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583B1 - 디스플레이장치의하부왜곡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하부왜곡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583B1
KR100288583B1 KR1019980031317A KR19980031317A KR100288583B1 KR 100288583 B1 KR100288583 B1 KR 100288583B1 KR 1019980031317 A KR1019980031317 A KR 1019980031317A KR 19980031317 A KR19980031317 A KR 19980031317A KR 100288583 B1 KR100288583 B1 KR 10028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rtical
phase
outpu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417A (ko
Inventor
이승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583B1/ko
Priority to US09/365,504 priority patent/US6246189B1/en
Publication of KR2000001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수직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블랭킹 신호 발생부와, 수직 블랭킹신호 발생부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그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위상조절부와, 위상조절부를 통해 위상이 변화된 신호를 적분하여 수평사이즈 조절회로에 중첩시키는 적분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 블랭킹 펄스를 생성시켜 이신호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 위상조절한 후에 적분하고, 그 신호를 수평 사이즈 조절회로에 중첩시켜 수직하부의 왜곡을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왜곡 보정회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왜곡 보정회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왜곡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부왜곡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화면에 주사되는 전자빔을 발산하는 전자총을 구비하고 있으며, 발산되는 전자빔은 스크린에 횡으로 편향 주사되고, 주사되는 전자빔의 농도에 따라 화상이 형성된다. 전자빔은 편향 코일(Deflection Yoke)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장에 의하여 편향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원인으로 인하여 전자장이 영향을 받을 경우 전자빔의 편향각은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외부 자기장에 의한 화상 회전 현상 이외에 수상관 자체의 저항값에 의하여 전자빔의 주사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되어 화상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비대칭되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편향 코일(Deflection Yoke)에 인가되는 전류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경우에 화상이 비장방형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수직하부에 발생되는 왜곡 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왜곡 보정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출력회로로부터 필요한 수직출력신호만을 인가받는 수직신호검출부와; 상기 수직신호검출부로부터 수직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블랭킹 신호발생부와; 상기 수직블랭킹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반전된 신호의 위상이 수직 주파수의 마지막 펄스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제2멀티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위상조절부와; 상기 위상조절부를 통해 위상이 변화된 신호를 적분하여 수평사이즈 조절회로에 중첩시키는 적분회로; 를 포함하는 된 특징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왜곡 보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하부 왜곡 보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출력회로(10)로부터 수직출력신호를 인가받는 수직신호 검출부(20)와, 상기 수직신호 검출부(20)로부터 수직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블랭킹 신호 발생부(30)와, 상기 수직 블랭킹신호 발생부(30)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그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위상조절부(40)와, 상기 위상조절부(40)를 통해 위상이 변화된 신호를 적분하여 수평사이즈 조절회로(70)에 중첩시키는 적분회로(50)와, 상기 적분회로(50)의 출력전압을 분배하는 전압분배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 신호 검출부(20)는 검출용 저항(R1)과, 상기 저항(R1)을 거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이오드(D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 블랭킹 신호 발생부(30)는 상기 수직 신호 검출부(20)를 통해 제공되는 수직 출력신호를 베이스단에 인가받아 구동되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으로 출력되는 전압을 베이스단에 전달받아 구동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두 트랜지스터(Q1, Q2)의 콜렉터단에 연결되어 일정전압(VCC1)을 전달하는 저항(R2, R3) 및 커플링 캐패시터(C1)로 구성된다.
위상조절부(40)는 두 개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U1, U2)로 구성된다. 제 1 멀티바이브레이터(U1)는 상기 수직 블랭킹 신호 발생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동작을 한다. 입력단자(B)로는 수직블랭킹신호가 인가된다. 클리어(CLR)단으로 일정전압(VCC2)이 인가되고, 클럭단(C)에는 캐패시터(C2)가 연결되고, 리셋클리어(R/C)단과 상기 캐패시터(C2)의 연결점에는 일정전압(VCC2)을 전달하는 저항(R4)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 멀티바이브레이터(U1)의 반전출력단( )을 통해 전달되는 위상반전된 수직 블랭킹 신호는 제 2 멀티바이브레이터(U2)의 입력단자(B)에 인가된다. 클리어(CLR)단으로 일정전압(VCC2)이 인가되고, 클럭단(C)에는 캐패시터(C3)가 연결되고, 리셋클리어(R/C)단과 상기 캐패시터(C3)의 연결점에는 일정전압(VCC2)을 전달하는 저항(R5)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2 멀티바이브레이터(U2)의 출력단(Q)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는 적분회로(R6, C4) 및 전압분배부(R7, R8)를 거쳐 수평 사이즈 조절회로(7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수직 신호 검출부(20)는 수직출력회로(10)에서 발생된 수직 출력펄스를 저항(R1)과 제너다이오드(ZD1)로 필요한 전압을 취한다. 그리고, 이를 다이오드(D1)를 통해서 수직블랭킹 신호발생부(30)의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동작되고, 그 콜렉터단을 통해 출력된 신호는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으로 출력되는 신호는 커플링 캐패시터(C1)를 통해 위상조절부(40)의 제 1 멀티바이브레이터(U1)의 입력단자(B)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블랭킹 신호발생부(30)의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Q2)는 수직 블랭킹 펄스를 안정된 신호로 만들기 위한 사용된 것이다.
상기 위상조절부(40)에 인가된 수직블랭킹 신호는 상기 제 1 멀티바이브레이터(U1)에 의해 위상이 반전되고, 반전된 수직블랭킹 신호는 제 2 멀티바이브레이터(U2)에 연결된 저항(R5)과 캐패시터(C3)의 시정수에 의해, 수직 신호의 주기 위상을 수직 주파수의 마지막 타임에 형성되도록 가공된다.
상기 위상조절부(40)의 제2멀티바이브레이터(U2)의 출력신호는 저항(R6)과 캐패시터(C4)으로 구성된 적분회로에 인가된다. 적분된 신호는 다시 전압분배부를 이루는 저항(R7, R8)에 의해 분배되어 수평 사이즈 조절회로(70)에 인가(중첩)되므로 화면의 수직 하부에 발생되는 왜곡을 보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향요크(Deflection Yoke)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되는 화면 하부의 왜곡현상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수직 출력회로로부터 필요한 수직출력신호만을 인가받는 수직신호 검출부;
    상기 수직신호 검출부로부터 수직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블랭킹 신호 발생부;
    상기 수직 블랭킹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1멀티바이브레이터와, 상기 제1멀티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반전된 신호의 위상이 수직 주파수의 마지막 펄스에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제2멀티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위상조절부; 및
    상기 위상조절부를 통해 위상이 변화된 신호를 적분하여 수평사이즈 조절회로에 중첩시키는 적분회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왜곡 보정회로.
KR1019980031317A 1998-07-31 1998-07-31 디스플레이장치의하부왜곡보정회로 KR10028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317A KR100288583B1 (ko) 1998-07-31 1998-07-31 디스플레이장치의하부왜곡보정회로
US09/365,504 US6246189B1 (en) 1998-07-31 1999-08-02 Display device for correcting a distortion of a bottom portion of a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317A KR100288583B1 (ko) 1998-07-31 1998-07-31 디스플레이장치의하부왜곡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17A KR20000010417A (ko) 2000-02-15
KR100288583B1 true KR100288583B1 (ko) 2001-05-02

Family

ID=1954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317A KR100288583B1 (ko) 1998-07-31 1998-07-31 디스플레이장치의하부왜곡보정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46189B1 (ko)
KR (1) KR100288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4535B2 (en) * 2001-10-05 2009-06-30 Nec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395B2 (ja) * 1988-12-23 1996-09-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KR0156866B1 (ko) * 1995-11-30 1998-11-16 배순훈 화면폭 보정회로
JPH1056580A (ja) * 1996-08-08 1998-02-24 Hitachi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JP3510058B2 (ja) * 1996-10-07 2004-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偏向装置
JP3393029B2 (ja) * 1997-01-20 2003-04-07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の表示画像歪みの補正方法、歪み検出装置、歪み補正装置、及びその歪み補正装置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56829Y1 (ko) * 1997-05-17 1999-09-01 구자홍 플라이백 트랜스의 일체형 보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17A (ko) 2000-02-15
US6246189B1 (en) 2001-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64766A (ja) ビデオ装置用偏向回路
KR100288583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하부왜곡보정회로
JPH0670184A (ja) ビデオ表示器偏向装置
JP3268832B2 (ja) 水平偏向段の直線性を制御する装置
US4145706A (en) Video display
JPS61281677A (ja) 左右糸巻歪補正回路
KR100296432B1 (ko) 비디오디스플레이의톱니파발생기용서비스조절장치
JPS62212574A (ja) 位相測定装置
JP3201476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JPH05145781A (ja) Crt画像のローテーシヨン歪補正方法、crtの偏向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204163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직 발진 회로
JP3170643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JPS5948591B2 (ja) インタ−レ−ステレビジヨン画像として混合画像信号を表示する画像表示装置
JPS6218873A (ja) 水平偏向発振回路における発振周波数制御電圧発生回路
KR960003420Y1 (ko) 등변사다리꼴 왜곡 보정회로
US3800184A (en) Oscilloscopic system to detect distortion due to transients
JP3858815B2 (ja) 陰極線管装置
JPH06178143A (ja) 水平ブランキング信号生成回路
US6384866B1 (en) Horizontal display positioning circuit for CRT-type display device
KR100288582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수평출력tr보호장치
JPS62243479A (ja) 左右糸巻歪補正回路
JP2001326944A (ja) 垂直偏向回路及びそれを有する映像表示装置
US20020030765A1 (en) East-west distortion correction
JPH08186729A (ja) 画像歪み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