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230B1 - 회전 코넥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코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230B1
KR100295230B1 KR1019970004567A KR19970004567A KR100295230B1 KR 100295230 B1 KR100295230 B1 KR 100295230B1 KR 1019970004567 A KR1019970004567 A KR 1019970004567A KR 19970004567 A KR19970004567 A KR 19970004567A KR 100295230 B1 KR100295230 B1 KR 10029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hole
terminal
connector device
co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049A (ko
Inventor
다카시 사카마키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다케토시,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다케토시
Publication of KR97006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회전 코넥터장치의 유연케이블과 하네스를 접속하는 구조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회전 코넥터장치의 외부 접속 하네스의 심선은, 압축프레스가공, 납땜가공 및 조임가공 등으로, 용접부위를 고정하고 있었으므로, 가공 공정수가 더해져서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 및 요지
회전코넥터는 스테이터 하우징(1)과, 이 스테이터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로우터 하우징(2)으로 이루어진다. 유연케이블은 스테이터 하우징(1)과 로우터 하우징(2)이 이루는 공간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되어 있다. 단자(5)는 유연케이블에서 노출한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해 있다. 지지체(6)는 단자(5)를 수지몰드한다. 하네스(7)는 스테이터 하우징(1) 및 로우터 하우징(2)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 단자(5)에 접속한다. 상기 지지체(6)는 하네스(7)의 앞끝단부를 유지하는 관통구멍(6b)을 형성하고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의 스테어링 핸들의 패드부에 설치한 에어백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데 적합한 회전 코넥터장치에 사용한다.

Description

회전 코넥터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테어링 핸들의 패드부에 설치한 에어백 등으토 전원을 공급하는데 적합한 회전 코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회전 코넥터장치의 유연케이블과 하네스를 접속하는 구조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펑 7-263105 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기술의 회전 코넥터장치의 외부 접속하네스는, 여러개의 심선(芯線)을 단자의 각 단자편 위에 얹어놓고, 전기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 용착 등으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회전 코넥터장치의 외부 접속 하네스는, 상기 각 심선을 각 단자편에 각각 용접할 때, 상기 공보의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심선이 어긋나 버려 용접부의 품질이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외부 접속 하네스의 심선은, 압축프레스가공, 납땜가공 및 조임가공 등으로, 용접부위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었다.
전술한 종래의 회전 코넥터장치의 외부 접속 하네스의 심선은, 압축프레스가공, 납땜가공 및 조임가공 등으로. 용접부위를 고정하고 있었으므로, 가공 공정수가 더해져서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지지체에 하네스의 앞끝단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형성함으로서, 하네스의 심선을 가이드하여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지지체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지지체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지지체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하네스를 떼어 낸 지지체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지지체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지지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이터 하우징 2 : 로우터 하우징
2a : 탄성돌기 2b : 부착구멍
3 : 연결핀 4 : 유연케이블
4a : 도전선 4b : 수지필름
5 : 단자 5a : 단자편
5b : 용착부 6 : 지지체
6a : 오목부 6b : 관통구멍
6c : 압입홈 7 : 하네스
7a : 심선 7b, 7d : 피막
7c : 튜브 8 : 커버
8a : 걸림구멍 9, 10 : 코넥터
11 : 하네스 11a : 피막
11b : 심선 12 : 지지체
12a : 오목부 12b : 압입홈
13 : 단자 13a : 관통구멍
13b : 용착부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스테이터 하우징과, 이 스테이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로우터 하우징과, 상기 스테이터 하우징과 로우터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된 유연케이블과, 이 유연케이블에서 노출한 도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와, 이 단자를 수지몰드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 하우징 및 로우터 하우징 중 적어도 한쪽에 고정된 지지체와,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하네스를 구비한 회전 코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네스의 앞끝단부의 심선, 또는 피막을 삽입하는 관통구멍을 뚫어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지지체에 오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 내로 단자의 용착부를 노출시키고, 또 하네스 앞끝단부의 심선을 지지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관통구멍을 지지체의 오목부 내의 단자에 인접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관통구멍을 지지체에 인서트 성형한 단자에 뚫어서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지지체의 오목부의 근방에 하네스의 피막이 끼워 넣어지는 압입홈을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먼저,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1)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콤비네이선 스위치상에 고정하는 스테이터 하우징이다. (2)는 이 스테이터 하우징(1)에 대하여 화전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연결핀(3)에 의해 스테어링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한 로우터 하우징이다. 이 로우터 하우징(2)은 윗면에 상기 연결핀(3)과 커버(8)가 걸어 멈추어지는 탄성돌기(2a)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있다.
탄성돌기(2a)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방에 지지체(6)를 끼워서 장착하는 부착구멍(2b)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2b)에는 아래쪽에 지지체(6)가 장착되고, 윗측에 커버(8)이 장착되며, 또 그 부착구멍(2b)의 주위를 상기 지지체(6)와 커버(8)로 끼워 지지하고 있다.
상기 연결핀(3)은 로우터 하우징(2)의 윗면으로 돌출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탄성고무재 등으로 덮여져 있다.
유연케이블(4)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전선(4a)을 수지필름(4b)에 끼워넣은 구조의 소위 플랫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이 유연케이블(4)은 상기 스테이터 하우징(1)과 로우터 하우징(2)이 이루는 도너츠형상의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고, 그 한쪽끝단을 스테이터 하우징(1)에, 다른쪽 끝단을 로우터 하우징(2)에 각각 고정하고 있다.
단자(5)는 동 등의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한 것으로, 대략 L자형 수지제의 지지체(6)에 인서트 성형된다. 단자(5)는 유연케이블(4) 내에 나란히 설치한 각 도전선(4a)에 접속하는 여러개의 단자편(5a)과, 하네스(7)의 심선(7a)에 접속하는 용착부(5b)를 가진다. 단자편(5a)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5)로 부터 돌출한 도전선(4a)과의 접속부분이다. 용착부(5b)는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5)와 오목부(6a) 내로 노출하여, 심선(7a)에 전기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 용착된다.
지지체(6)는 단자(5)를 수지몰드한 것으로, 로우터 하우징(2)에 고정된다. 이 지지체(6)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갈이 코넥터(9)를 가지는 하네스(7)를 로우터 하우징(2)의 아래면으로 부터 부착구멍(2b)을 끼워 통하여 부착구멍(2b)에 장착되며, 또 커버(8)를 탄성돌기(2a)에 걸어멈추고, 이 커버(8)를 지지체(5)에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로우터 하우징(2)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6)는 유연케이블(4)을 외부 접속용 하네스(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중계부재이다.
상기 지지체(6)는 각 오목부(6a) 내에 단자(5)의 용착부(5b)를 배설하고, 또 상기 오목부(6a)의 구석에, 하네스(7) 앞끝단의 피막(7d)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관통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체(6)의 관통구멍(6b), 용착부(5b), 오목부(6a) 및 압입홈(6c)은, 동일 중심선 상에 배설한다. 또한 지지체(6)는 스테이터 하우징(1)에 고정하여도 좋다.
오목부(6a)는 지지체(6)에 인서트 성형한 단자(5)의 각각의 용착부(5b)를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으로, 적어도 심선(7a)의 갯수 이상을 형성한다. 관통구멍(6b)은 하네스(7) 앞끝단의 수지제 등의 외막(7d)을 삽입하고, 심선(7a)을 오목부(6a) 내의 용착부(5b)의 중앙으로 안내하여 유지하는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관통구멍(6b)은 L자형상의 대략 단자(5)의 모서리에 인접해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 관통구멍(6b)은 각각의 피막(7d), 또는 전부의 피막(7d)이 끼워 넣어지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특별히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그 관통구멍(6b)은 각 앞끝단의 피막(7d)이 삽입되는 여러개의 구멍이거나, 전부의 피막(7d)을 한번에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거나 어느쪽이라도 좋다.
하네스(7)는 피막(7b),(7d)에 피복된 여러개의 심선(7a)으로 이루어지고, 이 피막(7b)은 튜브(7C)로 덮여져 있다. 이 하네스(7)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단에 지지체(6)가 배설되고, 다른쪽 끝단에 코넥터(9)가 배설되어 있다. 이 하네스(7)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단부를 튜브(7c)로 부터 벗겨내어, 앞끝단에 피막(7d), 이 근방에 심선(7a), 또 이 근방에 피막(7b)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막(7D)은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구멍(6b)에 삽입하여 하네스(7)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 피막(7d)의 길이 및 위치는 관통구멍(6b)에 삽입하여 하네스(7)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 피막(7d) 근방의 심선(7a)은 피막(7b)과 피막(7b)과의 사이를 커터 등으로 박리하여 벗겨내고, 용착부(5b)를 전기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등으로 용접하고 있다. 상기 피막(7b)은 용착부(5b)와 튜브(7c) 사이의 부분, 즉 압입홈(6c)의 상기 피막(7b)을 이 압입홈(6c)에 눌러 끼워서 지지하고 있다.
상기 커버(8)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멍(2b)의 근방에 돌출하여 설치된 탄성돌기(2a)에 걸림구멍(8a)을 걸어 맞춤시키고, 또한 지지체(6)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부착구멍(2b)을 폐색하여 고정된다. 상기 코넥터(9)는 스테어링의 상대측 코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제1도에 나타낸 (10)은 스테이터 하우징(1)의 아래면에 고정부착, 또는 일체로 성형한 코넥터로서 차체쪽에 설치한 상대측의 코넥터(도시하지 앉음)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그 작용을 하네스(7)의 조립순서와 함께 자세하게 설명한다.
하네스(7)는 튜브(7c)의 양 끝단을 커터 등으로 절단하고 각 피막(7b),(7d)을 벗겨낸다. 이 피막(7b)의 한쪽 끌단을 커터 등으로 절단하고 심선(7a)을 벗겨 내어 코넥터(9)에 접속한다. 각 피막(7b)의 다른쪽 끝단은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끝단의 피막(7d)과 피막(7b)과의 사이를 커터 등으로 박리하여 심선(7a)을 벗겨낸다. 하네스(7)는 앞끝단에 피막(7d)이 있으므로, 그 근방에 있는 심선(7a)이 어긋나지 않는다.
상기 하네스(7)는 각 피막(7d)을 각각의 관통구멍(6b)에 삽입하고, 각 심선(7a)을 각각의 용착부(5b) 위에 얹어놓는다. 압입홈(6c) 위에 있는 피막(7b)은 이 압입홈(6c)에 눌러 끼워서 각 피막(7b)을 유지한다.
하네스(7)는 용착부(5b) 상에 있는 심선(7a) 양측의 피막(7b)과 피막(7d)이 관통구멍(6b) 및 압입홈(6c)에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심선(7a)이 용착부(5b) 위의 중앙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심선(7a)은 용착부(5b)에 전기 저항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된다.
상기 심선(7a)은 피막(7b) 및 앞끝단의 피막(7d)을 관통구멍(6b) 및 압입홈(6c)에 눌러 끼우고 심선(7a)의 양측을 고정한 것이므로, 이 심선(7a)은 어긋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심선(7a)은 납땜이나 프레스가공 등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 가공 공정수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하네스(7)는 심선(7a)을 용착부(5b)에 용접할 때, 하네스(7)를 손이나 조임부재 등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 용접작업이 쉬워지며, 또한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다.
유연케이블(4)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전선(4a)을 각 단자편(5a)에 접속한다. 이 유연케이블(4)의 다른쪽 끝단은 코넥터(10)에 접속된다. 이 유연케이블(4)과 하네스(7)를 구비한 지지체(6)는, 제1도에 나타낸 아래쪽으로 부터 코넥터(9)를 로우터 하우징(2)의 부착구멍(2b)으로 끼워 넣는다. 커버(8)는 걸림구멍(8a)을 탄성돌기(2a)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지지체(6)에 나사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커버(8)와 지지체(6)가 부착구멍(2b)의 주위에 끼워 지지되고, 이 커버(8)와 지지체(6)가 로우터 하우징(2)에 고정된다.
상기 유연케이블(4)은, 스테이터 하우징(1)과 로우터 하우징(2)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 내에 수납되며, 또 로우터 하우징(2) 및 코넥터(9)를 스테어링측에 부착하고, 스테이터 하우징(1) 및 코넥터(10)를 차체측에 부착한다.
다음에, 제5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번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의 하네스(7)의 피막(7d)을 떼어 내어 이루어지는 수단이다.
제6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하네스(7) 앞끝단의 피악(7d)을 떼어 낸 하네스(11)를 사용하였을 때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하네스(11)는 피막(11a)의 앞끝단에 심선(11b) 만을 가진다. 상기 피막(11a)은 압입홈(6c)에 눌러 끼워서 유지된다. 심선(11b)은 앞끝단을 관통구멍(6b)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그 근방의 부분을 용착부(5b)에 얹어놓고 또 용착한다. 또한 지지체(6)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또한 관통구멍(6b)은 심선(11b)의 앞끝단부가 삽입가능한 구멍이라면, 그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하네스(11)는 심선(11b)의 앞끝단을 관통구멍(6b)으로 유지하였으므로, 용착부(5b) 위의 심선(11b)이 어긋나지 않고 요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심선(11b)은 납뗌이나 프레스가공 등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 하네스(11)는 심선(11b)을 용착부(5b)에 용착할 때에, 그 심선(11b)의 앞끝단부를 관통구멍(6b)에 삽입하여 걸어두고, 또 피막(11a)을 압입홈(6c)에 눌러 끼움으로써, 심선(11b)을 용착부(5b)의 중앙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심선(11b)의 양측에 유지한다. 심선(11b)을 용착부(5b)에 용접하는 작업은 손이나 조임부재 등으로 하네스(11)를 유지하는 것이 불 필요하고, 용접작업을 하기 쉽다. 또한 심선(11b)은 단자(5)와 접하는 면적이 커져서, 확실하게 전기 접속할 수 있다.
다음에, 제7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번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 2 실시형태의 하네스(11)의 심선(11b)을 단자(13)에 뚫어서 형성한 관통구멍(13a)으로 유지하는 수단이다.
하네스(11)는 상술한 제6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이 하네스(11)의 피막(11a)은 지지체(12)의 압입홈(12b)에 눌려 끼워진다. 심선(11b)은 앞끝단이 관통구멍(13a)에 삽입되고, 이 근방이 용착부(13b) 위에서 용착된다.
제7도에 나타낸 지지체(12)는 오목부(12a) 내에 단자(13)의 용착부(13b)가 배설됨과 동시에, 이 단자(13) 위에 심선(11b)의 앞끝단부를 유지하는 관통구멍(13a)을 형성한 것이다. 압입홈(12b)은 피막(11a)이 눌러서 끼우는 단면이 반원형의 홈으로서 오목부(12a)에 인접된다.
단자(13)는 지지체(12)의 오목부(12a) 내에, 관통구멍(13a)을 뚫어서 형성한 용착부(13b)를 가지며, 상기 지지체(12)에 인서트 성형된다. 관통구멍(13a)은 심선(11b)의 앞끝단부가 끼워져 통하는 구멍으로서, 오목부(12b) 내의 용착부(13b)의 한쪽구석을 뚫어서 형성한 원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관통구멍(13a)은 심선(11b)의 앞끝단부가 삽입 가능한 구멍이라면 그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체(12)는 피막(11a)을 유지하는 압입홈(12b)과 심선(11b)을 배선하는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단자(13)를 인서트 성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의 하네스(11)는, 심선(11b)의 앞끝단을 단자(13)의 관통구멍(13a)으로 유지하였으므로, 용착부(13b) 위의 심선(11b)이 어긋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심선(11b)은 납땜이나 프레스가공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이 하네스(11)는 심선(11b)을 용착부(5b)에 용착할 때, 그 심선(11b)의 앞끝단부를 관통구멍(13a)에 삽입하여 걸어두고, 또한 피막(11a)을 압입홈(12b)에 눌러 끼움으로써, 심선(11b)을 용착부(13b)의 중앙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용착부(13b) 위에 배선된 심선(11b)의 양측이 유지된다. 심선(11b)을 용착부(13b)에 용접하는 작업은 손이나 조임부재 등으로 하네스(11)를 유지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용접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심선(11b)은 관통구멍(13a)에 끼워져 통함으로써, 단자(13)와 접하는 면적이 커지고, 확실하게 전기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지지체에 하네스의 앞끝단부의 심선, 또는 피막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을 뚫어서 형성함으로써, 하네스를 상기 관통구멍으로 소망위치에 가이드하여 유지할 수 있고, 하네스를 단자에 용접할 때, 하네스를 손이나 조임부재 등으로 고정할 필요가 없어서, 용접작업이 쉬워지고, 또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지지체에 오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 내에 단자의 용착부가 노출되고, 또한 하네스의 앞끝단부의 심선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심선이 어긋나지 않고, 이 심선을 용착부에 용접할 때 심선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공정수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관통구멍이 단자에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심선을 소망하는 위치로 안내하여 고정할 수 있다.
(4) 본 발명은, 관통구멍을 지지체에 인서트 성형한 단자에 뚫어서 형성함으로써, 하네스의 심선을 용착부에 용착할 때, 이 심선의 앞끝단부를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걸어둘 수 있고, 용착부 상의 소망위치에 심선을 유지할 수 있어 용접작업이 쉬워진다. 또한 심선을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이 심선과 단자가 접하는 면적이 커져, 확실하게 전기 접속할 수 있다.
(5) 본 발명은, 지지체의 오목부의 근방에, 하네스의 피막이 끼워 넣어지는 압입홈을 형성함으로써, 단자에 용착하는 심선의 양측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심선을 용착부의 중앙으로 안내하여 견고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접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스테이터 하우징(1)과, 이 스테이터 하우징(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로우터 하우징(2)과, 상기 스테이터 하우징(1)과 로우터 하우징(2)이 이루는 공간 내에 소용돌이 형태로 수납된 유연케이블(4)과, 이 유연케이블(4)로 부터 노출한 도전선(4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5),(13)와, 이 단자(5),(13)를 수지몰드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 하우징(1) 및 로우터 하우징(2) 중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한 지지체(6),(12)와, 상기 단자(5),(13)에 접속하는 하네스(7),(11)을 구비한 회전 코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12)는, 하네스(7),(11)의 앞끝단부의 심선(7a),(11b) 또는 피막(7d)을 삽입하는 관통구멍(6b),(13a)을 뚫어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코넥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12)는, 오목부(6a),(12a)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오목부(6a),(12a) 내에 상기 단자(5),(13)의 용착부(5b),(13b)를 노출시키고, 또 상기 하네스(7),(11) 앞끝단부의 심선(7a),(11b)을 지지하는 상기 관통구멍(6b),(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코넥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6b),(13a)은, 상기 지지체(6),(12)의 오목부(6a),(12a) 내의 상기 단자(5),(13)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코넥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3a)은, 상기 지지체(12)에 인서트 성형한 단자(13)에 뚫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코넥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12)는, 상기 오목부(6a),(12a)의 근방에, 상기 하네스(7),(11)의 피막(7b),(11a)이 끼워 넣어지는 압입홈(6c),(12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코넥터장치.
KR1019970004567A 1996-03-01 1997-02-15 회전 코넥터장치 KR100295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71369 1996-03-01
JP8071369A JPH09245923A (ja) 1996-03-01 1996-03-01 回転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049A KR970068049A (ko) 1997-10-13
KR100295230B1 true KR100295230B1 (ko) 2001-09-17

Family

ID=1345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567A KR100295230B1 (ko) 1996-03-01 1997-02-15 회전 코넥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245923A (ko)
KR (1) KR100295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0016B2 (ja) * 2009-11-26 2014-08-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6447240B2 (ja) * 2015-02-27 2019-01-09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45923A (ja) 1997-09-19
KR970068049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700B2 (en) Connector assembly
KR100194157B1 (ko) 회전커넥터
US6247977B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US4728835A (en) Electric motors
US5986367A (en) Motor mounting mechanism for a cylindrical vibration motor
JP2007250362A (ja) コネクタ構造およびコネクタ式端子台構造
JP2010094014A (ja) 電気モータインタフェース、そのための電気プラグ部品、電気モータ端子、及び電気モータ
US5827081A (en) Rotary connector apparatus
JP4082259B2 (ja) 回転電機
KR100348655B1 (ko) 전선과단자의접속구조및방법
EP1677389B1 (en) Power terminal and a unit comprising such power terminal
KR100295230B1 (ko) 회전 코넥터장치
US5833476A (en) Rotary connector apparatus
JP4602264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320584B1 (ko) 회전코넥터장치
KR0152593B1 (ko) 회전 커넥터
JP2008177053A (ja) 制御回路内蔵ユニット
JP3908924B2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
GB2172754A (en) Electric motor
JP4025588B2 (ja) 電線クランプ
JP4197368B2 (ja) 電気ケーブルの接続装置と、これを用いた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7459809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213243720U (zh) 电机接口组件及电机
WO2021059803A1 (ja) 接続箱付きハーネス
WO2004070883A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