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991B1 - 연소과정으로부터배출되는배기가스의질소산화물의함량을감소시키기위하여투여되는처리물질의양을제어하기위한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과정으로부터배출되는배기가스의질소산화물의함량을감소시키기위하여투여되는처리물질의양을제어하기위한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991B1
KR100294991B1 KR1019980008553A KR19980008553A KR100294991B1 KR 100294991 B1 KR100294991 B1 KR 100294991B1 KR 1019980008553 A KR1019980008553 A KR 1019980008553A KR 19980008553 A KR19980008553 A KR 19980008553A KR 100294991 B1 KR100294991 B1 KR 10029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dministered
amount
value
nitroge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251A (ko
Inventor
메르크스 요세프
비더케어 마르셀
Original Assignee
루에디 프러이,브루노 안드레오리
폰 롤 움벨트테크니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에디 프러이,브루노 안드레오리, 폰 롤 움벨트테크니크 아게 filed Critical 루에디 프러이,브루노 안드레오리
Publication of KR1998008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1/00Control of flow ratio
    • G05D11/02Controlling ratio of two or more flows of fluid o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01N3/025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adding fuel to exhaust ga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0Control of chemical or physico-chemical variables, e.g. pH value
    • G05D21/02Control of chemical or physico-chemical variables, e.g. pH valu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연소과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과 투여되는 물질의 양을 질소산화물의 함량의 함수로서 계산하고, 투여되는 물질의 제2의 제어된 값을 처리물질 슬립의 함수로서 계산하고, 상기 제1의 제어된 값 또는 제2의 제어된 값 중의 하나만을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의 함수로서 투여되는 물질의 제어된 값으로 이용한다.

Description

연소과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베기 가스중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처리 매질(treatment medium)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소 산화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소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환원 촉매 변환기의 상류에서 배기 가스흐름에 암모니아를 공급하거나(SCR 공정), 또는 암모니아 및/또는 온도의 영향하에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 혼합물을 생성하는 물질(예컨대 우레아, 우레아 염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을 제2 연소실 내에서 배기가스 흐름에 분사하는 방법(SNCR 공정)이 사용되어왔다. 양 경우에 있어서, 질소 산화물의 환원 반응에 소모되지 않은 과잉의 암모니아는 배기 가스 내에서 소위 암모니아 슬립(slip)으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된다.
EP0 549 904 호에는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매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있는데, 여기에서는 질소 산화물만이 아니라 소모되지 아니한 암모니아의 양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그 목적이 암모니아 슬립의 방출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의 양이 증가할 경우에는 이를 허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질소 산화물의 배출량이 법적으로 규제되는 양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법은 더욱 불합리하게 된다.
도 1은 연소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어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제어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는 제 1 작동모드에서의 슬립 조절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b는 제 2 작동모드에서의 슬립 조절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산화질소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 예컨대 암모니아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특히 설정된 제한치를 충족할 수 있는 개선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특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종속항인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6항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또는 개선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 특히 암모니아의 양을 조절하되, 질소산화물의 평균적인 양과 투여되는 양의 제1의 조절된 변수가 질소산화물의 양의 함수로서 발생되고, 투여되는 양의 제2의 조절된 변수가 처리물질의 슬립의 함수로서 발생되고, 상기 제1의 조절된 변수만이, 또는 제2의 조절된 변수가 질소산화물의 평균적인 양의 함수로서 고려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게된다.
특히 법적으로 규정된 제한치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함량은 연속적으로 측정하며,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은 특정된 제한치에 따라 예컨대 30분 동안 또는 24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재 계산한다.
질소산화물의 함량 외에도 처리물질의 슬립도 측정하며, 이로부터(필요에 따라) 예컨대 24시간 동안의 평균값인 평균치를 계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는 두 개의 상이한 작동모드를 갖는다. 배출 기준을 초과할 우려가 없는 제 1 작동 모드 중에는 투여되는 암모니아의 제1 가변 값을 질소산화물 조절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값의 함수로서 계산하고, 투여된 암모니아의 제2 가변치를 슬립 조절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암모니아 슬립의 함수로서 계산한다. 상기 두 개의 조절기의 하류에 연결된 최소치 선정장치를 이용하여 투여되는 암모니아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의 제어된 값과 제2의 제어된 값의 두 개의 값 중에서 보다 적은 값을 선택하며, 이에 의하여 암모니아의 소비를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암모니아 슬립의 양을 줄일 수 있게된다. 본 제어장치는 특히 질소산화물의 방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와 같이 설정된 한계를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즉시 제2의 작동모드로 전환된다. 평균 질소함량은 계속 측정하고 이를 설정된 제한치와 비교한다.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즉시 제어장치는 제2 작동모드로서 작동되는데, 작동모드를 변경시키게 하는 상기 기준치는 법적으로 제한된 배출기준치 이하로 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안전구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작동모드에서는 질소산화물 조절기에 의하여 발생된 제1의 제어된 값만이 투여되는 암모니아의 양을 조절하는데 이용되는데, 이는 순수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하나의 장점은 제1 작동모드에서 질소산화물의 함량 및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소모되지 아니한 암모니아의 함량(암모니아 슬립)이 낮게 유지되고,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높아지는 기간에는 제2 작동모드로 작동되어 이 동안에는 특히 질소산화물의 배출기준과 관련된 설정된 기준치에 적합하도록 질소산화물의 함량만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연소장치(1)는 공급라인을 통하여 연료(7)가 공급되는 한편 또 다른 공급라인을 통하여는 처리물질(8a)이 공급되는 연소장치(2)를 갖는데, 특히 처리물질(8a)의 유량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구(8) 및 제어장치(30)에 의하여 조절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처리물질(8a)로는 암모니아가 사용된다.연소장치(2)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5a)는 보일러(3)로 유입된 후, 처리되지 아니한 가스(5b) 상태로 상기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며, 연도가스 세정장치(4)를 통과한 후 청정가스(5c) 상태로 굴뚝을 통과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암모니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9)는 연결라인(9a)을 통하여 통과되는 처리되지 아니한 가스(5b)에 연결되며, 측정된 처리물질 슬립(암모니아 슬립)(9b)은 전기적 신호로서 하류의 제어장치(30)로 공급된다. 질소산화물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10)도 마찬가지로 연결라인(10a)을 통하여 관통되는 처리되지 않은 가스(5b)에 연결되며, 처리되지 않은 가스(5b)의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전기적 신호로서 하류의 제어장치(30)로 공급한다. 정화된 가스(5c)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은 연결라인(11a)을 통하여 또 다른 질소산화물 측정장치(11)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함량(11b)은 전기적 신호로서 역시 하류의 제어장치(30)로 공급된다.
도2는 제어장치(3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정화된 가스의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함량(11b)은 질소산화물 조절기(14)로 공급되는데, 이는 설정된 공칭 질소산화물 함량치(11c)를 고려하여 제어된 가변치(14b)를 생성하고 이는 다시 슬립조절기(13)와 최소값 선택장치(12)로 공급된다. 정화된 가스(5c) 내의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값의 함수로서 질소산화물 조절기는 연도가스로부터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암모니아수를 계량할 수 있도록 제어된 값(14b)을 생성하게된다.
처리되지 않은 가스(5b) 내의 측정된 암모니아 슬립(9b)은 슬립조절기(13) 로 공급되며, 상기 슬립조절기는 공칭 암모니아 슬립 값(9c)을 고려하여 연도가스로부터 질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암모니아수를 계량하기 위한 제2의 제어된 값(13b)을 생성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제2의 제어값은 마찬가지로 최소치 선택장치(12)로 공급된다. 슬립조절기(13)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값(13b)은 질소가 이미 제거된 처리되지 않은 가스(5b)로부터 측정한 암모니아 슬립이 설정된 공칭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암노이아수의 계량값을 낮추게된다. 따라서 제2의 제어된 값(13b)은 측정된 암모니아 슬립(9b)이 증가되면 첨가된는 암모니아수의 양을 적게하는 결과를 초래하게된다.
상기 두 개의 가변치(13b) 및 (14b)는 최소치 선택장치(12)에서 상호 비교되고, 두 개의 값 중 작은 값은 제어된 값으로서 하류 흐름 조절기(17)로 공급된다. 상기 흐름 조절기(17)는 제어된 값(12b)에 의하여 설정되고 흐름 조절기(17)에 공칭 값으로 규정된 암모니아수의 유량이 전달될 수 있도록 이용되는데, 이는 암모니아의 유량을 센서(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이를 실제값(12c)으로서 흐름 조절기(17)에 공급하여 흐름조절기가 제어된 값(17a)을 통하여 예컨대 계량펌프로 구성된 계량장치(8)와 같은 제어구(8)를 구동시켜 제어된 값(12b)에 의하여 설정되는 암모니아의 양이 연소장치(2)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제어장치(30)는 평균화 장치(16)를 또한 갖는데, 이는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함량으로부터 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생성하여 이를 입력장치(16d)에 의하여 규정되는 공칭 질소산화물의 함량 값(16c)과의 편차를 형성하는 상태에서 조절된 값(16e)으로서 비교기(15)에 공급한다. 상기 평균값은 예컨대 30분 간격 또는 매일 단위로 계속적으로 평균화 장치(16)에 의하여 계산된다.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공칭 질소산화물 평균값(16c)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교기(15)는 논리제어신호 "1" 을 생성하여 이를 슬립조절기(13)에 제어된 값(15b)으로 공급한다.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공칭 질소산화물의 평균값(16c)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교기(15)는 논리제어신호 "0" 을 생성시킨다. 도 4a 및 4b 는 두 개의 작동모드에 있는 슬립조절기(13)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에 도시된 제1 작동모드에서, 제어된 값(15b)은 논리 "1" 이 되고 변환장치(19)는 도시된 위치에 있게된다. 도 4b 에 도시된 제2 작동모드에서, 제어된 값(15b)은 논리 "0" 이 되고 변환장치는 역시 이에 대응되는 도시된 위치에 있게된다.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16b)이 공칭 질소산화물의 평균값(16c)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교기는 논리제어신호 "1" 로 변환되고 슬립조절기(13)는 도 4a 에 도시된 제1 작동모드로 변환된다. 제1 작동모드에서, 슬립 조절기(13)로부터 발생되는 제어된 값(13b)은 질소산화물 조절기의 제어된 값(14b)과 항상 일치하게 되는데, 이는 비례/적분 부분(20)에 비례통로(proportional path)를 사용하여 적분기가 오프된 상태일 때 출력값 y 가 입력값 z 와 일치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회로에 의하여 공칭 처리물질 슬립값(9c)과 처리물질 슬립(9b) 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값 x 와는 무관하게 슬립 조절기(13)의 제어된 값(13B)이 언제나 질소산화물 조절기(14)의 제어된 값(14b)과 항상 동일하게 된다. 제1 작동모드에서, 제어된 값(13b)은 제어된 값(14b)을 직접 추종하고 필요하면 변환장치(19)가 절환될 때 점프된다. 하류에 설치된 최소값 선택장치(12)는 두 개의 제어된 값(13b), (14b) 중 낮은 값을 선택한다. 이들 두 개의 값은 제1 작동모드에서 동일한 값을 갖고있기 때문에, 제어된 값(12b)은 질소산화물 조절기(14)의 제어된 값(14b)과 일치하게된다. 따라서, 이제 암모니아수는 발생되는 슬립과는 관계없이 질소산화물 조절기(14)에 의하여 조절되어, 제어 시스템은 암모니아 슬립을 소모하면서도 규정된 질소산화물 배출기준에 부합되도록 하게된다.
제2 작동모드는 변환장치(19)가 z 에서 x 로 절환되는 경우에도 제어된 값(13b)의 점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있는데, 이는 다시 말하면 z 로의 스위치가 오픈되어있고 x 로의 스위치는 폐쇄되어있도록 절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작동모드에서, 적분 조절기는 비례/적분 부분(20)에 연결되는 한편 비례 적분기는 비례부분(21)에 연결되어 제2 작동모드에서 슬립 조절기(13) 전체에 소위 PI 조절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작동모드에서, 슬립 조절기(13)는 대응된 조절값(13b)을 발생시킴에 의하여 처리물질 슬립(9b)과 공칭 처리물질 값(9c) 사이의 차이가 0 이 되도록 한다. 제2 작동모드에서, 제어된 값(13b) 및 (14b) 는 상이한 값을 갖게되며, 최소치 선택장치(12)는 상기 두 개의 값 중 적은 값을 선택하며 이와 같이 선택된 값을 흐름조절기(17)용의 제어된 값(12b)으로 설정하게된다.
도 3에 도시된 제어장치(30)의 제2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보다 동적으로 반응하는 처리되지 않은 질소산화물의 함량(10b)이 하위의 질소산화물 조절기(14)로 공급되고, 보다 반응속도가 느린 순수 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11b)은 상위의 질소산화물 조절기(18)로 공급되는 직렬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제어되는 것이 다른 점인데, 상기 질소산화물 조절기(18)는 제어된 값(18b)을 생성하고 이 값은 입력장치(10d)에 의하여 규정된 공칭의 처리되지 아니한 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과의 차이에 의하여 질소산화물 조절기(14)에 입력되는 설정된 값을 생성하게된다. 이러한 직렬제어 시스템은 보다 동적인 제어응답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직렬제어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양 제어장치(30)들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다.

Claims (11)

  1. 연소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8a)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16b)과 투여되는 물질의 제1의 제어된 값(14b)을 질소산화물의 함량(11b)의 함수로서 발생시키는 단계와,
    투여되는 제2의 제어된 값(13b)을 처리물질 슬립(9b)의 함수로서 발생시키는 단계와,
    제1의 제어된 값(14b) 또는 제2의 제어된 값(13b) 중의 하나를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16b)의 함수로서 투여되는 물질의 제어된 값(12b)으로 이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16b)이 공칭 질소산화물의 함량의 평균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1의 제어된 값(14b) 만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제1의 제어된 값(14b) 및 제2의 제어된 값(13b)이 모두 이용되는 경우에는 낮은 값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전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16b)이 특히 관련 법규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전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소산화물의 함량(10b, 11b)을 처리되지 않은 가스(5b)와 정화된 가스(5c) 모두로부터 측정하고, 제1의 제어된 값(14b)은 직렬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두 개의 질소산화물의 함량(10b, 11b)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전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칭 질소산화물 함량의 평균값(16c)이 법령에 규정된 한계보다는 낮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전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의 제어된 값(14b)과 제2의 제어된 값(13b)의 변환 중에 투여되는 물질의 양에 대한 제어된 값(12b)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7항에 기재된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평균 질소산화물의 함량(16b)을 계산하기 위한 평균화장치(16)와,
    질소산화물 조절기(14)와,
    슬립 조절기(13) 및
    평균화장치(16)에 의하여 구동되고 처리물질의 흐름을 조절하는 흐름조절기(17)에 공급되는 제어된 값으로서 질소산화물 조절기(14)의 제어된 값(14b) 또는 슬립 조절기(130의 제어된 값(13b) 만을 결정하는 변환장치(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질소산화물 조절기(14) 및 슬립 조절기(13)의 제어된 값(13b, 14b)이 두 개의 제어된 값(13b, 14b) 중 적은 값을 제어된 값으로서 흐름조절기(17)에 공급하는 최소값 선택장치(12)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제2 질소산화물 조절기(18)가 질소산화물 조절기(14)의 상류에 연결되어 직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의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투여되는 처리물질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 내지 7항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제8항 내지 10항에 기재된 제어장치를 갖는 연소장치.
KR1019980008553A 1997-03-21 1998-03-13 연소과정으로부터배출되는배기가스의질소산화물의함량을감소시키기위하여투여되는처리물질의양을제어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100294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68697 1997-03-21
CH19970686/97 1997-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251A KR19980080251A (ko) 1998-11-25
KR100294991B1 true KR100294991B1 (ko) 2001-07-12

Family

ID=419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553A KR100294991B1 (ko) 1997-03-21 1998-03-13 연소과정으로부터배출되는배기가스의질소산화물의함량을감소시키기위하여투여되는처리물질의양을제어하기위한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866395B1 (ko)
JP (1) JP3002819B2 (ko)
KR (1) KR100294991B1 (ko)
AT (1) ATE227029T1 (ko)
CA (1) CA2232721A1 (ko)
CZ (1) CZ296118B6 (ko)
DE (1) DE59806085D1 (ko)
HU (1) HUP9800244A2 (ko)
NO (1) NO981278L (ko)
PL (1) PL325437A1 (ko)
TW (1) TW4229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6262B2 (en) * 2002-09-25 2007-01-23 Mitsubishi Power Systems, Inc. Control for ammonia slip i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US7776265B2 (en) 2004-03-18 2010-08-17 Cummins Filtration Ip, Inc. System for diagnosing reagent solution quality
US7117046B2 (en) * 2004-08-27 2006-10-03 Alstom Technology Ltd. Cascaded control of an average value of a process parameter to a desired value
US7323036B2 (en) 2004-08-27 2008-01-29 Alstom Technology Ltd Maximizing regulatory credits in controlling air pollution
US7634417B2 (en) 2004-08-27 2009-12-15 Alstom Technology Ltd. Cost based control of air pollution control
US7536232B2 (en) 2004-08-27 2009-05-19 Alstom Technology Ltd Model predictive control of air pollution control processes
US7522963B2 (en) * 2004-08-27 2009-04-21 Alstom Technology Ltd Optimized air pollution control
DE102011081282A1 (de) 2011-08-19 2013-02-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zierung der Schadstoffmenge in Abgasen
KR101925019B1 (ko) 2018-03-30 2018-12-04 이선영 반려동물용 방석으로 변신 가능한 상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9972A (en) * 1977-12-28 1979-07-17 Mitsubishi Heavy Ind Ltd Ammonia flow rate control method in dry exhaust gas denitration process
EP0263195B1 (en) * 1986-10-07 1991-03-06 Nippon Koka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nitration of exhaust gas
JPS6261622A (ja) * 1985-09-12 1987-03-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脱硝制御方法
AT385915B (de) * 1986-07-30 1988-06-10 Jenbacher Werke Ag Verfahren zur katalysator-steuerung und -regelung
JPH0365217A (ja) * 1989-08-01 1991-03-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煙脱硝装置の窒素酸化物制御装置
WO1992000136A1 (en) * 1990-06-25 1992-01-09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Simultaneously reducing dioxins and controlling hydrochloric acid emissions from solid waste incinerators
DE4139862A1 (de) * 1991-12-03 1993-06-09 Martin Gmbh Fuer Umwelt- Und Energietechnik, 8000 Muenchen, De Verfahren zur regelung der eingabemenge eines behandlungsmediums zur verminderung des stickoxidgehaltes in den abgasen von verbrennungsprozessen
JP2656418B2 (ja) * 1992-01-14 1997-09-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燃焼排ガス中のNOx抑制制御方法
DE4203219A1 (de) * 1992-02-05 1993-08-12 Basf Ag Verfahren zur stickoxidminderung in abgasen durch gesteuerte nh(pfeil abwaerts)3(pfeil abwaerts)-zugabe
DE4334071C1 (de) * 1993-10-06 1995-02-09 Siemens Ag Verfahren zur Verminderung der Stickoxidkonzentration im Abgas einer Brennkraftmaschine oder einer Verbrennungsanlage
JP3408852B2 (ja) * 1993-12-14 2003-05-19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窒素酸化物濃度制御脱硝方法と装置
JPH09871A (ja) * 1995-06-22 1997-01-07 Babcock Hitachi Kk 複数の排ガス処理系統へのアンモニア注入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6395B1 (de) 2002-10-30
PL325437A1 (en) 1998-09-28
CZ85498A3 (cs) 1998-10-14
CA2232721A1 (en) 1998-09-21
DE59806085D1 (de) 2002-12-05
KR19980080251A (ko) 1998-11-25
ATE227029T1 (de) 2002-11-15
HU9800244D0 (en) 1998-04-28
EP0866395A1 (de) 1998-09-23
TW422944B (en) 2001-02-21
HUP9800244A2 (hu) 1999-06-28
JPH10263360A (ja) 1998-10-06
NO981278D0 (no) 1998-03-20
CZ296118B6 (cs) 2006-01-11
JP3002819B2 (ja) 2000-01-24
NO981278L (no) 1998-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991B1 (ko) 연소과정으로부터배출되는배기가스의질소산화물의함량을감소시키기위하여투여되는처리물질의양을제어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910002499A (ko) 환원제를 사용하여 배기개스로부터 산화질소를 촉매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KR101652454B1 (ko) 배기 후처리 시스템 및 그와 같은 시스템에 관한 방법
US11105236B2 (en)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KR20040063078A (ko) 배기 가스 정화 시에 저장 촉매 컨버터의 재생, 특히탈황산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0203268A (ja) 脱硝装置
KR101671526B1 (ko) 엔진의 후처리 장치
JP3902737B2 (ja) 廃棄物処理設備の脱硝触媒装置のアンモニア吹き込み制御方法
JP3986628B2 (ja) 排煙脱硝方法および装置
CN109794150A (zh) 一种带外置床cfb锅炉烟气脱硝控制方法及系统
JP4690597B2 (ja) 燃焼式除害装置
JPH05220341A (ja) 燃焼過程の排ガス中の窒素酸化物含量を減らすため処理剤の装入量を制御する方法
JP2002028449A (ja) 触媒脱硝装置のアンモニア注入制御方法
JP2001129354A (ja) 脱硝装置、燃焼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H01168319A (ja) 発電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ガスのNOx低減装置
JP2006183628A (ja) 排ガス処理方法及び尿素scr型自動車排ガス処理装置
JPS6071027A (ja) 乾式排煙脱硝装置におけるアンモニア注入量制御方法
JP3189448B2 (ja) 排ガス用NH3・NOx濃度測定装置
RU2156155C2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роцесса очистки продуктов горения от оксидов азота с ограничением концентрации аммиака в очищенных газах
JP2001104755A (ja) 脱硝装置へのアンモニア注入量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S61278333A (ja) 焼却炉における燃焼管理方法
JPH0760061A (ja) 排ガス脱硝方法および装置
JPH04338214A (ja) 窒素酸化物低減装置
JPS6261622A (ja) 脱硝制御方法
RU98118031A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роцесса очистки продуктов горения от оксидов азота с ограничением концентрации аммиака в продуктах гор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