전되고, 원수의 수면에 스컴(scum)이 떠 있다. 따라서 침전지에는 상기 슬러지 및 스컴을 모두 제거하기 위한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는 침전지 내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로 흐르는 원수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무한회전을 하는 한 쌍의 체인과, 한 쌍의 체인에 고정된 좌우단을 갖고 체인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플라이트를 포함한다. 플라이트들은 침전지의 바닥 쪽에서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이동하면서 침전지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내고, 원수의 수면 쪽에서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이동하면서 원수의 수면에 떠 있는 스컴을 민다. 또한,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는 스컴 스키머도 포함한다. 스컴 스키머는 플라이트들이 밀어낸 스컴을 원수로부터 걷어내어 배출수로로 배출시킨다.
등록특허 제10-0714384호(헬리컬 스컴 제거장치), 등록특허 제10-1540242호(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등록특허 제10-2188614호(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및 등록특허 제10-2067998호(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에는 위와 같은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0714384호(헬리컬 스컴 제거장치) 등록특허 제10-1540242호(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등록특허 제10-2188614호(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등록특허 제10-2067998호(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상류에서 침전지로 유입되는 원수의 양은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데, 그러면 침전지 내 원수의 수위 역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침전지 내 원수의 수위가 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스컴 스키머의 상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스컴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스컴과 함게 배출되는 원수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예컨대, 스컴 스키머가 원수의 수위 1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인데, 만일 원수의 수위가 수위 2로 낮아진다면 스컴 스키머가 원수 수면의 스컴을 일부만 배출하게 되거나 아예 배출하지 못하게 되어 스컴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고, 반대로 원수의 수위가 수위 3으로 높아진다면 스컴과 함께 배출되는 원수의 양이 너무 많아져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위 등록특허 제10-0714384호(헬리컬 스컴 제거장치) 및 등록특허 제10-1540242호(샤크형 스컴 제거장치)에서는 스컴 스키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의 수위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없다.
위 등록특허 제10-2067998호(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에서는 배출수로의 상하 위치가 원수의 수위에 추종하여 자동으로 조절될 뿐 스컴 스키머의 상하 위치가 원수의 수위에 추종하여 자동으로 조절되지는 않는바, 역시 위 문제들이 해결될 수 없다.
위 등록특허 제10-2188614호(샤크형 스컴 제거장치)에서는 스컴 스키머의 상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기는 하나, 이 조절은 작업자의 볼트 및 너트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스컴 스키머의 상하 위치가 원수의 수위를 추종하여 자동으로 변경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침전지를 따라 흐르는 원수의 수위를 자동으로 추종하도록 구성되고, 나아가 유지보수의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는 부력식 스컴 스키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침전지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로 흐르는 원수의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을 상기 침전지에 고정된 배출수로로 배출하기 위한 부력식 스컴 스키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식 스컴 스키머는, 상기 배출수로의 하류 측에 위치하고, 자체 부력으로 인해 상기 원수의 수위에 추종하여 승강하며, 상기 배출수로로 스컴을 안내하는 슈트를 구비한 부력통; 상기 부력통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부력통과 함께 승강하는 좌우측 승강 부재;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이 상기 슈트를 따라 상기 배출수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컴을 회전하면서 걷어내는 스키머; 및 상기 침전지의 좌벽 지상 및 우벽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와 결합한 좌우측 지상 가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통의 상면에는 상기 슈트를 상면에 구비한 작업대가 마련되고,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 중 적어도 한 승강 부재에는 작업자가 상기 지상과 상기 작업대 간을 오갈 수 있도록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는 상기 좌우측 지상 가이더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승강하는 롤러들을 구비한다.
상기 좌우측 지상 가이더에는 하한 스톱퍼가 마련되고,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는 상기 하한 스톱퍼에 걸릴 때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최대 하강 위치에서는 상기 슈트의 상류 측 단부가 상기 배출수로의 상단과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는 무게추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전지를 흐르는 원수의 수위를 추종하면서 스키머 및 슈트가 함께 자동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원수의 수위가 변하더라도 스키머가 스컴을 덜 걷어내는 종래의 문제 및 스키머가 너무 많은 원수를 스컴과 함께 걷어내는 종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좌우측 지상 가이더가 지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좌우측 지상 가이더 및 이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좌우측 승강 부재의 부위[롤러들]의 유지보수가 지상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력통을 지상으로 들어내지 않고서도 스키머, 슈트 및 상기 스키머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유지보수가 부력통에 마련된 작업대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지상과 작업대 간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오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 승강 부재가 하한 스톱퍼로 인해 최대 하강 위치까지만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슈트의 상류 측 단부의 파손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게추를 이용하여 스키머의 초기 높이를 원하는 수준으로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스컴 스키머의 설치 위치가 표시된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스컴 스키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력식 스컴 스키머를 하류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스컴 스키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는 침전지에 설치되는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에 포함된 것이다. 따라서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를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원수가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것으로 하고, 좌우측은 하류에서 상류를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인양 체인(30)과, 복수의 플라이트(32)와, 배출수로(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인양 체인(30)은 침전지에서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그리고 각 인양 체인(30)은 구동 스프로켓(22) 및 복수의 종동 스프로켓(24)에 감긴 폐루프 형태로 마련된다. 구동 스프로켓(22)은 모터(40)와 구동 체인(42)으로 연결되어 모터(40)의 작동 시 회전한다. 그리고 구동 스프로켓(20)이 회전하면 인양 체인들(30)이 무한 순환을 하게 된다.
복수의 플라이트(32)는 인양 체인들(30)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있고, 각 플라이트(32)는 한 쌍의 인양 체인(30)에 각각 고정된 좌우단을 갖는다. 따라서 인양 체인들(30)이 무한 순환을 하면, 플라이트들(3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플라이트들(30)은 침전지 바닥(10)에서는 상류로부터 하류로 이동하면서 침전지 바닥(10)에 침전된 슬러지를 슬러지 수집로(12) 쪽으로 긁어내고, 원수의 수면에서는 하류로부터 상류로 이동하면서 원수의 수면에 떠 있는 스컴을 배출수로(50) 쪽으로 민다.
상기 배출수로(50)는 개방 상면이 원수의 수면 위에 위치하도록 침전지에 고정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는 위와 같은 슬러지 및 스컴 제거장치에서 상기 배출수로(5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소(L)에 설치되어, 플라이트들(32)에 의해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을 상기 배출수로(50)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는 부력통(110), 좌우측 승강 부재, 스키머(140) 및 좌우측 지상 가이더(150a, 150b)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통(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배출수로(50)의 하류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부력통(110)은 속이 빈 통으로서, 자체 부력으로 인해 원수의 수위에 추종하며 자동으로 승강한다. 부력통(110)의 상면에는 스컴을 배출수로(50)의 개방 상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슈트(134)가 고정되어 있다. 슈트(134)의 상류 측 단부(135)는, 스컴이 배출수로(50)의 개방 상면으로만 낙하하고 배출수로(50)의 외부로는 낮하하지 않도록, 배출수로(135)의 상부에 위치한다.
좌우측 승강 부재는 좌측 승강 부재 및 우측 승강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좌측 승강 부재는 부력통(110)의 좌측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 승강 부재는 부력통(110)의 우측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측 승강 부재는 부력통(110)과 함께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좌우측 승강 부재의 예시적 구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측 승강 부재는 한 쌍의 종 부재(122b)와, 한 쌍의 횡 부재(123b, 124b)와, 4쌍의 롤러(125b)와, 4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를 포함한다.
한 쌍의 종 부재(122b)는 서로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하류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한 쌍의 종 부재(122b)의 하단은 부력통(110)의 우측면에 고정된 고정단이고, 한 쌍의 종 부재(122b)의 상단은 자유단이다. 한 쌍의 횡 부재(123b, 124b) 중 하나인 상단 횡 부재(124b)는 한 쌍의 종 부재(122b)의 상단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인 중간 횡 부재(123b)는 한 쌍의 종 부재(122b)의 대략 중앙 부위를 연결한다.
4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 중, 2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는 상류 측 종 부재(112b)에 고정되고, 나머지 2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는 하류 측 종 부재(112b)에 고정된다. 상류 측 종 부재(112b)에 고정된 2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 중 한 쌍은 아래에 위치하고 나머지 한 쌍의 위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하류 측 종 부재(112b)에 고정된 2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 중 한 쌍은 아래에 위치하고 한 쌍은 위에 위치한다. 각 쌍을 이루는 두 롤러 지지 부재(126b)는 상하류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4쌍의 롤러(125b)는 위와 같은 4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각 쌍을 구성하는 두 롤러(125b)는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또한, 각 쌍을 구성하는 두 롤러(125b)는, 상하류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각 쌍을 구성하는 두 롤러 지지 부재(126b)에 결합된다.
좌측 승강 부재는 위와 같은 우측 승강 부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승강 부재는 우측 승강 부재의 한 쌍의 종 부재(122b)에 해당하는 한 쌍의 종 부재(122a)와, 우측 승강 부재의 한 쌍의 횡 부재(123b, 124b)에 해당하는 한 쌍의 횡 부재(미도시, 124a)와, 우측 승강 부재의 4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b)에 해당하는 4쌍의 롤러 지지 부재(126a)와, 우측 승강 부재의 4쌍의 롤러(125b)에 해당하는 4쌍의 롤러(125a)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스키머(140)는 좌우측 승강 부재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스키머(140)는 좌우측 승강 부재와 함께 승강하게 된다. 또한, 스키머(140)는, 플라이트들(32)에 의해 원수의 수면 상에서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이 슈트(134)를 따라 배출수로(50)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컴을 회전 운동을 통해 걷어내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플라이트들(32)에 의해 원수의 수면 상에서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은 스키머(140)의 회전 시 슈트(134)를 따라 배출수로(50)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스키머(140)의 예시적 구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스키머(14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샤프트(142)와, 회전 샤프트(142)를 감아 돌며 헬리컬 형태(나선 형태)로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144)와, 회전 샤프트(142)와 각 날개(144)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146)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42)의 우단은 앞서 설명한 우측 승강 부재의 두 횡 부재(123b, 124b) 중 더 아래에 위치하는 중간 횡 부재(123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스키머(140)의 좌단은 좌측 승강 부재의 두 횡 부재(미도시, 124a) 중 더 아래에 위치하는 중간 횡 부재(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4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는 부력통(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날개(144)들은 회전 도중 슈트(134)의 상면과 소정의 시간 동안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은 회전하는 날개들(144)에 의해 걷히면서 슈트(134)를 따라 배출수로(5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지상 가이더(150a, 150b)는 침전지의 좌벽 지상(60a)에 설치된 좌측 지상 가이더(150a)와, 침전지의 우벽 지상(60b)에 설치된 우측 지상 가이더(150b)를 포함한다. 그리고 좌우측 지상 가이더(150a, 150b)는 좌우측 승강 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좌우측 승강 부재와 결합하고 있다.
우측 지상 가이더(150b)는 상하류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두 수직 기둥의 상단을 연결한 역U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좌측 지상 가이더(150a)도 이와 동일하게 역U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지상 가이더(150b)의 두 수직 기둥은 앞서 설명한 우측 승강 부재의 4쌍의 롤러(125b) 사이에 끼이고, 좌측 지상 가이더(150a)의 두 수직 기둥 역시 앞서 설명한 좌측 승강 부재의 4쌍의 롤러(125a) 사이에 끼인다. 따라서 좌우측 승강 부재의 승강 시, 위 8쌍의 롤러들(125a, 125b)은 좌우측 지상 가이더(150a, 150b)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로 구르면서 승강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에 따르면, 침전지를 흐르는 원수의 수위를 추종하면서 스키머(140) 및 슈트(134)가 함께 자동으로 승강하기 때문에, 원수의 수위가 낮아짐으로 인해 스키머(140)가 스컴의 일부만을 걷어내거나 스컴을 아예 걷어내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나, 이와 반대로 원수의 수위가 높아짐으로 인해 스키머(140)가 스컴과 함께 걷어내는 원수의 양이 증가하는 종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좌우측 지상 가이더(150a, 150b)가 지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좌우측 지상 가이더(150a, 150b) 및 이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는 좌우측 승강 부재의 부위[롤러들(125a, 125b)]의 유지보수가 지상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발생한다.
한편, 아래에서는 상기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의 추가적인 특징들을 설명한다.
상기 부력통(110)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작업 장소로 제공될 수 있는 작업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슈트(134)는 작업대(130)의 상면에 설치되고, 작업대(130)는 작업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로 마련된다. 또한, 작업대(130)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핸드레일(132)이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력통(110)에는 스키머(140), 슈트(134) 및 스키머(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같은 부품들이 설치되는데, 위와 같은 작업대(130) 및 핸드레일(132)이 마련되면 부력통(110)을 지상으로 들어내지 않고서도 상기 스키머(140), 슈트(134) 및 모터(미도시)와 같은 부품들의 유지보수가 작업대(130)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부력통(110)에 위와 같이 작업대(130)가 마련될 경우, 좌우측 승강 부재 중 적어도 한 승강 부재에는 작업자가 지상(60a, 60b)과 작업대(130) 간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오갈 수 있도록 사다리(160a, 160b)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2 및 도 3에는 좌우측 승강 부재 모두에 사다리(160a, 160a)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지상 가이더(150a, 150b)에는 소정의 높이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하한 스톱퍼(152a, 152b)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측 승강 부재의 아래쪽 롤러들(125a, 125b)이 하한 스톱퍼(152a, 152b)에 걸려 하강할 수 없게 될 때, 좌우측 승강 부재가 최대 하강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대 하강 위치에서는 슈트(134)의 상류 측 단부(135)가 배출수로(50)의 상단보다 약간 위에 위치하여 배출수로(50)의 상단과 접촉하지 않는다.
침전지 내 원수의 수위가 너무 낮아지면 좌우측 승강 부재의 과도한 하강으로 인해 슈트(134)의 상류 측 단부(135)가 배출수로(50)의 상단에 걸리면서 큰 하중을 받을 수 있고, 그러면 위 상류 측 단부(135)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침전지 내 원수의 수위가 낮아지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작업 도구를 들고 작업대(130)에 올라서면 작업자의 체중 및 작업 도구의 무게로 인해 좌우측 승강 부재가 과도하게 하강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류 측 단부(135)가 배출수로(50)의 상단에 걸리면서 큰 하중을 받아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한 스톱퍼(152a, 152b)를 통해 좌우측 승강 부재의 최대 하강 위치를 규정하고, 최대 하강 위치를 위 상류 측 단부(135)와 배출수로(50)의 상단 간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정함으로써, 위 상류 측 단부(135)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한다.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는 무게추(170a, 170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우측 승강 부재의 두 횡 부재(123b, 124b) 중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 횡 부재(124b)의 상면 중앙에 우측 수직봉(128b)을 설치하고 이 우측 수직봉(128b)에 우측 무게추(170b)를 끼울 수 있는 형태, 그리고 좌측 승강 부재의 두 횡 부재(미도시, 124a) 중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 횡 부재(124a)의 상면 중앙에 좌측 수직봉(128a)을 설치하고 이 좌측 수직봉(128a)에 좌측 무게추(170a)를 끼울 수 있는 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가 침전지에 설치된 상태에서 원수가 상류로부터 하류로 흐르면, 원수에 떠 있는 부력통(110)이 앞서 본 바와 같은 작업대(130), 핸드레일(132), 슈트(134), 스키머(140), 좌우측 승강 부재, 사다리(160a, 160b) 등의 부품들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키머(140)의 날개(144)의 높이는 부력통(110)의 부력 및 위 부품들의 무게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식 스컴 스키머(100)의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는, 스키머(140)의 날개(144)의 높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의 수면과 거의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단, 부력통(110)이 위 부품들을 지지하고 있더라도 스키머(140)의 날개(144)가 원수의 수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부력통(110)의 체적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고, 그 이후 스키머(140)의 날개(144)의 높이가 원수의 수면과 거의 동일해질 때까지 무게추(170a, 170b)를 추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게추(170a, 170b)를 통해 스키머(140)의 날개(144)의 초기 높이를 원하는 수준으로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부력식 스컴 스키머 110 : 부력통
122a, 122b : 좌우측 승강 부재의 종 부재
123b, 124a, 124b : 좌우츠 승강 부재의 횡 부재
125a, 125b : 롤러 126a, 126b : 롤러 지지 부재
128a, 128b : 수직봉 130 : 작업대
132 : 핸드레일 134 : 슈트
135 : 슈트의 상류 측 단부 140 : 스키머
150a, 150b : 지상 가이더 152a, 152b : 하한 스톱퍼
160a, 160b : 사다리 170a, 170b : 무게추
32 : 플라이트 50 : 배출수로
60a, 60b : 지상

Claims (6)

  1. 침전지에서 상류로부터 하류로 흐르는 원수의 수면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을 상기 침전지에 고정된 배출수로로 배출하기 위한 부력식 스컴 스키머로서,
    상기 배출수로의 하류 측에 위치하고, 자체 부력으로 인해 상기 원수의 수위에 추종하여 승강하며, 상기 배출수로로 스컴을 안내하는 슈트를 구비한 부력통;
    상기 부력통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부력통과 함께 승강하는 좌우측 승강 부재;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류 쪽으로 밀려온 스컴이 상기 슈트를 따라 상기 배출수로로 이동하도록 상기 스컴을 회전하면서 걷어내는 스키머; 및
    상기 침전지의 좌벽 지상 및 우벽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와 결합한 좌우측 지상 가이더;를 포함하는 부력식 스컴 스키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통의 상면에는 상기 슈트를 상면에 구비한 작업대가 마련되고,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는 핸드레일이 설치된 부력식 스컴 스키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 중 적어도 한 승강 부재에는 작업자가 상기 지상과 상기 작업대 간을 오갈 수 있도록 사다리가 설치된 부력식 스컴 스키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는 상기 좌우측 지상 가이더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승강하는 롤러들을 구비하는 부력식 스컴 스키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지상 가이더에는 하한 스톱퍼가 마련되고,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는 상기 하한 스톱퍼에 걸릴 때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하며, 상기 최대 하강 위치에서는 상기 슈트의 상류 측 단부가 상기 배출수로의 상단과 접촉하지 않는 부력식 스컴 스키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승강 부재는 무게추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부력식 스컴 스키머.
KR1020220021193A 2022-02-18 2022-02-18 부력식 스컴 스키머 KR10241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193A KR102411599B1 (ko) 2022-02-18 2022-02-18 부력식 스컴 스키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193A KR102411599B1 (ko) 2022-02-18 2022-02-18 부력식 스컴 스키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599B1 true KR102411599B1 (ko) 2022-06-22

Family

ID=8221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193A KR102411599B1 (ko) 2022-02-18 2022-02-18 부력식 스컴 스키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8810A (zh) * 2023-11-16 2023-12-15 河北振兴化工橡胶有限公司 一种对含磷阻燃剂废水的处理设备及处理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912A (ja) * 2004-04-08 2005-10-27 Mitsuhiro Fujiwara スカム除去装置
KR100714384B1 (ko) 2006-10-27 2007-05-04 주식회사 케이엠 헬리컬 스컴 제거장치
JP2008505755A (ja) * 2004-07-13 2008-02-28 ミュレィ,ブラッドリー,デズモンド,レスリー 液体からスカム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40242B1 (ko) 2015-03-23 2015-07-31 효림산업주식회사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KR102067998B1 (ko) 2017-09-13 2020-01-20 대구광역시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KR102188614B1 (ko) 2020-05-15 2020-12-09 효림산업주식회사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912A (ja) * 2004-04-08 2005-10-27 Mitsuhiro Fujiwara スカム除去装置
JP2008505755A (ja) * 2004-07-13 2008-02-28 ミュレィ,ブラッドリー,デズモンド,レスリー 液体からスカム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714384B1 (ko) 2006-10-27 2007-05-04 주식회사 케이엠 헬리컬 스컴 제거장치
KR101540242B1 (ko) 2015-03-23 2015-07-31 효림산업주식회사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KR102067998B1 (ko) 2017-09-13 2020-01-20 대구광역시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KR102188614B1 (ko) 2020-05-15 2020-12-09 효림산업주식회사 샤크형 스컴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8810A (zh) * 2023-11-16 2023-12-15 河北振兴化工橡胶有限公司 一种对含磷阻燃剂废水的处理设备及处理工艺
CN117228810B (zh) * 2023-11-16 2024-01-26 河北振兴化工橡胶有限公司 一种对含磷阻燃剂废水的处理设备及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599B1 (ko) 부력식 스컴 스키머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DE2417689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kontinuierlichen und regelbaren schlammabsaugung aus einem klaerbecken
KR100808469B1 (ko) 수직 슬라이드식 오니 수집장치
DE102004055981A1 (de) Vorrichtung zum Abschaben und Sammeln von Schlamm
KR101689142B1 (ko) 승강식 스키머를 갖는 스컴 제거 장치
KR20140017965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20090025316A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CN116036669B (zh) 自来水处理一体化水处理设备
JP2015174084A (ja) 汚泥掻寄装置
KR200376637Y1 (ko) 침전지의 스컴제거장치
CN214087834U (zh) 废水处理系统专用浮除槽
KR100908699B1 (ko) 폐수처리설비 오일분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CN112121500A (zh) 一种废水处理方法
KR100384198B1 (ko) 협잡물 및 침사 제거장치
CN112121491A (zh) 一种废水处理装置
CN219539523U (zh) 二沉池池面浮渣清理装置
KR100642202B1 (ko) 스크롤형 주행대차식 슬러지 수집기
KR102344243B1 (ko) 침사 인양기
JP3909562B2 (ja) 汚泥掻寄機
JPS5928647Y2 (ja) 埋没防止型沈砂掻揚機
KR102543741B1 (ko) 침사 및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2575450B1 (ko) 직진성 확보형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
KR102035781B1 (ko) 시소형 스컴스키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