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555B1 -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표시시스템, 데이터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표시시스템, 데이터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555B1
KR100295555B1 KR1019990002076A KR19990002076A KR100295555B1 KR 100295555 B1 KR100295555 B1 KR 100295555B1 KR 1019990002076 A KR1019990002076 A KR 1019990002076A KR 19990002076 A KR19990002076 A KR 19990002076A KR 100295555 B1 KR100295555 B1 KR 10029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displayed
input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091A (ko
Inventor
노무라다카시
나가토모쇼이치
Original Assignee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가즈오,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 가즈오
Publication of KR1999006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9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other provisions not elsewher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2Access augmentation or optimi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10S707/99934Query formulation, input preparation, or trans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15/00Data processing: presentation processing of document, operator interface processing, and screen saver display processing
    • Y10S715/961Operator interface with visual structure or function dictated by intended use
    • Y10S715/965Operator interface with visual structure or function dictated by intended use for process control and configuration
    • Y10S715/966Computer process, e.g. operation of computer
    • Y10S715/968Computer process, e.g. operation of computer interface for database querying and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데이터통신 기능을 갖는 데이터처리장치(휴대용 단말장치)는 안테나(11), 수신기(12) 및 식별 데이터와 함께 메세지를 입력하는 복호기(13), 복수의 입력 메세지를 기억하기 위한 RAM(15) 및 입력 메세지에 부여된 식별 데이터를 기초로, 이전에 RAM(15)에 기억된 메세지로부터 동일한 식별 데이터를 갖는 메세지를 검색하며, 표시부(19)에서의 표시부구동장치(18)에 의한 검색 결과와 입력 메세지를 표시하며, 표시된 검색 결과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지정하는 키 작동이 키 입력부(21)에서 수행될 때 표시부(19)에서 표시부구동장치(18)에 의해 지정된 메세지를 다시 표시하는 CPU(17)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세지와 이 메세지 내용과 관련된 다른 데이터가 단순 입력 작동에 의해 표시된다.

Description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표시시스템, 데이터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ISPLAY SYSTEM, DATA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장치, 데이터 표시시스템, 데이터 표시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데이터 통신 기능을 지닌 데이터 처리장치와 데이터 표시시스템, 그리고 데이터 처리장치와 데이터 표시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 노트북 기능을 지닌 페이징 수신기(paging receiver)로 나타내지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지닌 데이터 처리장치가 대중화되고 있다.
이같은 기능을 지닌 데이터 처리장치는 휴대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많은 키와 큰 표시화면을 구비하고 있고, 전자노트북으로써의 다양한 형태의 기능(전화디렉토리, 스케줄, 메모 등), 한자 등을 포함한 긴 메세지를 생성하는 메세지 생성기능, 및 유/무선모뎀과 적외선 또는 DTMF 신호출력에 의한 데이터 통신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표시화면은 종래의 페이저와 비교해 크므로 긴 메세지를 한번에 완전히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기능을 전자우편의 통신에 응용할 경우, 수신한 전자우편의 메세지 표시화면으로부터 필요한 키작동을 수행함으로써, 메세지 데이터에 포함된 문제와 관련있는 메세지 또는 데이터를 송신한 송신자와 관련있는 개인데이터의 표시에 이 표시를 시프트하는 기능을 지닌 또 다른 휴대용 데이터 처리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수신한 메세지의 표시로부터, 수신한 메세지와 관련있는 또다른 데이터의 표시화면으로의 시프트는 다른 데이터와 관련있는 모드(mode)로의 시프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표시의 각 시프트에 대해 CPU는 다른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시동(start-up)해야 한다.
최근 이같은 처리속도를 이루기 위하여, 시동시간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이 응용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머물도록 만드는 방법이 또한 채택되었지만, 복수의 관련 데이터의 표시를 시프트할 때 복수의 대응 응용소프트웨어가 머물러야 해 CPU의 처리에 대한 로드(load)는 매우 크다.
따라서, 복수의 작동 응용소프트웨어가 제공될지라도 이상에서와 같은 표시시프트 기능이 CPU의 성능, 휴대용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표시성능 및 작동환경에 따라 항상 쉽게 작동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세지의 내용과 관련있는 다른 데이터를 내부처리에 어떠한 로드도 주지않고 간단한 작동으로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기능을 지닌 데이터 처리장치, 데이터 표시시스템, 또는 데이터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제1기억수단,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입력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1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탐색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식별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추가된 식별데이터(identificationdata)를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수단,
원하는 관련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제1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식별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관련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하여 제1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제1기억수단,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검출수단으로 검출한 입력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1기억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탐색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식별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추가된 식별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수단,
원하는 관련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제1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식별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관련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하여 제1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표시시스템이 제공된다.
식별데이터는 식별번호이다.
제1기억수단은 입력데이터의 유형(type)을 정의하는 유형데이터를 기억하기위한 제2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제2표시수단은 식별데이터로써 유형데이터를 표시한다.
데이터 처리장치 또는 데이터 표시시스템은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고 복수 유형의 관련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데이터 항목을 기억하는 제3기억수단,
제2표시수단으로 표시한 관련데이터의 편집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
명령수단에 의해 편집이 명령된 관련데이터의 유형을 판별하기 위한 수단 및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관련데이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제3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이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관련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표시수단은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윈도우(window)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제어수단은 제1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식별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관련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장치 또는 데이터 표시시스템은 제2표시수단으로 표시한 관련데이터의 편집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과, 제2표시수단으로 표시한 관련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장치 또는 데이터 표시시스템은 통신망에 접속하고 검출수단이 이 통신망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기억수단은 복수의 데이터항목과 탐색수단으로 탐색한 대응하는 키워드데이터를 기억하고, 탐색수단은 입력데이터가 키워드를 포함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1기억수단은 복수의 데이터항목과, 이 데이터의 항목이 관련데이터로써 표시될 데이터임을 가리키는 대응 정보데이터를 기억하고, 탐색수단은 정보데이터에 의해 관련데이터로써 표시될 데이터를 가리키는 데이터의 항목을 탐색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에 접속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매체 및 이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입력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탐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식별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추가된 식별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식별데이터중에서 원하는 관련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및
제1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선택수단으로 선택한 식별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관련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하여 제1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한다.
본발명에 따라 최소한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이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구비한 장치의 데이터 표시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데이터의 입력과 표시수단에 의한 입력데이터의 표시를 검출하는 단계,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탐색하는 단계,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식별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련데이터에 추가된 식별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식별데이터중에서 원하는 관련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식별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관련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하여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과 장점은 다음 설명에서 진술하고, 일부분은 이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또는 본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배우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특히 이후에 지적된 수단 및 이의 결합으로 실현하고 얻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분에 통합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수반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이하에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회로배치를 도시하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RAM의 메모리 영역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수신 메세지 메모리영역 R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전화번호 디렉토리 메모리영역 TL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스케줄 데이터 메모리영역 SC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의 메모 데이터 메모리영역 M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CPU내의 레지스터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라 메세지를 수신할 때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라 메세지를 수신할 때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해 수신 메세지 메모리영역 RM의 저장된 내용의 변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해 CPU내의 레지스터에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한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한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로배치를 도시하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15는 도 14의 RAM의 메모리영역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5의 데이터 관리 메모리영역 D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고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5의 수신 메세지 메모리영역 R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고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5의 전화번호 디렉토리 메모리영역 TL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5의 스케줄 데이터 메모리영역 SC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5의 메모 데이터 메모리영역 M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2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해 수신 메세지 메모리영역 RM의 저장된 내용의 변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해 데이터 관리 메모리영역 DM의 저장된 내용의 변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한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한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제2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1은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관리 메모리영역 DM의 또 다른 배치 및 다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응용프로그램 메모리(162)에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제3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수신메세지 메모리영역 R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은 제3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전화번호 디렉토리 메모리영역 TL'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제3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스케줄 데이터 메모리영역 SC'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제3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메모 데이터 메모리영역 M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7은 제3실시예에 따라 도 15의 데이터 관리 메모리영역 DM'의 배치 및 그 저장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작동에 의한 표시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페이징 수신기 11: 안테나 12: 수신기 13: 복호기
14: ID-ROM 15: RAM 16: ROM 17: CPU
18: 표시부구동장치 19: 표시부 20: 경보구동장치 21: 키입력부
22: 스피커 23: LED 24: 바이브레이터 25: IF
131: 디-인터리빙회로 132: 버퍼메모리
133: 오류정정회로 134: 주소데이터조합회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처리장치, 데이터 표시시스템 및 데이터 표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수반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이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전자노트북 기능을 구비하고 통신표준 RCRTSD-43에 따르는 페이징 수신기에 본 발명을 응용하는 경우의 제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회로배치를 도시한다.
페이징 수신기(1)는 안테나(11), 수신기(12), 복호기(decoder, 13), ID-ROM(14), RAM(15), ROM(16), CPU(17), 표시부구동장치(display driver, 18), 표시부(19), 경보구동장치(20), 키입력부(21), 스피커(22), LED(23), 바이브레이터(24) 및 IF(인터페이스, 25)를 포함한다. 복호기(13), ID-ROM(14), RAM(15), ROM(16), CPU(17), 표시부구동장치(18), 경보구동장치(20), 키입력부(21) 및 IF(25)는 버스선(B)에 의해 접속된다. 표시부(19)는 예를 들어 표시부구동장치(18)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스피커(22), LED(23) 및 바이브레이터(24)는 경보를 내기 위해 경보구동장치(20)에 의해 구동된다.
안테나(11)는 무선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터(프레임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수신기(12)에 출력한다. 수신기(12)는 복호기(13)에 접속되고, 이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검출하기 위하여 이 복호기(13)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기초로 구동된다. 수신기(12)는 데이터내에 동기부(synchronus portion)를 수용함으로써 2진레벨변조 및 4-레벨변조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를 각각 출력한다.
복호기(13)는 디-인터리빙회로(de-interleaving circuit, 131),버퍼메모리(132), 오류정정회로(133) 및 주소데이터조합회로(address data collating circuit, 134)를 포함한다.
수신기(12)로부터 입력된 2진레벨변조된 디지털데이터 또는 4-레벨변조된 디지털데이터는 8비트의 병렬데이터속에 재배치되고 버스선(B)에 출력된다.
주소데이터조합회로(134)에 의해 수신된 주소데이터 및 미리 ID-ROM(14)에 등록되어 있는 주소데이터는 조합된다. 이 일치가 검출될 때 주소데이터조합회로 (134)는 수신기(12)에 명령을 내려 수신작동을 계속한다.
복호기(13)내의 디-인터리빙회로(131)는 변조모드 및 수신된 신호의 전송속도에 기초하여 수신기에 의해 얻은 병렬데이터를 재배치하거나 디-인터리브하고, 일 프레임 데이터를 얻는다. 이렇게 얻은 데이터는 버퍼메모리(132)에 임시로 기억된다. 일 프레임 데이터의 BCH 코드는 오류정정을 하기 위해 추가로 복호화된다. 송신자코드(송신자의 전화번호의 아래쪽 4자리숫자의 수치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세지데이터는 추출된다.
ID-ROM(14)은 페이징 수신기(1)로 수신한 32비트의 주소데이터(부호어), 3비트의 벡터형데이터, 다양한 설정내용, 표시제어의 내용, 호출번호 등의 프레임 번호(No.)를 조합된 방법으로 기억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RAM(15)은 복수의 메모리영역 즉, 수신된 메세지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메세지영역 RM, 전화번호 및 이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개인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스케줄데이터영역 SC, 전자노트북의 기능으로써 메모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데이터영역 MM 및 비어있는 영역을 포함한다. RAM(15)은 EEPROM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용은 키입력부(21)등에 제공된 전력공급기의 작동에 따른 전력의 공급상태에 관계없이 계속 기억된다.
그 저장된 내용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메세지영역 RM은 각각 기억주소, 수신주소, 수신된 메세지내용, 송신자 코드플래그, 송신자코드(전화번호의 아래쪽 4자리숫자) 및 수신일시(reception day and time)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송신자를 표현하는 4자리숫자의 수치데이터가 특정마크 예를 들어 '] ]'와 함께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끝에 추가로 설정되고, 이 수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름이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에 등록되는 경우에, 송신자 코드플래그는 '1'로 설정된다. 이 송신자 코드플래그가 '1'로 설정될 때 추가로 설정된 4자리숫자의 수치데이터는 송신자코드로 설정된다.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은 그 저장된 내용이 도 4에 도시되고, 이는 각각 기억주소, 전화번호, 이름 및 사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인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가나(일본문자)/한자, 알파뉴메릭 문자 등을 포함하는 문자열은 키입력부(21)의 키보드(211)로부터의 데이터입력이나 IF(25)로부터의 데이터입력에 따른 문자데이터로써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에 기억된다. 사적인 데이터는 예를 들어 주소, 생일, 사무실 등을 임의의 문자열에 의해 설정하도록 배치된다.
스케줄데이터영역 SC은 그 저장된 내용이 도 5에 도시되고, 이는 각각 기억주소, 일시(day and time), 스케줄내용, 및 경보작동을 할지 안할지를 보여주는 경보설정플래그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케줄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키입력부(21)의 키보드(211)로부터의 데이터입력이나 IF(25)로부터의 스케줄 데이터입력은 스케줄데이터영역 SC에 기억된다.
메모데이터영역 MM은 그 저장된 내용이 도 6에 도시되고, 이는 각각 기억주소, 제목 및 메모내용을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키입력부(21)의 키보드(211)로부터의 메모 데이터입력이나 IF(25)로부터의 메모 데이터입력은 메모데이터영역 MM에 기억된다.
ROM(16)은 CPU(17)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과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EEPROM을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들 각각의 프로그램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는 키입력부(21)의 키보드(211)로부터의 데이터입력을 기초로 작동모드(전화번호 디렉토리모드, 스케줄모드 및 메모모드)를 위한 시프트제어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뷰어(viewer)(각 모드에 등록된 데이터의 표시를 위해서만 로드되는 응용프로그램중의 하나이며, 이 뷰어가 작동할 때 입력/편집은 불가능하고, 단말장치의 시동시에 뷰어는 비교적 작은 로드를 작업메모리에 주어서 로드된다), 및 가나-한자, 알파뉴메릭 문자 등을 표시하는 문자발생기(161)를 포함하고, 이들을 키입력부(21)에 제공된 키보드(211)로부터의 데이터입력을 기초로 RAM(15)의 전자노트북기능을 위한 영역에 기억시킨다.
CPU(17)는 클록(171), 카운터(172), 타이머(173), 레지스터(174), 작업메모리(175) 및 응용로더(application loader, 176)을 포함하고 있고, ROM(16)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페이징 수신기(1)의 전체작동을 제어하고, 추가로 이후에 설명할 데이터의 기억 및 표시작동을 제어한다.
클록(171)은 항상 현재시간을 계수하고, 각각 조합방법으로 기억되어 있는 메세지데이터의 수신일시, 다른 모드의 등록시간, 스케줄데이터의 시작/끝 시간 등을 검출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레지스터(174)는 복수의 데이터 세트를 기억하며, 여기서 일세트의 데이터는 수신된 메세지 및 관련 메세지데이터의 계수값으로부터 검출한 송신자코드에 대응하는 송신자의 이름으로 만들어지고, 이후 설명할 표시 시프트키에 의한 키작동의 시간의 개수 및 일세트로써 판독된 주소를 추가로 기억한다.
또한 응용로더(176)는 모드시프트명령이 키입력부(21)로부터 검출될 경우에 대응하는 응용소프트웨어 및 뷰어를 ROM(16)으로부터 CPU(17)의 작업메모리(175)로 로드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표시부구동장치(18)는 수신된 메세지 및 다른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9)를 구동한다.
경보구동장치(20)는 음으로 메세지의 수신을 알리는 스피커(22), 빛 또는 플래시로 메세지의 수신을 알리는 LED(23) 및 진동으로 메세지의 수신을 알리는 바이브레이터(24)를 CPU(17)의 제어하에 구동한다.
키입력부(21)는 전력공급기키, 모드시프트키, 리셋키 및 표시화면을 변경하기 위한 표시시프트키 뿐만아니라 가나-한자 및 알파뉴메릭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다양한 유형의 문자입력키를 포함하는 키보드(211)를 구비하고 있다.
IF(25)는 CPU(17)로부터의 제어를 기초로 송신매체로써 데이터 케이블, 적외선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외부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송신하는 회로이고, 송신데이터 및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8 및 9는 그 기기자체로의 메세지데이터가 수신되고, 이 수신된 데이터가 기억되어 결국엔 필요시에 표시되고 보고되는 CPU(17)에 의한 이런 일련의 처리내용을 보여준다. 처음에 프레임번호 및 ID-ROM(14)에 기억된 주소데이터를 따르는 일프레임의 데이터는 수신된 전파와의 동기를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상태에서 복호기(13)로 받아들여진다(단계 S01).
복호기(13)에 받아들여진 데이터는 복조되어 데이터처리 (버퍼메모리(132)에 일시 기억, 디-인터리빙회로(131)에 의한 수신된 데이터의 재배치, 오류정정회로 (133)에 의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처리, 및 주소데이터조합회로(134)에 의한 주소데이터의 일치 결정요소)를 실행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메세지필드에 있는 메세지데이터는 RAM(15)의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된다.
앞에서 언급한 특정마크 '] ]' 및 송신자를 보여주는 4자리숫자의 수치데이터가 메세지데이터의 끝에 추가될 경우, '1'은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의 대응하는 송신자 코드플래그에 설정되고, 송신자코드로써 4자리숫자의 수치데이터를 설정한 후 전화번호의 아래쪽 4자리숫자를 따르는 개인데이터는 4자리숫자의 이 수치코드를 이용하여 RAM(15)의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으로부터 검색되고(단계 S02), 대응하는 송신자의 개인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안하는지가 결정된다(단계 S03).
도 10은 새롭게 수신한 메세지데이터가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여기서 기억주소 '400'에, 수신된 메세지내용이 '나는 회의보고서의 초고를 작성했다'인 메세지데이터가 CPU(17)내의 클록(171)으로 얻은 수신일시 '97.11.15 17:00'와 함께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로써 기억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송신자코드플래그는 '1'로 설정되고, 4자리숫자 '4321'의 수치데이터는 송신자코드에서 설정되므로, 송신자코드는 수신된 메세지에서 '나는 회의보고서의 초고를 작성했다'의 메세지 내용을 따라 추가로 설정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자코드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에 기억되어 있는 개인데이터의 전화번호의 아래쪽 4자리숫자를 검색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송신자의 개인데이터 즉, 기억주소 '1100', 전화번호 '098-765-4321', 이름 '다로 노무라' 및 사적인 데이터 '사적인 데이터2(내용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는 기억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단계 S03에서 대응하는 송신자의 개인데이터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면, 송신자와 관련있는 이 데이터는 키워드로써 송신자코드 '4321' 및 이름 '노무라'와 '다로 노무라'를 이용하여 도 3 내지 6에 도시된 RAM(15)의 모든 화일데이터로부터 검색되고, 검색결과로써 따르는 데이터의 기억주소는 판독주소로써 CPU(17)내의 레지스터(174)에 기억된다. 그 동안 데이터의 항목 개수는 CPU(17)내의 카운터(172)로 계수되어, 표시되는 윈도우의 항목 개수는 결정되고, 레지스터(174)에 기억된다.또한 검색결과로써 따르는 데이터가 있음을 검출하기 때문에, 응용로더(176)는 ROM(16)으로부터 뷰어를 판독하고 이를 작업메모리(175)에서 로드시킨다(단계 S05).
도 11은 이 순간에 CPU(17)내의 레지스터(174)의 기억상태를 도시한다. 검출된 송신자코드'4321' 및 송신자이름'다로 노무라'는 관련데이터의 계수값'4'와 함께 기억되고, 판독주소로써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되어 있는 최근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기억주소'400'와, 검색하여 얻은 관련데이터의 각각의 기억주소 '100', '1100', '2300', '8100'는 기억된다.
이 경우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와 검색하여 얻은 관련데이터의 계수값'4'를 합계하여, 데이터의 항목개수 즉, 표시되는 윈도우의 항목개수는 '5'가 되므로, 각각의 판독주소에 대응하는 키입력부(21)의 표시시프트키의 키작동 횟수는 각각 '5N(N은 자연수)', '5N + 1', '5N + 2', '5N + 3', '5N + 4'의 '5'의 나머지수이다.
그후 CPU(17)내의 타이머(173)에 의해 알리는 수신의 특정시간의 클로킹 (clocking)을 시작하는 동안(단계 S06), 미리 설정된 스피커(22), LED(23) 및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는 메세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하여 경보구동장치(20)에 의해 구동된다. 동시에 머리부분 끝이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윈도우인 이 표시는 표시부구동장치에 의해 표시부(19)에서 실행된다(단계 S07).
도 12는 이 순간의 표시부(19)의 표시화면을 도시하고, 메세지내용 '나는 회의보고서의 초고를 작성했다', 송신자 '다로 노무라' 및 수신일시 '97.11.15 17:00'가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로써 지적되어 있는 이러한 이미지를,라벨표시섹션(191)상에 표시된 '1' 내지 '5'의 헤딩(heading)을 갖고 있는 5개의 카드중에서 '1'의 헤딩을 갖고 있고 머리부분 끝에 위치한 카드(윈도우표시유형)상에 나타낸다.
이 경우 도시한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는 레지스터(174)에 기억되어 있는 키작동의 횟수'5N'에 대응하는 판독주소'400'를 기초로 RAM(15)의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서 판독된다.
이 표시후에 키입력부(21)의 키중 어떤 키라도 작동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08), 또는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receiving report)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마쳤는지 아닌지(단계 S11)를 반복하여 결정함으로써, 표시시프트키의 작동과 타이머(173)의 시간종료(time up)는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08에서 키입력부(21)의 키중 어떤 키라도 작동되었다고 결정할 경우, 이는 키작동이 수신보고서를 실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내에 실행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타이머(173)에 의한 클로킹작동을 리셋(단계 S09)한 후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되고, 동시에 작동된 키가 표시시프트키일 경우에만 이 표시시프트키의 작동횟수에 대응하는 판독주소는 레지스터(174)로부터 얻어지고, 뷰어는 대응하는 기억주소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신된 메세지영역 RM,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영역 SC 및 메모데이터영역 MM중 어느 하나로부터 판독하고, 단계 S07에서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표시상태로부터 이 상태를 시프트하여 데이터를 표시하고(단계 S10), 이 처리과정은 종료한다.
도 13은 키입력부(21)의 표시시프트키가 도 12에 도시한 표시화면의 상태로부터 연속으로 2번 작동되는 경우의 표시화면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전화번호 '098-765-4321', 이름 '다로 노무라' 및 사적인 데이터 '사적인 데이터2'가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로부터 판독된 개인데이터로써 지적되어 있는 이 이미지는 라벨표시섹션(191)상에 표시된 '1' 내지 '5'의 헤딩을 갖고 있는 5개의 카드중에서 '3'의 헤딩을 갖고 있는 카드상에 도시된다.
여기에 표시되어 있는 개인데이터는 레지스터(174)에 기억되어 있는 키작동의 횟수'5N + 2'에 대응하는 판독주소'1100'를 기초로 판독된다.
또한 단계 S11에서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를 실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마쳤다고 결정할 경우, 이는 수신보고서를 실행하기 위한 특정시간이 키입력부(21)의 어떠한 키작동도 수행되지 않고 있을 동안 경과함을 의미하므로,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된다. 동시에, 이 시간까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표시부(19)의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표시는 중지되고(단계 S12), 이 처리과정은 종료한다.
또한 단계 S03에서 대응하는 송신자의 개인데이터가 없다고 결정할 경우, 이는 전화번호의 아래쪽 4자리숫자는 RAM(15)의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으로부터의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에 추가되고 설정된 4자리숫자의 수치코드를 따르는 개인데이터가 없음을 의미하거나, 또는 원래 4자리숫자의 수치코드는 이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에 추가되고 설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어떤 경우든 송신자는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에 기억되어 있는 개인데이터로부터 구체화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CPU(17)내의 타이머(173)에 의해 수신보고서의 특정시간의 클로킹은 시작되고(단계 S13), 그 동안에 메세지수신의 존재는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보고되고, 동시에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표시는 표시부구동장치(18)에 의해 표시부(19)에서 수행된다(단계 S14).
이 순간에 도 12에 도시된 표시내용으로부터 라벨표시섹션(191)상의 '1' 내지 '5'의 헤딩을 갖고 있는 5개의 카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제거하여 만든 오직 3줄의 문자부(character portion)만이 표시부(19)에 도시된다.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표시후에, 키입력부(21)의 어떠한 키라도 작동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15), 또는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냈는지 아닌지(단계 S18)를 반복하여 결정함으로써, 키작동 및 타이머(173)의 시간종료는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키가 작동된다고 결정할 경우, 이는 키작동이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내에 수행되었음을 의미하므로, 타이머(173)에 의해 클로킹작동을 리셋(단계 S16)한 후에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된다. 동시에, 단계 S14에서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표시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이 처리과정은 종료된다.
또한 단계 S18에서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냈다고 결정할 경우, 이는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한 특정시간이 키입력부(21)의 어떠한 키작동도 수행하지 않고 경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된다. 동시에, 이 시간까지 표시부(19)의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표시는 중지되고(단계 S19), 이 처리과정은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다른 모드의 윈도우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뷰어프로그램을 시동하여 볼 수 있다. 그러나, 뷰어의 실행하에 윈도우데이터를 입력/편집하기란 불가능하다. 윈도우데이터를 입력/편집하기 위하여 반드시 뷰어를 중지하고 다른 모드로 시프트해야 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시동할 수 있고 라벨표시섹션(191)을 건드려(touching)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판독모드로부터 각 모드로 직접 시프트할 수 있다.
전자노트북 기능을 구비하고 이 표준 RCRTSD-43에 따르는 페이징 수신기에 본 발명을 응용하는 경우의 제2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14는 제2실시예의 회로배치를 도시하고, 이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근본적으로 비슷하므로 동일 부호를 동일한 부분에 적용하고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입력부(21)는 표시부(19)상의 일부분으로써 제공된 터치패널(touch panel)과 이에 관한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손가락, 특수한 스타일러스펜(stylus pen, 212) 등을 이용한 터칭동작으로 원하는 문자, 숫자, 상징 등의 입력과, 다양한 유형의 기능의 설정, 실행, 선택적인 상술 등을 표시부(19)에 도시한 키보드(211) 등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상술, 기록동작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전송버퍼(26)는, 각 모드(특히 메모모드)에 새롭게 생성되고 등록된 데이터의 전송명령이 키입력부(21)로부터 검출되는 경우, 데이터를 송신의 통신망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변경하고 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송신기(27)는 전송버퍼(26)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출력하는 회로이고, 일예가 모뎀(유/무선타입 모두를 포함), 다이얼러(dialer), 또는 적외선 출력섹션이다.
기억매체구동장치(28)는 휴대용기억매체(29)(반도체메모리,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광학자기디스크 등을 포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데이터를 휴대용기억매체(29)에 기록하기 위한 장치이다.
RAM(15)은 예를 들어 EEPROM을 포함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데이터처리 동안 사용된 작업영역 WHA, 이후 설명할 데이터관리영역 DM,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된 메세지영역 RM, 전화번호를 포함한 복수의 개인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스케줄데이터영역 SC 및 메모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데이터영역 MM을 포함한다. 각 영역의 주소범위는 도면에 도시되고, 이에 관한 내용은 전력공급기 등의 공급상태에 관계없이 계속 기억된다.
데이터관리영역 DM은 메세지 수신시의 처리가 종료했을지라도 메세지데이터와 각 모드데이터간의 조합을 기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관리영역 DM은 4영역 즉 DMA, DMB, DMC 및 DMD을 포함하고, 추가로 윈도우표시동안 표시정보(라벨표시섹션(191)의 아이콘그림) 등을 기억한다.
영역 DMA는 데이터의 윈도우표시동안 관리영역과 함께 각 윈도우의 라벨표시섹션(191)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그림을 기억하고, 수신된 메세지를 표시할 때에 뷰어는 각 윈도우의 라벨표시섹션(191)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을 건드려 구체화함으로써 대응하는 윈도우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표시한다.
또한 라벨표시섹션(191)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을 연속 두번 건드려 구체화하는 경우, 응용로더(176)는 뷰어(163)외에 ROM(16)의 응용프로그램메모리(162)로부터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를 작업메모리(175)에 로드시킨다. 그리고, 윈도우표시를 계속 유지하는 동안(즉, 뷰어보다 먼저 로드시킴으로인해 다른 모드의 관련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는 동안) 데이터의 참고/입력/편집/삭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신된 메세지의 표시로부터 각 모드의 실행상태로의 시프트는 수행된다.
영역 DMB는 메세지데이터를 수신할 때 검색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데이터를 기억하고, 제1실시예에서는 송신자의 이름을 표시하여 송신자코드의 4자리숫자를 단순히 검색하는 것이 수행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수신일시 또는 특정문자열을 지닌 키워드의 데이터에 의한 검색이 또한 가능하고, 검색용 데이터는 적절히 입력되고 설정될 수 있고, 검색의 실행/비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플래그(F1)는 이를 위해 기억된다.
영역 DMC는 메세지데이터, 각 모드데이터에 공통인 관련키워드, 수신된 메세지의 윈도우표시의 윈도우개수를 보여주는 관련데이터의 개수, 및 이후에 설명할 관련데이터기억주소와의 데이터 링크를 정의하는 대응하는 주소 LA를 수신할 때 영역 DMB(하지만 이 영역은 송신자의 이름을 표시하는 경우에만 사용된다)를 이용한 검색의 결과로써 검출된 데이터를 조합상태로 기억하는 영역이다.
영역 DMD는 영역 DMC의 대응하는 주소 LA와 링크된 각 모드의 관련데이터의 기억주소를 기억하고, 이 동안에 각 데이터와 조합된 상태로 윈도우표시를 하는 동안 데이터의 윈도우표시의 실행/비실행을 정의하는 표시플래그(F2)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은 그 기억된 내용이 도 17에 도시되고, 이는 기억주소, 수신주소, 수신된 메세지내용, 수신일시, 플래그(F30) 및 플래그(F31)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플래그(F30)는 관련데이터로써 윈도우표시의 등록을 수행해야 하는지 아닌지의 결정을 제어하는데 이용되고, '1'은 윈도우표시의 허락을 보여주고, '0'은 윈도우표시의 금지를 보여주고, 이는 각 모드로 수신된 메세지 표시시에 윈도우표시와 관련된 설정/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플래그(F2)에 링크된다.
플래그(F31)는 미확인 메세지의 경우에 표시되어야 하는 관련데이터로써 설정되지 않으면 안되는 플래그로써 제공되고, '1'은 미확인 메세지를 보여주고, '0'은 확인 메세지를 보여주고, 모든 메세지의 표시가 검출될 때 '0'은 설정된다.
따라서, 미확인 메세지에서 '1'은 각각 플래그(F30) 및 미확인 플래그(F31)로 설정된다.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은 그 기억된 내용이 도 18에 도시되고, 이는 각각 기억주소, 전화번호, 이름, 사적인 데이터 및 플래그(F4)를 포함하는 복수의 개인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사적인 데이터는 예를 들면 주소, 생일, 사무실 등을 임의의 문자열을 이용하여 키입력부(21)의 키보드(211)로부터의 입력작동이나 스타일러스펜(212)에 의한 선택적인 작동을 검출함으로써 설정한다.
플래그(F4)는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의 플래그(F30)와 비슷하게, 관련데이터의 윈도우표시를 수행해야 하는지 아닌지의 결정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플래그이다.
스케줄 데이터영역 SC은 그 기억된 내용이 도 19에 도시되고, 이는 각각 기억주소, 일시, 스케줄내용, 경보보고를 수행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보여주는 경보설정플래그, 및 플래그(F5)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케줄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플래그(F5)는 데이터관리영역DM의 영역DMD의 플래그(F2),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의 플래그(F30) 및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의 플래그(F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데이터 MM는 그 기억된 내용이 도 20에 도시되고, 이는 각각 기억주소, 제목번호, 메모내용 및 플래그(F6)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모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이다.
플래그(F6)는 또한 플래그(F2, F30, F4 및 F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ROM(16)에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문자발생기(161) 뿐만 아니라, 각 모드에서 사용된 응용프로그램이 표(table)에 기억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메모리(162) 및 관련데이터의 표시를 수신된메세지데이터의 판독모드로 명령할 때 시동하는 뷰어(163)가 기억되어 있다.
이는 제1실시예에서 ROM(16)에 기억된 제어프로그램과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기억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 및 뷰어를 시각적으로 판별된 상태로 보여준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1 내지 25는 메세지의 수신을 기다리는 상태로부터의 처리내용과 이 모드의 선택적인 작동을 보여준다. 처음에, 키입력부(21)에 의한 모드의 선택적인 작동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101), 또는 기기자체로의 메세지데이터의 수신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102)를 반복하여 결정함으로써 이 검출은 기다려진다.
다음으로, 단계 S102에서 메세지의 수신이 검출되었을 때 수신된 프레임데이터는 받아들여진다(단계 S103). 복호기(13)에서 이 데이터는 복조되어 데이터처리 (버퍼메모리(132)에 일시 기억, 디-인터리빙회로(131)에 의한 수신된 데이터의 재배치, 오류정정회로 (133)에 의한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정정처리, 및 주소데이터조합회로(134)에 의한 주소데이터의 일치 결정요소)를 실행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메세지필드에 있는 메세지데이터는 RAM(15)의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된다(단계 S104).
그후 기억된 프레임데이터내의 메세지데이터는 분석된다(단계 S105).
도 26은 새롭게 수신한 메세지데이터가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여기서 '나는 회의보고서의 초고를 작성했다'라는 수신된 메세지내용을 갖고 있는 메세지데이터가 CPU(17)내의 클록(171)으로 얻은 수신일시 '97.11.15 17:00'와 함께 수신된메세지데이터로써 기억주소'4200'에 기억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기억주소'3900'의 메세지는 확인되지 않았고 '1'은 대응하는 미확인 플래그(F31)에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분석결과를 기초로,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에 관하여 '1'이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A에 있는 플래그(F1)에 설정된다는 검색내용을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한다(단계 S106).
검색내용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자리숫자라고 결정된 경우에는(단계 S107),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에서 4자리숫자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전화번호의 어떠한 일치하는 아래쪽 4자리숫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한다(단계 S109).
일치하는 아래쪽 4자리숫자가 없는 경우에는, CPU(17)내의 타이머(173)에 의해 수신보고서의 특정시간의 클로킹이 시작된다(단계 S110). 메세지의 수신은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보고되고, 동시에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만이 표시부구동장치(18)에 의해 표시부(19)에서 표시된다(단계 S111).
표시후에, 키입력부(21)의 리셋을 명령하는 터칭작동을 수행했는지 아닌지(단계 S112), 또는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냈는지 아닌지(단계 S114)를 반복하여 결정함으로써, 리셋작동 및 타이머(173)의 시간종료는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12에서 리셋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면 이는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키작동이 특정시간내에 수행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타이머(173)에 의해 클로킹작동을 리셋한 후에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되고, 이 표시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표시로만 시프트된다(단계 S113). 또 다시 이 상태는 단계 S101로부터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단계 S114에서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냈다고 결정한 경우, 이는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한 특정시간이 키입력부(21)의 어떠한 키작동도 수행되지 않고 있을 동안 경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 (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된다. 동시에, '1'은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에 대응하는 미확인플래그(F31)에만 설정된다. 그 동안 이 시간까지 표시부(19)에 표시되어 있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는 중지되고, 그 대신 미확인메세지의 존재를 보여주는 아이콘(미도시)은 표시부(19)에 표시된다(단계 S115). 또 다시 이 상태는 단계 S101로부터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단계 S109에서,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에서 전화번호의 일치하는 아래쪽 4자리숫자가 있는 경우, 대응하는 이름은 일치하는(또는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키워드로써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에서 판독된다(단계 S116). 이 검색은 키워드에 의해 RAM(15)의 각각의 영역 RM, TL, SC, 및 MM에서 수행된다(단계 S117). 이 순간에 각 영역의 플래그(F30, F4, F5 및 F6)는 또한 동시에 참조된다.
이 단계 S117도 또한, 단계 S107에서 '1'이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A에 있는 플래그(F1)에 설정된다는 검색내용이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키워드라고 결정된 경우에 즉시 수행된다. 이 검색의 결과로써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단계 S118).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단계는 단계 S110으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만을 이용하는 수신보고서 및 표시의 처리로 이동한다.
또한 단계 S118에서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기억주소, 검색에 이용되는 검출데이터, 및 관련키워드는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C에 기록되고 설정되고, 응용로더(176)는 ROM(16)의 뷰어(163)를 판독하고 작업메모리(175)에서 이를 로드시킨다(단계 S119).
그후 대응하는 주소 LA 및 관련데이터기억주소는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D에 설정되어 등록되고, '1'은 플래그(F2)에 설정된다(단계 S120).
다음으로 단계 S117에서 검색하여 얻은 관련데이터의 항목개수는 계수되고, 이 개수에 대응하는 윈도우는 표시부(19)의 라벨표시섹션(191)상에 각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라벨을 보여주는 아이콘을 추가하는 형태로 전개되고 표시된다(단계 S121).
또한 CPU(17)내의 타이머(173)에 의해 수신보고서의 특정시간의 클로킹은 시작되고, 그 동안에 메세지수신의 존재는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보고되고, 동시에 수신된 메세지데이터가 머리부분끝 윈도우로 되는 표시는 표시부구동장치(18)에 의해 표시부(19)에서 수행된다(단계 S122).
이 표시후에 키입력부(21)의 리셋을 명령하는 터칭작동을 수행했는지 아닌지(단계 S123), 또는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냈는지 아닌지(단계 S133)를 반복하여 결정함으로써, 리셋작동 및 타이머(173)의 시간종료는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133에서 CPU(17)내의 타이머(173)가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냈다고 결정할 경우, 이는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한 특정시간이 키입력부(21)의 어떠한 키작동도 수행하지 않고 경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된다. 동시에, '1은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에 대응하는 플래그(F30)와 미확인플래그(F31) 모두에 설정된다(단계 S134). 이 시간까지 표시부(19)에 표시되는 수신된 이 내용은 중지된다(단계 S135). 또 다시 이 상태는 단계 S101로부터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단계 S123에서 리셋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하면 이는 수신보고서를 수행하기 위하여 키작동이 특정시간내에 수행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타이머(173)에 의해 클로킹작동을 리셋한 후에 스피커(22), LED(23) 및 경보구동장치(20)를 지닌 바이브레이터(2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생긴 보고서는 중지되고, '0'은 미확인상태를 풀기위하여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의 대응하는 데이터부분에서 미확인플래그(F31)에 설정된다. 그 동안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윈도우는 또 다시 전개되고 표시된다(단계 S124).
이 순간에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분은 예를 들어 리버싱(reversing), 밑줄 등을 이용하여 판별되고 표시된다.
도 28은 이 순간의 표시부(19)의 표시화면을 도시하고, 이미지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를 보여주는 '봉투', 메모데이터를 보여주는 '메모패드', 스케줄데이터를 보여주는 '클록', 및 전화번호 디렉토리데이터를 보여주는 '(전화)수신기'의 각각의 아이콘이 라벨로써 라벨표시섹션(191)상에 추가된 5개의 카드중에서, 머리부분끝에 위치한 '봉투'의 라벨이 추가된 윈도우로써, 메세지(내용)'나는 회의보고서의 초고를 작성했다', 송신자'다로 노무라', 및 수신일시'97.11.15 17:00'가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로써 카드상에 프린트되는 윈도우에 표시된다.
이 경우 송신자'다로 노무라'의 부분인 '노무라'에는 밑줄표시가 적용되고, 반면에 안내메세지'등록할까요? Y/N'이 표시되고, 이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가 이후에 관련데이터로써 윈도우에 표시되어야 하는지 아닌지의 명령을 재촉한다.
사용자가 안내메세지에 따라 'Y'를 작동하여 등록을 명령하거나 'N'를 작동하여 등록하지 않도록 명령하면, 이 내용은 등록명령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한 다음에 결정된다(단계 S125).
'Y'가 작동되었다고 결정되면, 이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윈도우표시의 등록이 명령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1'이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되어 있는 메세지데이터의 대응하는 플래그(F30)에 설정된다(단계 S126).
단계 S125에서 'Y'가 아닌 'N'이 작동되었다고 결정하면, 이는 지금부터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윈도우표시를 등록해서는 안된다는 명령이 내려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0'이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 기억되어 있는 메세지데이터의 대응하는 플래그(F30)에 설정된다(단계 S126).
이후 키입력부(21)에서의 터칭작동에 의하여 라벨표시섹션(191)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의 라벨부분을 가리키는 입력이 있는지 없는지(단계 S128), 또는 CPU(17)내의 타이머(173)가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냈는지 아닌지(단계 S132)를 반복하여 결정함으로써(이는 상기 설명과 비슷함), 라벨부의 지시 및 타이머(173)의 시간종료는 기다려진다.
단계 S132에서 CPU(17)내의 타이머(173)가 특정시간의 클로킹을 끝마쳤다고 결정할 경우, 이는 특정시간이 각 윈도우의 라벨부에서 어떠한 지시작동도 수행하지 않고 경과함을 의미하므로, 이 시간까지 표시부(19)에 표시되어 있는 이 내용은 중지되고(단계 S135), 또 다시 이 상태는 단계 S101로부터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단계 S128에서 복수의 윈도우의 각 라벨부중의 하나가 터칭작동으로 지시되었다고 결정한 경우, 이는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D는 뷰어에 의해 가리켜지고, 대응하는 데이터는 RAM(15)의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영역 SC 또는 메모데이터영역 MM에서 대응하는 데이터의 관련데이터기억주소를 이용하여 판독되고, 표시를 수행하여 이 데이터는 머리부분끝의 윈도우이다(단계 S129).
도 29는 전화번호 디렉토리데이터를 보여주는 '(전화)수신기'의 라벨부가 도 2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작동되는 경우에 표시된 데이터를 도시하고, 여기서 관련데이터기억주소'4900'는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D에서 판독되고, 이 주소를 이용하여 '다로 노무라'씨의 전화번호 디렉토리데이터인 전화번호, 이름, 주소 등의 '사적인 데이터2'는 주소'4900'와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으로부터 판독되고, 머리부분끝 윈도우로써 표시부(19)에 표시된다.
또한 이같은 표시상태에서 (라벨표시섹션(191)상의) 머리부분끝에 표시된 윈도우의 라벨부의 터칭작동에 의한 명령의 검출은 기다려지고(단계 S130), 검출이 수행되었다고 결정될 때 이 모드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판독모드로부터 명령된 라벨부와 관련있는 모드로 시프트하고, 레지스터(174)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은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C 및 DMD로 송신되고, 응용로더(176)는 뷰어외에 명령된 라벨부와 관련있는 모드에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ROM(16)의 응용프로그램 메모리(162)로부터 판독하고, 이들을 작업메모리에서 로드시킨다.
즉, 이 단계는 윈도우표시를 계속 유지하면서 이런 관련모드의 작동으로 이동한다(단계 S131).
단계 S101에서 키입력부(21)에 의해 직접 수행된 모드의 선택적인 작동이 수신을 기다리는 상태로부터 검출되었다고 결정된다면, 선택된 모드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판독모드이거나 다른 모드임이 이후에 결정된다(단계 S140).
여기에서 선택된 모드가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판독모드라고 결정되면, '1'이 미확인플래그(F31)에 설정된 메세지데이터는 RAM(15)의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에서 검색되고(단계 S141), 이후 '1'이 이 플래그(F31)에 설정된 메세지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가 결정되고(단계 S142),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는 '1'이 이 플래그 (F31)에 설정된 메세지데이터가 우선적으로 판독된다(단계 S143).
또한 '1'이 이 플래그(F31)에 설정된 메세지데이터가 없다고 결정된 경우에는 가장 새로운 것이 각 메세지데이터의 수신일시의 내용에 따라 판독된다(단계 S144).
다음으로, '1'이 이 플래그(F31)에 설정된 메세지데이터의 존재유무에 관계없이, 판독된 메세지데이터는 분석되고(단계 S145), '1'이 대응하는 플래그(F30)에 설정될지 아닌지가 결정된다(단계 S146).
'1'이 대응하는 메세지데이터의 플래그(F30)에 설정된다고 결정되면,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C에 등록되어 있는 수신된메세지기억주소는 참조되고, 대응하는 주소 LA의 내용은 판독된다(단계 S147).
다음으로 판독된 대응하는 주소 LA를 이용하여, '1'이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D에서 플래그(F2)에 설정된 모든 관련데이터기억주소는 판독되고(단계 S148), 이 판독된 주소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데이터는 수신메세지영역 RM,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영역 SC, 및 메모데이터영역 MM에서 판독되어, 관련데이터의 항목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윈도우는 표시부(19)에서 전개되어 표시된다(단계 S149).
다음으로 관련데이터에 대응하는 윈도우표시를 시작한 후 윈도우표시의 등록을 풀기위한 명령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결정되고(단계 S150), 이 명령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한 경우에만 '0'은 수신된 메세지영역 RM의 대응하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플래그(F30)에 설정되고(단계 S151), 그 후에 이 단계는 단계 S128로부터 각 윈도우의 라벨부 및 타이머(173)의 시간종료의 명령을 대기하는 처리과정으로 이동한다.
또한 단계 S146에서 판독된 메세지데이터의 분석결과로써 '1'이 아닌 '0'이 플래그(F30)에 설정되었다고 결정된 경우에는 관련데이터에 의한 복수의 윈도우표시는 수행되지 않고, 판독된 수신된메세지데이터만을 표시부(19)에 표시하면서(단계 S152), 수신된메세지데이터의 판독모드는 중지되고, 최초의 수신대기상태로 시프트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의 수행은 기다려진다(단계 S153).
다음으로 선택적인 작동이 수행되었다고 결정할 때 이 판독모드는 중지되고, 이 상태는 또 다시 상기 작동에 따라 단계 S101로부터 대기상태로 이동한다.
또한 단계 S140에서 수신대기상태로부터 키입력부(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직접 작동되는 이 모드가 수신된메세지데이터의 판독모드와는 다른 모드라고 결정된 경우에는, 이 모드는 키워드의 설정모드이거나 또는 전화번호 디렉토리모드, 스케줄모드 및 메모모드중의 어느 한 모드라고 이후에 결정된다(단계 S161).
이 모드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모드, 스케줄모드 및 메모모드중의 어느 한 모드라고 결정된다면, 응용로더(176)는 ROM(16)의 응용프로그램메모리로부터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를 작업메모리(175)에서 로드시키고, 각 모드의 초기 화면표시가 표시부(19)에서 표시되는 상태에서(단계 S162), 데이터의 등록을 새롭게 수행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이 키입력부(21)에 의해 수행되었는지 아닌지가검출된다(단계 S163).
이 작동이 수행되었다고 결정되면, 연속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초기화면 대신에 표시부(19)에 표시되는 상태에서(단계 S164), 교대로 입력된 각 항목의 데이터와 관련있는 표시처리를 수행하는 동안(단계 S165), 데이터입력은 종료되고, 등록명령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단계 S166), 데이터등록의 명령의 검출은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등록명령이 검출되었다고 결정될 때 메세지데이터를 연관 (associating)시키는 것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재촉하는 안내메세지는 이후에 표시되고(단계 S167), 그 다음 이 연관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이 표시에 따라 내려졌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단계 S168).
이 연관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내려졌다고 결정될 때, '1'은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4)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모드이고 입력 데이터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데이터라면 '1'은 스케줄데이터영역 SC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5)에 설정되고, 이 선택된 모드가 스케줄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스케줄데이터라면 '1'은 메모데이터영역 MM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6)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메모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메모데이터라면(단계 S169) 그렇다면 이 단계는 단계 S162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다음 데이터입력을 준비한다.
또한 단계 S169와 대조적으로, 단계 S168에서 입력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연관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명령이 내려졌다고 결정될 때, '0'은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4)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모드이고 입력 데이터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데이터라면 '0'은 스케줄데이터영역 SC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5)에 설정되고, 이 선택된 모드가 스케줄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스케줄데이터라면 '0'은 메모데이터영역 MM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6)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메모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메모데이터라면(단계 S170) 이 단계는 단계 S162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또 다시 다음 데이터입력을 준비한다.
또한 단계 S163에서 데이터등록을 새로이 수행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이 수행되지 않았다고 결정될 때, 미리 등록된 데이터의 편집이나 삭제는 이후에 수행되어야 하고, 이에 관한 명령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결정되고(단계 S171), 검출되지 않았다면 이 단계는 또 다시 단계 S162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단계 S171에서 데이터의 편집 또는 삭제의 명령이 검출되었다고 결정된다면, 대응하는 데이터는 연속적인 입력작동에 따라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영역 SC, 또는 메모데이터영역 MM에서 판독되고, 표시부(19)에 데이터를 표시하는 상태에서(단계 S172), 교대로 입력 및 편집되고 또는 중지되는 각 항목의 데이터와 연관된 표시처리를 수행하는 동안(단계 S173), 데이터내용의 명령결정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단계 S174), 데이터명령을 결정하는 검출은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이 결정명령이 검출되었다고 결정할 때, '1'은 모드에 따라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4)에, 또는 스케줄데이터영역 SC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5)에, 또는 메모데이터영역 MM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6)에 설정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단계 S175).
'1'이 플래그에 설정된다고 결정되면, 메세지데이터와 연관시키는 것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재촉하는 안내메세지는 표시되고(단계 S176), 이 연관을 수행하는 명령이 이 표시에 따라 내려졌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단계 S177).
이 연관을 수행하는 명령이 내려졌다고 결정되면, 이 단계는 단계 S162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또 다시 다음 데이터입력을 준비한다.
단계 S177에서 입력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연관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명령이 내려졌다고 결정될 때, '0'은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4)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모드이고 입력 데이터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데이터라면 '0'은 스케줄데이터영역 SC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5)에 설정되고, 이 선택된 모드가 스케줄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스케줄데이터라면 '0'은 메모데이터영역 MM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6)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메모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메모데이터라면(단계 S178), 그 후 '0'은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D에서 연관된 데이터의 플래그(F2)에 설정된다(단계 S179). 영역 DMD에서 연관된 데이터의 항목개수를 리셋한 후(단계 S180), 이 단계는 단계 S162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또 다시 다음 데이터입력을 준비한다.
또한 단계 S175에서 '1'이 모드에 따라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4)에, 또는 스케줄데이터영역 SC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5)에, 또는 메모데이터영역 MM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6)에 설정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메세지데이터와 연관시키는 것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재촉하는 안내메세지가 표시된다(단계 S181). 다음으로 이 연관을 수행하는 명령이 이 표시에 따라 내려졌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단계 S182).
이 연관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내려졌다고 결정될 때, '1'은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4)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모드이고 입력 데이터가 전화번호 디렉토리데이터라면 '1'은 스케줄데이터영역 SC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5)에 설정되고, 이 선택된 모드가 스케줄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스케줄데이터라면 '1'은 메모데이터영역 MM의 대응하는 데이터의 플래그(F6)에 설정되고, 선택된 모드가 메모모드이고 입력데이터가 메모데이터라면(단계 S183). 이 단계는 단계 S162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다음 데이터입력을 준비한다.
단계 S182에서 입력데이터에 대응하는 수신된 메세지데이터의 연관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명령이 내려졌다고 결정될 때, 이 단계는 단계 S162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하여 다음 데이터입력을 준비한다.
도 27은 메세지데이터의 수신후 각 모드로 시프트하는 동안 이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의 데이터관리영역 DM의 기억된 내용을 도시하고, 이는 도 26에도 도시된다. 수신의 처리동안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는 레지스터(174)에 기록되고, 그리고 영역 DMC에서 수신된메세지영역 RM의 기억주소'4200'에 검출목적데이터가 '4321'이고 관련키워드가 '노무라'인 수신된 메세지데이터는 기억되고, 이와 연관된 '4'개의 다른 데이터는 수신메세지영역 RM,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영역 SC, 및 메모데이터영역 MM에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61에서
선택된 모드가 키워드설정모드라고 결정된 경우에 이 키워드설정모드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작동의 검출의 부재(absence)는 이 작동에 따라 표시부(19)에서 대응하는 모드의 초기화면표시를 표시하는(단계 S191) 상태로 확인된다(단계 S192). 키워드의 등록을 새로이 수행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이 수행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193), 또는 미리 등록된 키워드의 편집/삭제를 수행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이 수행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199)를 반복하여 결정함으로써, 이들중 어느 한쪽은 기다려진다.
다음으로 단계 S193에서 키워드의 등록을 새로이 수행하기 위한 이 작동이 수행되었다고 결정되면, 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은 초기화면 대신에 표시부(19)에 표시된다(단계 S194). 입력된 키워드의 데이터와 연관된 표시처리는 수행된다(단계 S195). 등록명령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196)를 결정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키워드를 구성하는 데이터 등록명령의 검출은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등록명령이 검출되었다고 결정될 때, 입력된 키워드의 데이터는 검색목적데이터로써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B에 기록되고 설정된다(단계 S197). '1'은 영역 DMB의 대응하는 플래그(F1)에 설정된다(단계 S198). 이 단계는 또다시 다음 키워드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단계 S193으로부터의 이 처리상태로 복귀한다.
단계 S199에서 미리 등록된 키워드의 편집 또는 삭제를 수행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이 수행되었다고 결정되면, 입력작동에 따라 편집 또는 삭제의 목적인 키워드는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B의 검색목적데이터로부터 판독된다(단계 S200).
다음으로 판독된 키워드의 데이터에 대해 교대로 입력 및 편집한 내용과 연관된 표시처리를 수행하는 동안(단계 S201), 키워드의 편집/삭제에 의한 결정 명령의 검출은 내용을 결정하는 명령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단계 S202)를 결정하는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기다려지게 된다.
다음으로, 결정명령이 검출되었다고 결정될 때 '1'이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B의 대응하는 검색목적데이터에 대한 플래그(F1)에 설정되는지 아닌지(단계 S203)가 결정된다.
여기에서 '1'이 플래그(F1)에 설정된다고 결정되면 그 내용이 검색목적데이터로써 편집된 키워드 데이터는 또 다시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B에 기록되고 설정되고, 안내메세지가 수신될 때 키워드에 의한 검색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아닌지의 선택을 재촉하는 안내메세지가 표시된다(단계 S204). 키워드데이터는 편집되지 않고 중지되어야 한다는 명령이 내려진 경우에는 대응하는 검색목적데이터는 기록 설정(writing-in setting) 대신 영역 DMB로부터 중지된다.
다음으로 이 검색을 수행하는 명령이 이 표시에 따라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결정된다(단계 S205). 검색을 수행하는 명령이 검출되었다고 결정되면 이 단계는 다음 키워드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또 다시 단계 S193으로부터의 이 처리과정으로 복귀한다.
메세지가 수신될 때, 키워드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이 만약 단계 S205에서 검출되지 않는다면,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B의 대응 데이터의 플래그(F1)에 설정되어지는 '1'는 '0'으로 리셋되어진다(단계 S204). 그후,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C 및 DMD의 대응 주소 LA를 포함하는 각각의 기억 내용은 중지된다(단계 S207). 그때, 다음의 키워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다시 단계 S193에서부터의 처리과정으로 단계가 복귀된다.
만약 단계 S203에서, '1'이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B의 대응 검색 목적 데이터를 위해 플래그(F1)에 설정되지 않는 것이 결정된다면, 내용이 편집되어진 키워드의 데이터는 검색 목적 데이터로서 다시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B에 기록되고 설정되어지고, 메시지가 수신되어질 때 키워드에 의한 검색이 수행될지 아닐지의 선택을 촉구하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어진다(단계 S208). 만약 키워드의 데이터가 편집되지않고 중지해야한다는 명령이 발생한다면, 대응 검색 목적 데이터는 설정에의 기록대신에 영역 DMB로부터 중지해야한다.
그때, 그러한 표시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검출되어질지 아닐지가 결정된다(단계 S209). 만약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검출되는 것이 결정된다면, '1'은 영역 DMB의 대응 데이터의 플래그(F1)에 설정되어진다(단계 S210). 그때, 다음의 키워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단계 S193에서부터의 처리과정으로 다시 단계가 복귀한다.
만약 메시지가 수신될 때, 키워드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단계 S209에서 검출되지 않는다면 , 단계는 다음의 키워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다시 단계 S193으로부터의 처리과정으로 복귀한다.
또한, 단계 S131 및 그후에, 각각의 모드에서 새롭게 입력되고 생성된 데이터가 전송 데이터로서 등록되어질수 있다.
도 30은 각각의 모드로 시프트 수행후에 데이터의 새로운 입력/등록/전송 처리까지의 일련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에서, 단계 S131부터 관련된 모드내에 작동으로 시프트할 때, 그 모드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윈도우 표시를 유지하는 동안 작업 메모리(175)에 로드되어진다(단계 S211).
이런 상태에서, 데이터의 등록을 새롭게 수행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이 키입력부(21)에 의해 수행될지 아닐지가 결정되어진다(단계 S212).
작동이 수행될것이 결정되어지면, 데이터 생성처리 및 계속적인 입력에 의한 표시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초기 화면대신에 표시부(19)에 표시되어지고(단계 S213), 데이터 생성 처리가 종료되어진다. 등록 명령이 검출될지 아닐지를 결정하는 처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단계 S214), 데이터의 등록 명령의 검출이 대기되어진다.
그때, 등록 명령이 검출되는 것이 결정될 때, 데이터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어질지 아닐지의 선택을 촉구하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고(보이지 않은채로), 그후에 전송요구가 수행될지가 결정된다(단계 S215).
전송요구가 수행될 것이 결정되면, ROM(16)에 기억된 변환 프로그램은 작업 메모리(175)에 또한 로드되어지고, 생성된 데이터는 송신을 위해 전송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변환되고 전송버퍼(26)에 전송된다. 또한, 이순간에,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과 다른 끝에 연관된 데이터, 가령 전화번호 디렉토리 영역 TL이 판독되고, 전송 버퍼(26)에 설정되고(단계 S216), 기억 유지 상태에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후, 키입력부(21)의 특정 키 작동이 검출될지 아닐지를 결정함으로써, 전송의 실행이 결정되어지고, 만약 전송 실행 요구가 검출되어지면, 데이터는 송신기(27)로부터 전송되어지고(단계 S219), 단계 S211에 복귀한다.
만약 전송 실행 요구가 검출되어지지 않는다면, 흐름은 기억 유지 상태로 복귀한다(단계 S217).
또한, 생성된 데이터의 전송 실행 요구가 단계 S215에서 검출되지 않아도, 데이터의 등록 처리는 수행된다(단계 S221).
따라서, 그러한 전송 처리의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뷰어에 의해 다른 모드들의 연관 데이터에 참조하는 동안, 희망 데이터는 해당 모드에서 생성되고 편집될수 있고, 그러한 데이터의 전송이 전송되어질수 있다.
또한, 전송 처리는 도 24의 단계 S165 및 단계 S166사이에서, 또는 단계 S174 및 단계 S175사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관리영역 DM에서, 새로운 영역 DME는 도 16 및 도 27에서 보여지는 영역 배치대신에, 도 3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공되어질수 있다. 이 경우에, 영역 DME에서, 관련 데이터의 기억 주소에 대응하여 라벨의 아이콘이 설정되어질 수 있고,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의 수신시에 표시부에서 각각의 모드에 이전에 설정된 라벨이외에 고유의 라벨의 아이콘 또한 표시되어질수 있다.
따라서, 수신 메시지 데이터와 연관된 데이터가 윈도우에 표시되어지는 상태에서, 각 데이터가 속하는 모드는 외관상으로 이해가능한 상태에서 표시되어질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윈도우에 표시되어지는 상태로부터 대응 모드에 즉각 시프트되는 것이 가능해서, 좀더 실용적인 작동환경을 달성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더하여, 아이콘은 윈도우 표시 동안 각각의 윈도우의 라벨로써 표시되어져서, 윈도우 표시를 유지하는 동안 각 모드의 작동으로의 시프트가 수행되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표시 우선순위가 윈도우 표시로서 설정되어질 수 있는 경우가 상세히 묘사될 것이다.
전자노트북 기능을 구비하고 통신표준 RCRTSD-43에 따르는 페이징 수신기에 본 발명을 응용하는 경우의 제3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그런데, 본실시예가 기본적으로 도 14에서 보여지는 바와 비슷하고, 따라서, 같은 번호가 같은 부분에 적용되어지고, 그 설명이 생략되어질 것이다.
도 32는 테이블같이, 응용 프로그램 메모리(162)에서 기억된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의 기억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도에서,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로딩동안 작업 메모리를위해 요구되어지는 바이트의 최소한 수는 서로 연관된 상태에서 기억되어진다.
즉, 바이트의 수가 작아질수록, 프로그램을 로딩하기위해 요구되는 CPU(17)의 로드는 더작아지고 모드 시프트는 빨라진다. 반대로, 바이트의 수가 커질수록 프로그램을 로딩하기위해 요구되는 CPU(17)의 로드는 더 커지고 모드 시프트는 느려진다.
또한, 도에서 묘사되지 않은 뷰어의 경우에, 데이터 표시만이 수행되어지고 따라서, 그 실행 바이트의 최소의 수가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수 보다 실질상 더 작아진다.
도 33 내지 도 36은 각각 제2실시예에서와 유사한 수신메세지영역 RM',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스케줄데이터영역 SC', 및 메모데이터영역 MM'의 기억된 내용을 보여준다.
도 33 내지 도 36에서, 데이터 볼륨(바이트)가 수신메세지영역 RM' 및 스케줄데이터영역 SC'에서 각각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억되고 관리되어진다는 점에서, 그리고 데이터 볼륨 및 데이터 등록 일시가 전화번호 디렉토리영역 TL' 및 메모데이터영역 MM'에서 각각의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억되고 관리되어진다는 점에서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다르다.
도 37은 제3실시예에서 데이터관리영역 DM'의 배치 및 기억된 내용을 보여준다.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4 영역 DMA 내지 DMD를 포함하지만, 그것에 더하여, 또한 영역 DMF를 포함한다.
영역 DMF에서, 만약 메시지 데이터의 복수의 연관 데이터가 메시지가 수신될 때 검출된다면, 연관 데이터의 윈도우 표시(오버랩 표시)의 표시 우선순위를 정의하는 항목 및 플래그 W는 서로 연관된 상태에 기억된다.
즉 복수의 연관데이터의 윈도우 표시동안, 만약 '1'이 '응용을 실행하기 위한 바이트의 수'에 해당하는 플래그 W에 설정되어진다면, 표시되어지는 복수의 연관테이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로딩을 위한 CPU(17)의 로드가 좀더 가벼운것이 우선적으로 표시되어지는 방식으로, 윈도우의 오버랩 표시부는 수행되어진다.
만약 '1'이 '데이터 볼륨'에 대응하는 플래그 W에 설정되었다면, 윈도우의 오버랩 표시 우선순위는 표시된 다수의 연관 데이터의 볼륨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만약 '1'이 '스케줄 시작 일시/등록 일시/수신일시'에 해당하는 플래그 W에 설정된다면, 표시된 복수의 연관 데이터의 일시정보(만약 스케줄 데이터라면 시작 일시, 만약 메모 데이터 또는 전화번호 디렉토리 데이터라면 등록 일시, 및 만약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라면 수신일시)를 참조함으로써, 윈도우의 오버랩 표시가 최근의 일시가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그런데, 플래그 W에서, 설정은 상세히 설명되지않은 키 입력(21)로부터의 작동을 검출함으로써 적절히 변화될수 있다.
도 38은 제3실시예에서의 메시지 수신 상태로부터의 처리과정의 내용을 보여주며, 제2실시예에서의 도 22의 단계 S120 및 단계 S122사이에서 수행되어지는 처리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38에서, 만약 '1'이 대응주소 LA 및 데이터관리영역 DM의 영역 DMD에서 연관된 데이터 기억 주소를 설정하고 등록한후에 플래그(F2)에 설정된다면(단계 S120), 단계 S117에서 검색에 의해 얻어지는 연관 데이터의 항목의 개수가 카운트된다(단계 S221).
그때, 연관 데이터의 항목의 개수가 1 또는 그이상인지 아닌지가 결정되어진다(단계 S222).
만약 '1'이라면, 연관 데이터에 대응하는 윈도우는 각각의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라벨을 보여주는 아이콘이 또한 첨가되어지는 형태에서 표시부(19)에 나타나고 표시된다(단계 S224).
만약 연관 데이터의 항목의 개수가 '1'보다 크다면, 윈도우 표시의 우선순위는 '1'이 영역 DMF에서의 플래그 W에 설정되어지는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되어진다(단계 223). 그후, 이러한 연관 데이터에 대응하는 윈도우는 각각의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라벨을 보여주는 아이콘이 또한 첨가되어지는 형태에서 표시부(19)에 나타나고 표시된다(단계 S224).
도 39는 이순간의 표시부(19)의 표시 화면을 보여주고,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보여주는 '봉투', 과거의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를 보여주는 '봉투', 메모 데이터를 보여주는 '메모 패드', 전화번호 디렉토리 데이터를 보여주는 '전화 수신기', 스케줄 데이터를 보여주는 '클록'의 각각의 아이콘들이 라벨로서 첨가되어진 5개의 카드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바이트 수가 더 작은 순서대로 오버랩된 상태에서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데이터가 데이터가 입력될때 장치의 메모리(RAM 15)에 기억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과 연관 데이트를 참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발명에 따라서, 입력 데이터와 연관된 데이터가 데이터가 입력될 때 장치의 메모리(RAM 15)에 기억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과 연관 데이트를 참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만약 복수의 연관 데이터가 나타난다면, 연관 데이터의 테이프 또는 식별번호를 명령하는 라벨 또는 아이콘이 표시되어지기 때문에 연관된 데이터 각각은 복수의 연관 데이터가 탐색되어지더라도 쉽게 참조되어질수 있다. 또한 연관 데이터의 식별번호를 명령하는 라벨 또는 아이콘은 데이터가 기억될 때의 일시, 데이터의 크기(또는 볼륨),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CPU의 로드에 관련한 각각의 연관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되어진다. 따라서, 연관 데이터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메모리(RAM 15)에 기억된 데이터가 연관 데이터로서 표시되어지는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 데이터와 연관 데이터는 윈도우로서 표시되어지기 때문에 윈도우 표시는 간단한 작동으로 쉽게 교환된다. 따라서 표시를 위한 로드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가 어떤 문제도 일으키지않고 표시할수 있도록 작다. 연관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본 프로그램에 따라, 연관 데이터는 처음 표시되어진 때 로드된다. 따라서 장치와 시스템의 로드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뷰어(163)이 ROM(16)에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 연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표시를 위해 유일하게 요구되는 프로그램이 메시지 데이터 수신시에 연관 데이터의 표시동안 로드되고, 모든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처리과정이 단계 S162로 시프트되어질 때 로드된다(도 24).
또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본 발명이 전자노트북 기능을 구비하고 통신표준 RCRTSD-43에 따르는 페이징 수신기에 본 발명을 응용하는 경우는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고, 또한 전화번호 디렉토리 데이터와 같이 기억 가능하고 전자 메일의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수 있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또는 PHS(개인 휴대폰 시스템: 간단한 무선전화기)와 같은 입력 메시지 데이터와 연관되어지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자 장비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내용(윈도우 표시 제어, 시프트 표시 제어)은 휴대용 기억 매체(29)에 미리 기억되는 것이 가능하고, ROM(16)에서 기록되어진 기억 매체 구동장치(28)에 의해 필요하면 판독되어진다.
또한 본발명의 본 참뜻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메세지의 내용과 관련있는 다른 데이터를 내부처리에 어떠한 로드도 주지않고 간단한 작동으로 검색하고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기능을 지닌 데이터 처리장치, 데이터 표시시스템, 또는 데이터 표시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22)

  1. 복수의 데이터 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데이터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데이터 항목을 탐색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 데이터에 식별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 데이터에 추가된 식별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 수단;
    원하는 연관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표시 수단에 공급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연관 데이터로 교체하기 위해 상기 제1 표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식별번호(identification number)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은 입력 데이터의 유형(type)을 규정하는 유형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제 2 기억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표시 수단은 유형 데이터를 식별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되고 연관 데이터의 복수의 유형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의 복수 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제 3 기억 수단;
    상기 제 2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연관데이터의 편집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명령수단에 의해 편집이 명령된 연관데이터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연관데이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제3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이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연관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은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연관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연관데이터의 편집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연관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억수단은 복수의 데이터항목과, 상기 탐색 수단에 의해 탐색된 대응 키워드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탐색수단은 입력 데이터가 키워드를 포함하는 지 아닌 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잗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억수단은 복수의 데이터항목과 데이터 항목이 연관 데이터로서 표시되는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내는 대응 정보 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탐색 수단은 데이터가 정보 데이터에 의해 연관 데이터로서 표시되도록 나타내는 데이터 항목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의 볼륨과, 데이터가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시간과,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로드 중 최소한 하나를 기억하기 위한 제 4 기억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표시 수단은 복수의 식별 데이터가 표시되었을 때 상기 제 4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에 따라 식별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1. 복수의 데이터 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제 1 기억 수단;
    데이터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데이터 항목을 탐색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 데이터에 식별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수단;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 데이터에 추가된 식별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표시 수단;
    원하는 연관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표시 수단에 공급된 입력 데이터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연관 데이터로 교체 하기 위해 상기 제 1 표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식별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은 입력 데이터의 유형을 규정하는 유형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제 2 기억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표시 수단은 유형 데이터를 식별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되고 연관 데이터의 복수의 유형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의 복수 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제 3 기억 수단;
    상기 제 2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연관데이터의 편집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명령수단에 의해 편집이 명령된 연관데이터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된 연관데이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제 3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이 제어데이터를 기초로 연관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수단은 입력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연관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연관데이터의 편집을 명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연관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억수단은 복수의 데이터항목과, 상기 탐색 수단에 의해 탐색된 대응 키워드 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탐색수단은 입력 데이터가 키워드를 포함하는 지 아닌 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억수단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항목과 데이터 항목이 연관 데이터로서 표시되는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내는 대응 정보 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탐색 수단은 데이터가 정보 데이터에 의해 연관 데이터로서 표시되도록 나타내는 데이터 항목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의 볼륨과, 데이터가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시간과,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로드 중 최소한 하나를 기억하기 위한제 4 기억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표시 수단은 복수의 식별 데이터가 표시되었을 때 상기 제 4 기억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에 따라 식별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시스템.
  21.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에 접속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입력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항목을 탐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데이터에 식별 데이터를 추가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데이터에 추가된 식별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표시된 식별 데이터중에서 원하는 연관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 및
    상기 제 1 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연관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제1표시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22. 최소한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이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구비한 장치의 데이터 표시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데이터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항목을 탐색하는 단계;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데이터에 식별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
    표시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관데이터에 추가된 식별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식별 데이터중에서 원하는 연관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수단에 공급된 입력데이터를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식별 데이터에 대응하는 원하는 연관데이터와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9990002076A 1998-01-23 1999-01-23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표시시스템, 데이터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KR100295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3598 1998-01-23
JP10-11235 1998-01-23
JP00072599A JP4126473B2 (ja) 1998-01-23 1999-01-05 電子機器、記憶媒体、及びデータ表示方法
JP11-725 1999-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091A KR19990068091A (ko) 1999-08-25
KR100295555B1 true KR100295555B1 (ko) 2001-07-12

Family

ID=2633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076A KR100295555B1 (ko) 1998-01-23 1999-01-23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표시시스템, 데이터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58409B1 (ko)
EP (1) EP0932130B1 (ko)
JP (1) JP4126473B2 (ko)
KR (1) KR100295555B1 (ko)
CN (1) CN1193626C (ko)
DE (1) DE69924166T2 (ko)
HK (1) HK1021106A1 (ko)
ID (1) ID218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3061B1 (en) 1997-09-19 2001-06-26 Richard J. Helferich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6636733B1 (en) 1997-09-19 2003-10-21 Thompson Trust Wireless messaging method
US6826407B1 (en) 1999-03-29 2004-11-30 Richard J. Helferich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udio and visual messaging
US7003304B1 (en) 1997-09-19 2006-02-21 Thompson Investment Group, Llc Paging transceiver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retrieving messages
US6983138B1 (en) 1997-12-12 2006-01-03 Richard J. Helferich User interface for message access
GB2361838B (en) * 2000-02-03 2002-03-27 Motorola Ltd Mobi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7028263B2 (en) 2000-07-19 2006-04-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viewing short messages on a wireless device
JP2002132663A (ja) * 2000-10-20 2002-05-10 Nec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とそ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035903B1 (en) * 2000-11-22 2006-04-25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iscovery and presentation of electronic messages that are related to an electronic message
JP2002183203A (ja) * 2000-12-18 2002-06-28 Yamaha Corp 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2204285A (ja) * 2000-12-27 2002-07-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JP3713235B2 (ja) * 2000-12-29 2005-11-09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機のメッセージディスプレイ方法
US7020457B2 (en) * 2001-05-31 2006-03-28 Orativ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xy-enabling a wireless device to an existing IP-based service
US20020180798A1 (en) * 2001-05-31 2002-12-05 Poor Graham V.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a wireless device platform to multiple applications
US7123933B2 (en) * 2001-05-31 2006-10-17 Orativ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a wireless device
US7900160B2 (en) * 2003-12-29 2011-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llustrating a menu of insights associated with visualizations
US7324082B2 (en) * 2004-05-11 2008-01-29 Inventec Corporation Portable data processing device with one touch control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US7907966B1 (en) * 2005-07-19 2011-03-15 Aol Inc. System and method for cross-platform applications on a wireless phone
JP5049141B2 (ja) * 2008-01-07 2012-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9514442B2 (en) * 2008-05-09 2016-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lacing responses within an instant messaging system
US8347228B1 (en) 2009-06-08 2013-01-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ser interface screen presentation prioritization
CA2785048C (en) 2009-12-21 2015-06-30 Kik Interacti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controlling media stored remotely
US8667377B1 (en) * 2011-09-08 2014-03-04 Xilinx, Inc. Circuit and method for parallel decoding
US9042266B2 (en) 2011-12-21 2015-05-26 Kik Interactiv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itializing a network connection for an output device
US9594471B1 (en) 2014-01-31 2017-03-1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additional icon content into a display screen
JP2016099935A (ja) * 2014-11-26 2016-05-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113053059A (zh) * 2021-03-17 2021-06-29 北京融安特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4U (ko) * 1986-06-19 1988-01-07
US4943868A (en) * 1988-03-01 1990-07-24 Kabushiki Kaisha Toshiba Handy image data filing apparatus
JPH0322259A (ja) * 1989-03-22 1991-01-30 Seiko Epson Corp 小型データ表示・再生装置
EP0390048B1 (en) * 1989-03-28 1996-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edition
JP3171891B2 (ja) * 1991-11-08 2001-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JP3376604B2 (ja) 1992-07-20 2003-0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
US5473744A (en) * 1992-09-28 1995-12-05 Optical Magnetic Imaging Corporation Computer-assisted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multi-media presentation
JPH0756956A (ja) * 1993-07-22 1995-03-03 Xerox Corp 人間の作成したイメージに基づくデータアクセス方法
JP3671468B2 (ja) 1994-11-11 2005-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3549035B2 (ja) * 1995-11-24 2004-08-0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
US6374304B1 (en) * 1996-03-01 2002-04-16 Casio Computer Co., Ltd.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adaptable to the system
US5890175A (en) * 1996-09-25 1999-03-30 Wong; Garland Dynamic generation and display of catalogs
US5874953A (en) * 1996-12-31 1999-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base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outline view
JPH11136394A (ja) * 1997-08-26 1999-05-21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出力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出力方法
US6331867B1 (en) * 1998-03-20 2001-12-18 Nuvomedia, Inc. Electronic book with automated look-up of terms of within reference titles
US6154214A (en) * 1998-03-20 2000-11-28 Nuvomedia, Inc. Display orientation features for hand-held conten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2130A2 (en) 1999-07-28
JPH11317819A (ja) 1999-11-16
DE69924166T2 (de) 2005-08-04
CN1193626C (zh) 2005-03-16
US6658409B1 (en) 2003-12-02
DE69924166D1 (de) 2005-04-21
JP4126473B2 (ja) 2008-07-30
CN1225550A (zh) 1999-08-11
HK1021106A1 (en) 2000-05-26
EP0932130B1 (en) 2005-03-16
KR19990068091A (ko) 1999-08-25
EP0932130A3 (en) 2002-12-11
ID21802A (id) 199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555B1 (ko)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표시시스템, 데이터표시방법 및 기억매체
JP3682472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方法
KR100249473B1 (ko)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통신단말기
KR100244015B1 (ko) 데이터통신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정보관리장치
JP3161520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文字データ格納方法
JPH10243080A (ja) 電話のための電話番号データベース
JP2004341778A (ja) 電子メール閲覧装置及び電子メール編集装置
US20040253978A1 (en) Portable cellular phone having function of searching for operational function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operational function in portable cellular phone
JPH08242278A (ja) 携帯受信機及びその電話番号検索方法
US20050027695A1 (en) Identifying files suitable for attaching to a text message
JP2001356991A (ja) メール受信装置、及び記憶媒体
KR101195305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기록 관리 방법
JP3770243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3770245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メッセージ表示方法
JPH1027141A (ja) 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3770244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メッセージ表示方法
JP3952975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アップロード方法
KR100217730B1 (ko) 전화번호부 기능 구현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JP2003179679A (ja) 携帯通信端末
JP3812040B2 (ja) 情報管理装置
JPH09275441A (ja) 携帯電話機
JPH1127714A (ja) 受信情報保管装置
JPH11275206A (ja) 通信装置及びその検索方法
CN115878231A (zh) 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