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322B1 - 냉각저장고 - Google Patents

냉각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322B1
KR100294322B1 KR1019980029728A KR19980029728A KR100294322B1 KR 100294322 B1 KR100294322 B1 KR 100294322B1 KR 1019980029728 A KR1019980029728 A KR 1019980029728A KR 19980029728 A KR19980029728 A KR 19980029728A KR 100294322 B1 KR100294322 B1 KR 10029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wall surface
guard
storage compartmen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261A (ko
Inventor
마사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29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물품이 저장실내에 채워넣어지고 가득 채워진 경우에도 저장실내의 냉기를 구석구석까지 순환시킬 수가 있는 냉각저장고를 제공한다.
냉각저장고는 저장실을 구획형성하는 벽면위쪽으로부터 냉기를 강하시켜 저장실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벽면에는 물품탑재용의 선반을 가설하기 위한 선반지주를 부착시켜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반지주의 상단부에 부착된 부착기구와 이 부착기구에 가설되어 벽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드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냉각저장고
본 발명은 저장실내의 벽면에 물품탑재용의 선반을 가설하기 위한 선반지주를 부착시켜서 된 냉각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식품을 저장하는 업무용의 냉각저장고에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8-29053(F25D25/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장실내에 식품을 탑재시키기 위한 선반이 복수단 가설되어 있다.
이 경우, 저장실의 벽면에는 선반받이 기둥(선반지주)이 부착되고 이 선반받이기둥에 걸어맞추어진 걸이철물(선반받이)에 선반망(선반)이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 냉기는 저장실상부로부터 분출되어 강하하면서 저장실내를 순환해서 냉각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저장실내에 골판지상자채움의 식품이 수납되고 선반망상에 간격없이 탑재되어서 가득 채워졌을 경우, 저장실내의 냉기순환이 골판지상자에 의해 방해되어 냉기가 저장실내부를 순환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그때문에 저장실내 하부의 식품까지 구석구석까지 냉각되지 않게 되어서 냉각성능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종래의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골판지상자 등이 저장실내에 채워져서 가득 채워지게 되는 경우에도 저장실내의 냉기를 구석구석까지 순환시킬 수가 있는 냉각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각저장고의 종단정면도
도 2는 가드를 제거한 본 발명의 냉각저장고의 종단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저장고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부착기구와 선반지주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저장고 배면부의 확대종단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착구와 선반지주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R. 냉각저장고
1. 저장실
2. 선반
3. 단열상자체
3A. 배면벽면
4. 선반지주
4D. 상단가장자리
5. 걸어맞춤구멍
6. 부착기구
6A. 걸어맞춤부
6B. 삽입부
6C. 절단부
7,11. 나사
8. 간격
9. 가드
10. 냉각기
13. 냉각장치
본 발명의 냉각저장고는 저장실을 구획형성하는 벽면 위쪽으로부터 냉기를 강하시켜 저장실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벽면에는 물품탑재용의 선반을 가설하기 위한 선반지주를 부착시켜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반지주의 상단부에 부착된 부착기구와 이 부착기구에 가설되어 벽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드(guard)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실을 구획형성하는 벽면위쪽으로부터 냉기를 강하시켜 저장실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벽면에는 물품탑재용의 선반을 가설하기 위한 선반지주를 부착시켜서 이루어진 냉각저장고에 있어서, 선반지주의 상단부에 부착된 부착기구와 이 부착기구에 가설되고 벽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가드와 벽면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의 냉기가 강하하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실내가 물품에 의해 가득 채워진 경우에도 벽면내측을 강하하는 냉기에 의해 저장실내 하부의 물품도 구석구석까지 냉각시킬 수가 있게 되고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또 기존의 선반지주의 상단에 부착기구를 부착시켜 이 부착기구에 가드를 가설하면 되므로 범용성도 풍부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냉각저장고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추가해서 선반지주가 선반받이를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전면과 저장실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좌우측면으로 구성되어서 상단가장자리가 개방됨과 동시에 부착기구는 상부에 형성되어서 가드를 받는 걸어맞춤부와 이 걸어맞춤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해서 상기한 개방구로부터 선반지주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고 이 삽입부는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고 선단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발명에 추가해서 선반지주는 선반받이를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전면과, 저장실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좌우측면으로 구성되어서 상단가장자리가 개방되어 있고 부착기구가 상부에 형성되어서 가드를 받는 걸어맞춤부와 이 걸어맞춤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상기한 개방구로부터 선반지주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했으므로 삽입부를 선반지주의 상단개방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부착기구를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또 이 삽입부를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했으므로 부착기구를 선반지주의 개방구에 삽입하는 작업을 극히 원활히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삽입부의 선단에는 절단부를 형성했으므로 이 절단부에 나사조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총체적으로 부착기구의 부착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각저장고(R)의 종단정면도, 도 2는 가드(9)를 제거한 냉각저장고(R)의 종단정면도, 도 3은 냉각저장고(R)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부착기구(6)와 선반지주(4)의 분해사시도이다.
실시예의 냉각저장고(R)는 호텔이나 레스토랑 등의 주방등에 있어서 식품을 소정온도로 보존하는 업무용의 냉각저장고이며 이 냉각저장고(R)의 본체를 구성하는 단열상자체(3)내에는 저장실(1)이 구획형성되고 이 저장실(1)에는 식품(골판지상자 채움)을 탑재시키기 위한 선반(2)이 복수단 가설되어 있다. 또한 (20)은 저장실(1)의 전면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문이다.
그리고 저장실(1)의 배면벽면(3A)에는 4개의 선반지주(4)가 상하방향으로 부착되어 있고 좌우 2개씩이 한쌍을 이루고 있다. 또한 그러한 선반지주(4)는 저장실(1)의 좌우측벽면(3B),(3C)에도 부착되어 있다. 각 선반지주(4)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걸어맞춤구멍(5)이 형성된 전면(4A)과 그것이 부착된 저장실(1)의 각 벽면으로부터 경사지게 기립하는 좌우측면(4B),(4C)로 구성되고 그 상단 가장자리(4D)는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걸어맞춤구멍(5)에 도시하지 않은 선반받이가 각각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동일높이인 복수의 선반받이에 선반(2)이 좌우로 1매씩 안정적으로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배면벽면(3A)의 각 선반지주(4)의 상단가장자리(4D)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기구(6)가 위쪽으로부터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기구(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뻗어나온 후, 수직으로 기립된 걸어맞춤부(6A)와 이 걸어맞춤부(6A)의 후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는 삽입부(6B)로 구성되어 있고 삽입부(6B)는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선단에는 절단부(6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부(6B)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지주(4)의 상단가장자리(4D)로부터 삽입한 상태에서 선반지주(4)의 바로위에서 나사(7)를 절단부(6C)내에 넣고 그 내부가장자리와 배면벽면(3A)에 나사조임해서 고정시킨다. 또한 (11)은 선반지주(4)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한쌍의 선반지주(4),(4)의 부착기구(6),(6)에는 가드(9)의 상부가 가설된다.
이 가드는 금속, 혹은 경질강성수지의 와이어 등을 격자상으로 조립해서 구성되어 있고 상부를 각 부착기구(6),(6)의 걸어맞춤부(6A),(6A)상에 탑재시키므로서 배면벽면(3A)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8)을 두고 상하로 유지된다(도 5).
또 가드(9)는 배면벽면(3A)의 내측에 2개 병설되어 있다(도 1).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상자체(3)의 천정에는 개방구(1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개방구(12)를 폐색하도록 위로부터 부착가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가대(11)의 상면에는 냉각장치(13)의 냉동주기를 구성하는 압축기(14), 응축기(15), 응축기용송풍기(16)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부착가대(11)의 하면에는 마찬가지로 냉각장치(13)의 냉동주기를 구성하는 냉각기(10)와 송풍기(F)가 부착되고 커버(19)로 덮혀 있다.
부착가대(11)가 개방구(12)를 폐색한 상태에서 냉각기(10)는 저장실(1)내의 천정부에 배치되고 압축기(14), 응축기(15), 응축기용 송풍기(16)는 단열상자체(3)의 천정부에 배치된다. 송풍기(F)는 냉각기(10)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하면의 커버(19)에는 흡입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19)의 후단에는 토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냉각장치(13)가 운전되면 송풍기(F)로부터 냉기된 공기는 냉각기(10)와 열교환된 후, 토출구(18)로부터 아래쪽의 저장실(1)내로 토출된다.
냉기는 배면벽면(3A)의 전방으로 강하하고 문(20)측을 상승해서 흡입구(17)로 부터 재차 송풍기(F)로 흡입되는 순환을 행한다.
그리고 저장실(1)내에는 문(20)을 개방한 상태에서 골판지상자(B)에 채워진 식품이 수납되고 각 선반(2)상에 탑재되지만 저장실(1)내 안쪽으로 밀어넣어진 골판지상자(B)는 이어서 가드(9)에 맞닿고 그 이상 배면벽면(3A)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가득하게 골판지상자(B)가 저장실내에 채워진 경우에도 가드(9)와 배면벽면(3A)간의 상기한 간격(8)은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토출구(18)로부터 토출된 냉기는 이 간격(8)내를 아래쪽으로 강하될 수 있게 되고 골판지상자(B)가 가득하게 채워넣어진 경우에도 저장실(1)내 하부에 냉기는 골고루 미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부착기구(6)를 선반지주(4)와 별개로 나사(7)로서 고정시켰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부(6B)의 삽입여백부분을 크게 취하여 절단부(6C)가 나사(11)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구성해서 도 6과 같이 이 나사(11)에 의해 부착기구(6)와 선반지주(4)를 공동체결해도 된다. 이 경우, 나사(11)는 절단부(6C)내로 진입해서 그 내부가장자리에 나사조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드(9)와 배면벽면(3A)의 사이의 간격(8)내에 위쪽으로부터의 냉기가 강하하는 통로를 확보할 수가 있으므로 저장실(1)내가 골판지상자(B)등의 물품에 의해 가득하게 채워진 경우에도 배면벽면(3A)내측을 강하하는 냉기에 의해 저장실(1)내 하부의 물품까지 구석구석까지 냉각시킬 수가 있게 되고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또 기존의 선반지주(4)의 상단에 부착기구(6)를 부착시키고 이 부착기구(6)에 가드(9)를 가설하면 되므로 범용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또 부착기구(6)는 상부에 형성되어서 가드(9)를 받는 걸어맞춤부(6A)와 이 걸어맞춤부(6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고 상단가장자리(4D)의 개방구로부터 선반지주(4)내로 삽입되는 삽입부(6B)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삽입부(6B)를 선반지주(4)의 상단가장자리(4D)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부착기구(6)를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또 삽입부(6B)를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부착기구(6)를 선반지주(4)의 상단가장자리(4D)에 삽입하는 작업이 극히 원활히 행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삽입부(6B)의 선단에는 절단부(6C)를 형성했으므로 이 절단부(6C)에 있어서 나사조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총체적으로 부착기구(6)의 부착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배면벽면(3A)에 가드(9)를 가설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냉기를 우측벽면(3C)위쪽으로부터 강하시켜 좌측벽면(3B)위쪽으로 흡입하는 경우에는 우측벽면(3C)의 선반지주(4)에 부착기구(6)를 부착시켜 가드(9)를 가설하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실을 구획형성하는 벽면위쪽으로부터 냉기를 강하시켜 저장실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벽면에는 물품탑재용의 선반을 가설하기 위한 선반지주를 부착시켜서 된 냉각저장고에 있어서, 선반지주의 상단부에 부착된 부착기구와 이 부착기구에 가설되고 벽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가드와 벽면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의 냉기가 강하하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장실내가 물품에 의해 가득 채워진 경우에도 벽면내측을 강하하는 냉기에 의해 저장실내 하부의 물품까지 구석구석까지 냉각시킬 수가 있게 되고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또 기존의 선반지주의 상단에 부차기구를 부착시키고 이 부착기구에 가드를 가설하면되므로 범용성이 풍부한 것이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에 추가해서 선반지주는 선반받이를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이 복수 형성된 전면과 저장실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좌우측면으로 구성되어서 상단 가장자리가 개방되어 있고 부착기구가 상부에 형성되어서 가드를 받는 걸어맞춤부와 이 걸어맞춤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고 개방구로부터 선반지주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했으므로 삽입부를 선반지주의 상단 개방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부착기구를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또 이 삽입부를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했으므로 부착기구를 선반지주의 개방구에 삽입하는 작업이 극히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특히 삽입부의 선단에는 절단부를 형성했으므로 이 절단부에 있어서 나사조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총체적으로 부착기구의 부착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2)

  1. 저장실을 구획형성하는 벽면위쪽으로부터 냉기를 강하시키고 상기 저장실내를 냉각시킴과 동시에 벽면에는 물품탑재용 선반을 가설하기 위한 선반지주를 부착시켜서 되는 냉각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선반지주의 상단부에 부착된 부착기구와, 이 부착기구에 가설되며 상기 벽면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지주는 선반받이를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전면과, 저장실의 벽면으로부터 기립하는 좌우측면으로 구성되고, 상단가장자리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기구는 상부에 형성되어 가드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와, 이 걸어맞춤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속되고, 상기 개방구를 통해 선반지주내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이 삽입부는 끝이가느다란 형상으로 되고 선단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냉각저장고.
KR1019980029728A 1997-09-10 1998-07-23 냉각저장고 KR100294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4998 1997-09-10
JP9264998A JPH1183304A (ja) 1997-09-10 1997-09-10 冷却貯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61A KR19990029261A (ko) 1999-04-26
KR100294322B1 true KR100294322B1 (ko) 2001-10-26

Family

ID=1741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728A KR100294322B1 (ko) 1997-09-10 1998-07-23 냉각저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83304A (ko)
KR (1) KR100294322B1 (ko)
CN (1) CN1099015C (ko)
TW (1) TW4900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2521B2 (ja) * 2001-01-15 2010-07-1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4502520B2 (ja) * 2001-01-15 2010-07-14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却貯蔵庫
JP4238899B2 (ja) * 2006-08-30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系熱交換器の車体搭載構造
JP6389056B2 (ja) * 2014-04-22 2018-09-12 ホシザキ株式会社 冷却貯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61A (ko) 1999-04-26
CN1099015C (zh) 2003-01-15
JPH1183304A (ja) 1999-03-26
TW490001U (en) 2002-06-01
CN1210963A (zh) 199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530B1 (en) Cooling air supply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having cantilever shelves
RU2008116343A (ru) Холодильное тор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4518937A (ja) 冷蔵庫の補助貯蔵システム
KR100294322B1 (ko) 냉각저장고
US6014868A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cold air supply structure
JPH07332837A (ja)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3735463B2 (ja) 貯蔵庫の配管構造
KR100207092B1 (ko) 냉장고의 선반
JP2620661B2 (ja) 貯蔵庫
JP4208280B2 (ja) 貯蔵庫
KR100271583B1 (ko) 냉장고의슬라이딩포켓을지니는도어포켓
JP3960748B2 (ja) 冷却貯蔵庫
JP3635993B2 (ja) 収納庫用の棚受
JP2846778B2 (ja) 棚固定装置
KR200319652Y1 (ko) 반찬냉장고
KR200340300Y1 (ko) 냉장고의도어포켓지지장치
JPH0894230A (ja) 冷凍冷蔵庫
KR200164796Y1 (ko) 냉장고
CN112413966A (zh) 风冷卧式冷柜
KR20210058214A (ko) 냉장고
KR19990009310U (ko) 냉장고 도어의 가변식 포켓구조
JP2002318046A (ja) 電気冷蔵庫
JPH08233452A (ja) 冷凍冷蔵庫
JP2009192114A (ja) 冷却庫
JPS62132395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