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3151B1 -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3151B1
KR100293151B1 KR1019980043494A KR19980043494A KR100293151B1 KR 100293151 B1 KR100293151 B1 KR 100293151B1 KR 1019980043494 A KR1019980043494 A KR 1019980043494A KR 19980043494 A KR19980043494 A KR 19980043494A KR 100293151 B1 KR100293151 B1 KR 100293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uide roller
guide shaft
sli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354A (ko
Inventor
김학근
고진희
Original Assignee
김학근
고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근, 고진희 filed Critical 김학근
Priority to KR101998004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31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6Brushes for cleaning car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세차기의 수평프레임(14)을 따라 이동하여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4)에 그 양단이 지지되며, 축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항상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다각 가이드축(110)과; 상기 다각 가이드축(110)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외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한쌍의 슬라이더(120)와; 상기 슬라이더(12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직설치되어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브러쉬(13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러쉬가 자동차의 외면에 지나치게 밀착되었을 때, 이 브러쉬를 벌어지도록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자동차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측면세척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본 발명은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후면과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화의 발달로 인하여 공장, 자동차등 여러 곳에서 각종 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배기가스와 각종 건설현장등에서 발생한 먼지등은 도시 공기오염의 주범으로서 공기중 부유물질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공기중의 먼지 및 오염물질은 건물, 자동차에 쌓여 건물이나 자동차를 매우 지저분하게 한다. 특히, 자동차의 전면, 후면, 양측면 유리에 먼지가 쌓이면 시계에 방해가 되어 수시로 와이퍼 또는 먼지털이등으로 닦아주어야 하고, 더불어 자동차에 쌓인 먼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자주 세차를 해야만 하였다.
한편, 자동차의 외면을 세척하는 방법에는 대개의 경우 수도 꼭지에 호스를 연결하여 세차를 하거나, 호스의 끝부분에 스프레이 건을 설치된 별도의 호스를 구입하여 직접 세차를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세차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세차기는 크게 자동차가 이동하여 고정설치되어 있는 세차기를 통과하면서 세척되는 터널형식(Tunnel Type)과, 자동차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세차기가 이동하며 자동차의 외면을 세척하는 롤오버형식(Roll-over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롤오버형식(Roll-over Type) 자동세차기는 터널형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세척력은 떨어지나 설치면적이 작아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가격이 저렴하여 세차장이나 주유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롤오버형식 자동세차기를 도 1을 참고로하여 간단히 살펴보면(이하에서 언급되는 자동세차기는 롤오버형식의 자동세차기를 의미한다.). 자동세차기는 프레임(10)이 제공된다. 이 프레임(10)은 지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쌍의 수직프레임(12)과 각각의 수직프레임(12)의 상면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4)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자동차가 위치할 수 있도록 양측이 트인 작동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에는 수평프레임(1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자동차의 전,후면과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측면세척장치(30)가 설치되며, 수직프레임(1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자동차의 상면을 세척하는 상면세척장치(4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12)에는 자동차의 휠을 세척하는 휠세척장치(50)가 설치되며, 세차후 자동차의 외면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60)가 추가로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이 프레임(10), 측면세척장치(30), 상면세척장치(40), 휠세척장치(50), 건조장치(60)는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어부(7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후면과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측면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도 2와 도 3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측면세척장치(30)는 양단이 수평프레임(14)에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가이드 봉(32)이 제공되며, 이 가이드 봉(32)의 양단에는 한쌍의 슬라이더(33)가 가이드 봉(3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도록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3)의 하면에는 브러쉬(35)가 회전가능하도록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며, 브러쉬(35)를 회전시키는 브러쉬모터(36)가 설치된다.
한편, 슬라이더(33)는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구동모터(37)에 의해 각각 별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 봉(32)사이에는 타이밍벨트(38)가 배치된다. 이 타이밍벨트(38)는 슬라이더(33)의 내부를 관통하여 그 양단이 수평프레임(14)에 고정되며, 슬라이더(33)의 내부에는 타이밍벨트(38)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어(39)는 슬라이더구동모터(37)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더구동모터(37)는 구동기어(39)를 회전시키고, 구동기어(39)는 타이밍벨트(39)와 치합됨으로써 슬라이더(33)는 타이밍벨트(39)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한쌍의 브러쉬(35)는 가이드 봉(32)을 따라 수평프레임(14)의 좌,우로 이동되어 자동차의 전,후면과 좌,우측면을 세척한다. 또한, 사용자는 각각의 슬라이더(33)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자동세차시 세척되지 않는 중앙부 즉, 번호판부분등 구석 구석까지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는 여러가지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를 차례로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차시 브러쉬가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에 지나치게 밀착되어 자동차의 외면을 손상시키거나 측면세척장치를 자체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자동차는 차종에 따라 그 폭과 길이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세차시에는 차종에 따라 브러쉬(35)의 작동거리도 달라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세차기는 자동차의 표준크기를 제어부(70)에 미리 설정해 놓고, 그 값에 따라 각 장치가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가 너무 길거나 폭이 아주 넓은 자동차의 세차시 측면세척장치(30)의 브러쉬(35)가 자동차의 외면에 지나치게 밀착되어 그 외면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브러쉬(35)가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에 맞닿으면 이 브러쉬(35)는 순간적으로 자동차의 외측으로 휘게되며, 이에 따라, 측면세척장치(30)의 구성요소인 가이드 봉(32)과 슬라이더(33) 및 구동기어(39)가 순간적으로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장기간동안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각 구성요소간에는 유격이 발생되고, 따라서 측면세척장치(30)는 오작동을 일으켜 작동을 멈추게 되는 등, 장치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기온이 낮아지는 동절기에는 가이드 봉(32)에 얼음이 자주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33)가 작동되면, 슬라이더(33)는 얼음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작동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세척장치의 브러쉬가 자동차의 외면에 지나치게 밀착되었을 때, 이 브러쉬를 벌어지도록 그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자동차의 외면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측면세척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봉에 형성된 얼음으로 인해 슬라이더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가 설치된 자동세차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세차기 측면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자동세차기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자동세차기 측면세척장치를 나타내는 자동세차기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차기 측면세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자동세차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세척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2 : 수직프레임
14 : 수평프레임 100 : 측면세척장치
110 : 다각 가이드축 112 : 상부 가이드면
114 : 하부 가이드면 115 : 아암
116 : 탄성 스프링 120 : 슬라이더
122 : 하우징 123 : 제 1가이드롤러
124 : 제 2가이드롤러 125 : 제 3가이드롤러
126 : 고정브라켓 127 : 레버
128 : 코일 스프링 129 : 조절나사
130 : 브러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세차기의 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 그 양단이 지지되며, 축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항상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다각 가이드축과; 상기 다각 가이드축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외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한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직설치되어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브러쉬로 이루어진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각 가이드축은 상부 슬라이드면과 하부 슬라이드면을 갖는 마름모형상이며, 일측에는 수평프레임에 맞닿아 그 회전을 제한하는 아암이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아암과 수평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다각 가이드축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각 가이드축의 상부 슬라이드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제 1가이드롤러 및 제 2가이드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각 가이드축의 하부 슬라이드면을 따라 구름운동하고, 상기 제 1가이드 롤러 및 제 2 가이드롤러와 삼각배열되도록 배치되는 제 3가이드롤러와; 상기 제 1가이드롤러를 지지점으로하여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 3가이드롤러를 상,하로 탄성이동시키는 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가 설치된 자동세차기의 정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들이다. 우선, 도 4를 살펴보면, 프레임(10)의 수평프레임(14)에는 이 수평프레임(1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자동차의 전,후면과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측면세척장치(100)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 측면세척장치(100)는 크게 수평프레임(14)에 양단이 지지되는 다각 가이드축(110)과, 이 다각 가이드축(110)을 따라 이동하는 한쌍의 슬라이더(120)와, 한쌍의 슬라이더(12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브러쉬(130)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측면세척장치(100)의 구성을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측면세척장치(100)는 다각 가이드축(110)이 제공된다. 이 다각 가이드축(110)은 그 양단이 수평프레임(1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으로서,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략, 마름모꼴 형상이며, 각각 2개의 상부 슬라이드면(112)과 하부 슬라이드면(114)을 갖는다. 그리고 다각 가이드축(110)에는 축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아암(115)이 설치된다. 즉, 다각 가이드축(110)의 양쪽에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아암(115)이 다각 가이드축(110)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이 아암(115)하부의 수평프레임(14)에는 아암(115)의 양단과 맞닿는 걸림브라켓(14a)이 설치된다. 이 걸림브라켓(14a)은 회전하는 아암(115)의 양단에 맞닿음으로써, 다각 가이드축(110)이 소정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그 회전을 제한한다. 그리고 걸림브라켓(14a)과 아암(115) 사이에는 동일한 장력을 갖는 탄성스프링(116)이 각각 설치된다. 이 탄성스프링(116)은 아암(115)의 양단을 상부로 가압하여 다각 가이드축(110)이 소정각도 만큼회전되었을 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여기서, 원위치란, 다각 가이드축(110)의 상부 슬라이드면(112)이 위쪽을 향함을 말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각 가이드축(110)은 아암(115)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적으로 허용되며, 탄성스프링(116)에 의해 다각 가이드축(110)은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한편, 다각 가이드축(110)에는 한쌍의 슬라이더(12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슬라이더(120)는 양측이 트인 하우징(122)이 제공되며, 이 하우징(122)은 다각 가이드축(110)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22)의 내부에는 도7에서보는 바와 같이 다각 가이드축(110)의 상부 슬라이드면(112)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쌍의 제 1가이드롤러(123)와 한쌍의 제 2가이드롤러(124)가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22)의 하부에는 다각 가이드축(110)의 하부 슬라이드면(114)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제 3가이드롤러(125)가 설치된다. 이 제 3가이드롤러(125)는 도 7에서와 같이 제 1가이드롤러(123) 및 제 2 가이드롤러(124)와 삼각배열되도록 배치되며, 제 1가이드롤러(123)를 지지점으로하여 상기 하우징(122)이 상부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122)의 관통구멍(122a)을 출입하며 상, 하로 탄성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122)의 하면에는 고정브라켓(126)을 힌지점으로하여 그 중심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27)가 설치된다. 이 레버(127)의 일단에는 제 3가이드롤러(125)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레버(127)의 타단에는 이 레버(127)를 가압하는 코일스프링(128)과 이 코일스프링(128)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29)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128)은 그 양단이 하우징(122)의 하면과 레버(127)의 상면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레버(127)는 제 3 가이드롤러(125)를 상부로 이동시켜 제 3가이드롤러(125)를 다각 가이드축(110)의 하부 가이드면(114)에 밀착시킨다. 또한, 조절나사(129)는 레버(127)를 관통하여 코일스프링(128)에 끼워지며 그 끝부분이 하우징(122)의 하면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조절나사(129)는 되어 회전됨에 따라 코일스프링(128)의 장력은 조절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120)는 제 1가이드로롤러(123)를 지지점으로하여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슬라이더(120)에 외력이 가해지면, 슬라이더(120)는 기울어지려하며 이때, 제 1가이드롤러(123)와 제 2가이드롤러(124) 및 제 3가이드롤러(125)가 삼각 배열을 이루고, 상기 제 3가이드롤러(125)가 상,하로 탄성이동하므로 슬라이더(120)는 도 7에서의 이점쇄선과 같이 제 1가이드롤러(123)를 지지점으로하여 상부로 기울어 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2가이드롤러(124)는 상부로 들려지며, 제 3가이드롤러(125)는 다각 가이드축(110)의 하부 슬라이드면(124)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더(120)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조절나사(129)에 의해 코일스프링(128)의 장력이 조절되므로 외력에 대한 슬라이더(120)의 저항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조절나사(129)를 풀어 코일스프링(128)의 장력을 약화시키면 약한 외력에도 슬라이더(120)는 기울어질 것이며, 조절나사(129)를 조여 코일스프링(128)의 강화시키면 강한 외력에만 슬라이더(120)가 기울어질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더(120)의 저항력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코일스프링(128)의 장력에 의해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다각 가이드축(110)에 얼음이 형성되더라도 제 3가이드롤러(125)가 상하로 이동하므로 걸림이 없이 다각 가이드축(11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슬라이더(120)에는 하면에는 브러쉬(130)가 회전가능하도록 수직하방으로 설치되며, 그 일측에는 브러쉬(130)를 회전시키는 브러쉬모터(132)가 설치된다.
한편, 슬라이더(120)는 상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구동모터(140)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20)의 일측에는 슬라이더구동모터(140)가 제공되며, 이 슬라이더구동모터(140)축에는 스프로킷(14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각 가이드축(110)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슬라이더구동모터(140)의 스프로킷(142)에 치합되는 체인(144)이 설치된다. 이 체인(144)은 다각 가이드축(110)을 따라 그 양단이 다각 가이드축(110)의 아암(115)에 고정된다. 따라서, 슬라이더구동모터(140)는 스프로킷(142)을 회전시키고, 스프로킷(142)은 체인(144)과 치합됨으로써, 슬라이더(12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프로킷(142)의 일측에는 이 스프로킷(142)과 체인(144)이 보다 많이 치합되어 견인력이 증가되도록 아이들러(146)가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더(120)의 양쪽에는 슬라이더(120)가 이동하여 수평프레임(14)에 부딪히거나 슬라이더(120)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120a)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스프로킷(142)과 체인(144)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20)를 이동시켰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구동기어와 타이밍 벨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의 작동을 도 1 및 도 4내지 도 7을 참고로하여 살펴보자, 우선, 자동차를 한쌍의 레일(20)사이에 기준위치에 정지시켜 놓고 제어부(70)를 조작하여 자동세차기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세척수가 자동차의 외면에 분사됨과 동시에 프레임(10)은 천천히 자동차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한 상면세척장치(40), 프레임(10)의 양측에 위치한 측면세척장치(100) 및 휠세척장치(50)가 작동하여 자동차의 상면, 측면 및 휠을 세척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건조장치(60)가 작동하여 자동차의 외면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의 길이가 너무 길어 앞,뒤범퍼와 좌,우브러쉬(130)가 지나치게 밀착되었을 때에는 좌,우브러쉬(130)는 순간적으로 자동차의 외측으로 벌어지려 하며, 좌,우브러쉬(130)가 고정되는 슬라이더(120)와, 이 슬라이더(120)가 설치된 다각 가이드축(110)또한 자동차의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려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각 가이드축(110)은 제한적으로 회전되므로 좌,우브러쉬(130)를 자동차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회전시킨다. 한편, 다각 가이드축(110)이 소정각도로 회전되었을때 아암(115)에 의해 그 회전은 제한된다. 즉, 다각 가이드축(110)이 회전하면 일체로 형성된 아암(115)도 회전되며, 소정각도 만큼 회전된 아암(115)은 그 일단이 수평프레임(14)의 걸림브라켓(14a)에 맞닿는 것에 의해 회전이 멈추는 것이다. 그리고 앞범퍼의 세척이 끝나면, 아암(115)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스프링(116)이 아암(115)의 양단을 가압하므로 다각 가이드축(110)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폭이 너무 넓어 자동차의 좌,우측면과 좌,우브러쉬(130)가 지나치게 밀착되었을 때에는 좌,우브러쉬(130)는 순간적으로 자동차의 외측으로 벌어지려 하며, 좌,우브러쉬(130)가 고정되는 슬라이더(120)도 자동차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려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20)는 제 1가이드롤러(123)와 제 2가이드롤러(124) 및 제 3가이드롤러(125)가 삼각 배열을 이루고 제 3가이드롤러(125)가 상,하로 탄성이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가이드롤러(123)를 지지점으로하여 상부로 기울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좌,우브러쉬(130)는 자동차의 외측으로 벌어져 자동차의 외면과 소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절나사(129)로 코일스프링(128)의 장력을 조절하여 차종에 따라 또는 자동차 폭에 따라 슬라이더(120)의 저항력을 조절하여 슬라이더(1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는 브러쉬가 자동차의 외면에 지나치게 밀착되었을 때, 이 브러쉬를 벌어지도록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자동차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측면세척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자동세차기의 수평프레임(14)을 따라 이동하여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4)에 그 양단이 지지되며, 축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항상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다각 가이드축(110)과; 상기 다각 가이드축(110)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외력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한쌍의 슬라이더(120)와; 상기 슬라이더(12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직설치되어 자동차의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세척하는 브러쉬(130)로 이루어진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 가이드축(110)은 상부 슬라이드면(112)과 하부 슬라이드면(114)을 갖는 마름모형상이며, 일측에는 수평프레임(14)에 맞닿아 그회전을 제한하는 아암(115)이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아암(115)과 수평프레임(14)에 각각 지지되는 탄성스프링(116)에 의해 항상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20)는 상기 다각 가이드축(110)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122)과;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각 가이드축(110)의 상부 슬라이드면(112)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제 1가이드롤러(123) 및 제 2가이드롤러(124)와; 상기 하우징(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각 가이드축(110)의 하부 슬라이드면(114)을 따라 구름운동하고, 상기 제 1가이드롤러(123) 및 제 2 가이드롤러(124)와 삼각배열되도록 배치되는 제 3가이드롤러(125)와; 상기 제 1가이드롤러(123)를 지지점으로하여 상기 하우징(122)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 3가이드롤러(125)를 상,하로 탄성이동시키는 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하우징(122)의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26)과, 상기 고정브라켓(126)에 중심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 제 3가이드롤러(1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127)와, 양단이 상기 레버(127)의 타단과 하우징(122)의 하면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128)과, 상기 레버(127)와 코일스프링(128)에 끼워지며 하우징(122)에 체결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28)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129)로 이루어진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KR1019980043494A 1998-10-17 1998-10-17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KR100293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494A KR100293151B1 (ko) 1998-10-17 1998-10-17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494A KR100293151B1 (ko) 1998-10-17 1998-10-17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54A KR19990014354A (ko) 1999-02-25
KR100293151B1 true KR100293151B1 (ko) 2001-06-15

Family

ID=3752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494A KR100293151B1 (ko) 1998-10-17 1998-10-17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31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7539B (zh) * 2021-03-17 2024-04-02 中铁二十三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tbm的拆分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54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7436A (en) Dual action self-cleaning windshield wiper
US5033490A (en) Car wash adjustable to car size
US5979002A (en) Vehicle washing machine
US5167044A (en) Compact drive-through vehicle wash
US5325559A (en) Compact drive-through vehicle wash
KR100829416B1 (ko) 자동세차기의 사이드브러시 틸팅 조향장치
KR101160406B1 (ko) 자동세차기의 사이드브러시 틸팅장치
US20030164183A1 (en) Rotary car wash cell
CA1334504C (en) Vehicle wash apparatus
KR100293151B1 (ko) 자동세차기의 측면세척장치
US3750212A (en) Vehicle washing installation
US4937908A (en) Retractable vehicle wash apparatus
US4756041A (en) Apparatus for washing the upright surfaces of vehicles
JP5381674B2 (ja) 洗車機
JP2009073357A (ja) 洗車機
KR20100056283A (ko)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CN205530639U (zh) 一种用于洗车房的排水槽
JP6838579B2 (ja) 洗車機
CN215154486U (zh) 一种洗车机用的擦干装置
US7293315B2 (en) Delay and accelerating mechanism for a wrap-around brush assembly in a vehicle washing apparatus
CN216331930U (zh) 洗车机
KR200200255Y1 (ko) 자동세차기의 수평브러시 구동장치
JP3311297B2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3641536B2 (ja) 洗車機
JP2023169527A (ja) 車体洗浄装置及び車体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