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011B1 - 광다이내믹레인지와고해상도를갖는고체촬상센서장치 - Google Patents

광다이내믹레인지와고해상도를갖는고체촬상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011B1
KR100287011B1 KR1019970071224A KR19970071224A KR100287011B1 KR 100287011 B1 KR100287011 B1 KR 100287011B1 KR 1019970071224 A KR1019970071224 A KR 1019970071224A KR 19970071224 A KR19970071224 A KR 19970071224A KR 100287011 B1 KR100287011 B1 KR 10028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transfer
semiconductor regions
semiconductor region
semiconduc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426A (ko
Inventor
신이찌 가와이
야스따까 나까시바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6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812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 lines or gate-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기판표면 및 기판표면의 소정의 방향을 따라 기판표면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반도체영역을 갖는 기판을 포함하며, 이 제 1 반도체영역들은 서로간에 사실상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 고체촬상센서장치는 기판표면상에 형성되어 제 1 반도체영역들에 공통으로 기준전위를 공급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광다이내믹 레인지와 고해상도를 갖는 고체촬상센서장치 {SOLID STATE IMAGE SENSOR UNIT WITH WIDE DYNAMIC RANGE AND HIGH RESOLUTION}
본 발명은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고체촬상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전하전송부의 양단에 접속되는 수평전하전송부를 갖는 고체촬상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전하전송용 신호로서 기능하는 전하전송펄스에 따라 촬상화면(image capture) 의 복수의 주사방향 중 소망의 하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일본 특개소 58-195371 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장치중앙영역내에서 광전변환 및 전하전송을 주로 수행하는 중앙장치부, 및 장치주변영역에서 전하검출을 주로 수행하는 주변장치부를 구비한다. 중앙장치부는 제 1 반도체영역을 포함하고 수직전하전송부, 및 수직전하전송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를 갖는다. 주변장치부는 제 2 반도체영역을 포함한다. 제 2 반도체영역은 접지전위와 같은 기준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반도체영역 및 제 2 반도체영역은 종종 "채널 스톱퍼(channel stopper)" 로서 각각 지칭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다음의 문제점들이 있다.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에서는, 중앙장치부의 주요부로서 기능하는 반도체영역이 주변장치부의 주요부로서 기능하는 제 2 반도체영역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 1 반도체영역 및 제 2 반도체영역은 웰층(well layer) 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웰층의 전기저항은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의 전기저항보다 상당히 높다.
그러므로, 제 1 반도체영역은 높은 전기저항을 갖는 웰층을 통하여 기준전위에 접속된다. 이러한 이유로, 고체촬상센서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제 1 반도체영역의 전압이 전하전송펄스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아서 쉽게 변동한다. 게다가, 제 1 반도체영역의 전압이 변동하면, 전하전송부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최대 전하량으로서의 전하전송성능 및/또는 전하전송효율이 저하되는 데 그 이유는 전하전송펄스의 유효진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 가 협소하고 해상도도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촬상화면의 복수의 주사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광전변환 및 전하전송을 수행하는 중앙장치부내의 제 1 반도체영역의 전압이 안정되고, 또한,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고 해상도가 높은 고체촬상센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고체촬상센서장치는 기판표면을 가지는 기판 및 기판표면의 소정의 방향을 따라 기판표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반도체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은 서로간에 사실상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상기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제 1 반도체영역들에 공통적으로 기준전위를 공급하기 위하여 기판표면상에 형성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한다.
도 1 은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상면도;
도 2 는 도 1 의 라인 A1-A2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라인 B1-B2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상면도;
도 5 는 도 4 의 라인 C1-C2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상면도;
도 7 은 도 6 의 라인 D1-D2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중앙장치부 601 :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2 : 광전소자 603 : 수직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5 : 광차폐막 700 : 주변장치부
701 :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2-1, 702-2, 702-3, 및 702-4 :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하검출부
703-1, 703-2, 703-3, 및 703-4 : 출력단자들
801 : n- 형 반도체기판 802 : p 형 웰층
803 : 전체표면 절연막 900 : 접속부재
901 : 배선부 902 및 903 : 제 1 및 제 2 접촉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를 설명한다. 도 1 에서는, 절연막 및 전체표면 절연막이 생략되어 있다.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일본 특개소 58-19537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하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소위 인터라인 전송형이고, 광전변환 및 전하전송을 수행하는 중앙장치부 (100), 및 주로 전하검출을 수행하는 주변장치부 (200) 를 구비한다.
중앙장치부 (100) 는 복수의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을 포함하고 복수의 수직전하전송부 (103), 이 수직전하전송부들 (103) 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광전소자 (102), 수직전하전송부 (103) 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104-1 및 104-2), 및 차광막 (105) 을 포함한다. 도 1 에서,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들 (101), 수직전하전송부들 (103), 및 광전소자들 (102) 의 개수는 실제적인 수가 아니고, 개념적인 수이다.
차광막 (105) 은 중앙장치부 (100) 의 전체표면상에서 광전소자들 (102)을 제외하고 절연막 (도시되지 않음) 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자면, 차광막 (105) 은 또한 주변장치부 (2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주변장치부 (200) 는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201) 을 포함한다.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201) 에는 기준전위로서 접지전위가 공급된다. 주변장치부 (200) 는 제 1, 제 2, 제 3 , 및 제 4 전하검출부 (202-1, 202-2, 202-3, 및 202-4) 를 가지며, 이 전하검출부들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104-1 및 104-2) 의 양단, 및 이 전하검출부들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들 (203-1, 203-2, 203-3, 및 203-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약 5 × 1014/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 (301), 약 5 × 1015/cm3의 불순물 농도를 가지며 n-형 반도체기판 (301) 상에 형성되는 p 형 웰층 (302), 및 이 장치의 최상층의 전체표면상에 형성되는 전체표면 절연막 (303) 을 갖는다. n-형 반도체기판 (301), p 형 웰층 (302), 및 전체표면 절연막 (303) 각각은 중앙 및 주변장치부 (100 및 200) 양쪽에 반드시 포함된다.
또한, 이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중앙장치부 (100) 의 주요부로서 기능하며 약 1 × 1018/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약 1 × 1017/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n 형 반도체영역 (103a)(수직전하전송부들 (103) 의 일부분), 약 5 × 1016/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n 형 반도체영역 (102a)(광전변환소자 (102) 의 일부분), 약 1 × 1017/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한 쌍의 n 형 반도체영역 (104a)(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104-1 및 104-2) 의 일부분),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전하전송전극 (103b)(수직전하전송부들 (103) 의 일부분) 과 한 쌍의 전하전송전극 (104b)(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104-1 및 104-2)의 일부분), 및 예를 들어 알루미늄막으로 구성되는 차폐막 (105) 을 갖는다. 상술된 배치는 중앙장치부 (100) 내에 포함된다. 전하전송전극들 (103b), 전하전송전극들 (104b), 및 차폐막 (105) 은 전체표면 절연막 (303)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와 도 3 에서,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들 (101), n 형 반도체영역들 (102a), n 형 반도체영역들 (103a), 및 전하전송전극들 (103b) 의 개수들은 실제적인 수가 아니고, 개념적인 수이다.
또한, 이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약 1 × 1018/cm3의 불순물 농도를 가지며 p 형 웰층 (302) 상에 형성되는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20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201)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 (203) 을 갖는다. 상술된 배치는 주변장치부 (200) 내에 포함된다.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201) 은 주변장치부 (200) 의 주요부로서 기능한다.
상술된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에서, 수직전하전송부 (103), 및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104-1 및 104-2) 는 종방향 양쪽으로 전하들을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화면의 주사방향이 수직전하전송부, 및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에 인가된 전하전송펄스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다음의 문제점들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에서, 중앙장치부 (100) 의 주요부로서 기능하는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은 주변장치부 (200) 의 주요부로서 기능하는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201) 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및 102) 은 p 형 웰층 (302) 을 통하여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p 형 웰층 (302) 의 전기저항은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및 102) 의 전기저항보다 상당히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 p 형 웰층 (302) 의 전기저항 (시트저항; sheet resistance) 은 약 50 내지 100 ㏀/□ 이다. 반면에,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및 201) 의 전기저항은 약 0.5 ㏀/□ 이다.
그러므로,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은 높은 전기저항을 갖는 p 형 웰층 (302) 을 통하여 기준전위에 접속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 고체촬상센서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의 전압은 전하전송펄스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아 쉽게 변동한다. 또한,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101) 의 전압이 변동하면, 전하전송부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최대전하량으로서의 전하전송성능 및/또는 전하전송효율이 저하되는 데 그 이유는 전하전송펄스의 유효진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고체촬상센서장치는 다이내믹 레인지가 협소하고 해상도도 낮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인터라인 전송형으로, 광전변환 및 전하전송을 수행하는 중앙장치부 (600), 및 전하검출을 주로 수행하는 주변장치부 (700) 를 구비한다.
중앙장치부 (600) 는 복수의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을 포함하며, 복수의 수직전하전송부 (603), 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광전소자 (602), 수직전하전송부 (603) 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및 차광막 (605) 을 갖는다. 도 4 에서,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수직전하전송부들 (603), 및 광전소자들 (602) 의 개수는 실제적인 수가 아니고, 개념적인 수이다.
차광막 (605) 은 중앙장치부 (600) 의 전체표면상에서 광전소자들 (602)을 제외하고 절연막 (도시되지 않음) 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차광막 (605) 은 또한 주변장치부 (7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주변장치부 (700) 는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을 포함한다.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에는 기준전위로서 접지전위가 공급된다. 주변장치부 (700) 는 제 1, 제 2, 제 3 , 및 제 4 전하검출부 (702-1, 702-2, 702-3, 및 702-4) 를 가지며, 이 전하검출부들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의 양단, 및 이 전하검출부들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들 (703-1, 703-2, 703-3, 및 703-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약 5 × 1014/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n-형 반도체기판 (801), 약 5 × 1015/cm3의 불순물 농도를 가지며 n-형 반도체기판 (801) 상에 형성되는 p 형 웰층 (802), 및 이 장치의 최상층의 전체표면상에 형성되는 전체표면 절연막 (803) 을 갖는다. n-형 반도체기판 (801), p 형 웰층 (802), 및 전체표면 절연막 (803) 각각은 중앙 및 주변장치부 (600 및 700) 양쪽에 반드시 포함된다.
또한,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중앙장치부 (600) 의 주요부로서 기능하며 약 1 × 1018/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약 1 × 1017/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n 형 반도체영역(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의 일부분으로, 도시되지 않음)), 약 5 × 1016/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n 형 반도체영역 (광전변환소자 (602) 의 일부분으로, 도시되지 않음), 약 1 × 1017/cm3의 불순물 농도를 갖는 한 쌍의 n 형 반도체영역 (604a)(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의 일부분),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전하전송전극 (603b)(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의 일부분) 과 한 쌍의 전하전송전극 (604b)(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의 일부분), 및 예를 들어 알루미늄막으로 구성되는 차폐막 (605) 을 갖는다. 상술된 배치는 중앙장치부 (600) 내에 포함된다. 전하전송전극들 (603b), 전하전송전극들 (604b), 및 차폐막 (605) 은 전체표면 절연막 (803)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에서,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들 (601), 전하전송전극들 (603b) 의 개수는 실제적인 수가 아니고, 개념적인 수이다.
또한, 이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약 1 × 1018/cm3의 불순물 농도를 가지며 p 형 웰층 (802) 상에 형성되는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및 이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상에 형성되는 절연막 (703) 을 갖는다. 상술된 배치는 주변장치부 (700) 내에 포함된다.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는 주변장치부 (700) 의 주요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p 형 웰층 (802) 의 전기저항은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701) 의 전기저항보다 상당히 높다. 보다 구체적으로, p 형 웰층 (802) 의 전기저항 (시트저항) 은 약 50 내지 100 ㏀/□ 이다. 반면에,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701) 의 전기저항은 약 0.5 ㏀/□ 이다.
상술된 장치에서, 수직전하전송부 (603) 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는 종방향 양쪽으로 전하들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화면의 주사방향이 수직전하전송부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에 인가되는 전하전송펄스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701) 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 (900) 를 구비한다.
이 접속부재 (900) 는 절연막 (803) 을 통해 장치상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701) 위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배선부 (901), 한 쌍의 배선부 (901) 와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사이를 각각 접속시키는 제 1 접촉부들 (902), 및 한 쌍의 배선부 (901) 와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사이를 각각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제 2 접촉부 (903) 를 갖는다. 배선부들 (901) 과 제 1 및 제 2 접촉부 (902 및 903) 각각은 소정의 전기저항보다 높지 않은 저항을 갖는다. 소정의 전기저항은 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전기저항을 갖도록 하기 위해, 배선부들 (901) 과 제 1 및 제 2 접촉부 (902 및 903) 는 알루미늄, 텅스텐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 쌍의 배선부 (901) 는 중앙장치부 (600) 상에 형성되어 수직전하전송부 (603) 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가 각각 서로 인접해 있는 한 쌍의 인접영역상에 배치된다. 한 쌍의 제 1 접촉부 (902) 은 한 쌍의 인접영역에서 제 1 반도체영역 (601) 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된다.
여기서, 만일 제 1 접촉부들 (902) 이 중앙장치부 (600) 내에서 광전변환소자들 (602) 근방에 형성되면, 중앙장치부 (600) 에는 어느 정도 커다란 면적이 요구된다. 중앙장치부 (600) 가, 이 중앙장치부 (600) 의 면적과는 대조적으로, 어느 정도 커다란 면적을 확보하는 경우, 광전변환소자들 (602) 또는 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의 면적은 작아진다. 광전변환소자들 (602) 또는 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의 면적이 작아지는 경우, 광전변환소자들 (602) 의 감도(sensitivity) 또는 수직전하전송부 (603) 의 전하전송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배선부들 (901) 과 접촉부들 (902) 은 수직전하전송부 (603) 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사이의 접속부들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를 참조하면,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에 접속된 배선부들 (901)(도 4 참조) 및 제 1 접촉부들 (902) 이 절연막 (803)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기준전위를 갖는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이 낮은 저항을 갖는 배선부재 (900)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의 전위는 전하전송전극 (603b) 에 인가되는 전하전송펄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이다.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의 전위가 안정하면, 전하전송성능 및/또는 전하전송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데, 그 이유는 전하전송펄스의 유효진폭이 작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는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해상도도 높아지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4 및 도 5 의 참조부호들로 표시된 유사한 부분들을 구비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701) 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재 (900'), 및 장치상에 형성되어 중앙 및 주변장치부 (600 및 700) 위에서 연장하는 차광막 (605') 을 구비한다.
접속부재 (900') 는 절연막 (803) 을 통해 장치상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701) 위에서 연장하는 배선부, 이 배선부와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사이를 접속시키는 제 1 접촉부들 (904), 및 배선부와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사이를 접속시키는 제 2 접촉부들 (905) 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배선부는 차광막 (605') 으로 이루어진다.
차광막 (605') 과 제 1 및 제 2 접촉부 (904 및 905) 각각은 소정의 전기저항보다 크지 않은 전기저항을 갖는다. 소정의 전기저항은 1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전기저항을 갖도록 하기 위해, 차광막 (605') 과 제 1 및 제 2 접촉부 (904 및 905) 는 알루미늄, 텅스텐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접촉부들 (904) 는 제 1 반도체영역 (60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한 쌍의 인접영역에 위치되며, 이 인접영역에서 수직전하전송부 (603) 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가 각각 서로 인접해 있다.
여기서, 만일 제 1 접촉부들 (904) 이 중앙장치부 (600) 내에서 광전변환소자들 (602) 근방에 형성되면, 중앙장치부 (600) 에는 어느 정도 커다란 면적이 요구된다. 중앙장치부 (600) 가, 이 중앙장치부 (600) 의 면적과는 대조적으로, 어느 정도 커다란 면적을 확보하는 경우, 광전변환소자들 (602) 또는 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의 면적은 작아진다. 광전변환소자들 (602) 또는 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의 면적이 작아지면, 광전변환소자들 (602) 의 감도 또는 수직전하전송부들 (603) 의 전하전송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접촉부들 (904) 은 수직전하전송부 (603) 와 제 1 및 제 2 수평전하전송부 (604-1 및 604-2) 사이의 접속부들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을 참조하면,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에 접속된 차광막 (605') 및 제 1 접촉부들 (904) 은 절연막 (803)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및 기준전위를 갖는 제 2 의 p+형 반도체영역 (701) 이 낮은 저항을 갖는 배선부재 (900') 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의 전위는 전하전송전극 (603b) 에 인가되는 전하전송펄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이다. 제 1 의 p+형 반도체영역 (601) 의 전위가 안정적이면, 전하전송성능 및/또는 전하전송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데, 그 이유는 전하전송펄스의 유효진폭이 작아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는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해상도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의 차광막 (605') 은 광을 차폐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제 1 실시예에서의 배선부 (901) 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이 장치는 전체구조가 단순하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가 n 형 반도체기판상의 p 형 웰층에 형성된 매립채널을 갖는 전하전송부들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p 형 반도체기판상에 형성된 매립채널을 갖는 전하전송부를 구비하는 종류의 고체촬상센서장치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촬상센서장치에서는, 촬상화면의 주사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광전변환 및 전하전송을 수행하는 중앙장치부내의 제 1 반도체영역의 전압을 안정시킬 수 있고, 또한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해상도도 높아지게 된다.

Claims (16)

  1. 기판표면을 가지는 기판 및 상기 기판표면의 소정의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표면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반도체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이 서로간에 사실상 전기적으로 절연된 고체촬상센서장치로서,
    상기 기판표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에 공통으로 기준전위를 공급하는 접속부재; 및
    상기 기판표면의 중심영역상에 형성되어 광전변환과 전하전송을 수행하는 중앙장치부와, 상기 기판표면의 주변영역상에 형성되어 전하전송을 주로 수행하는 주변장치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은 상기 중앙장치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장치부는, 상기 각각의 제 1 반도체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방향에 수직인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전하전송부, 및 상기 각각의 수직전하전송부들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방향에 평행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전하전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변장치부는, 상기 주변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반도체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에는 상기 기준전위가 공급되며,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은 상기 수평전하전송부들 및 상기 수직전하전송부들 중의 한 수직전하전송부에 의해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으로부터 사실상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과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1 ㏀/□ 보다 높지 않은 전기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알루미늄, 텅스텐, 구리, 및 그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센서장치는 인터라인 전송형과 프레임 전송형 중의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반도체영역을 따라 상기 기판표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광전소자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 1 반도체영역은, 상기 광전소자들로부터 상기 제 1 반도체영역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수직전하전송부로의 전하이동은 허용하지만 상기 광전소자들로부터 상기 제 1 반도체영역의 대향측에 인접한 상기 수직전하전송부로의 상기 전하이동은 허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절연막을 통해 상기 고체촬상센서장치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 및 상기 제 2 반도체영역 위에서 연장되는 배선부, 상기 배선부와 상기 각각의 제 1 반도체영역을 서로 접속시키는 제 1 접촉부, 및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을 서로 접속시키는 제 2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절연막을 통해 상기 고체촬상센서장치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반도체영역 위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배선부, 상기 한 쌍의 배선부 각각과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을 서로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제 1 접촉부, 및 상기 한 쌍의 배선부와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을 서로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제 2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표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장치부 및 상기 주변장치부 위에서 연장되는 차광막을 더 구비하되,
    상기 차광막은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재는 절연막을 통해 상기 고체촬상센서장치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영역 위에서 연장되는 배선부를 가지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배선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수직전하전송부 및 상기 수평전하전송부 각각이 서로 인접해 있는 한 쌍의 인접영역상에서 상기 차광막과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을 서로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제 1 접촉부, 및 상기 한 쌍의 인접영역상에서 상기 차광막과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을 서로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제 2 접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표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장치부 및 상기 주변장치부 위에서 연장되는 차광막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광막은 전기 전도성을 갖고 상기 접속부재의 상기 배선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중앙장치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수직전하전송부, 및 수평전하전송부들 중의 어느 하나가 서로 인접해 있는 인접영역상에 놓여지고,
    상기 제 1 접촉부들은 상기 인접영역에서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배선부는 상기 중앙장치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수직전하전송부 및 상기 수평전하전송부 각각이 서로 인접해 있는 한 쌍의 인접영역상에 놓여지고,
    상기 한 쌍의 제 1 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인접영역에서 상기 제 1 반도체영역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들은 상기 각각의 수직전하전송부, 및 수평전하전송부들 중의 어느 하나가 서로 인접해 있는 인접영역에서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수직전하전송부 및 상기 수평전하전송부의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14. 광전변환 및 전하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 1 반도체영역을 포함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로서,
    상기 제 1 반도체영역의 전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접속부재; 및
    상기 기판표면의 중심영역상에 형성되어 광전변환과 전하전송을 수행하는 중앙장치부와, 상기 기판표면의 주변영역상에 형성되어 전하전송을 주로 수행하는 주변장치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은 상기 중앙장치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중앙장치부는, 상기 각각의 제 1 반도체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방향에 수직인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전하전송부, 및 상기 각각의 수직전하전송부들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정의 방향에 평행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전하전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변장치부는, 상기 주변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제 2 반도체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에는 상기 기준전위가 공급되며,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은 상기 수평전하전송부들 및 상기 수직전하전송부들 중의 한 수직전하전송부에 의해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으로부터 사실상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제 1 반도체영역들과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에는 상기 제 1 반도체영역에 공급될 기준전위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위가 공급되고 전하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반도체영역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반도체영역을 서로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센서장치.
KR1019970071224A 1996-12-20 1997-12-20 광다이내믹레인지와고해상도를갖는고체촬상센서장치 KR100287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40788A JP2897825B2 (ja) 1996-12-20 1996-12-20 固体撮像装置
JP96-340788 1996-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26A KR19980064426A (ko) 1998-10-07
KR100287011B1 true KR100287011B1 (ko) 2001-04-16

Family

ID=1834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224A KR100287011B1 (ko) 1996-12-20 1997-12-20 광다이내믹레인지와고해상도를갖는고체촬상센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49100A (ko)
JP (1) JP2897825B2 (ko)
KR (1) KR100287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6635B1 (en) 2000-10-05 2005-09-20 Ess Technology, Inc. System for improving the dynamic range of solid-state imaging devices
JP2002246588A (ja) * 2001-02-15 2002-08-30 Sony Corp 固体撮像素子
US20030206236A1 (en) * 2002-05-06 2003-11-06 Agfa Corporation CMOS digital image sensor system and method
US7075129B2 (en) * 2004-01-09 2006-07-11 Eastman Kodak Company Image sensor with reduced p-well conductivity
JP4807719B2 (ja) * 2004-09-10 2011-11-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Ccd型撮像装置
JP4451864B2 (ja) * 2006-07-11 2010-04-14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固体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5371A (ja) * 1982-05-10 1983-11-14 Nec Corp 固体撮像装置
JP3142327B2 (ja) * 1991-02-05 2001-03-07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07711B1 (ko) * 1993-05-18 1997-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버-플로우 드레인(ofd)구조를 가지는 전하결합소자형 고체촬상장치
US5736756A (en) * 1994-09-29 1998-04-07 Sony Corporatio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with lght shielding film
JP2888207B2 (ja) * 1996-10-01 1999-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89925A (ja) 1998-07-21
JP2897825B2 (ja) 1999-05-31
KR19980064426A (ko) 1998-10-07
US6049100A (en) 2000-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380A (en) Transfer gate for photodiode to CCD image sensor
EP0908956B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and image sensor
US11532653B2 (en) Imaging device
CN103219345B (zh) 图像拾取装置和图像拾取系统
WO2001061729A1 (en) Fully depleted back illuminated ccd
KR0149734B1 (ko) 복수의 배선으로 분리되어 있는 급전 배선을 구비한 고체 촬상 소자
EP1702364B1 (en) Image sensor with reduced p-well conductivity
KR890011120A (ko) 고체촬상소자
KR100267129B1 (ko) 개선된인터라인전하결합소자고체이미지센서
KR100287011B1 (ko) 광다이내믹레인지와고해상도를갖는고체촬상센서장치
US5235196A (en) Transfer region design for charge-coupled device image sensor
US5168338A (en) Solid-state hybrid infrared imaging device
US6163030A (en) MOS imaging device
JP2001332716A (ja) フォトセンサア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273011A1 (en) Imaging device
JP2572181B2 (ja) Ccd映像素子
JPS62219565A (ja) 固体撮像装置
US7714404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US20220005855A1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JP2013207240A (ja) 赤外線センサアレー
WO2022230499A1 (ja) 受光素子およびx線撮像素子ならびに電子機器
KR100204914B1 (ko) 고체촬상소자의 신호검출장치
KR20240031244A (ko) 수광 장치 및 x선 촬상 장치, 그리고 전자 기기
JP3711678B2 (ja) 固体撮像素子
WO2019107083A1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