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736B1 -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736B1
KR100288736B1 KR1019980056857A KR19980056857A KR100288736B1 KR 100288736 B1 KR100288736 B1 KR 100288736B1 KR 1019980056857 A KR1019980056857 A KR 1019980056857A KR 19980056857 A KR19980056857 A KR 19980056857A KR 100288736 B1 KR100288736 B1 KR 10028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polyethylene resin
adhesive
printed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207A (ko
Inventor
신영수
Original Assignee
신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수 filed Critical 신영수
Priority to KR101998005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7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2Preparation of the material, in the area to be joined, prior to joining or welding
    • B29C66/028Non-mechanical surface pre-treatments, i.e. by flame treatment, electric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 B29C66/4324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for making closed loop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623/06PE, i.e.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플라스틱병에 사용하는 부착물의 재질이 폴리 에틸렌수지 또는 폴리 에스터수지인 반면에 부착물은 폴리 프로필렌수지 또는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수지 필름이여서 플라스틱병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플라스틱병으로부터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착물은 그 재질이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수지 또는 폴리 프로필렌수지 필름이므로 재질상 탄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플라스틱병에 접착을 해야 하므로 이를 탈거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을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을 권취하고 있는 권취수단과,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일측면의 한단을 거칠게 가공하기 위한 고주파발생기구로 구성된 가공수단과, 상기에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에 거칠게 가공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주기 위한 접착제 공급수단과, 상기에서 도포된 접착제를 열풍으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과, 그리고 상기한 가공수단, 접착제공급수단 및 건조수단을 통과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한 가공수단, 접착제공급수단 및 건조수단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이송위치감지수단과, 이러한 상기의 이송위치 감지수단을 통과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을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이면의 타단에 접착하여 원통형의 반가공 부착물로 제조하기 위한 접착수단과, 이러한 접착수단을 완료한 후의 반가공 부착물을 권취하는 반가공물권취수단으로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본 발명은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일단을 접착하여 플라스틱병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을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병에 사용되는 상표등의 부착물은 통상적으로 폴리 프로필렌(OPP) 또는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수지 필름에 인쇄하고 그 양단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원통형상으로 구성하여 이를 플라스틱병에 씌운 다음 접착제로서 접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에는 플라스틱병의 경우에 그 재질이 폴리 에스터(POLY ESTER)수지인 반면에 부착물은 폴리 프로필렌(POLY PROPYLENE)수지 필름이여서 항상 이를 분리하여야만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플라스틱병에서 부착물을 반드시 제거를 해야하므로 플라스틱병의 재활용이 번거러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착물은 그 재질이 폴리 프로필렌수지 필름이므로 재질상 탄성이 없으므로 반드시 플라스틱병에 접착을 해야하므로 이를 탈거하는 경우에는 접착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플라스틱병에 저 공해이며, 비중분리법에 의해 재 활용이 쉬운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을 원재료로 이용하여 부착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수지 필름에 상표등을 인쇄한 후 그 양단을 열로 가열하는 방법에 의한 열융착방법에 의하여 이를 원통형상으로 가공한 다음,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이 가지고 있는 재질적 특성인 탄성에 의해 이를 늘려주는 것에 의해 플라스틱 병에 씌여줌으로서 플라스틱병의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플라스틱병에 씌울 때 이를 늘려 주어야 하므로 열융착부분을 따라 쉽게 훼손이 되고 또한 열융착부분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부착물의 재질을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을 이용하면서도 그 양단을 효과적으로 접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을 권취하고 있는 권취수단과,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일측면의 한단을 거칠게 가공하기 위한 고주파발생 기구로 구성된 가공수단과, 상기에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에 거칠게 가공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주기 위한 접착제공급수단과, 상기에서 도포된 접착제를 열풍으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과, 그리고 상기한 가공수단, 접착제공급수단 및 건조수단을 통과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이송 위치를 검지하여 상기한 가공수단, 접착제공급수단 및 건조수단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이송위치감지수단과, 이러한 상기의 이송위치감지수단을 통과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을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이면의 타단에 접착하여 원통형의 반가공 부착물로 제조하기 위한 접착수단과, 이러한 접착수단을 완료한 후의 반가공 부착물을 권취하는 반가공물권취수단으로 구성하였다.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 요부 발췌 작동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공수단의 작동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착제공급수단의 작동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이송위치감지수단의 작동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착수단의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도된 부착물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취수단 2 : 권취로울러
11 : 가공수단 12 : 고주파발생기구
21 : 접착제공급수단 31 : 건조수단
41 : 이송위치감지수단 51 : 접착수단
61 : 반가공물권취수단 62 : 권취로울러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첨부한 도면 제1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을 권취하고 있는 권취수단(1)은 통상의 권취로울러(2)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그 전방에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의 한단(F')을 거칠게 가공하기 위한 고주파발생기구(12)로 구성된 가공수단(1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거칠게 가공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F′)에 접착제(A)를 도포하여 주기 위한 접착제공급수단(21)이 구성된다.
상기에서 도포된 접착제(A)를 열풍으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3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공수단(11), 접착제공급수단(21) 및 건조수단(31)을 통과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한 가공수단(11), 접착제공급수단(21) 및 건조수단(3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이송위치감지수단(41)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가공수단(11), 접착제공급수단(21) 및 건조수단(31)은 동일한 가동기체(81)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가동기체(81)와 고정본체(84)에 설치된 유,공압실린더(83)가 이송위치감지수단(41)의 감지에 따른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작동력 정도에 따라 고정레일(85)상에 재치된 회전로울러(8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가동기체(81)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제2도 참조).
이러한 상기의 이송위치감지수단(41)을 통과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F′)을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이면의 타단(F′)에 접착하여 원통형의 반가공 부착물(B)로 제조하기 위한 접착수단(51)으로 구성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수단(5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폴리 비닐 크로라이드 수지 필름의 한단을 접착하여 플라스틱병에 씌우기 위한 부착물을 제조하는 과정과 동일한 구성이다.
이러한 접착수단(51)을 완료한 후의 반가공 부착물(B)을 권취하는 반가공물권취수단(6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반가공물권취수단(61)은 통상의 권취로울러(62)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한 가공수단(11), 즉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의 한단(F′)을 거칠게 가공하기 위한 고주파발생기구(12)로 구성된 가공수단(11)을 첨부한 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가동기체(81)상에는 이송스크류(13)를 설치하여 핸들(14)에 의해 조작토록하고, 상기 이송스크류(13)상에는 상단에 반원형설치부(15)가 형성된 통상의 고주파발생기(12)를 나합하며, 상기 고주파발생기(12)의 상부에 형성된 반원형설치부(15)에는 지지로울러(16)를 설치하여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이 그 하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가공수단(11)에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의 한단(F′)을 거칠게 가공한 다음, 그 한단(F′)에 접착제(A)를 도포하여 주기 위한 접착제공급수단(21)을 첨부한 도면 제5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가동기체(81)의 상부에는 접착제(A)를 담아 공급하기 위한 용기(24)를 형성하여 그 하부에 이송스크류(25)를 구성하여 공급기(26)의 중앙에 나합시키고 상기 공급기(26)의 상,하부에는 가이드봉(27)이 내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접착제를 담아 공급하기 위한 상기의 용기(24)에는 두껑(24′)에 압축공기공급공(2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24′′′)이 형성되어서 공급라인(28)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용기(24)에 있는 접착제(A)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공급공(24″)을 통하여 공급하여 주게 되면 그 공기가압력에 의해 접착제(A)가 배출공(24′′′)을 통하여 공급라인(28)에서 배출되면서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거칠게 가공된 일측면의 한단(F′)에 도포를 행하게 된다.
이렇게 도포된 접착제(A)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31)은 일정한 크기를 가진 쳄버(33)내에 외부에 설치된 열교환기(34)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덕트(35)를 통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쳄버(33)내로 공급된 가열공기에 의해 로울러군(99)을 통하여 이송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의 한단(F′)에 도포된 접착제(A)를 건조하게 된다.
이러한 건조수단(31)에 의하여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이송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은 상기와 같이 다단계로 이루어진 로울러군(99)의 가동력에 의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하면서 기존에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서 이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이송하고 있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 끝단을 이송방향으로 검출을 행하는 센서(43)에 의하여 감지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가동기체(81)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행하는 이송위치감지수단(41)을 제6도에 의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이송위치감지수단(41)은 고정본체(84)상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본체(84)상에 스크류(44)를 설치하고, 그 한단에는 핸들(42)을 설치하고 타단에는 센서(43)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 끝단을 이송방향으로 검출을 행하는 센서(43)의 위치는 핸들(4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크류(44)상에 설치된 센서(43)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송되어올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 끝단이 센서(43)의 안쪽으로 벗어 나는지 또는 바깥쪽으로 벗어나는지를 감지하여 정위치를 감지하면서 공급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감지에 의하여 신호를 받은 제어기기(미도시)를 통해 상기에서와 같이, 가동기체(81)와 고정본체(84)에 설치된 유,공압실린더(83)가 작동을 행하여 가동기체(8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송되어오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이 필름폭의 대,소에 따라 센서의 검출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필름이 항상 제자리를 따라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울러군(99)은 첨부한 도면 제6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단이 절개된 특수한 형상을 가진 절결로울러(98)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절결로울러(98)는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거칠게 가공된 일측면의 한단(F′)에 도포된 접착제(A)가 로울러군(99)을 통과하면서 로울러군(99)의 표면에 닿아 이를 훼손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한 접착제(A)가 닿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일부가 절결된 절결로울러(98)를 사용하고, 이러한 절결로울러(98)의 사용은 첨부한 도면 제1도에서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가 사용하고 있는 로울러군(99)중에서 그 하부를 통과하는 로울러에 대해서만 상기한 절결로울러(98)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의 이송위치감지수단(41)을 통과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F′)을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이면의 타단(F′′)에 접착하여 원통형의 반가공 부착물(B)로 제조하기 위한 접착수단(51)과, 접착수단(51)을 이용하여 접착 완료한 후의 반가공 부착물(B)을 권취하는 반가공물권취수단(61)을 첨부한 도면 제7도에 의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우선 접착수단(51)은 수평의 상태로 이송하고 있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를 편평한 좌판(54)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중앙을 가압하는 가압기(52)를 구성하여 가압을 행하고, 그 후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가압로울러(53)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후반부를 따라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폭방향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후반부에는 다시 등간격으로 상,하 한쌍의 가압로울러(55)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반가공물권취수단(61)은 권취로울러(6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제 효과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광고문안, 상표 또는 상품명을 인쇄한 상태의 롤(ROLL)을 권취수단(1)을 구성하고 있는 권취로울러(2)에 장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끝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첨부한 도면 제1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권취로울러(2)에서 로울러(99)의 상부를 통과시킨 다음, 가공수단(11)에서 지지로울러(16)의 하부를 통해 접착제공급수단(21)에서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로울러군(99)의 상부를 통과시키고, 다시 건조수단(31)에서는 절결로울러(98)의 하부를 통과 시킨 다음, 다시 로울러군(99)의 상부와 절결로울러(98)의 하부를 통과시킨 다음, 이송위치감지수단(41)의 로울러(99) 상부와 절결로울러(98)의 하부를 통하여 다시 로울러(99)의 상부를 통한 다음, 다시 접착수단(51)을 통해 반가공물권취수단(61)의 권취로울러(62)에 권취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권취로울러(62)를 동력으로 강제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권취로울러(2)에 권취된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을 권취하는 것에 의해 이를 이송시켜준다.
이러한 이송을 시작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은 가공수단(11)의 지지로울러(16)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고주파발생기구(12)로부터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하여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 한단(F′)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한다.
이렇게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는 것은 접착제(A)의 도포를 유지하고 접착의 확고성을 위해 취하는 것이다.
이렇게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 한단(F′)을 거칠게 가공한 상태에서 로울러군(99)의 상부를 통과시키면서 접착제공급수단(21)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접착제공급수단(21)에 도착되게 되면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 한단(F′)에 접착제(A)를 도포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상기 용기(24)에 있는 접착제(A)는 외부에는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공급공(24″)을 통하여 공급하여 주게 되면 그 공기가압력에 의해 접착제(A)가 배출공(24′′′)을 통하여 공급라인(28)에서 배출되면서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거칠게 가공된 일측면의 한단(F′)에 도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기체(81)에 구성된 이송스크류(25)에 공급기(26)가 나합되어 있고, 이 공급기(26)에 상기한 공급라인(2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29)을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한 이송스크류(25)상에 나합된 상기한 공급기(26)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에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거칠게 가공된 일측면의 한단(F′)에 접착제(A)를 도포한 상태에서 절결로울러(98)의 하부를 통하여 건조수단(31)을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건조수단(31)에서는 상기에서 도포된 접착제(A)를 열교환기(34)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덕트(35)를 통하여 쳄버(33)내에 공급되게 함으로서 쳄버(33)내로 공급된 가열공기에 의해 로울러군(99)을 통하여 이송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의 한단(F′)에 도포된 접착제(A)를 건조하게 된다.
이러한 건조수단(31)에 의하여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이송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은 상기와 같이 다단계로 이루어진 로울러군(99)의 안내에 의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하면서 기존에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서 이송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상기한 가공수단(11), 접착제공급수단(21) 및 건조수단(31)은 동일한 가동기체(81)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가동기체(81)와 고정본체(84)에 설치된 유,공압실린더(83)가 이송위치감지수단(41)의 감지에 따른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작동력 정도에 따라 고정레일(85)상에 재치된 회전로울러(8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가동기체(81)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은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이송위치감지수단(41)을 통과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F′)을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이면의 타단(F′′)에 접착하여 원통형의 반가공 부착물(B)로 제조하기 위한 접착수단(51)에 도착하게 된다.
이렇게 접착수단(51)에 도착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를 편평한 좌판(54)을 따라 이송하면서 상기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중앙을 가압하는 가압기(52)를 통과하고, 다시 그 후방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가압로울러(53)가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측면을 순차적으로 밀어서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 한단(F′)이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이면 타단(F′′)을 덮어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계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등간격으로 설치된 상,하 한쌍의 가압로울러(55)를 통과하면서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면서 원통형상의 반가공물(B)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과정을 거친 반가공물(B)은 상기한 반가공물권취수단(61)에서 권취로울러(62)에 의해 권취함으로서 일련의 제조공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권취로울러(62)는 필요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줌으로서 상기한 반가공물(B)의 이동시에 텐숀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한 반가공물(B)을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부착물(C)을 구성하여 플라스틱병(P)에 씌워줌으로서 그 사용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한 부착물(C)은 그 재질이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A)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플라스틱병(P)에 씌워주게 되면 그 자체 탄력에 의해 플라스틱병(P)의 측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러한 밀착에 의해 부착물(C)은 플라스틱병(P)자체에 접착제의 사용없이 쉽게 탈리되지 않는 반면에 이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외력에 의해 쉽게 탈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에서 살핀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부착물을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을 이용하면서도 그 양단을 효과적으로 접착함으로서 원통형상의 부착물을 구성하여 플라스틱병에 그 훼손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분리수거를 지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8)

  1.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양단을 접착하여 부착물(C)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을 권취로울러(2)에 권취하는 권취수단(1)과, 상기 권취수단(1)을 통해 이송되어온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의 한단(F′)을 거칠게 가공하기 위한 고주파발생기구(12)로 구성된 가공수단(11)과, 상기에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거칠게 가공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F′)에 접착제(A)를 도포하여 주기 위한 접착제공급수단(21)과, 상기에서 도포된 접착제(A)를 열풍으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수단(31)과, 상기한 가공수단(11), 접착제공급수단(21) 및 건조수단(31)을 통과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한 가공수단(11), 접착제공급수단(21) 및 건조수단(3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이송위치감지수단(41)과, 상기 이송위치감지수단(41)을 통과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에 접착제(A)가 도포된 상기 일측면의 한단(F′)을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이면의 타단(F′′)에 접착하여 원통형의 반가공 부착물(B)로 제조하기 위한 접착수단(51)이 상호 조합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수단(11)은 가동기체(81)상에 이송스크류(13)를 설치하여 핸들(14)에 의해 조작되도록 하고, 상기 이송스크류(13)상에는 상단에 반원형 설치부(15)가 형성된 통상의 고주파발생기(12)를 나합하며, 상기 고주파발생기(12)의 상부에 형성된 반원형설치부(15)에는 지지로울러(16)를 설치하여 상기한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이 그 하부를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공급수단(21)은 상기 가동기체(81)의 상부에는 접착제(A)를 담아 공급하기 위한 용기(24)를 형성하여 그 하부에 이송스크류(25)를 구성하여 공급기(26)의 중앙에 나합시키고 상기 공급기(26)의 상,하부에는 가이드봉(27)이 내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접착제를 담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용기(24)에는 두껑(24′)에 압축공기공급공(2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공(24′′′)이 형성되어서 연결된 공급라인(28)이 상기 공급기(2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31)은 직육면체상의 쳄버(33)내에 그 상부측 외부에 설치된 열교환기(34)를 통하여 가열된 공기를 덕트(35)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여 이송되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면 한단(F′)에 도포된 접착제(A)를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위치감지수단(41)은 고정본체(84)상에 스크류(44)를 설치하고, 그 한단에는 핸들(42)을 설치하고 타단에는 센서(43)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43)를 상기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 끝단을 이송방향으로 검출을 행하는 센서 (43)의 위치를 핸들(42)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크류(44)상에 설치된 센서(43)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송되어올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의 일측 끝단이 안쪽으로 벗어나는지 또는 바깥쪽으로 벗어나는지를 감지하여 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센서(43)의 감지에 의하여 상기 가동기체(81)와 고정본체(84)에 설치된 유,공압실린더(83)가 작동을 행하여 가동기체(8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송되어오는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이 필름폭의 대,소에 따라 검출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필름이 항상 제자리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F)은 일부가 절결된 절결로울러(98)의 하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KR1019980056857A 1998-12-21 1998-12-21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KR10028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857A KR100288736B1 (ko) 1998-12-21 1998-12-21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857A KR100288736B1 (ko) 1998-12-21 1998-12-21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07A KR19990024207A (ko) 1999-03-25
KR100288736B1 true KR100288736B1 (ko) 2001-05-02

Family

ID=3751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857A KR100288736B1 (ko) 1998-12-21 1998-12-21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7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852A (ko) * 2000-12-14 2002-06-22 김상영 거푸집용 패널의 pet필름 접착장치
KR200449154Y1 (ko) 2008-07-16 2010-06-17 이창영 필름 접합장치
KR101085794B1 (ko) 2011-05-12 2011-11-25 (주)태기산자 단열용 메탈 박판시트의 양측 가장자리 접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551B1 (ko) * 2006-07-12 2006-10-20 박석춘 적층부착된 비닐용기 묶음 제조방법 및 이 비닐용기 묶음을수납한 비닐용기 케이스
KR102383538B1 (ko) * 2020-10-20 2022-04-07 주식회사 서연이화 플라스틱 글레이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방법
KR102464749B1 (ko) * 2021-11-22 2022-11-09 주식회사 아이오베드 에어포켓 모듈 진공성형 시스템에서의 필름 제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852A (ko) * 2000-12-14 2002-06-22 김상영 거푸집용 패널의 pet필름 접착장치
KR200449154Y1 (ko) 2008-07-16 2010-06-17 이창영 필름 접합장치
KR101085794B1 (ko) 2011-05-12 2011-11-25 (주)태기산자 단열용 메탈 박판시트의 양측 가장자리 접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07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2967B (zh) 喷墨印刷装置及其使用方法
US8011411B2 (en) Pad for embossing device
EP0183440B1 (en) Transfer printing
EP0852203B1 (en) Labelling machine
KR101517061B1 (ko) 종이박스용 다이커터장치
KR101523041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KR100288736B1 (ko) 플라스틱병용 폴리 에틸렌수지 필름의 양단 접착장치
KR101507067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장치
JPH05345407A (ja) 紙面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20054781A1 (en) Method for environmentally-friendly textile transportation in printing systems and a system thereof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JPH04503201A (ja) ラベル切断貼付装置
JPH0692336A (ja) ラベル供給装置
JP2001315732A (ja) ラベル貼り付け装置
KR20070106795A (ko) 감광성 적층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1837673B (zh) 在印刷纸上进行转印的转印装置以及转印方法
JP2001001365A (ja) 射出成形同時絵付用のシート巻出供給装置
ES8106263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para inspeccionar bandas de material
AU735850B2 (en) Stack of sheets with repositionable adhesive alternating between opposite edges and containing one or more sheets different from other sheets
KR20090011137A (ko) 방습용 지대 제작방법 및 그 장치
JP5022720B2 (ja) ラミネートラベルの製造方法及びラミネートラベルの製造装置
CN211167732U (zh) 一种多功能双面贴标机
JPH10268777A (ja) ライナレスラベルの製造方法
KR200330630Y1 (ko) 자동 롤 라미네이터
GB2223005A (en) Sheet feeding apparatus
WO2023176306A1 (ja) ラベル貼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