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030B1 - 인장형섀도우그릴을구비한컬러수상관장치 - Google Patents

인장형섀도우그릴을구비한컬러수상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030B1
KR100288030B1 KR1019980029071A KR19980029071A KR100288030B1 KR 100288030 B1 KR100288030 B1 KR 100288030B1 KR 1019980029071 A KR1019980029071 A KR 1019980029071A KR 19980029071 A KR19980029071 A KR 19980029071A KR 100288030 B1 KR100288030 B1 KR 10028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xis
screen
water pip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257A (ko
Inventor
고지 나카무라
아키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686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25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364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736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29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에 완전히 평탄한 평행평판의 유리를 사용해서 수상관을 제작하고 사람의 얼굴을 업해서 비추어 보면 사람의 얼굴이 중앙이 오목한 화상으로 보인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과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대향해서 마련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갖는 컬러수상관장치로서, 스크린의 중심에서 연직방향으로 관시자측을 향하는 축이 Z축이고, 패널의 외면단면은 스크린의 수직축방향 및 수평축방향에서 모두 Z축방향으로 볼록 형상이고, 패널의 내면단면은 수직축방향에서 대략 직선, 수평축방향에서 Z축에 대해 볼록 형상인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를 마련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외관상의 스크린에 이방성이 남지 않아 외관상의 스크린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COLOR PICTURE TUBE DEVICE HAVING TENSION-TYPE SHADOW GRILLE}
본 발명은 인장형(tension type)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1은 종래의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를 도시한 일부단면 측면도로서, 도 21에 있어서 (1)은 컬러수상관의 외주기(envelope)를 구성하는 패널, (2)는 패널(1)과 함께 컬러수상관의 외주기를 구성하는 퍼넬, (3)은 패널내면에 적, 청, 녹의 형광체가 순서좋게 배열되어 형성된 형광스크린, (4)는 전자총, (5)는 전자총(4)에서 출사되는 전자빔, (6)은 전자빔(5)를 전자적으로 편향하는 편향요크, (7)은 색선택전극의 기능을 하는 인장형 섀도우그릴이다.
도 22에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인장형 섀도우그릴(7)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2에 있어서, (8)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SUS)와 같은 강재로 형성된 프레임, (10)은 예를 들면 0.1mm의 판두께의 림드강으로 슬릿형상의 개구(11)과 테이프형상의 가늘고 긴 부재(9)를 형성한 개구그릴이고, 이 개구그릴(10)은 한쪽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프레임(8)에 용접에 의해 고착하여 유지되어 있다. 또한, (10a)는 댐퍼와이어, (10b)는 댐퍼스프링이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컬러수상관은 패널(1)과 퍼넬(2)에 의해 구성되는 외주기에 의해 내부가 고진공으로 유지되어 있고, 전자총(4)에서 출사된 전자빔(5)를 패널(1)의 내면에 형성되고 고전압이 인가된 형광스크린(3)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발광시킨다. 또, 동시에 전자빔(5)는 편향요크(6)에 의해 형성되는 편향자계에 의해서 상하좌우로 편향되어 있고, 형광스크린(3)상에 래스터(raster)라고 불리는 화상표시영역을 형성한다. 이 화상표시영역에 있어서, 전자빔(5)의 조사량에 따른 형광스크린(3)의 적, 청, 녹 각색의 발광강도의 분포를 패널(1)의 외면에서 관측하는 것에 의해 화상이 인식된다. 섀도우그릴(7)에는 무수의 슬릿형상의 개구(11)이 순서좋게 배열되어 있고, 이 개구(11)의 구멍을 전자빔(5)가 통과하는 것에 의해 기하학적으로 형광스크린(3)상의 적, 청, 녹의 형광체스트라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조사되고, 정확하게 색선택을 실행한다. 섀도우그릴(7)은 테이프형상의 가늘고 긴 부재(9)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8)에 의해서 한쪽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에 있다.
도 23은 형광스크린(3)을 관시자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3에서 형광스크린(3)의 중심은 스크린과 연직방향으로 Z축, 수직방향은 V, 수평방향은 H로 나타내고 있다. 중심의 Z축에서 수직축 V끝 및 수평축 H끝까지의 거리를 각각 lv, lh로 한다. 상기 섀도우그릴(7)의 구성과 형광스크린(3)의 관계는 V방향과 긴쪽의 테이프형상의 가늘고 긴 부재(9)가 일치하고 있고, 긴쪽의 테이프형상의 가늘고 긴 부재(9)는 수직방향 V로 인장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컬러수상관장치에서의 최근의 기술동향은 패널(형광스크린)의 평탄(플랫)화이다.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컬러수상관은 유리진공용기이기 때문에, 그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패널은 평탄한 것은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한편, 최근의 기술의 진보는 시뮬레이션기술 등의 발전도 있어 더욱 평탄에 가까운 패널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에 완전히 평탄한 평행평판의 유리를 사용해서 수상관을 제작해 보면, 예를 들면 사람의 얼굴을 업해서 비춘 화상의 경우에 사람의 얼굴이 중앙이 오목한 화상으로 보인다.
이 이유를 패널유리에 평행평판의 유리를 사용한 도 24의 패널(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상부절반(Z축보다 위쪽)은 수직축(V)방향 단면, 하부절반(Z축보다 아래쪽)은 수평축(H)방향 단면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패널(1)에서 95mm 떨어져서 관시자(19)가 패널(1)의 형광스크린(3)을 보았을 때의 외관상의 스크린(20)은 도 25의 일점쇄선과 같이 된다. 즉, 스크린중심에서는 패널유리의 두께 T0에 대해서 약 T0의 1/3만큼 부상한 위치로 보이지만, 스크린주변으로 감에 따라서 더욱 ΔT만큼 부상한다. 따라서, 외관상의 스크린(20)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시자(19)에서 보아 중앙이 오목한 스크린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사람의 얼굴이 중앙이 오목한 화상으로 보이는 것이다.
도 26은 이 불합리를 개량한 종래예로서, 도 24와 마찬가지로, Z축보다 위쪽은 수직축(V)방향 단면, Z축보다 아래쪽은 수평축(H)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패널(1)은 수직방향에는 평판을 사용하고, 수평방향에는 스크린주변에 웨지ΔTH를 갖게 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의 외관상의 스크린(20)은 도 27의 일점쇄선(20)과 같이 된다. 즉,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종래의 평판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외관상의 스크린을 평탄에 근접시키고 있으므로, 종래의 평행평판의 패널(1)에 비해 현격한 개량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수평방향에서의 평탄성의 불충분함 및 수직방향의 평탄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문제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외관상의 스크린의 평탄성으로부터의 어긋남에 의한 화상의 부자연스러움을 제거해서 외관상의 스크린을 더욱 평탄하게 함과 동시에, 수상관의 정적인 강도의 열화가 없고 안전설계된 컬러수상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을 도시한 일부단면 측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동작을 설명하는 패널부의 단면도,
도 3의 실시예 1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패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계산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의 패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실시예 2에서 사용되는 보조코일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를 도시한 일부단면 측면도,
도 14는 실시예 9의 패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9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패널부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실시예 10에 관한 패널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실시예 11에 관한 패널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종래의 컬러수상관장치를 도시한 일부단면 측면도,
도 22는 종래의 컬러수상관장치에서 사용되는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스크린의 좌표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종래의 평행평판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평행평판의 패널의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종래의 개량형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도 27은 종래의 개량형 패널의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는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대향해서 마련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갖는 컬러수상관장치로서, 상기 스크린의 중심에서 연직방향으로 관시자측을 향한 축이 Z축이고, 상기 패널의 외면단면은 상기 스크린의 수직축방향 및 수평축방향에서 모두 Z축방향으로 볼록 형상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단면은 수직축방향에서 대략 직선이고, 수평축방향에서 Z축에 대해 볼록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는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대향해서 마련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갖는 컬러수상관장치로서, 상기 패널의 외면은 곡률반경이 R6000이상의 대략 평탄형상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은 수직축방향 단면 및 수평축방향 단면이 Z축에 대해서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는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대향해서 마련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갖는 컬러수상관장치로서, 상기 스크린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주변부의 두께를 상기 패널중앙부의 두께보다 크고, 또한 상기 스크린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의 수직축방향 단면과 수평축방향 단면의 두께가 다르도록 상기 패널의 내면형상을 비구면 또는 비원통면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예
〈A. 실시예 1〉
〈A-1. 장치구성〉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대각치수가 51㎝인 수상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 1의 수상관장치는 도 21에 도시한 종래의 수상관장치와는 패널(1)의 형상과 편향요크(6) 및 필요에 따라 추가되는 보조코일(12)를 제외하면 동일하다. 즉, 도 1에 있어서, (1)은 컬러수상관의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 (2)는 패널(1)과 함께 컬러수상관(CRT)의 외주기를 구성하는 퍼넬, (3)은 패널내면에 적, 청, 녹의 형광체가 순서좋게 배열되어 형성된 형광스크린, (4)는 전자총, (5)는 전자총(4)에서 출사되는 전자빔, (6)은 전자빔(5)를 전자적으로 편향하는 편향요크, (7)은 색선택전극의 기능을 하는 인장형 섀도우그릴이다. 또한, 인장형 섀도우그릴(7)의 구성은 도 22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한쪽 방향으로 인장된 섀도우그릴(7)은 등방적(전체방향적)으로 인장되는 섀도우마스크 예를 들면 도트형상의 개구를 갖는 섀도우마스크에 비해 화질이 양호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 패널(1)은 외면은 수직축방향 및 수평축방향 모두 볼록 형상으로, 내면은 수직축방향 단면은 대략 직선, 수평축방향 단면은 Z축에 대해서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다. 편향요크(6)은 외관은 종래와 마찬가지이지만, 편향자계 특히 수직코일에 의한 자계가 종래와 다르다. 또, 편향요크(6)의 전자총측에는 보조코일(12)가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편향요크(6)의 대략 중심에 가상의 편향중심면(13)이 있고, Z축과의 교점이 편향중심(14)로 된다.
도 2는 이 실시예 1의 패널(1), 형광스크린(3) 및 인장형 섀도우그릴(7)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상부절반(Z축보다 위쪽)은 수직축(V)단면을, 또 하부절반(Z축보다 아래쪽)은 수평축(H)단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패널외면은 수직축(V)단면은 Z축에 대해서 볼록하고 그의 곡률반경이 ROV, 수평축(H)단면은 Z축에 대해서 볼록하고 그의 곡률반경이 ROH이다. 패널내면은 수직축(V)단면은 대략 직선이고, 그의 곡률반경이 RIV, 수평축(H)단면은 Z축에 대해서 볼록하고 그의 곡률반경이 RIH로 되어 있다.
여기서, 패널(1) 중심의 유리두께를 T0으로 하면, 패널(1)의 수직축(V) 끝에서의 유리두께 TV=T0-ΔTV이다. 마찬가지로, 패널(1)의 수평축(H) 끝에서의 유리두께 TH=T0+ΔTH이다. 여기서, ΔTV 및 ΔTH는 도 23을 사용해서 설명한 스크린중심Z에서 lv 및 lh의 거리에 있어서의 두께 T0과의 차로서 이하 각각 웨지라 부르기로 한다.
섀도우그릴(7)의 형상은 수직축(V)방향으로 인장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의 단면은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수평방향에 대한 섀도우그릴(7)의 형상은 슬릿형상의 개구(11)의 피치a와 패널(1)의 내면형상 및 전자빔의 편향중심면(13)(도 1 참조)에 있어서의 양 사이드전자빔의 Z축으로부터의 이축(離軸)치수SB에 의해 결정되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양 사이드전자빔이라는 것은 R, G, B의 3개의 전자빔중 G를 중앙으로 한 경우의 R 및 B를 나타낸다.
〈A-2. 동작〉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종래의 평행평판의 유리패널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외관상의 스크린에 불합리가 발생하는 이유를 도 4, 도 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관시자(19)가 패널(100)의 외면에서 95mm 떨어진 위치에서 평탄의 패널내면에 도포된 형광스크린(300)을 보았을 때, 형광스크린(300)이 어떻게 부상하여 보이는지를 계산하기 위한 패널의 모델유닛의 배치도이다. 여기서, 관시자(19)와 패널(100) 외면의 거리를 95mm로 한 이유는 기술적 평가의 최악의 경우를 상정해서 결정한 거리이다. 이 경우의 패널(100) 외면은 이 계산에서는 평탄뿐만 아니라 곡률반경이 변경된다. Z축에 오목형상의 R구(spherical radius : S.R.)로 하고 있다. 또, 내면은 평탄하고, 여기에 형광스크린(300)을 마련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의 주변의 막두께를 스크린의 수직축끝에서 T0+ΔTV, 스크린의 수평축끝에서 T0+ΔTH로 하고 있다.
이 모델에 의한 계산결과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는 종축이 외관상의 부상량(mm), 횡축은 관시자(19)가 형광스크린(300)의 주변을 보는 각도α이다. 도 5에서는 곡률반경RP(mm)를 파라미터로 하고, 주변의 부상량을 스크린중심에서의 부상량으로 각각 표준화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RP=90000이 평행평판에 상당하는 경우라고 고려해도 좋다. 이 계산결과에서 다음의 것을 말할 수 있다.
① 평행평판의 패널이라도 주변에서 더욱 부상한다.
② 곡률반경이 작아 질수록 주변에서의 부상이 커진다.
③ 이 도 5의 특성은 관시자(19)와 패널의 거리의 함수이다.
④ 부(負)의 R구로 하면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이 계산에서는 내면을 평탄하게 하고, 외면을 Z축에 대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하였지만, 유리패널(100)을 뒤집어도 광학적으로는 거의 변함없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외면을 Z축에 대해서 볼록 형상으로 하고, 패널내면을 Z축에 대해서 수직축방향 단면은 직선형상, 수평축방향 단면은 볼록 형상으로 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 스크린(3)주변에서의 부상량을 감소시키고, 외관상의 스크린(20)을 더욱 평탄에 근접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5에서 부의 R구로서 개량하는 요소를 이용하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패널(1)외면을 우선 볼록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과제인 외관상의 스크린(20)의 주변의 부상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 하고, 패널(1)내면의 수직축방향 단면을 직선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인장형 섀도우그릴(7)의 채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수평축방향 단면에 대해서는 섀도우그릴(7)의 피치, 전자빔의 편향중심면(13)에서의 이축량SB 및 부상량을 고려해서 Z축에 대해 볼록으로 한다.
〈A-3. 특징적 작용효과〉
본 실시예 1에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외면형상을 Z축에 대해서 볼록으로 하고 있으므로, 외관상의 스크린(20)을 더욱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을 사용해서 설명한 종래예에 비해, 수직축방향에 대해서 명확하게 개선되고 있다. 또한, 패널내면의 수직축(V)방향은 단면이 직선이므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종래의 사고방식의 연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이 비구면인 형상은 반사광이 있었을 때에 위화감의 인상을 준다. 그 때문에, 패널외면에 반사방지막(15)를 마련해서 여분의 반사광은 없애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수직축(V)단면 및 수평축(H)단면의 형상에서 그 특징을 설명했지만, 양축 이외의 부분의 패널형상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연속이고 매끄러우면 특별히 제한되는 점은 없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수직축(V)단면의 곡률반경을 RV, 수평축(H)단면의 곡률반경을 RH로 했을 때, 수직축(V)에서 Θ도 떨어진 중심을 포함하는 단면형상을 대략 곡률반경R로 하면,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의 형상을 결정해도 좋다.
이 수학식 1은 외면, 내면중의 어느 한쪽의 비구면에도 적용할 수 있다.
〈B. 실시예 2〉
〈B-1. 장치구성〉
도 6은 실시예 2에 관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분의 주요부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관한 컬러수상관장치는 패널의 단면형상을 제외하면 도 1과 마찬가지이다. 이 실시예 2에서는 패널(1)의 외면은 실시예 1의 도 2와 동일하다. 패널(1)의 내면은 수직축(V)방향 및 수평축(H)방향 모두 Z축에 대해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B-2. 동작〉
이 형상의 패널을 갖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편향에 관해서 양 사이드전자빔의 편향중심면(13)(도 1 참조)에서의 전자빔(5)의 Z축으로부터의 이축치수SB의 변화ΔS를 이용한다. 즉, 수직편향의 경우에 전자빔(5)의 이축치수를 SB에서 SB+ΔS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 1에서 편향중심(14)에서 패널스크린(3) 주변까지의 거리를 L로 했을 때, 섀도우그릴(7)과 패널(1)내면까지의 치수q는 이하의 수학식 2로 나타낸다.
q=La/3SB
수학식 2는 형광스크린(3)에서 3색의 형광체를 최조밀구조로 배열하기 위한 식이다. 여기서 a는 섀도우그릴의 피치이다.
여기서, 수직편향시에 SB를 크게 하고, q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SB를 SB+ΔS로 할 필요가 있다. SB를 SB+ΔS로 변경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편향요크(6)의 수직코일의 자계를 더욱 배럴형상에 근접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요크(6)의 배면측에 보조코일(12)를 마련해서 이 보조코일(12)에 ΔS를 발생시키는 자계성분을 발생시킨다. 이 보조코일(12)의 예로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소강판(12a)에 보조코일(12)가 감겨지고, 점선으로 나타낸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ΔS의 성분을 발생시킨다.
〈B-3. 특징적 작용효과〉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수직방향에 대해서도 패널내면형상을 Z축에 대해서 볼록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패널내면형상을 Z축에 대해서 볼록한 방향으로 하였으므로, 외면의 볼록 형상에 의한 부상의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고, 평탄한 외관상의 스크린(20)이 얻어져 더욱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다.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비해 유리밸브로서의 방폭성능의 점에서 유리하다. 반사광에 대해서는 반사방지막(15)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실시예 3〉
도 9는 실시예 3에 관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부분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실시예 3에 관한 컬러수상관장치는 패널의 단면형상을 제외하면 도 1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 3에서는 패널(1)외면을 Z축에 대해 회전대칭의 볼록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반사광은 더욱 위화감이 없는 것이 얻어진다. 이 경우에도 반사방지막(15)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1)내면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하다.
〈D. 실시예 4〉
패널 내/외면의 형상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수직축(V)방향은 ΔS와 편향특성 및 외관상의 스크린의 평탄성, 수평축(H)방향은 외관상의 스크린의 평탄성에 의해 결정해도 좋다. 따라서, 이 경우의 설계여유도는 이방성의 성분으로서 패널(1) 전면에 걸쳐 2mm이내가 바람직하다. 설계상은 수평축방향에 대해서는 부상량만을 고려하면 좋지만, 수직축방향에 대해서는 ΔS를 편향요크(6)만, 또는 보조코일(12)도 포함해서 설계할 필요가 있어 약간 설계여유도가 적다. 이 경우, 수직축(V)의 패널내면을 볼록 형상으로 하기 위해 ΔSV>ΔSH의 경향으로 하고 있다.
〈E. 실시예 5〉
〈E-1. 장치구성〉
도 10은 실시예 5에 관한 컬러수상관의 패널부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표 1은 대각치수가 27㎝인 수상관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4, 도 5에서의 구체적인 계산예를 나타내고 있다.
스크린형상이 16 : 9인 경우
a b c RI ei RO eo
D 53° 3.1 133.9 8500 1.05 -13000 0.69
H 48° 2.25 112.7 7000 0.91 -10000 0.64
V 29° 0.80 59.3 무한대 0 -6000 0.29
이 표 1의 예는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형광스크린(3)의 가로 : 세로비가 16 : 9인 경우로서, 도 4에 도시한 관시자(19)에서 패널(100)유리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95mm로 했을 때의 외관상의 스크린(20)의 부상의 평가로서 최악의 경우라고 고려되는 유닛모델의 예이다.
표 1에서 D, H, V는 각각 스크린의 대각축, 수평축, 수직축에 상당하고 있다. a는 도 5의 횡축의 각도α에 상당하고, 각각의 축에 대해서 53°, 48°, 29°이다. b는 도 5의 횡축의 α에 대응한 평행평판의 패널(1)(RP=90,000)을 사용한 경우의 부상량(mm)이다. c는 도 23에 있어서의 lh, lv 및 Z축에서 대각축끝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치수이다. 패널내면의 곡률반경RI는 예를 들면 수평축단면에서 설명하면 R7000이다. 따라서, 도 5에서 이 때의 부상량은 4.5mm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는 외면, 내면의 양쪽의 곡률반경RP를 구별하기 위해 내면의 곡률반경을 RI로 기술하고, 외면의 곡률반경을 RO로 하고 있다.
〈E-2. 동작〉
그런데, 도 4의 모델에 있어서는 관시자(19)의 눈의 위치에서 95mm 떨어진 곳에 패널(100)의 중심이 있고, 거기서부터 13mm 떨어진 내측의 평탄면에 형광스크린(30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만, 여기서 반대로 외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Z축에 대해서(관시자(19)의 눈의 방향에 대해서) 볼록으로 되도록 즉 도 10과 같이 R7000의 형광스크린을 마련해도(광학계를 반전시키면) 광학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특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축(H)끝에 있어서는 2.25mm 부상하게 된다.
여기서, 평행평판패널에 있어서의 스크린중심의 부상량은 패널의 굴절률과 두께의 관계에서 약 4.5mm로 된다. 한편, 내면형상을 R7000으로 한 패널에 있어서의 스크린중심의 부상량은 약 5.2mm로 된다. 따라서, 평행평판패널의 경우와 내면이 R7000패널의 경우에서 부상량의 차 ΔΔP는 약 0.7mm이다. 따라서, 패널주변에서의 부상량은 수평축(H)끝에 있어서는 중앙에 비해 2.25mm-0.7mm=1.55mm로 되고, 패널중앙과 패널주변의 부상량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표 1의 ei는 패널내면에서의 Z축에 대해 어느 정도 볼록한지를 나타내는 량으로서, 수평축(H)방향에 대해서는 0.91mm이다. 또한, eo는 패널외면에서의 Z축에 대해 어느 정도 볼록한지를 나타내는 양이다. ei 및 eo를 각 축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 도 10이고, 3개의 축을 중첩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횡축은 스크린중심으로부터의 거리, 종축은 패널의 Z축좌표를 나타내고 있고, 외면이 볼록 형상, 내면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면도 원통면도 아닌 비구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표 1에서는 패널외면만의 형상을 볼록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평행평판의 패널유리의 부상량의 일부를 보정하고 있다. 한편,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주변의 두께가 얇아져 수상관의 안전설계의 점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소위 약간이라도 웨지분을 갖는 방향으로 패널내면은 Z축에 대해서 볼록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서, 내면이 평탄한 경우보다 ei의 값만큼 부상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패널외면의 경향을
ROV = 6000 < ROH = 10,000 < ROD = 13,000 패널내면의 경향을
RIH = 7000 < RIV = ∞ 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예에서는 27㎝인 수상관의 예로 설명하였지만, 51㎝인 수상관으로 확대해도 동일한 경향이고, 곡률반경은 여기서 나타낸 값보다 구체적으로는 커진다.
표 1의 예에서는 수치적으로는 다음의 점에서 극단적인 예로 되어 있다. 즉, [A]눈의 위치(19)와 스크린중심까지의 치수(시야거리)95mm는 일반적인 것은 아니고, 실제로는 디스플레이용도의 수상관에서도 300mm∼500mm정도가 적당하다. 이것은 표 1의 예를 실제의 크기로 전개한 경우에는 표 1에 나타낸 곡률반경은 좀더 큰 값이 적당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B]패널내면의 예는 패널외면이 평탄한 경우에 Z축에 대해서 볼록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평행평판의 경우의 주변에서의 부상량을 보정하기 위해 검토된 값이므로 부상량의 점만으로 말하면 이 양보다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E-3. 특징적 작용효과〉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종래의 도 26의 경우와는 달리, 섀도우그릴을 사용해서 수직축방향 단면이 직선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상량의 조정을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평탄성을 개량한 수상관으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 5의 경우도 패널외면이 비구면, 비평탄면이므로, 반사광의 점에서 곤란함이있는 경우가 있다. 그 대처로서 패널외면에는 반사방지막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실시예 6〉
도 11은 실시예 6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축(수평축, 수직축, 대각축)에서 약간의 웨지를 갖게 한 예이다. 이 경우, 패널외면이 볼록이므로 패널외면의 반사의 점에서 평탄감으로서는 불리한 경우가 있으므로, 패널외면의 곡률반경을 RO, 내면의 곡률반경을 RI로 했을 때, 각 축단면에서 RO>RI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ROV = 10,000 > RIV = 6000
ROH = 10,000 > RIH = 7000
ROD = 13,000 > RID = 8500
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0에 비해 특히 수직방향에서 웨지를 증가시키고 있는 분만큼 수상관의 안전설계의 점에서 유리하다.
〈G. 실시예 7〉
도 12는 실시예 7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것은 실시예 6의 경우의 수평축의 패널외면을 회전대칭으로 한 예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소의 곡률반경으로서 R6000의 경우도 고려된다. 이 경우, 도 11의 경우보다 패널외면의 반사의 정도가 더욱 품위로서 향상한다.
〈H. 실시예 8〉
본 실시예 8은 도 10에서 패널외면형상을 도 12와 동일하게 한 예이다. 이 경우, 외관상의 평탄성을 약간 희생으로 하여 패널외표면의 반사의 정도가 더욱 품위로서 향상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패널외면에 반사방지막을 마련하면 패널외면을 볼록상태로 한 결점은 보완된다.
〈I. 실시예 9〉
〈I-1. 장치구성〉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9를 도 13에 도시한 대각치수가 51㎝인 수상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수상관장치는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 실시예 1을 설명하는 수상관장치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있어서, 패널(1A)는 외면은 대략 평탄형상이고, 내면은 Z축에 대해서 비구면, 비원통면의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4는 패널(1A), 형광스크린(3A) 및 인장형 섀도우그릴(7)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상부절반(Z축보다 위쪽)은 수직축(V)단면을, 또 하부절반(Z축보다 아래쪽)은 수평축(H)단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패널(1A)의 외면은 대략 평탄형상이고, 내면은 수직축(V), 수평축(H) 모두 Z축에 대해서 볼록 형상이다.
여기서, 패널(1A)중앙의 유리두께를 T0으로 하면, 패널(1A)의 수직축(V)끝에서의 유리두께 TV=T0+ΔTV이다. 마찬가지로, 수평축(H)끝에서의 유리두께 TH=T0+ΔTH이다. 여기서 ΔTV 및 ΔTH는 도 15에 도시한 스크린중심Z에서 lv 및 lh의 거리에 있어서의 패널중심과의 두께차로서, 이하 각각 웨지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들은 0<ΔTV<ΔTH의 관계로 설정된다.
섀도우그릴(7)의 형상은 수직축(V)방향으로 인장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의 단면은 패널(1A)의 외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수평방향에 대한 섀도우그릴(7)의 형상은 슬릿형상의 개구(11)의 피치a, 패널(1A)의 내면형상 및 전자빔의 편향중심면(13)에서의 양 사이드전자빔의 Z축으로부터의 이축치수SB에 의해 결정되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I-2. 동작〉
도 15는 상기 구성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은 상부절반이 수직축(V)단면, 하부절반이 수평축(H)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9에 관한 패널(1A)는 외면은 대략 평탄하고, 내면은 Z축방향으로 볼록면에 형광스크린(3A)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하면 예를 들면 관시자(19)가 패널(1A)에서 50㎝ 떨어져 있는 경우, 외관상의 스크린(20)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평탄한 외관상의 스크린(20)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패널외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은 반사방지막(15)이다.
또한, 종래의 평판유리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외관상의 스크린에 불합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모델에 의한 계산결과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 16은 종축이 외관상의 부상량(mm), 횡축이 형광스크린(300)의 주변을 보는 각도α이다. 도면에서는 곡률반경RP(mm)를 파라미터로 하고, 주변의 부상량을 스크린중심에서의 부상량으로 각각 표준화하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RP=90000이 평행평판에 상당하는 경우라고 고려해도 좋다. 이 계산결과에서 얻어지는 결론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설명한 ①∼④의 결론과 마찬가지이다.
〈I-3. 특징적 작용효과〉
따라서, 실시예 9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A)외면을 평탄하게 하고, 내면을 Z축에 대해서 볼록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부상을 적게 하고, 외관상의 스크린을 더욱 평탄하게 하고, 또 웨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정적인 강도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다. 즉, 웨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CRT내부를 진공으로 한 경우에 항상 부가되는 대기압에 의한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CRT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상의 스크린(20)뿐만 아니라, 패널(1A)의 외면도 평탄한 쪽이 더욱 평탄성으로서 좋게 보인다. 그러나, 한편 여분의 반사광은 없는 쪽이 무엇보다도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반사방지막(15)를 마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수직축(V)단면 및 수평축(H)단면의 형성에서 그 특징을 설명하였지만, 양 축 이외의 부분의 패널형상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연속이고 매끄러우면 특히 제한되는 점은 없다. 그 때문에 실시예 1에 있어서 설명한 수학식 1에 따라 중간부의 형상을 결정해도 좋다.
〈J. 실시예 10〉
〈J-1. 장치구성〉
도 18은 실시예 10에 관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예 10에서는 실시예 9와 마찬가지로, 패널 외면은 평탄, 패널 내면은 Z축에 대해서 비구면, 비원통면의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패널스크린의 주변부의 유리두께를 T0<TV<TH<TD의 관계로 설정한 것이다. 여기서, T0은 패널중심의 유리두께, TV는 패널의 스크린수직축(V)끝에서의 유리두께, TH는 패널의 스크린수평축(H)끝에서의 유리두께, TD는 패널의 스크린의 대각축끝에서의 유리두께이다.
표 2는 상기 막두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각치수가 20㎝인 수상관에 대해 도 16을 사용한 구체적인 계산예이다.
4 : 3 스크린인 경우
a b c RP e
D 45° 2.0 101.7 6500 0.80
H 37° 1.2 77.5 5000 0.60
V 29° 0.75 57.3 4900 0.34
이 예에서는 형광스크린(3)의 세로 : 가로비가 3 : 4이고, 도 4에 도시한 관시자(19)에서 패널유리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95mm인 경우에 있어서의 외관상의 스크린의 부상의 평가로서 최악의 경우라고 고려되는 예이다.
〈J-2. 동작〉
표 2에서 D, H, V는 각각 스크린의 대각축, 수평축, 수직축에 상당하고 있다. a는 도 16의 횡축의 각도α에 상당하고, 각각의 축에 대해서 45°, 37°, 29°이다. b는 도 16의 횡축의 α에 대응한 평행평판의 패널(RP=90,000)을 사용한 경우의 부상량(mm)이다. c는 도 23에 있어서의 lh, lv 및 Z축에서 대각축끝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치수이다. RP는 예를 들면 수평축단면에서 설명하면, RP가 R5000이고, α=37°인 경우, 도 16에서 이 때의 부상량은 2.4mm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도 4의 모델에 있어서는 관시자(19)의 눈의 위치에서 95mm 떨어진 위치에 패널(100)의 중심이 있고, 거기서부터 13mm 떨어진 내측의 평탄(평행평판)면에 형광스크린(30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만, 여기서 반대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을 외측에 있어서 Z축에 대해서(관시자(19)의 눈의 방향에 대해서) 볼록하게 되도록 R5000의 형광스크린을 마련하는 배치로 하는 요컨대 광학계를 반전해서 배치해도 광학적으로는 거의 동일한 특성으로 간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평축방향에 있어서의 패널주변부, 즉 도 23에 있어서의 lh의 위치에 있어서는 외관상의 스크린위치는 2.4mm내측으로 된다. 여기서, 수평축방향에 있어서의 패널주변부는 패널내면 중심위치보다 -0.6mm의 위치에 있으므로, 외관상의 스크린의 부상량은 +1.8mm로 된다. 한편, 스크린중심에서는 내면형상을 R5000으로 한 것에 의한 부상량의 차ΔΔP가 약 1.0mm이므로, 최종의 부상량은 약 0.8mm로서, 종래의 평행평판의 부상량 1.2mm에 비해 중앙부와 주변부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J-3. 특징적 작용효과〉
이상과 같이 해서 각 축의 외관상의 스크린을 더욱 평탄에 근접시킬 수 있다. 여기서, 표 2의 e는 평판에서 어느 정도 볼록한지를 나타내는 양으로서, 수평축(H)방향에 대해서는 0.6mm이다. e의 값을 각 축에 대해서 표시한 것이 도 18이고, 3개의 축을 중첩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있어서, 횡축은 스크린중심으로부터의 거리, 종축은 패널의 Z축좌표를 나타내고 있고, 외면은 평면, 내면은 각 축단면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면도 원통면도 아닌 비구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형광스크린의 크기를 확대해도 동일한 경향이고, 곡률반경은 여기서 나타낸 값보다 구체적으로는 커진다.
〈K. 실시예 11〉
도 19는 실시예 11에 관한 컬러수상관장치의 패널의 내/외면의 곡률에 대한 스크린주변의 웨지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표 3은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패널유리의 두께가 T0<TV<TH<TD로 되어 있는 경우이고, 형광스크린이 16 : 9의 27㎝ 와이드관인 경우의 계산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16 : 9 스크린인 경우
a b c RP e
D 53° 3.1 133.9 8500 1.05
H 48° 2.25 112.7 7000 0.91
V 29° 0.80 59.3 4400 0.40
〈L. 실시예 12〉
〈L-1. 장치구성〉
다음에 실시예 12를 도 7, 도 8 및 도 20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2는 양 사이드전자빔의 편향중심면(13)(도 13 참조)에서의 Z축으로부터의 이축량SB를 수직편향시에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에 의한 웨지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수단으로서, 편향요크의 수직코일의 자계특성 또는 도 13에 도시한 보조코일(12)를 이용한다. 보조코일(1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소강판(12a)에 보조코일(12)가 감져지고, 점선으로 나타낸 자계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L-2. 동작〉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중심(14)에서 형광스크린(3)의 주변까지의 거리를 L로 했을 때, 섀도우그릴(7)과 패널(1A)내면까지의 치수q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설명한 수학식 2로 나타낸다. 여기서, 수직방향에서는 ΔTV의 웨지분을 얻기(SB를 크게 하고, q를 작하게 하기) 위해 SB의 값을 SB+ΔS로서 상기 식에서의 SB의 값을 크게 하고 있다.
이 ΔS성분을 얻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는 편향요크(6)의 수직코일의 자계를 종래보다 또 수평방향보다 한층 배럴방향의 자계로 하고, 최종적으로 수직방향의 패널유리의 웨지를 산출한다. ΔS를 생성하는 다른 수단은 상기 보조코일(12)에 ΔS를 생성하는 자계생성용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다.
도 20은 이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패널(1A)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A)의 외면은 평탄하고 내면은 Z축에 대해 볼록하고, 또한 패널중심의 두께 T0에 대해 수직방향의 웨지량ΔTV와 수평방향의 웨지량ΔTH는 다르게 하고, 예를 들면 ΔTV<ΔTH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ΔTV=1.5mm, ΔTH=2.0mm로 할 수 있다.
〈L-3. 특징적 작용효과〉
설계상에 있어서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ΔTH에 대해 부상량만을 고려하면 좋지만, 수직방향 ΔTV에 대해서는 섀도우그릴(7)과 패널(1)내면까지의 치수q가 R, G, B의 빔배열과의 관계에서 중요하다. 섀도우그릴(7)이 한쪽방향으로 인장하는 형태의 것이므로, 본 예에서는 편향요크(6)의 수직코일의 자계를 더욱 배럴방향의 자계로 하고, 또 도 13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편향요크(6)의 전자총측에 보조코일(12)를 마련해서 SB를 크게 하고 q를 작게 해서 상기 ΔTV를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수직방향에도 충분한 웨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의 제1∼제3 형태에 의하면, 종래 수직방향에 대한 외관상의 부상의 조정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외관상의 스크린에 이방성이 남고 외관상의 스크린의 평탄성이 좋지 않았지만 이들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컬러수상관패널은 웨지가 부가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정적인 수상관으로서의 강도도 약간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 문제를 해결 내지 개선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한 평탄한 스크린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수직방향으로 인장되고 있는 종래 형태의 섀도우그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새로운 부품의 개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3)

  1.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대향해서 마련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갖는 컬러수상관장치로서,
    상기 스크린의 중심에서 연직방향으로 관시자측을 향하는 축이 Z축이고,
    상기 패널의 외면 단면은 상기 스크린의 수직축방향 및 수평축방향에서 모두 Z축방향으로 볼록 형상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 단면은 수직축방향에서 대략 직선, 수평축방향에서 Z축에 대해 볼록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
  2.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대향해서 마련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갖는 컬러수상관장치로서,
    상기 패널의 외면은 곡률반경이 R6000 이상 R90000미만인 비평탄형상이고,
    상기 패널의 내면은 수직축방향 단면 및 수평축방향 단면이 Z축에 대해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
  3. 외주기를 구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스크린에 대향해서 마련된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갖는 컬러수상관장치로서,
    상기 스크린에 대응하는 상기 패널의 중앙부의 두께를 T0, 상기 패널의 수직축방향 단면 끝부의 두께를 TV, 상기 패널의 수평축방향 단면 끝부의 두께를 TH, 상기 패널의 대각방향 단면 끝부의 두께를 TD로 할 때,
    상기 패널의 상기 스크린 주변의 두께는
    T0〈TV〈TH〈TD
    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형 섀도우그릴을 구비한 컬러수상관장치.
KR1019980029071A 1997-09-02 1998-07-20 인장형섀도우그릴을구비한컬러수상관장치 KR100288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686797 1997-09-02
JP97-236867 1997-09-02
JP23686697A JP3282553B2 (ja) 1997-09-02 1997-09-02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JP97-236866 1997-09-02
JP31364497A JP3497360B2 (ja) 1997-09-02 1997-11-14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JP97-313644 199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57A KR19990029257A (ko) 1999-04-26
KR100288030B1 true KR100288030B1 (ko) 2001-06-01

Family

ID=2733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071A KR100288030B1 (ko) 1997-09-02 1998-07-20 인장형섀도우그릴을구비한컬러수상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33681A (ko)
EP (1) EP0901145B1 (ko)
KR (1) KR100288030B1 (ko)
CN (1) CN1149621C (ko)
DE (1) DE69813973T2 (ko)
TW (1) TW3936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963B1 (ko) * 1998-08-17 2000-10-16 구자홍 음극선관용 패널
US6690106B1 (en) * 1999-04-28 2004-02-10 Hitachi, Ltd. Color cathode ray tube
US6337535B1 (en) * 1999-10-26 2002-01-08 Lg Electronics Inc. Panel in cathode ray tube
KR100402738B1 (ko) 2000-02-29 2003-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의 패널
KR100331820B1 (ko) * 2000-04-12 2002-04-09 구자홍 평면 음극선관
JP2002160246A (ja) * 2000-11-22 2002-06-04 Seibu:Kk クランプ付金型及びクランプ付金型を用いたプレス成型方法
KR100408005B1 (ko) * 2002-01-03 2003-12-03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마스크 스트레칭형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DE10322151B4 (de) * 2002-05-17 2009-07-02 Samsung Corning Precision Glass Co., Ltd., Gumi Flacher Bildschirm mit verbessertem Implosionsschutz zur Verwendung in einer Kathodenstrahlröhre
KR20060035151A (ko) * 2004-10-21 2006-04-26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100712905B1 (ko) * 2004-11-03 2007-05-02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US20070126332A1 (en) * 2005-12-02 2007-06-07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544A (ja) * 1988-11-30 1990-06-07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EP0443657A1 (en) * 1990-02-12 1991-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and display device
JPH0636710A (ja) * 1992-07-21 1994-02-10 Hitachi Ltd 表示制御回路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7322B1 (en) * 1982-12-13 1998-03-10 Tokyo Shibaura Electric Co Glass envelope for a cathode-ray tube
US4570101A (en) * 1983-09-06 1986-02-11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 faceplate panel with a smooth aspherical screen surface
JPH0644457B2 (ja) * 1986-01-30 1994-06-08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受像管
FR2634945B1 (fr) * 1988-07-27 1996-04-26 Videocolor Procede de fabrication d'un tube de television en couleurs a haute definition et tube de television trichrome a haute definition
NL9000111A (nl) * 1990-01-17 1991-08-16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met gekromd beeldvenster en kleurenbeeldweergeefinrichting.
IT1239510B (it) * 1990-03-30 1993-11-03 Videocolor Spa Tubo a raggi catodici avente una lastra frontale perfezionata, con rapporto larghezza/altezza di 16/9"
JP3337784B2 (ja) * 1993-10-22 2002-10-21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JP2636706B2 (ja) * 1993-11-16 1997-07-30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JPH09245685A (ja) * 1996-03-06 1997-09-19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JP3271565B2 (ja) * 1997-02-24 2002-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パネル
JPH1173896A (ja) * 1997-08-28 1999-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受像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544A (ja) * 1988-11-30 1990-06-07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EP0443657A1 (en) * 1990-02-12 1991-08-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thode ray tube and display device
JPH0636710A (ja) * 1992-07-21 1994-02-10 Hitachi Ltd 表示制御回路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33681A (en) 2000-10-17
DE69813973T2 (de) 2004-03-11
DE69813973D1 (de) 2003-06-05
TW393661B (en) 2000-06-11
EP0901145A2 (en) 1999-03-10
CN1149621C (zh) 2004-05-12
KR19990029257A (ko) 1999-04-26
CN1211808A (zh) 1999-03-24
EP0901145B1 (en) 2003-05-02
EP0901145A3 (en) 199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507B1 (ko) 배면투사형화상표시장치및배면투과형스크린
JP3388780B2 (ja) 背面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88030B1 (ko) 인장형섀도우그릴을구비한컬러수상관장치
US20030107716A1 (en) Reflection type image forming optical system and projector
US4919515A (en) Screen for a rear projection type television set
JPH01182837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3497360B2 (ja)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JPH0644926A (ja) 陰極線管ディスプレイ
US620806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3282553B2 (ja)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332293B1 (ko) 음극선관
US6650034B2 (en) Color cathode ray tube
JPH0350592A (ja) 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レンズ
JPH0421843B2 (ko)
JPH0679104B2 (ja) プロジエクシヨンテレビ
US20050067940A1 (en) Color cathode ray tube
JP2002260559A (ja) カラー受像管
JPH0736624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JP3772840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3772841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297721A (ja)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JP3470717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JPH0418534A (ja) 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MXPA98005903A (en) Color image pipe device that has sharp grid of type of tens
JPH08237583A (ja)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並びに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