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100B1 - 모터의관성력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의관성력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100B1
KR100290100B1 KR1019980012781A KR19980012781A KR100290100B1 KR 100290100 B1 KR100290100 B1 KR 100290100B1 KR 1019980012781 A KR1019980012781 A KR 1019980012781A KR 19980012781 A KR19980012781 A KR 19980012781A KR 100290100 B1 KR100290100 B1 KR 10029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magnet
control
actu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894A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8001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10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bstract

입력부로부터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회전에 연동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한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음으로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대상부와, 상기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수단의 작동을 자력에 의해 급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를 구동하여 제어대상물을 목표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모터의 정지방법은, 모터를 목표치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입력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정지신호입력단계와, 상기한 입력신호값이 모터의 정지 신호값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는 정지신호 입력값 판단단계와, 정지신호값이 인입되면 모터를 정지시키는 신호값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전자석 작동스위치를 온시켜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화시켜 자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석 작동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MOTOR OVER RUN PREVEN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전류를 공급받아 회전운동을 하는 장치의 정지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계나 카메라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모터의 정지위치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제어위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소정의 대상물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구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터는 카메라에서 필름에 피사체의 상이 선명하게 맺혀지도록 렌즈와 필름면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동력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필름이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셔터 또는 필름을 감는 동력원으로도 사용된다.
도15는 일반적인 카메라의 경통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을 도식화 한 것으로써, 스위치 역할을 하거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201)와, 이 입력부(201)의 신호를 받아 적절하게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203)와, 상기한 제어부(203)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모터(205)와, 상기한 모터(205)의 축부에 형성되는 기어(207)와 치합되어 모터(205)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트레인(209)과, 상기한 기어트레인(209)을 통하여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주밍 작동하는 렌즈 배럴과 같은 제어 대상부(21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입력부(201)는 카메라에 있어서 줌렌즈 조절스위치(도시생략)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모터(205)는 통상의 DC모터로 이루어지고, 제어대상부(211)는 초점 조절장치 또는 셔터 조절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기어 트레인(209)은 모터(205)의 축부에 형성되는 기어(207)와 치합되어 제어대상부(211)로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213)(215)(217)(219)(221)로 이루어진다.
도16은 상술한 카메라의 경통을 구동하는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입력부(201)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203)를 통하여 모터(205)로 전달되는 신호를 도식화하고 있다.
모터(205)는 제어부(203)와 두 개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단자로 연결된다.
이 제어부(203)로부터 모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는, 출력신호중의 하나(A)가 하이(H)상태로 되고, 다른 출력신호(B)가 로우(L)상태로 되면 모터의 정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출력신호(A)가 로우(L) 상태로 되고, 다른 출력신호(B)가 하이(H) 상태로 되면 모터는 역구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출력신호(A)(B)모두 하이(H) 상태로 되면 모터는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정지된다.
제어대상부(211)를 제어하고자 할 때 입력부(201), 즉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어부(203)에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신호는 제어부(203)를 통하여 출력신호(A)를 하이(H)로 출력되고, 다른 출력신호(B)는 로우(L) 상태로 출력되어 모터(205)는 정회전이 된다. 이에 따라 모터축에 형성되는 기어(207)가 회전하여 동력전달기어(213)(215)(217)(219)(221)를 통하여 제어대상부(211)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제어대상부(211)를 정시키고자 하면 입력부(201)의 스위치를 작동하여 제어부(203)에서 출력신호(B)를 하이(H)로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신호(A)(B)는 모두 하이(H)상태로 되어 모터(205)는 정지하게 되고 모터(205)의 정지에 따라 기어트레인(209)의 동력전달기어(213)(215)(217)(219)(221) 역시 정지되어 제어대상부(211)는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17은 도16의 다른 제어 출력선을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역시 제어부를 통하여 모터로 전달되는 출력선을 도시하고 있다.
도17의 출력신호는 도1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나 다만, 모터(205)의 브레이크 출력신호 직전에 출력신호(A)를 로우(L)로 출력하고, 출력신호(B)를 하이(H)로 출력함으로서 모터(205)의 역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점이 다르다.
상기와 같이 모터(205)의 역회전은 관성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하지 못하고 오버런 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18은 도16과 대응하는 종래의 또다른 제어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도로서, 제어부(203)로부터 펄스 신호를 출력하며 모터를 정회전 시키면서 일정한 시점에서 2개의 신호를 모두 하이(H)로 하여 브레이크를 거는 방법이다.
상기 3가지 방법은 모두가 일정한 시점에서 모터가 정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정지제어 신호를 별도로 출력함으로서 제어대상부를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이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모터 및 기어트레인의 관성에 의하여 오버런이 발생하고, 이 오버런에 의하여 제어 대상부는 목표위치에 설정되는 위치에 정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어부를 통하여 정지전에 역회전 신호 또는 펄스를 모터로 보냄으로서 어느정도 오버런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그러나 이 역시 모터의 관성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 어느정도는 오버런이 작용하여 목표위치에 제어대상부를 정지시키는 데는 한계성을 가짐으로서 카메라 의 배럴, 셔터와 같이 정밀한 작동을 요하는 기기와 같은 장치에서는 정밀성이 떨어져 신뢰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작동후에 정지시에 관성에 의한 제어편차를 방지하여 목표위치에 정확하게 정지되도록 함으로서 정밀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신뢰도를 증대시키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2는 줌 카메라의 줌기어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줌기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4는 줌카메라의 필름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6은 도5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를 도시한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9는 도8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를 도시한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도식화한 제어순서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13은 도1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14는 도12 및 도13에 대응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종래의 모터 제어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16은 도12에 대응하는 종래의 타이밍도,
도17은 도13에 대응하는 종래의 타이밍도,
도18은 도14에 대응하는 종래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는 모터를 구동하여 제어대상물을 목표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모터의 정지구조에 있어서,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작동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입력부와, 이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와 회전에 연동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한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음으로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대상부와, 상기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수단을 자력에 의하여 작동이 급정지되도록 하는 브레이크 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전자석이 자화되어 자력을 형성하고, 이 전자석과 대응하여 일정한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기어를 갖음으로서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를 구동하여 제어대상물을 목표위치에서 정지시키는 모터의 정지방법은,
모터를 목표치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입력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정지신호입력단계와, 상기한 입력신호값이 모터의 정지 신호값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는 정지신호 입력값 판단단계와, 정지신호 입력값이 인입되면 모터를 정지시키는 신호값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전자석 작동스위치를 온시켜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화시켜 자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석 작동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2는 줌기어 어셈블리에 줌기어 브레이크 기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줌 스위치(1)와 , 이 줌 스위치(1)와 연결되는 제어부(3), 이 제어부(3)와 연결되는 줌모터(5) 그리고 줌모터(5)와 연결되어 제어가 이루어지는 줌기어 어셈블리(7) 및 이 줌 기어 어셈블리(7)와 연동하여 주밍이 이루어지는 배럴 어셈블리(9)를 도시하고 있다. 줌 기어 브레이크 기구(11)는 제어부(3)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C)이 금속판(15)에 권선되어 자력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으며, 줌 스위치(1)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력을 가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 줌 기어 브레이크 기구(11)는 줌 기어 어셈블리(7)의 기어(13)의 일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고, 이 줌 기어 브레이크 기구(1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기어(13)는 자석에 붙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줌 기어 브레이크 기구(1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기어(13)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금속부재를 일측면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줌 기어 브레이크 기구(11)의 작동은 줌 모터(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줌 스위치(1)에 의하여 제어부(3)를 제어하면 줌 모터(5)가 정지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3)는 줌기어 브레이크 기구(11), 즉 전자석을 자화상태로 변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줌 기어 어셈블리(7)의 기어(13)와 전자석 사이에서 자력이 발생하여 기어(13)는 이 자력에 의하여 급정지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4는 필름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에 와인딩 브레이크 기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필름 와인딩 스위치(21)와, 이 필름 와인딩 스위치(21)와 연결되는 제어부(23), 이 제어부(23)와 연결되는 와인딩 모터(25) 그리고 와인딩 모터(25)와 연결되어 제어가 이루어지는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27) 및 이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27)와 연동하여 필름의 와인딩이 이루어지는 와인딩 스풀(29)을 도시하고 있다. 와인딩 기어 브레이크 기구(31)는 제어부(23)와 연결되어 와인딩 스위치(21)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력을 가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 와인딩 기어 브레이크 기구(31)는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27)의 기어(33)의 일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되고, 이 와인딩 기어 브레이크 기구(3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기어(33)는 자석에 붙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 역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와인딩 기어 브레이크 기구(31)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기어(33)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금속부재를 일측면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실시예는 줌기어 어셈블리가 오버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정지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데 반하여, 제2실시예는 필름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에 적용하는 것이 다르다.
그리고 와인딩 기어 브레이크 기구(31)의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줌기어 브레이크 기구(11)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제1, 2실시예에서는 줌 카메라에 적용됨과 동시에 브레이크 기구가 전자석에 직접 마찰접촉하지 않고 자력에 의하여 오버런이 방지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3실시예 이후에서는 카메라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예를 설명하며, 또한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기구에 자력에 의하여 마찰접촉하는 구조를 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 경우 전자석의 위치는 액추에이터에 가까운 쪽에 위치시킴으로서 기어의 구동토크(torque)가 작아서 전자석의 자력을 작게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입력부(101), 이 입력부(101)와 연결되는 제어부(103), 그리고 이 제어부(103)와 연결되는 액츄에이터(105), 이 액츄에이터(105)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트레인(107) 및 기어트레인(107)을 통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대상부(109)를 도식화하고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05)의 정지시에 관성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버런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어트레인(107)의 기어의 일부를 고정체와 마찰접촉시켜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기구(111)를 기어트레인(107)측에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액츄에이터(105)는 모든 종류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입력부(101)는 액츄에이터(105)를 작동하거나 목표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103)는 입력부(101)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입력받아 액츄에이터(105)를 구동하거나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또 상기 브레이크 기구(111)와 직접 연결되거나, 작동 스위치부(113)를 통하여 브레이크 기구(111)와 연결될 수 있다.
기어트레인(107)은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며 액츄에이터(105)축과 치합되는 기어로부터 제1,2,3,4기어(117)(119)(121)(123)가 배치되고 있다.
상기 제1,2,3,4기어(117)(119)(121)(123)는 편의상 복수의 기어군으로 이루어지는 수를 정하고 있을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예보다 적거나 많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브레이크기구(111)는, 도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3기어(1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전자석(125)이 위치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한 브레이크 기구(111)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3기어(121)와 대응하도록 설치하고 있으나, 제3기어(121)가 아닌 다른 기어(117)(119)(123)에 대응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전자석(125)과 대응하는 기어는 자력에 의하여 전자석에 흡착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전자석 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한 전자석(125)은 제어부(103)와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C)이 금속판(126)에 권선되어 자력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이며, 이 금속판(126)은 마찰부(128)가 복수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마찰부(128)의 마찰면은 제동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요철을 형성하거나 스크래치 면을 만드는 것이 좋다.
상기 금속판(126)은 회전물체와 접촉하여 회전을 중단시키는 것이므로 회전력에 견딜 수 있도록 주변 고정물체에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3기어(121)는 전자석과 대응하는 면에 금속부재(129)가 고정결합되어 전자석(125)에 자력이 형성되면 마찰접촉하여 동력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금속부재(129)는 전자석(125)과 접촉하는 마찰면에 마찰계수를 크게 하여 마찰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제어부(103)의 신호를 받아 전자석(125)이 선택적으로 자화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예와는 제어부(103)를 통하여 전자석(125)을 직접 자화시키는 점이 다를 뿐 다른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제3실시예로 대치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이고, 도9는 도8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3기어(121)에 전자석(125)과 접촉하는 면에 금속부재(129)를 고정하여 전자석(125)과 마찰접촉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5실시예에서는 제3기어(121) 자체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만이 다른점이다.
상기한 전자석(125)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3기어(121)는 일정한 간격(t)을 유지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자석(125)이 자화됨에 따라 제3기어(121)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자석(125)과 마찰접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제3실시예와 그 작용 효과는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로서, 제5실시예에서는 제어부(103)가 작동스위치부(113)를 통하여 전자석(125)을 제어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에 반하여, 제6실시예는 제어부(103)를 통하여 직접 전자석(125)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제6실시예 역시 중복되는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치한다.
한편 브레이크 수단(111)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자석(125)에 의하여 기어(121)와 마찰접촉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신호에 따라 기어열을 마찰접촉하기 위한 통상의 클러치(다판클러치 포함)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마찰접촉하여 기어열을 급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면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은, 도1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어대상부(109)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입력부(101)의 입력스위치를 작동(1ST)시키면 제어부(103)가 이를 감지하여 액츄에이터(105)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출력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105)는 회전구동을 하게 되는 데, 이 제어부(103)로부터 액츄에이터(105)로 전달되는 출력신호는, 그 출력신호중의 하나(A)가 하이(H)상태로 되고, 다른 출력신호(B)가 로우(L)상태로 되면 액츄에이터의 정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출력신호(A)가 로우(L) 상태로 되고, 다른 출력신호(B)가 하이(H) 상태로 되면 액츄에이터는 역구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출력신호(A)(B) 모두 하이(H) 또는 로우(L) 상태로 되면 액츄에이터(5)는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정지된다.
그리고 제어부(103)로부터 작동스위치부(113)로 전달되는 출력신호는, 하이(H)상태가 되면 전자석(125)을 자화시키고 로우(L)상태가 되면 전자석(125)의 자화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이 액츄에이터(105)의 출력신호는, 도1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출력신호(A)가 하이(H) 상태로 되면 출력신호(B)가 로우(L)상태로 제어가 되어 액츄에이터(105)의 정회전 구동(2ST)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액츄에이터(105)의 구동에 따라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축에 형성되는 기어(115)가 회전하여 동력전달기어(117)(119)(121)(123)를 통하여 제어대상부(109)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제어대상부(109)를 정시키고자 하면 입력부(101)의 스위치를 작동하여 액츄에이터(105)의 정지 입력값이 인입되었는가를 확인한다(3ST). 액츄에이터(105)의 정지입력값은 제어부(103)에서 출력신호(B)를 하이(H)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전자석 자화신호를 하이(H) 상태로 출력한다. 그러면 출력신호(A)(B)는 모두 하이(H)상태로 되어 액츄에이터(105)는 정지하게 되고(4ST) 전자석(125)이 자화되어 전자석(125)이 작동하게 된다(5ST). 이러한 전자석 작동신호는 액츄에이터 작도신호와 동시에 제어할 수 도 있고, 일정시간 전 또는 후에 온시켜 정지시켜도 가능하다. 이 전자석(125)의 작동에 따라 금속부재(121)가 전자석(125)과 마찰접촉하여 동력전달기어(117)(119)(121)(123)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대상부(109)는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105)의 정지시에 전자석(121)이 동시에 자화되어 동력전달기어(117)(119)(121)(125)를 급정지시킴으로서 관성에 의한 제어편차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상기한 작용설명은 제어부를 통하여 액츄에이터(105)의 작동스위치부(113)를 제어함으로서 전자석(125)이 자화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제어부(103)를 통하여 직접 전자석(125)을 제어하여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13은 도12의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부(101)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부(103)가 출력하는 출력신호(A)(B) 그리고 전자석(125)을 제어하는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액츄에이터(105)가 정지할 때에 출력신호(A)를 로우(L)로, 출력신호(B)를 하이(H)로 출력함으로서 액츄에이터(105)의 역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점이 도12와 다른 점이다. 이는 액츄에이터(105)의 급정지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14는 도12 및 도13과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어부(103)의 타이밍도로서, 액츄에이터(105)의 구동 출력선(A)(B)이 펄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도14의 실시예는 도12에 비하여 단지 출력신호의 형태만 다를 뿐 작용효과는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것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방법 및 장치의 모터 구동 방법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모터를 구동한 후 정지시킬 때 브레이크 수단을 작동시켜 오버런을 방지함으로서 목표위치에서 발생하는 편차를 감소시켜 카메라의 경통, 셔터의 작동 및 각종 산업기기들이 작동 후 정지할 때 정밀성을 향상시켜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음으로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대상부와,
    상기 제어부는 액츄에이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와 동력전달수단과 마찰 접촉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수단에 각각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자화되어 자력을 형성함으로서 동력전달수단과 자력에 의해 밀착되어 급정지를 이루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자화되어 자석을 형성하는 전자석과,
    상기한 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동력전달수단을 이루는 기어가 다른 기어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전자석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기어와,
    상기한 기어부의 전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결합되는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자화되어 자석을 형성하는 전자석과,
    상기한 전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동력전달수단을 이루는 기어가 다른 기어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회전함과 동시에 전자석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5. 액츄에이터를 목표치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입력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정지신호입력단계와,
    상기한 입력신호값이 액츄에이터의 정지 신호값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판단하는 정지신호 입력값 판단단계와,
    정지신호 입력값이 인입되면 액츄에이터를 정지시키는 신호값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전자석 작동스위치를 온시켜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자화시켜 자력이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석 작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전자석 작동단계는 정지신호 입력값이 인입되면 액츄에이터를 정지시키는 신호값을 발생시키고, 일정시간 전 또는 후에 전자석 작동스위치를 온시킴으로서 제어하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카메라의 필름 와인딩 기어 어셈블리 또는 줌 기어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모터의 관성력 제어장치.
KR1019980012781A 1998-04-10 1998-04-10 모터의관성력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29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781A KR100290100B1 (ko) 1998-04-10 1998-04-10 모터의관성력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781A KR100290100B1 (ko) 1998-04-10 1998-04-10 모터의관성력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894A KR19990079894A (ko) 1999-11-05
KR100290100B1 true KR100290100B1 (ko) 2001-05-15

Family

ID=3751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781A KR100290100B1 (ko) 1998-04-10 1998-04-10 모터의관성력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1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73A1 (ko) * 2016-11-28 2018-05-31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선형 못 제조기의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4496B (zh) * 2021-10-26 2024-03-01 宁波市海誉机电科技有限公司 柔性管状电机无励磁制动器及其三相降压线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73A1 (ko) * 2016-11-28 2018-05-31 주식회사 제우테크노 선형 못 제조기의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894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5655A (en) Optical mechanism which allows play between transmission members for moving optical components
US4548304A (en) One-way clutch and winding and rewinding device for camera using the same
US4437552A (en) Spring clutch device
ES2097992T3 (es) Metodo de control de un mecanismo de cambio de una transmision mecanica automatizada.
KR100290100B1 (ko) 모터의관성력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US4250984A (en) Electromotor driven regulating arrangement, especially for regulating the speed of a motor vehicle
US20020057503A1 (en) Lens Barrel
EP0773459B1 (en) Optical apparatus
US20230068397A1 (en) Braking device that brakes spool and fishing reel provided with the same
EP0867742B1 (en) Lens unit driven by a motor or manually with a torque limiting member
EP1143281B1 (en) Optical apparatus driving unit with variable torque
US6377754B1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switching apparatus
JPH09304679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4510774B2 (ja)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装置
JPH03251071A (ja) 電子カメラ
JP4943036B2 (ja)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装置
JP3420551B2 (ja) 光学装置、光学装置駆動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H08128464A (ja) 電磁クラッチ
JPS62124537A (ja) 2焦点カメラ
JPH06342236A (ja) 画像形成装置
JP3630923B2 (ja) 光学装置
JP3787416B2 (ja) レンズ装置
JPS62160432A (ja) スプ−ル駆動機構
JPH07181573A (ja) カメラにおけるモータの制御方式
JP3450797B2 (ja) 光学装置、光学装置駆動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