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972B1 - 스캐닝장치및스캐닝장치를포함하는광학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스캐닝장치및스캐닝장치를포함하는광학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972B1
KR100295972B1 KR1019930028171A KR930028171A KR100295972B1 KR 100295972 B1 KR100295972 B1 KR 100295972B1 KR 1019930028171 A KR1019930028171 A KR 1019930028171A KR 930028171 A KR930028171 A KR 930028171A KR 100295972 B1 KR100295972 B1 KR 10029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il
scanning device
track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052A (ko
Inventor
제라르드에두아르드반로스마렌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94001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29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track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캐닝 장치는 프레임(23)을 가지는 정지 섹션(1)과 제 1 축(Z)과 상기 제 1 축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제 2 축(X)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제 1 축에 평행한 광축(7a)을 가진 렌즈(7)를 포함하는 가동 섹션(5)을 포함한다. 상기 스캐닝 장치는 제 1 축을 따라 렌즈 이동하기 위한 포커싱 코일(13)과, 렌즈를 상기 제 2 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2 개의 서로 평행한 쌍의 트랙킹 코일 (15a,15b; 17a,17b)을 포함한다. 각 쌍의 트랙킹 코일은 제 2 축에 평행한 선(19,21)을 따라 배열되며, 제 1 축과 제 2 축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코일축(23a,23b; 25a,25b)을 갖는다. 한 쌍의 자기극(27a,27b; 29a,29b)은 렌즈의 대향측부에 정렬되며, 상기 자기극은 서로 이격되며 제 2 축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2 개의 경계면(31;33)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렌즈의 중앙부에서, 각 자기극은 단지 한개의 트랙킹 코일에 대향 배열되며 상기 트랙킹 코일은 경계면 사이에서만 위치된다. 상기 자기극은 제 1 축과 제 2 축에 의하여 형송된 평면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영역(39,41)을 경계하는 대향 표면(35a,35b; 37a,37b)을 가지며, 상기 트랙킹 코일의 코일부(15a1,15b; 17a1,17b1)는 상기 영역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스캐닝 장치 및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광학 플레이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플레이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특정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 선을 따라 절취한 스캐닝 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중심 위치에 도시된 가동 섹션을 가진 제3도에 도시된 부분의 수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포커싱 위치(focusing position)에 도시된 가동 섹션을 가진 제4도의 수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가동섹션 7 : 촛점 렌즈
15a,15b; 17a,17b : 트랙킹 코일
31, 33 : 경계면 43 : 미끄럼부
45 : 프레임 47 : 턴 테이블
47a : 회전축 49b, 51b : 자유단부
49, 51 : 브레이드 스프링 형상의 지지요소
본 발명은 프레임을 갖는 정지 섹션과, 렌즈를 가지며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제 2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섹션을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제 1 작동 수단과, 공기 갭을 경유하여 상기 제 1 작동 수단과 자기적으로 함께 작용하기에 적합한 제 2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 수단중 하나는 제 1 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포커싱(focusing) 코일과, 2 쌍의 트랙킹 코일(tracking coil)을 포함하며, 상기 쌍은 2 쌍 사이에 배치된 렌즈를 상기 제 2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며, 각 쌍의 트랙킹 코일은 제 2 축에 평행한 선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축과 제 2 축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코일 축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수단중의 다른 하나는 자석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캐닝 장치는 EP-A 0,178,077 (본원에서 참조로 합체되어 있음)에 잘 공지되어 있다. 스캐닝 스폿(spot)에 의하여 광학 기록 매체를 스캐닝하기 위한 공지된 스캐닝 장치는, 정지 베이스와 상기 정지 베이스에 대하여 가동성인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성 몸체는 렌즈와, 서로에 대하여 이격 대향된 가동성 몸체의 측면에 고정된 2개의 자석을 운반한다. 상기 자석에 대향되어 있는, 상기 베이스는 2 개의 대향된 포커싱 방향에서 가동성 몸체를 이동하기 위한 포커싱 코일과, 상기 포커싱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있는 2개의 대향 트랙킹 방향에서 상기 가동성 몸체를 이동하기 위한 트랙킹 코일을 운반하고, 트랙킹 코일의 한쌍은 각 자석에 대향하여 정렬된다. 상기 자석은 상기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동심의 자기 축을 가진다. 상기 자석에 대향되어 위치된 트랙킹 코일은 수직의 구동 코일부 즉, 포커싱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부를 가지고, 상기 코일부는 가동성 몸체의 중앙 위치에 있는 자기극(magnet pole)에 직접 대향된 영역에 위치된다. 수직의 비구동 코일부는 상기 영역 외측부에 위치되고, 수평의 비구동 코일부에 의하여 구동 코일부에 연결된다. 상기 포커싱 코일은 렌즈를 포커싱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평의 구동 코일부를 가진다.
포커스 및 트랙킹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전기 광학 스캐닝 장치에서, 상기 자석의 스트레이(stray) 필드는 상기 트랙킹 코일이 여기될 때 수평적인 비구동 코일부에 의하여 가동 섹션에서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중앙 위치에서, 특히 포커싱 방향에서 보아서, 상기 자기력은 자석과 트랙킹 코일의 조립체의 대칭성 때문에 트랙킹 코일에서 서로 상쇄한다. 그러나, 상기 렌즈가 포커싱 위치에 있다면, 상기 가동성 몸체는 각 트랙킹 코일의 상호 평행한 수평의 비구동 코일부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자기력에 직접 대향하여, 중앙 위치에 대하여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쌍의 트랙킹 코일에서, 이것은 2 개의 평행한 대향되는 교란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것의 결과로써 가동성 몸체는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에 횡방향인 축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토오크를 받는다. 트랙킹시에, 이것은 상기 축에 대하여 가동성 몸체의 근본적인 공진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그래서 스캐닝 스폿(spot)은 바람직하지 않게 전후좌우로 이동하고, 이것은 제어 시스템에 의해 부가적인 에러 신호로서 처리된다. 상기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의 진폭이 클 경우에서는, 상기 에러 신호는 제어 시스템의 완전한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스캐닝 장치의 트랙킹 코일은 자석의 높이 치수에 비하여 긴 수직 구동 코일부를 가진다. 이것은 전체 높이를 크게 하는 단점을 가진다. 트랙킹 방향에 발생되는 자기력이 불필요한 열손실의 결과로써 요구되는 에너지와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상기 트랙킹 코일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단점이 있다. 상기 두 단점은 보다 짧은 수직 구동 코일부를 사용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스캐닝 장치에 상기 방법을 적용하는 단점은 트랙킹 코일이 여기될 때, 상기 포커싱 방향과 트랙킹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있는 축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토오크가 발생되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토오크를 증폭시킬 수 있다. 짧은 수직 구동 코일부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토오크는 자석이 트랙킹 코일에 대하여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되는 렌즈의 촛점 위치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은 자기 작동력이 가동성 몸체 위에 작용하는 점이 트랙킹 코일이 여기될 때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섹션 특히 그 곳에 있는 렌즈가 트랙킹 동안에 정확히 한정된 운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서두에 기술한 형태의 스캐닝 장치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는, 한쌍의 자기극이 렌즈의 대향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극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으며 제 2 축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2 개의 경계 평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중앙 위치에서, 각각의 자기극은 단지 하나의 트랙킹 코일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트랙킹 코일은 단지 상기 경계 평면 사이에만 위치되고, 상기 자기극은 서로에 대하여 대면하고 상기 제 1 축과 제 2 축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영역을 경계짓는 표면을 가지며, 상기 트랙킹 코일의 코일부는 상기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는, 트랙킹 코일의 각 쌍이 자기극에 직접 대향 위치된 2 개의 구동 코일부와, 상기 구동 코일부 사이에서 자기극의 자기 스트레이 필드내에 배치된 2 개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자기극과 트랙킹 코일 형상을 갖는다. 상기 트랙킹 코일이 여기될 때, 제 2 축에 직접 평행한 자기 작동력은 가동 섹션 특히 렌즈를 제 2 축 즉,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가동 섹션에서 발생된다. 상기 코일을 여기 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가동 섹션과 렌즈는 방사 빔을 포커싱시키기 위하여, 제 1 축에 평행한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에서, 트랙킹 코일이 여기될때, 토오크는 가동 섹션이 제 1 축을 따라 중앙 위치에 대하여 이동되는 렌즈의 포커스 위치에서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상기 토오크는 쌍으로 대향 작용하며, 부가의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형의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크기가 같거나 거의 동일하고, 그 결과 상기 토오크는 거의 서로 상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는 트랙킹시에 가동 섹션의 교란시키는 공진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게 된다.
스캐닝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트랙킹 코일이 굽혀져 있고, 상기 코일부가 자기극의 대향면 표면사이에서 가능한 멀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는 자기극의 스트레이 필드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트랙킹 코일이 여기될 때 큰 작동력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트랙킹 코일이 가동 섹션의 부분을 형성하고, 자기극이 정지 섹션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가장 낮은 질량을 가진 작동 수단은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이것은 동력 소모를 적게 한다. 양호하게는, 제 1 작동 수단과 제 2 작동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작동 수단은 렌즈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를 포함하는 광학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플레이어는 예를 들면 CD 또는 CD-ROM 과 같은 광학 디스크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거나, 또는 3½" MO 디스크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를 자기 광학적으로 기입하거나 또는 판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짧은 접근 시간을 가진 광학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플레이어는 스캐닝 장치를 운반하는 미끄럼부와, 상기 미끄럼부를 안내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턴 테이블과, 광학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캐닝 장치의 프레임이 고착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수단의 존재는 포커싱 코일이 여기될때 발생된 힘이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것에 대항한다. 이것은 "와우(wow)"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와우"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1985년, Bristol 과 Boston 소재의 Adam Hilger Ltd. 회사에서 G. Bouwhuis 등이 지은 Philips Research Laboratories of Eind hoven 의 "광학 디스크 시스템의 원리(Principles of Optical Disc Systems)" 책, 특히 152-156 페이지의 §4, 6, 2 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미끄럼부의 높은 가속도의 경우에 짧은 접근 시간을 성취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섹션이 아무런 문제점 없이 미끄럼부와 프레임을 따를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섹션에 힘을 발생시킬 능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플레이어에 사용되는 탄성 수단은, 양호하게는 2 개의 브레이드 스프링 형상의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이 지지 수단 각각은 상기 미끄럼 부에 연결된 고정 단부와, 스캐닝 장치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자유 단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지지 요소 사이에 연장된다.
양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광자기 스캐닝 장치의 가동 섹션과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어의 미끄럼부 사이에서 사용되는 현수부(suspension)는 유럽 특허출원 제 92201962.5호(PHN 14.104; 참조로 본원에 합체됨)에서 설명된 형태이다. 상기 현수부는 제 1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향되고 제 2 축에 횡방향으로 있는 2 개의 평행한 프레임 형상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제 1 축에 적어도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 2 축에 대하여 평행한 축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제 1 축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트위스트될 수 있는 2 개의 길고 이격된 제 1 요소와, 상기 제 1 요소들을 서로에 대하여 커플링하는 2 개의 길고 이격된 강성의 제 2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요소는 제 2 요소에 견고하게 연결된 단부를 가지며, 상기 2 개의 제 2 요소중의 한 개는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2 개의 제 2 요소들 사이에 위치되고 미끄럼부에 고착되며, 다른 제 1 요소는 2 개의 제 2 요소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캐닝 장치의 가동 섹션에 고착되는 중앙부를 가진다.
상기 현수부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가동 섹션이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방향의 운동은 상쇄되도록 한다. 상기 브레이드 스프링 형상의 요소는 포커싱 운동이 수행될 때 편향되며, 트랙킹 운동이 수행될 때 트위스트되게 된다. 상기 제안된 현수부는 양호한 안내와, 다양한 방향에 대한 높은 꼬임 강성과, 안정된 중립 위치 및 낮은 질량과 같은 다수의 양호한 성질을 가지고, 온도 변화에 높은 저항을 가진다.
제 1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어는, 미끄럼부(43)와, 상기 미끄럼부(43)를 안내하기 위한 프레임(45)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45)은 회전축(47a)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턴 테이블(47)을 지지한다. 상기 턴 테이블(47)은 예로서 CD 와 같은 광 디스크 및/또는 광자기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형상의 정보 캐리어를 지지하는 데 적합하다. 상기 턴 테이블(47)의 회전축(47a)은 도면에 도시된 직교축(X,Y,Z) 시스템의 제 1 축(상기 Z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턴 테이블(47)은 프레임내에 장착된 전기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부(43)는 반경방향 즉, 도시된 축 시스템의 제 2 축(X, 상기 X 축)에 평행하게 턴 테이블(47)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미끄럼부(43)는 프레임(45)의 안내로드(4)와 협력하는 베어링(2)을 가진다. 상기 미끄럼부(43)는 이 미끄럼부에 고착된 작동 코일(10)을 여기시킴으로써 구동되고, 자석(6,8)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상기 미끄럼 구동 장치는 DE 33 15 848(PHD 83.039; 참고로 본원에 합체됨)에 잘 공지되어 있다. 상기 미끄럼부(43)는 제 2 및 제 3 도에 상세히 도시된 스캐닝 장치를 운반한다.
제 2 및 제 3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는 정지성의 제 1 섹션(1)과 상기 정지 섹션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가동성의 제 2 섹션(5)을 포함한다. 상기 정지 섹션(1)은 미끄럼부(43)의 탄성 수단에 고착된 프레임(3)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프레임(3)은 2 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각 부분은 자기 요크로써 사용되고, 상기 탄성 수단의 2 개의 브레이드 스프링 형상의 지지수단(49,51)의 자유단부(49b,51b)에 지지된다. 상기 미끄럼부(43)와 각각 일체로 된 고정 단부(49a,51a)를 갖는 상기 지지요소(49,51)는 Z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적이며, 개구(12)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동 섹션(5)은 포커싱 렌즈(7)가 고착된 중앙 몸체(17)를 가지며, 상기 렌즈는 Z 축에 평행한 광축(7a)을 가진다. 상기 가동 섹션(5)은 도시된 축 시스템의 Z 축과 X 축을 따라 정지 섹션(1)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상기 가동 섹션(5)은 Z 축에 평행하고 X 축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평행한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53,55)를 포함하는 현수부에 의하여 프레임(3)에 지지된다. 각각의 지지체(53,55)는 Z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 개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브레이드 스프링 또는 브레이드 스프링 형상의 제 1 요소(57,59)를 포함하고, 이것은 Y 축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하고, Z 축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트위스트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상기 지지체(53,55)는 Y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강성의 신장된 플라스틱인 2 개의 제 2 요소(61,63)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2 요소에서, 본 실시예의 금속요소인 요소(57,59)의 단부가 매립된다. 상기 제 1 요소(57)는 가동 섹션(5)에 고착된 플라스틱 중앙부(57a)를 갖는다. 상기 제 2 요소(59)는 캡슐화(encapsulation)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부(43)에 고착된 제 1 요소와 비슷한 중앙부(59a)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는 디스크 형상의 광학적으로 스캐닝된 정보 캐리어를 스캐닝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CD와 같은 정보 캐리어는 정보 트랙을 가진 정보 표면을 포함한다. 스캐닝은 광학 플레이어의 광원 특히, 레이저에 의하여 방출된 방사 비임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방사 비임은 렌즈(7)를 통하여 통과되고, 정보 표면위에서 스캐닝 스폿을 형성하기 위하여 포커스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포커스된다. 트랙킹 제어 시스템은 상기 스캐닝 스폿이 스캐닝시에 정보 트랙을 정확하게 따르도록 보장한다.
상기 스캐닝 장치의 가동 섹션(5)은 중앙 몸체(14)를 둘러싸고 있으며, 포커스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 포커싱 코일(13)을 가지고, 상기 코일은 직교축 시스템의 X-Y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된 권선부(turns)를 가진다. 상기 가동 섹션(5)은 또한 트랙킹 시스템에 연결된 2개 쌍의 트랙킹 코일(15a,15b; 17a,17b)을 운반한다. 상기 트랙킹 코일(15a,15b)은 중앙 몸체(14)의 한 측부에 위치되고, X 축에 평행한 선(19)을 따라 연장하고, 반면에 상기 트랙킹 코일(17a,17b)은 대향 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선(19)에 평행한 선(21)을 따라 연장한다. 상기 포커싱 코일(13)에 고착된 상기 트랙킹 코일(15a,15b; 17a,17b)은 주로 Y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코일축(23a,23b; 25a,25b)을 가진다.
한쌍의 자기극(27a,27b; 29a,29b)은 공기 갭(11)을 경유하여 코일과 각각 협력하는 각쌍의 트랙킹 코일(15a,15b; 17a,17b)에 대향 정렬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극은 Y 축에 평행하게 배향된 자기축을 가지는 영구 자석 형태를 가지고, 트랙킹 코일에 대향된 극성(polarity)과 같은 극면(polefaces)을 가진다. 상기 자기극(27a,27b; 29a,29b)은 도시된 축 시스템의 X-Z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2 개의 경계 평면(31,33)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내에 위치된다. 각 쌍의 자기극(27a,27b; 29a,29b)은 Y 와 Z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39,41)을 각각 경계짓는 2개의 대향 표면(35a,35b; 37a,37b)을 가진다. 특히, X 방향에서 보았을 때, 결과적으로 렌즈(5)의 가동 섹션(5)의 최소한 중앙부에서 상기 트랙킹 코일이 경계 평면(31,33)에 의하여 한정된 영역내에 완전히 위치되도록 상기 트랙킹 코일(15a,15b; 17a,17b)이 위치된다. 제 2 도에서, 상기 렌즈는 중앙 위치내에 도시된다. 상기 트랙킹 코일(15a,15b; 17a,17b)은 자기극에 대향하여 각각 연장되고, 한개의 코일부는 극면에 직접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상기 트랙킹 코일은 상기 영역(39,41)내에 배치된 각각의 트랙부(15a1,15b1; 17a1, 17b1)를 가진다. 거의 평탄하고 환형인 트랙킹 코일(15a,15b; 17a,17b)은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굽혀질 수 있고, 상기 코일부(15a1,15b1; 17a1,17b1)는 각 표면(35a,35b; 37a,37b)에 대향 배치된다.
상기 트랙킹 코일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 4 도에 도시된 부분은 제 3 도에 도시된 부분에 완전히 대응되고, 그러므로 제 2 도에 도시된 스캐닝 장치에 쉽게 사용될 수 있다.
제 4 및 제 5 도에서, 상기 수정되지 않은 부분은 위에서 사용된 동일한 도면 번호를 가진다.
제 4 도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X 축과 Z 축 방향에서 볼 때에 렌즈의 중앙부에서, 거의 삼각형인 트랙킹 코일(115a,115b)의 한 쌍은 영구 자기극(27a,27b)에 각각 대향하여 연장되고, 제 1 코일부(115A,115B)는 자기극(27a,27b)의 극면(N, 본 실시예에서는 북극)에 대향된 자기장내에 배치된다. 거의 평탄한 코일(115a, 115b)은 제 2 코일부(115a1,115b1)가 자기극(27a,27b)의 대향 표면(35a,35b) 사이에서 자기 스트레이(stray) 필드내에서 각각 배치되도록 굽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장점은 제 5 도에 의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5 도는 상기 트랙킹 코일(115a,115b)이 제 4 도(제 1 도에 도시된 직교축 시스템)에 도시된 위치에 대하여 Z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 섹션의 포커스 위치를 도시한다. 상기 트랙킹 코일(115a,115b)이 여기될때, 코일(115a,115b)을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I)를 발생시키고, 2 개의 대향 토오크는 도시된 포커스 위치에서 렌즈를 운반하는 가동 섹션에서 발생된다. Y 축에 대한 제 1 토오크(M1)는 코일(115a,115b)의 코일부 (115a2,115a3)와 코일부(115b2,115b3)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트랙킹 코일이 자기극(27a,27b)의 자기장내에 비대칭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코일부(115a2,115a3; 115b2 및 115b3)는 Z 축에 평행하게 배향된 2개의 직접 대향된 합성력을 발생한다. Y 축에 대하여 작용하고 제 1 토오크에 대향된 제 2 토오크는 상기 트랙킹 코일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될 때 발생되고, 즉, 제 4 도에 도시된 중앙 위치에서의 상황과는 반대로 X 축에 평행하게 발생된 합성 작동력은 가동 섹션의 질량 중심을 정확히 통과하여 연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놀랍게도 상기 실시예에서, 2 개의 토오크는 서로에 대하여 대향할 뿐 아니라 절대크기가 같다는 것이 밝혀졌고, 그래서 실질적인 목적에서 기본으로 교란시키는 토오크는 서로에 대하여 상쇄되고, 상기 토오크는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Claims (7)

  1. 프레임(3)을 갖는 정지 섹션(1)과, 렌즈(7)를 가지며 제 1 축(z)과 상기 제 1 축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제 2 축(X)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동 섹션(5)을 구비하며, 제 1 작동 수단과, 공기 갭(11)을 경유하여 상기 제 1 작동 수단과 자기적으로 함께 작용하기에 적합한 제 2 작동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 수단중의 하나는 제 1 축(Z)을 따라 상기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한개의 포커싱 코일(13)과 2개 쌍의 트랙킹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킹 코일의 쌍은 2쌍 사이에 배치된 렌즈를 상기 제 2 축(X)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며, 각 쌍의 트랙킹 코일은 제 2 축(X)에 평행한 선(19, 21)을 따라 배치되고 제 1 축(Z)과 제 2 축(X)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코일 축(23a, 23b)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수단중의 다른 하나는 자석을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에 있어서, 자기극(27a, 27b; 29a, 29b)의 한쌍은 렌즈(7)의 대향측부에 정렬되고, 상기 자기극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축(X)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경계 평면(31, 3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의 중앙 위치에서, 각각의 자기극은 단지 하나의 트랙킹 코일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트랙킹 코일은 상기 경계 평면(31, 32) 사이에서만 위치되고, 상기 자기극은 서로 대면되어 있고 제 1 축(Z)과 제 2 축(X)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에 횡방향으로 배향된 영역(39, 41)을 경계지우며, 상기 트랙킹 코일의 코일부(15a1, 15b1, 17a1, 17b1)는 상기 영역(39, 41)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코일(15a, 15b, 17a, 17b)은 굽혀져 있으며, 상기 코일부(15a1, 15b1, 17a1, 17b1)는 자기극의 대향 표면(35a, 35b; 37a, 37b) 사이 만큼 멀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 코일(15a, 15b; 17a, 17b)은 가동 섹션(5)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자기극(27a, 27b; 29a, 29b)은 정지 섹션(1)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 수단과 제 2 작동 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작동 수단은 렌즈(7)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스캐닝 장치와, 상기 스캐닝 장치를 운반하는 미끄럼부(43)와, 상기 미끄럼부를 안내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광학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턴 테이블(47)과, 광축(7)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스캐닝 장치의 프레임(3)의 고착된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플레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2 개의 브레이드-스프링형(blade-spring like) 지지 요소(49, 51)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요소는 미끄럼부(43)에 연결된 고정 단부와,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된 스캐닝 장치의 프레임(3)을 지지하는 자유단부를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플레이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장치의 가동 섹션(5)은 현수부(suspension)에 의하여 미끄럼부(43)에 고착되며, 상기 현수부는 제 1 축(Z)에 평행하게 그리고 제 2 축(X)에는 횡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평행한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53, 5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제 1 축(Z)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 2 축에 평행한 축에 탄성적으로 편향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축(Z)에 평행한 축에 탄성적으로 트위스트되는 2개의 이격되어 신장된 제 1 요소(57, 59)와, 상기 2개의 제 1 요소를 서로에 대하여 결합하는 2개의 이격되며 신장된 강체의 제 2 요소(61, 63)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제 1 요소중의 하나는 2개의 제 2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미끄럼부에 고착되는 중앙부(59a)를 가지며, 다른 제 1 요소는 제 2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스캐닝 장치의 가동 섹션에 고착되는 중앙부(57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플레이어.
KR1019930028171A 1992-12-17 1993-12-17 스캐닝장치및스캐닝장치를포함하는광학플레이어 KR100295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2203983.9 1992-12-17
EP92203983 1992-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052A KR940016052A (ko) 1994-07-22
KR100295972B1 true KR100295972B1 (ko) 2001-10-24

Family

ID=8211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171A KR100295972B1 (ko) 1992-12-17 1993-12-17 스캐닝장치및스캐닝장치를포함하는광학플레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79295A (ko)
EP (1) EP0602720B1 (ko)
JP (1) JPH06295449A (ko)
KR (1) KR100295972B1 (ko)
DE (1) DE69318683T2 (ko)
MY (1) MY109874A (ko)
TW (1) TW257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3123B1 (en) * 1993-02-22 2000-0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ading information by means of a radiation beam, plate-shaped element suitable for use in the device, and disc player comprising the device
EP0788095B1 (en) * 1996-01-31 2004-03-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lens actuator
US6501726B1 (en) * 1999-07-14 2002-12-31 Acute Applied Technologies, Inc. Magnetic coil actuator
TWI269275B (en) * 2000-11-01 2006-12-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scanning device comprising a tiltable lens system
JP4666236B2 (ja) * 2008-06-09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5907048B2 (ja) * 2012-12-07 2016-04-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光走査装置
US9418744B2 (en) 2014-05-12 2016-08-16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reduce disturbances during programming of flash memory cel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927A (en) * 1980-07-09 1982-02-03 Olympus Optical Co Ltd Objective lens driver
FR2522861B1 (fr) * 1982-03-02 1988-01-08 Thomson Csf Tete optique d'ecriture-lecture d'un disque optique et dispositif optique associe a une telle tete
US4553227A (en) * 1982-04-23 1985-11-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Optical pickup
DE3315848A1 (de) * 1983-04-30 1984-10-31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Aktuatorvorrichtung an schreib- und lesegeraeten zur staendigen korrektur der raeumlichen stellung eines schreib- oder lesemittels, insbesondere eines strahlenbuendels
NL8304141A (nl) * 1983-12-01 1985-07-01 Philips Nv Electro-optische inrichting voor de electro-dynamische regeling van de positie van een stralingsvlek.
US4696566A (en) * 1984-02-08 1987-09-29 Sharp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driving arrangement
DE3574302D1 (en) * 1984-10-02 1989-12-21 Toshiba Kk Optical hea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JPS6222246A (ja) * 1985-07-22 1987-01-30 Fuji Elelctrochem Co Ltd 光学ヘツド用内磁型アクチユエ−タ
JPS6369028A (ja) * 1986-09-09 1988-03-29 Sharp Corp 光ヘツド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3257927A (ja) * 1987-04-15 1988-10-25 Pioneer Electronic Corp ピツクアツプアクチユエ−タ
US5012335A (en) * 1988-06-27 1991-04-30 Alija Cohodar Observation and recording system for a police vehicle
US5105419A (en) * 1988-10-20 1992-04-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rriage assembly
JP2684762B2 (ja) * 1989-04-20 1997-12-03 ソニー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124965A (en) * 1989-09-28 1992-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supporting apparatus
KR950013703B1 (ko) * 1991-05-13 1995-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DE69313536T2 (de) * 1992-07-01 1998-03-05 Philips Electronics Nv Elektrooptische Abtasteinrichtung und mit der Abtasteinrichtung versehener Spie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052A (ko) 1994-07-22
DE69318683T2 (de) 1998-12-03
EP0602720B1 (en) 1998-05-20
EP0602720A1 (en) 1994-06-22
TW257865B (ko) 1995-09-21
MY109874A (en) 1997-09-30
US5579295A (en) 1996-11-26
DE69318683D1 (de) 1998-06-25
JPH06295449A (ja) 199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904A (en) Lens driving device for an optical pickup unit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KR0185972B1 (ko) 광 픽업 헤드 장치
JPH03203032A (ja) 光学系移動装置
US5293363A (en) Optical head apparatus with light weight movable lens holder
KR100295972B1 (ko) 스캐닝장치및스캐닝장치를포함하는광학플레이어
US4553227A (en) Optical pickup
US4862441A (en) Carriage assembly
US4823219A (en) Carriage recording head sandwiched by electromagnetic coil sections
EP0486275B1 (en) Objective lens driver
JP2793069B2 (ja) 光学系駆動装置
US5745447A (en) Three-axis moving actuator for optical pick-up
KR20010094007A (ko) 광 픽업 엑츄에이터
US5524004A (en) Suspension for the optical head of a disc scanner with mechanical limiting of objective lens
KR20040097352A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용 판독/기록 헤드와, 이 판독/기록헤드를 구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6996039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JP2642624B2 (ja) 対物レンズ支持装置
JPH01258236A (ja) 光学系駆動装置
EP0618570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ading information by means of a radiation beam
KR20020007459A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KR19990057681A (ko) 광픽업용 대물렌즈 구동장치
US8171506B2 (en) Optical-system driving device effecting switchover between objective lenses for achieving focal spots
KR100354063B1 (ko) 픽업액츄에이터
KR100219676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JPH053056B2 (ko)
JPH05166212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