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991B1 - 현상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991B1
KR100284991B1 KR1019970050212A KR19970050212A KR100284991B1 KR 100284991 B1 KR100284991 B1 KR 100284991B1 KR 1019970050212 A KR1019970050212 A KR 1019970050212A KR 19970050212 A KR19970050212 A KR 19970050212A KR 100284991 B1 KR100284991 B1 KR 10028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cartridge
main assembly
toner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159A (ko
Inventor
노부하루 호시
히로노부 이소베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8002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55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72Housing of 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15Cartridge systems for cleaning or developing but not being a 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감광 부재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이 현상 부재에 의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로부터 동력을 수용하여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되었을 때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 측단부에 구비되는 구동력 수용부 및,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여 현상 부재로 공급하기 위해 선단 측단부에 구비되는 노출식 현상 바이어스 접점을 포함하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현상 바이어스 접촉면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란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이용하여 기록 재료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전자사진 프린터형 팩시밀리 기계 및 전자사진 프린터형 워드프로세서가 있다.
근래에 칼라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한편, 미래의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칼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칼라 인쇄와 함께 고속 및 대용량 흑백 화상 인쇄도 필요하다.
공지의 칼라 현상 장치에서, 모두 4색인 현상 장치(105M, 105C, 105Y, 105K)는 터릿 상에 반송된다 (미국 특허 제4,707,108호 및 제5,040,031호). 이러한 구조는 칼라 화상 형성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장치를 더욱 개선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구동력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카트리지로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현상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구동력이 주 조립체에 대한 위치결정부에서의 구동력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전자사진 형성 장치와 현상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카트리지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커플링에 의해 이루어져 현상 부재의 회전 불균일성이 감소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와 현상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라 레이저 프린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칼라 레이저 프린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3은 선회식 안내부에 장착되기 전의 흑색 현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선회식 안내부의 사시도.
도5는 흑색 현상 장치의 토너 수용부의 사시도.
도6은 흑색 현상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7은 흑색 현상 장치의 후방측을 도시한 측면도.
도8은 흑색 현상 장치의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9는 흑색 현상 장치의 구동 전달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흑색 현상 장치와 선회식 안내부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장착된 흑색 현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12는 선회식 안내부에 장착되고 감광 드럼에 접촉되는 흑색 현상 장치의 사시도.
도13은 장착 상태에서 흑색 현상 장치의 전방측을 도시한 측면도.
도14는 장착될 때 흑색 현상 장치의 후방측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15는 장착될 때 흑색 현상 장치의 후방측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16은 하류측으로부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흑색 현상 장치의 정면도.
도17은 하류측으로부터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흑색 현상 장치의 배면도.
도18은 장치 주 조립체의 현상 위치에 있는 흑색 현상 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기록 재료
7 : 공급 롤러
8 : 결합 롤러
9 : 중간 전사 부재
10 : 전사 롤러
13 : 드럼 유니트
15 : 감광 부재
16 : 세척 블레이드
30 : 스캐너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르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현상 부재에 의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여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측 단부에 구비되는 구동력 수용부 및,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 바이어스를 수용하여 현상 부재로 공급하기 위해 선단측 단부에 구비된 노출식 현상 바이어스 접점을 포함하며, 여기서 구동력 수용부는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현상 바이어스 접점 내측에 배치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칼라 전자사진 화상 현상 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그후 그와 함께 사용되는 흑색 현상 장치의 구조(칼라 전자사진 화상 현상 장치의 일반적 배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칼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칼라 레이저 프린터의 일반적인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칼라 레이저 프린터(P)는 정속으로 회전하는 드럼(감광 드럼) 형태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15)와, (흑색 칼라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 장치(21B)와, 회전식 터릿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3가지 색 현상 장치[황색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황색 현상 장치(20Y), 자홍색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자홍색 현상 장치(20M), 및 청록색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청록색 현상 장치(20C)]로 구성된다.
중첩 전사된 칼라 화상을 반송하고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록 재료(2) 상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부재(9)는 감광 드럼(15) 아래에 마련된다.
칼라 화상이 전사되는 기록 재료(2)는 칼라 화상을 기록 재료(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25)로 공급되고, 그후 기록 재료(2)는 장치의 상부에서 배출 롤러(34, 35, 36)에 의해 배출부(37)로 배출된다.
회전식 칼라 현상 장치 및 고정식 흑색 현상 장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프린터의 주 조립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화상 현상 장치(P)의 여러 부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드럼 유니트>
드럼 유니트(13)는 감광 드럼(15)과 드럼(15)용 홀더로서 기능하는 세척 장치의 용기(14)를 일체로 내장한다. 드럼 유니트(13)는 프린터의 주 조립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감광 드럼(15)의 수명에 도달할 때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감광 드럼(15)은 약 62 ㎜ 직경의 알루미늄 실린더와,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측에 도포된 유기 광전도성 층을 포함하고, 감광 드럼(15)용 하우징으로 기능하는 세척 장치의 용기(14)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세척 블레이드(16)와 주 대전 수단(17)은 감광 드럼(15)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감광 드럼(15)은 하나의 종단부에서 (도시 안된)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수용하고, 화상 형성 작업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대전 수단>
대전 수단(17)은 접촉 대전형 대전기이다. 전도성 롤러는 감광 드럼(15)에 접촉하고, 감광 드럼(15)의 표면은 전도성 롤러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균일하게 대전된다.
<노출 수단>
감광 드럼(15)의 노출은 스캐너(30)에 의해 수행된다. 더 구체적으로, 화상 신호는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고, 레이저 다이오드는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시기에 비임을 다각형 미러(31) 상에 투사한다. 다각형 미러(31)는 스캐너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다각형 미러(31)에 의해 반사된 비임은 화상 렌즈(32)와 반사 미러(33)를 통해 감광 드럼(15)의 표면 상에 선택적으로 투사되어, 대전 잠상이 감광 드럼(15) 상에 형성된다.
<현상 수단>
현상 수단은 황색, 자홍색 및 청록색으로 현상하기 위한 3 개의 로터리 현상 장치(20Y, 20M, 20C), 및 정전 잠상을 시각화하기 위해 흑색으로 현상하기 위한 하나의 흑색 현상 장치(21B)를 포함한다.
흑색 현상 장치(21B)는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장착 및 분리시를 제외하고는 현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현상 위치에서의 고정식 현상 장치이다. 현상 롤러(21BS)는 그 사이의 (약 300 ㎛의) 작은 틈새로 감광 드럼(15)에 대향 배치된다. 그 롤러는 감광 드럼(15) 상의 흑색 토너로 흑색 화상을 시각화하기 위해 화상을 현상한다.
도1에 도시된 흑색 현상 장치(21B)는 공급 기구(21BA)에 의해 토너 수용 용기로부터 현상 롤러(21BS)로 토너를 공급한다. 현상 롤러(21BS)의 외주부에 가압 접촉된 토너 도포 블레이드(21B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21BS)의 외주부 상에 얇은 층으로 토너를 도포하며, 토너를 (마찰 전기로) 대전시킨다. 현상 롤러(21BS)에 현상 바이어스가 공급되어, 감광 드럼(15) 상의 정전 잠상에 대응하는 전도 현상(점핑 현상)이 드럼의 표면 상에 토너 화상을 현상하기 위해 실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흑색 현상 장치(21B)의 토너 용량은 사용자에 의해 인쇄된 문서의 성질 또는 화상 패턴에 대응하는 토너 소모를 고려하여 Y, M, C 현상 장치의 토너 용량의 2배 이상인 (A4 용지, 5% 인쇄의) 15,000 페이지를 인쇄하기에 충분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흑색 현상 장치의 교환 빈도가 줄어들 수 있다.
흑색 현상 장치(21B)의 위치는 도1에 도시된 대로 감광 드럼(15)이 레이저 스캐너로부터 비임으로 노출되는 투사 위치로부터 감광 드럼(15)이 Y, M, C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 작동되는 현상 위치 사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스캐너는 현상 장치 위에 배치된다. 위치적 관계에 의해, Y, M, C 현상 장치가 회전될 때 누설될 수 있는 토너는 레이저 스캐너와 같은 광학 부품으로의 비산이 방지된다. 따라서, 다각형 미러, 렌즈 및 미러 등은 토너 전착으로부터 보호되어, 깨끗한 출력 화상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3개의 회전 현상 장치(20Y, 20M, 20C)는 각각 (A4 용지, 5% 인쇄의) 6,000 페이지용 토너를 내장한다. 3개의 회전식 현상 장치는 축(22) 주위로 회전 가능한 현상 터릿(23)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화상 형성 시에, 터릿(23)은 소정의 현상 장치를 감광 드럼(15)에 면하도록 배치하기 위해 Y, M, C 현상 장치를 유지하는 동안 축(22) 주위로 회전한다. 현상 위치에 배치된 현상 장치의 현상 롤러(20YS)는 (약 300㎛의) 작은 틈새로 감광 드럼(15)에 대향 배치되고, 감광 드럼(15) 상의 정전 잠상을 시각 화상으로 현상한다.
칼라 화상 현상 시에, 현상 터릿(23)은 중간 전사 부재(9)의 회전을 위해 회전하여 현상 프로세스는 황색 현상 장치(20Y), 자홍색 현상 장치(20M), 청록색 현상 장치(20C) 및 흑색 현상 장치(21B)의 순서로 실행된다.
일례로, 황색 현상 장치(20Y)가 감광 드럼 유니트에 면한 현상 위치에 배치될 때, 회전식 황색 현상 장치(20Y)는 공급 기구에 의해 토너를 용기로부터 도포 롤러(20YR)에 공급한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포 롤러(20YR) 및 현상 롤러(20YS)의 외주부에 가압 접촉되는 블레이드(20YB)의 기능에 의해, 토너의 박막층은 도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 롤러(20YS)의 외주부 상에 도포되고, 토너는 마찰 전기로 대전된다. 현상 롤러(20YS)는 상부 상에 형성된 잠상이 현상되도록 현상 바이어스로 공급된다. 자홍색 현상 장치(20M) 및 청록색 현상 장치(20C)에 관해 동일한 프로세스를 통해 현상이 실행된다. 각각의 현상 롤러로의 바이어스의 인가와 구동력의 전달은 현상 장치가 현상 위치에 놓일 때 실행된다.
<중간 전사 부재>
중간 전사 부재(9)는 감광 드럼(15)으로부터 4개의 시각 토너 화상(Y, M, C, B)을 중첩 수용한다. 그 부재는 감광 드럼(15)의 외주 속도로 도1에 도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중첩 토너 화상은 공급된 기록 재료(2) 상에 전압이 공급된 전사 롤러(10)에 의해 함께 전사되고 중간 전사 부재(9)와 전사 롤러(10)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간 전사 부재(9)는 186 ㎜의 직경을 갖는 알루미늄 실린더(12)와 알루미늄 실린더(12)의 외주부 상의 중간 저항 스폰지, 중간 저항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층(11)을 포함한다. 중간 전사 부재(9)는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고정된 (도시 안된) 기어에 의해 구동된다.
<세척 수단>
세척 수단은 감광 드럼(15) 상의 현상 수단에 의해 제공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9) 상으로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15)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 후에, 제거된 토너는 세척 용기(14) 내에 축적된다. 정상적으로, 용기(14) 내에 축적된 제거된 토너의 양은 감광 드럼의 수명에 도달하기 전에는 용기(14)에 가득 차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세척 용기(14)는 감광 드럼(15)의 수명이 다 되어 교환할 때 일체로 동시에 교환된다.
<공급부>
공급부는 화상 형성 스테이션 상으로 기록 재료(2)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공급부는 다수의 기록 재료(2)를 수용하기 위한 카세트(1)와, 픽업 롤러(3), 공급 롤러(4), 이중 공급을 방지하기 위한 지연 롤러(5), 공급 안내부(6) 및 결합 롤러(8)로 구성된다.
화상 현상 시에, 픽업 롤러(3)는 카세트(1)로부터 하나씩 기록 재료(2)를 공급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작업에 따라 회전한다. 분리되어 공급된 기록 재료(2)는 안내부(6)에 의해 안내되고, 공급 롤러(7)에 의해 결합 롤러(8)로 도입된다. 화상 형성 작업 중에, 결합 롤러(8)는 전사 프로세스와 동시에 기록 재료(2)를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단계에서 회전 및 작동 중지된다.
<전사부>
전사부는 선회 가능한 전사 롤러(10)를 갖추고 있다. 전사 롤러(10)는 중간 저항 기포식 탄성 부재로 싸여 있는 금속 축과 구동 축을 포함하고, 도1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4가지 칼라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9) 상에 형성되는 동안, 즉 중간 전사 부재(9)가 다수의 회전수로 회전하는 동안, 전사 롤러(10)는 도1에 도시된 하부 위치에 있게 되고, 토너 화상이 손상되지 않도록 중간 전사 부재(9)로부터 분리된다.
4가지 칼라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9) 상에 형성된 후에, 전사 롤러(10)는 기록 재료(2) 상에 칼라 화상을 전사하기 위해 소정 시기에 중간 전사 부재(9)를 향한 소정 압력에서 도1의 일점 쇄선에 의해 표시된 상부 위치로 압박된다. 그와 동시에, 전사 롤러(10)는 중간 전사 부재(9)로부터 기록 재료(2) 상으로 토너 화상을 전사하도록 바이어스 전압으로 공급된다.
중간 전사 부재(9)와 전사 롤러(10) 사이에 끼인 기록 재료(2)는 전사 프로세스 중에 소정 속도로 도1의 좌측으로 전진되고 고정 장치로 공급된다.
<고정부>
고정 스테이션(25)은 기록 재료 상에 토너 화상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1에 도시된 대로, 고정부(25)는 기록 재료(2)에 열을 인가시키기 위한 고정 롤러(26)와, 기록 재료(2)를 고정 롤러(26)에 가압 접촉시키기 위한 압축 롤러(27)를 포함한다. 이러한 롤러들은 공동 형태이고 히터(28, 29)를 내장한다. 롤러의 회전에 의해, 기록 재료(2)가 공급된다. 토너 화상을 운반하는 기록 재료(2)는 고정 롤러(26) 및 압축 롤러(27)에 의해 공급되고, 그와 동시에 열 및 압력이 인가되고 그에 의해 토너 화상이 기록 재료(2) 상에 고정된다.
<흑색 현상 장치>
도3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흑색 화상 장치를 주 조립체에 장착시키고 그 배치 방법, 및 전술된 칼라 현상 장치로부터 분리식으로 주 조립체에 대해 장착 및 분리가능한 흑색 화상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선회식 안내부(50)에 장착되기 전의 흑색 현상 장치(21B)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선회식 안내부의 사시도이다. 도5는 흑색 현상 장치(21)의 토너 수용부(21BK)의 사시도이다. 도6은 흑색 현상 장치(21B)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흑색 현상 장치(21B)의 후방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8은 흑색 현상 장치(21B)의 전방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흑색 현상 장치(21B)의 구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0은 흑색 현상 장치(21B)와 선회식 안내부(50)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장착된 흑색 현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2는 선회식 안내부(50)에 장착되고 감광 드럼(15)에 접촉되는 흑색 현상 장치(21B)의 사시도이다. 도13은 흑색 현상 장치가 장착될 때의 전방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4 및 도15는 흑색 현상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의 후방측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흑색 현상 장치(21B)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의 현상 장치의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7은 그 말단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8은 흑색 현상 장치가 주 조립체의 현상 위치에 있을 때의 측면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흑색 현상 장치(21B) 삽입 방향의 선단측에 있는 주 조립체의 측면을 "후방측"이라 부르고, 말단 측면에서의 주 조립체의 측면을 "전방측"이라 부른다.
흑색 현상 장치(21B)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현상 롤러(21BS)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토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21BE)과 그 종방향 양측면에서 제2 하우징인 홀더(21BF, 21BR)로 구성된다. 하우징은 현상 롤러(21BS)를 보호하기 위한 개방식 셔터(21BO)를 갖추고 있고, 흑색 현상 장치(21B)는 장치의 주 조립체(80)의 선회식 안내부(5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다.
<흑색 현상 장치의 장착>
선회식 안내부(50)는 선회식 안내부(50A)의 후방측에 고정된 선회식 측판(50B)을 구비한다. 선회식 안내부(50A)는 전방측에서 선회식 구멍(50M)을 구비하고, 후방측 선회식 측판(50B)은 선회식 구멍(50N)을 구비한다.
주 조립체(80)의 전방 측판(60)은 그에 고정된 제1 선회 축(54)을 구비하고, 후방 측판(61)은 그에 고정된 제2 선회 축(55)을 구비한다. 제1 선회 축(54)과 제2 선회 축(55)은 선회 구멍(50M, 50N)에 각각 결합된다.
선회식 안내부(50)는 선회 축(54, 55)과 구멍(50M, 50N)간의 결합에 의해 선회 축(54, 55)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하다. 제1 선회 축(54)과 제2 선회 축(55)을 연결시키는 축심은 감광 드럼(15)의 모선(generating line)과 평행하고, 선회식 안내부(50)는 감광 드럼(15)의 모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다. 따라서, 선회식 안내부(50)에 장착된 흑색 현상 장치(21B)의 현상 롤러(21BS)는 감광 드럼(15)과 평행하게 된다.
선회식 안내부(50)는 회전 레버(51)에 의해 선회된다. 회전 레버(51)는 주 조립체(80)의 전방측(80a)(도2 참조)에 배치된다. 캠(52)이 회전 레버(51)의 회전 레버 축(53)에 동축으로 고정되고, 회전 레버(51)의 회전과 동일한 위상에서 회전한다. 회전 레버(51)를 회전시키면 캠(52)이 회전하고, 캠(52)의 외부면은 선회식 안내부(50A) 및 선회 가능한 측판(50B) 상을 활주한다. 활주 작동에 의해 선회식 안내부(50)는 선회 축(54, 55)을 중심으로 해서 수직으로 선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레버(51)는 수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 약 90°에 걸쳐 회전 가능하며, 이에 의해 선회식 안내부(50)는 약 10°선회한다.
흑색 현상 장치(21B)를 주 조립체(80) 내에 삽입할 때 회전 레버(51)는 수평 위치로 회전된다. 이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80)의 전방측(80a)에 형성된 삽입 개구(63)가 완전 개방된다. 새로운 흑색 현상 장치(21B)의 사용 시에, 사용자는 흑색 현상 장치(21B)를 충분히 흔들어 준 다음, 토너 시일(21BT; 도11)을 당겨내고 흑색 현상 장치(21B)를 주 조립체(80) 내에 장전시킨다. 이 흔들기(shaking)는 토너 수용부(21BK) 내의 토너를 부드럽게 하거나 또는 덩어리를 부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흑색 현상 장치(21B)를 종방향으로 흔들거나 또는 사용자가 흔든 후에 토너 현상 기기를 수직으로 잡고 있으면 보다 많은 양의 부수어지지 않은 토너 덩어리가 한 쪽으로 몰리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21BK)의 개구(21BM)에 인접해서 복수의 격벽(21BN)이 마련되므로 상기 문제점이 회피될 수 있다.
흑색 현상 장치(21B)의 장착 준비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현상 장치(21B)를 수평으로 잡고 이를 삽입 개구(63) 내에 삽입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현상 장치(21B)측의 홀더(21BR)에는 선회식 안내부(50)와 대략적으로 정렬되는 안내 리브(21BC)가 마련된다. 안내 리브(21BC)와 선회식 안내부(50A)의 입구간의 공칭 유격은 0.5 내지 2 ㎜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흑색 현상 장치(21B)를 선회식 안내부(50A)의 입구와 대략적으로 정렬시킨 다음, 이것을 후방측을 향해 밀어 넣어서 원활하게 장전시킨다.
흑색 현상 장치(21B)에는 현상 롤러(21BS)를 보호하는 셔터(21BO)가 마련되며, 이 셔터(21BO)는 회전 가능하다. 흑색 현상 장치(21B)의 후방측에 배치된 홀더(21BR)에는 셔터 개방 가능 부재(21BP)가 지점(21BP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도록 위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일 방향으로 눌려진다. 셔터 축(21BQ)이 전방측(80a)의 홀더(21BF)를 지나 가교형으로 연장되고 현상 롤러(21BS)와 동축인 축(21BQ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터(21BO)의 한 지지부(21B1)가 셔터 개방 부재(21BP) 상에 지지되고 다른 지지부(21B2)가 셔터 축(21BQ)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셔터(21BO)는 셔터 개방 부재(21BP)와 셔터 축(21BQ)에 의한 횡단 평면의 2개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셔터 개방 부재(21BP)의 다른 단부(21BP1)가 감광 드럼(15)의 모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를 받으면, 셔터 개방 부재(21BP)는 축(21BP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셔터(21BO)는 원활하게 회전한다. 도7은 커버링 위치에 있는 셔터(21BO)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7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축(21BQ)의 회전 영역에 돌기 형태의 스토퍼(21BZ)가 마련됨으로써 스토퍼(21BZ)에 대한 셔터 축(21BQ)의 접촉에 의해 셔터(21BO)의 개방 방향으로의 운동이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셔터 축(21BQ)의 회전 중심축(21BQ1)의 단부는 전방측 홀더(21BF) 및 후방측 홀더(21BR)에 형성된 구멍(21BL)(전방측만 도시되어 있음) 내에 삽입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의 홀더(21BF)에는 셔터 축(21BQ)의 한 단부를 방사상 방향으로 억지 끼워 맞출 수 있는 절결부 형태의 구멍(21BL)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셔터 축(21BQ)을 구멍(21BL) 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축(21BQ)의 단부를 셔터 베어링(21BT)을 사용해서 홀더(21BF)의 측면에 장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감광 드럼(15)의 모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착이 보다 용이해진다.
셔터 개방 부재(21BP)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선회식 안내부(50)에는 본 실시예의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 부재(50J)가 마련된다. 안내 부재(50J)는 선회식 안내부(50A)에 고정되고, 비예각(non-acute) 경사면 형태의 벽면을 갖는다. 사용자가 흑색 현상 장치(21B)를 어느 정도 선회 가능한 안내 부재(50J) 내에 삽입하면 셔터 개방 부재(21BP)의 다른 단부(21BP1)가 안내 부재(50J)에 맞닿게 된다. 흑색 현상 장치(21B)를 계속해서 삽입하면 셔터 개방 부재(21BP)의 다른 단부(21BP1)가 안내 부재(50J)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다. 셔터 개방 부재(21BP)의 운동을 횡단 평면에서 보면 셔터 개방 부재(21BP)는 지점(21BP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셔터(21BO)가 흑색 현상 장치(21B)의 삽입 조작과 연동해서 개폐된다.
셔터 개방 부재(21BP)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 안내 부재(50J)의 경사면 부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이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15°이다. 흑색 현상 장치(21B)의 길이가 짧으면(A4 사이즈용), 개폐 조작이 짧은 행정(stroke)에 걸쳐 수행되어야 하므로 안내 부재(50J)의 경사면부는 15°보다 크고 그리고 45°이하이다.
<흑색 현상 장치의 후방측에서의 위치결정 및 구동 전달>
흑색 현상 장치(21B)의 후방측에서의 홀더(21BR)의 측면에는 구동 입력 결합부(21BV)와, 선회식 안내부(50)에 대해 흑색 현상 장치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2 위치결정 구멍(21BD)이 마련된다. 한편, 선회식 안내부(50)의 선회 가능한 측판(50B)에는 구동 전달 결합부(50L)와 제2 위치결정 축(50K)이 마련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현상 장치(21B)가 선회식 안내부(50A) 내에 삽입될 때, 선회식 안내부(50A)에 마련된 구동 전달부(50P)와 흑색 현상 장치(21B)의 구동력 입력부(50Q)가 커플링된다.
구동력 전달부(50P)는 구동력을 흑색 현상 장치(21B)의 구동력 입력부(50Q)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 축(50E), 구동력을 구동 전달 축(50E)에 전달하는 구동 전달 기어(50F)(도4 참조), 및 흑색 현상 장치(21B)의 구동력 입력부(50Q)에 마련된 구동 입력 결합부(21BV)를 포함한다. 구동력 입력부(50Q)는 결합부(21BV)에 의해 제공받은 구동력을 현상 롤러(21BS)에 구동 전달하기 위한 구동 입력 기어(21BG)를 구비한다.
도4 및 도9를 참조해서 구동력 전달부(50P) 및 구동력 입력부(50Q)의 구조를 설명한다. 전달 축(50E)의 측면은 하우징(50C) 및 하우징(50D)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전달 축(50E)에는 구동 전달 기어(50F)가 고정되며, 이 축은 구동 축 구속 스프링(50G)에 의해 일 방향으로 가압된다. 구동 전달 결합부(50L)는 구동 전달 축(50E)과 동축 및 일체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전달 축(50E)은 구동 전달 결합부(50L)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0L)는 원형이다. 흑색 현상 장치(21B)를 장치의 주 조립체(80)에 장착하면, 결합부(50L)의 원형부가 현상 기기(21B)의 원형 결합부(21BV)와 결합된다. 이에 의해, 현상 기기(21B)는 주 조립체(80)에 대해 후방측에 위치된다.
한편, 흑색 현상 장치(21B)에서의 암형 커플링 리세스(21BG)가 양 단부에서 현상 롤러 구동 베어링(21BI, 21BJ)에 의해 지지된다. 현상 롤러 구동 베어링(21BI)은 홀더(21BR)에 형성된 구동 입력 결합부(21BV)에 의해 지지된다. 암형 커플링 리세스(21BG)의 회전 중심은 구동 전달 결합부(50L)와 동축이다. 따라서, 현상 롤러 구동 기어(21BG)가 구동 전달 결합부(50L)와 동축으로 회전된다. 암형 커플링 리세스(21BG)는 홀더(21BR)의 외부면 내측에 마련된다. 이는 구동 전달 결합부(50L)의 원형부가 리세스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구동 전달 결합부(50L)가 구동 입력 결합부(21BV) 내로 삽입될 때, 구동 전달 축(50E)이 현상 롤러 구동 기어(21BG)와 동축으로 회전된다. 현상 롤러 구동 기어(21BG)는 현상 롤러 기어(21BH)(도6 참조)를 구동시켜 현상 롤러(21BS)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흑색 현상 장치(21B)에 대한 구동 전달이 커플링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현상 롤러(21BS)의 회전 비균일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있어서, 구동 전달 축(50E)의 일단부는 2개의 절단면을 갖는 I 형상(50EI)을 갖는다. 한편, 현상 롤러 구동 기어(21BG)의 단부는 대칭 위치에 2개의 벽(21BG1)을 갖는다. 흑색 현상 장치(21B)가 삽입될 때, I 형상의 축 단부면(50EL)이 구동력 전달을 위해 현상 롤러 구동 기어(21BG)의 벽(21BG1)들 사이에 삽입된다.
흑색 현상 장치(21B)의 삽입 시에 구동 전달 축(50E)의 축 단부면(50EL)과 현상 롤러 구동 기어(21BG)의 벽(21B1)이 위상 정렬되지 않으면 구동 전달 축(50E)의 축 단부면(50EL)은 현상 롤러 구동 기어(21BG)의 단부(21BG1)와 충돌하므로 구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전달 축(50E)이 구속 스프링(50G)에 의해 일방향으로 가압 접촉되므로, 구동 전달 축(50E)이 어느 정도 회전하면 축 단부면(50EL)이 구동 기어(21BG)의 벽(21BG1)들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구동력 전달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흑색 현상 장치(21B)를 선회식 안내부(50)의 후방측 내에 밀어 넣으면, 구동 입력 결합부(21BV) 및 제2 위치결정 구멍(21BD)이 구동 전달 결합부(50L) 및 제2 위치결정 축(50K)과 결합하게 된다. 2개의 위치결정부에 의해 흑색 현상 장치(21B)의 후방측은 선회식 안내부(5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되고, 그 위치가 감광 드럼의 모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전에 셔터(21BO)의 개방 운동이 완료된다.
선회식 안내부(50A)의 후방측에는 흑색 현상 장치(21B)용 조절 부재(50I)가 배치된다. 조절 부재(50I)는 흑색 현상 장치(21B)의 후방측에 형성된 결합부(21BW)(도7 참조)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흑색 현상 장치(21B)는 감광 드럼의 모선 방향으로의 그 위치가 구속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흑색 현상 장치(21B)를 후방으로 밀면, 탄성을 갖는 흑색 현상 조절 부재(50I)가 결합부(21BW) 내에 들어감으로써, 사용자는 흑색 현상 장치(21B)가 통상 위치에 설정되어 있음을 느낀다. 조절 부재(50I)는 회전 레버를 선회시켜 흑색 현상 장치(21B) 및 선회식 안내부(50)를 선회시킬 때 흑색 현상 장치(21B)가 사용자 쪽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51)를 회전시켜 선회식 안내부(50)를 설정 위치로 회전시키면 구동 전달 축(50E)에 고정된 구동 전달 기어(50F)가 장치의 구동 유니트(56)에 마련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과 연결되어 있는 흑색 현상 장치 구동 기어(57)와 결합하게 된다. 이에 의해, 구동 전달 기어(50F)가 구동원과 연결되어 현상 롤러(21BS)의 회전을 허용한다.
구동 유니트(56)에는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과 연결된 컬러 현상 기기 구동 기어(58)와, 구동력을 현상 기기(21M, 21C, 21Y) 및 감광 드럼(15)에 전달하는 드럼 구동 기어(59)가 마련된다.
<전방측에서의 흑색 현상 장치의 위치결정>
흑색 현상 장치(21B)용의 전방측 홀더(21BF)에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현상 장치(21B)의 선회 축심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긴 구멍(21BY)이 마련된다. 흑색 현상 장치(21B)를 선회식 안내부(50) 내에 삽입하면, 긴 구멍(21BY)은 주 조립체(80)의 전방측(80a)에 있는 측판(60) 상에 배치된 선회 축(54)과 결합하는 결합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흑색 현상 장치 및 주 조립체(80)의 부품 정밀도에 따라 감광 드럼의 모선과 선회 축심간의 평행 오차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긴 구멍(21BY)이 약 0.5 내지 1 ㎜의 유격을 제공해서 부품들의 변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구멍(21BY)의 방향은 흑색 현상 장치(21B)[간극 롤러(21S)]와 감광 드럼(15)간의 접촉 위치에 중심을 갖고 흑색 현상 장치(21B)의 선회 축을 통과하는 호형부(70)의 접선 방향(71)과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흑색 현상 장치(21B)와 현상 드럼(15)간의 접점으로부터의 긴 구멍(21BY)의 임의의 부분까지의 거리 R(반경 또는 아암의 길이; 도13)은 일정하다. 이러한 긴 구멍(21BY)의 방향에 의해, 선회 축(54)이 긴 구멍의 한 쪽으로 편의되더라도 현상 롤러(21BS)의 모선과 감광 드럼(15)의 모선간의 평행 편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흑색 현상 장치의 현상 위치에의 설치>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흑색 현상 장치를 삽입하고 위치결정하면서 회전 레버(5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흑색 현상 장치(21B) 및 선회식 안내부(50A)는 일체식으로 하방으로 선회한다. 이 때, 현상 롤러(21BS)의 양 단부에 마련된 간극 롤러(21S; 도11 참조)가 감광 드럼(15)에 접촉된다.
간극 롤러(21S)는 현상 롤러(21BS)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므로 현상 롤러(21BS)와 감광 드럼(15) 사이에는 작은 간극 또는 유격이 제공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현상 장치(21B)는 후방측 홀더(21BR)의 측면에, 주 조립체(80)로부터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고 토너 잔량을 검출하는 접점(21BU1, 21BU2)을 노출된 상태로 구비한다. 접점(21BU1)은 현상 바이어스 접점이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21BU1)은 흑색 현상 장치(21B)의 주 조립체(80)로의 장착 시에, 이후에서 설명하는 주 조립체(80)에 마련된 현상 바이어스 접점 핀(62a; 도14 참조)에 접촉된다, 현상 바이어스 접점은 주 조립체(80)로부터 현상 롤러(21BS)로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받는다. 접점(21BU2)은 잔량 검출 접점이다. 흑색 현상 장치(21B)를 주 조립체(80)에 장착하고 현상 바이어스를 현상 바이어스 접점(21BU1)을 통해 현상 롤러(21BS)에 인가하면, 잔량 검출 접점(21BU2)은 인가될 전기 신호를 주 조립체(8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검출 수단으로 전달한다. 전기 신호의 값은 이후에 설명할 주 조립체 토너 잔량 검출 핀(61b)(도14 참조)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검출 수단에 의해 판별됨으로써, 주 조립체(80)는 토너 수용부(21BK) 내에 토너 잔량이 소정량보다 적은 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주 조립체(80)가 토너 수용부(21BK) 내의 토너 잔량이 제1 소정량보다 적다고 검출하면, 주 조립체(80)는 사용자에서 흑색 현상 장치(21B)의 교환 필요성을 알려준다(예를 들어, 램프의 깜빡임)(1단계). 그후, 주 조립체(80)가 토너 수용부(21BK) 내의 토너량이 제2 소정량보다 적다고 검출하면, 장치의 주 조립체(80)는 정지된다(2단계).
현상 롤러(21BS)와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간의 정전 용량에 따라 전기 신호가 발생된다.
한편, 주 조립체 접점 핀(62a, 62b)이 주 조립체(80)의 후방측에 마련된다. 흑색 현상 장치(21B)의 접점(21BU1, 21BU2)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이들 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레버(51)의 배향은 수직이고, 흑색 현상 장치용의 삽입 개구(63)의 일부를 덮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흑색 현상 장치(21B)를 꺼내려 해도 흑색 현상 장치는 회전 레버(51)에 접촉해서 취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흑색 현상 장치(21B)를 주 조립체로부터 꺼낼 때, 회전 레버(51)는 수평 위치로 회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만 흑색 현상 장치(21B)가 주 조립체에 대해 착탈될 수 있다.
<흑색 현상 장치의 제거>
흑색 현상 장치(21B)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80)로부터 제거될 때, 회전 레버(51)는 (도3의) 수평 위치로 회전된다. 흑색 현상 장치(21B)를 꺼냄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흑색 현상 장치(21B)의 전방측 홀더(21BF)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의해 구부려 질 수 있는 일체 성형 그립(21BX)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그립(21BX)을 이용하여 흑색 현상 장치(21B)를 밖으로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흑색 현상 장치(21B)가 주 조립체(80) 밖으로 꺼내지기 직전에 전방측 홀더(21BF) 내에 형성된 긴 구멍(21BY)이 선회 축(54)과 결합된다. 즉, 흑색 현상 장치(21B)는 전방측에서 선회 축(54)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긴 구멍(21BY)이 선회 축(54)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때, 흑색 현상 장치(21B)는 그 중량에 의해 하강하여 선회식 안내부(50A)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회 축(54)과 긴 구멍(21BY) 사이의 결합 길이는 충분히 길다. 특히,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현상 장치(21B)가 장착되고 삽입 개구(63)의 개구 단부 표면을 초과하여 후방측에 배치될 때, 선회 축[54; 주 조립체(80)의 지지부]과 긴 구멍[21BY; 현상 장치(21B)의 전방측 피봇] 사이의 결합 길이(L)는 상기 개구의 단부 표면(B)에 가장 근접한 상기 현상 장치(21B)의 벽 표면(C)과 상기 개구의 단부 표면(B) 사이의 거리(L1)보다 길다. 이렇게 함으로써, 긴 구멍(21BY)이 선회 축(54)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때 흑색 현상 장치의 벽 표면(C)은 삽입 개구(63)의 개구를 한정하는 부재에 맞닿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16,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6은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된) 흑색 현상 장치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흑색 현상 장치의 전방측의 측면도이고, 도17은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된) 상기 흑색 현상 장치의 후방측의 측면도이고, 도18은 현상 위치에 위치한 상기 흑색 현상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긴 구멍(21BY)의 종방향(선 L2)의 각도는 암형 결합 리세스(21B9)의 중심과 구멍(21BD)의 중심을 연결시키는 선(L3)에 대해 대략 5°내지 15°가 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각도는 대략 5°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흑색 현상 장치(21B)가 주 조립체(80)의 현상 위치에 장착될 때, 긴 구멍(21BY)의 종방향(도18에서 화살표 L2로 표시된 방향)은 현상 롤러(21BS)가 감광 드럼(15)의 원주 표면으로 압착되는 방향(도18에 도시된 선 L4로 표시된 방향)과 동일 방향이 된다(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L2 및 L4는 사실상 평행하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P) 내의 조립 오차, 그 부품의 오차, 흑색 현상 장치(21B) 내의 조립 오차 또는 그 부품의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현상 롤러(21BS)가 감광 드럼(15)의 원주 표면을 향해서 또한 이로부터 멀어지게 (도18의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흑색 현상 장치(21B)는 긴 구멍(21BY)의 범위 내에서 현상 위치에 정확히 위치한다.
도18에서 (도시되지 않은) 시일을 당기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그립을 제공하는 부분은 도면 부호 73으로 표시된다.
상기 실시예의 흑색 현상 카트리지(21B)의 위치결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80)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감광 부재(15)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21B)는,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예컨대, 21BS)와,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현상하는 데에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예컨대, 21BK)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전방측 단부[홀더(21BR)측]에 제공되고,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위치결정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리세스(예컨대, 21BD)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전방측 단부에 제공되고,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위치결정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2 리세스(예컨대, 21BR1)와,
상기 제2 리세스 내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21BG)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후방측 단부[홀더(21BF)측]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아암(예컨대, 21BF1)의 자유 단부 내에 제공되고,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3 위치결정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3 리세스(예컨대, 21BD)를 포함한다.
2. 상기 제1 리세스(예컨대, 21BD)는 긴 구멍 형상을 갖는다.
3. 상기 제2 리세스(21BR1)는 원형 형상을 갖는다.
4. 상기 제3 리세스(21BY)는 긴 구멍 형상을 갖는다.
5. 상기 제3 리세스(예컨대, 21BY)의 긴 구멍 형상의 종방향과 상기 제1 리세스(예컨대, 21BD)와 상기 제2 리세스(예컨대, 21BR1)의 중심들을 연결시키는 선 사이의 각도는 대략 5°내지 15°이다.
6.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안내부(예컨대, 21BC1)와 제2 안내부(예컨대, 21BC2)를 추가로 포함한다.
7. 상기 제1 리세스(21BD)의 긴 구멍 형상의 종방향은 사실상 상기 제2 리세스(예컨대, 21BR1)를 향한다.
8. 상기 제2 리세스(예컨대, 21BR1)의 직경은 긴 구멍 형상의 종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제1 리세스(21BD)의 길이보다 크다.
9. 상기 제1 리세스(예컨대, 21BD)의 길이는 대략 9.0 ㎜보다 작지 않으며, 그 폭은 대략 7.0 내지 9.0 ㎜이고, 상기 제2 리세스(예컨대, 21BR1)의 직경은 대략 8.0 내지 10.0 ㎜이다.
10. 상기 제3 리세스(예컨대, 21BY)의 길이는 대략 8.0 내지 10.0 ㎜이고, 그 폭은 대략 7.0 내지 9.0 ㎜이다.
11. 주 조립체(예컨대, 80)는 작동 위치에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위치시키기 위한 현상 위치와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후퇴된 수축 위치 사이의 축(54, 55)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예컨대, 21B)를 지지하기 위한 선회 가능한 지지 부재(예컨대, 5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위치결정 부재(예컨대, 50K)와 제2 위치결정 부재(예컨대, 50L)는 상기 선회 가능한 지지 부재의 후방측에서 상기 선회 가능한 지지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3 위치결정 부재(예컨대, 54)는 상기 축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다.
12. 제1 리세스(예컨대, 21BD)는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현상 부재의 한 종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리세스(21BR1)는 상기 토너 수용부(예컨대, 21BK)의 한 종단부에 배치된다.
13. 현상 카트리지는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에 공급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한 단부에 노출식 현상 바이어스 접점(예컨대, 21BU1)을 추가로 구비한다.
14. 현상 카트리지는 주 조립체가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한 단부에 노출식 토너 잔량 검출 접점(예컨대, 21BU2)-여기서, 상기 접점은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예컨대, 21BU1)과 병치됨-를 추가로 구비한다.
15. 현상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부재의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링 위치와 상기 형상 부재의 표면을 노출하기 위해 상기 커버링 위치로부터 후퇴된 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셔터(예컨대, 21BO)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셔터의 한 종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아암(예컨대, 21BP)의 회전 중심(예컨대, 21BP2)과 상기 셔터의 다른 종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아암(예컨대, 21BQ)의 제2 회전 중심(21BQ1)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한 종단부에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의 흑색 현상 카트리지(21B)용 구동력 전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예컨대, 80)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감광 부재(예컨대, 15)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예컨대, 21B)는,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예컨대, 21BS)와,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부(예컨대, 21BK)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전방측(예컨대, 21BR 측면)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예컨대, 21BG)와,
상기 전방측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부재에 공급되는 현상 바이어스를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노출식 현상 바이어스 접점(예컨대, 21BV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 내에 배치된다.
구동력 수용부가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므로,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따라서 회전 정밀도가 유지될 수 있다.
2. 상기 구동력 수용부(예컨대, 21BG)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에 제공된 구멍(예컨대, 21BR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위치결정 부재(예컨대, 50L)와 결합된다.
3.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상기 현상 부재와 같은 현상 롤러(예컨대, 21BS)의 축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 축을 갖는 원형 부재(예컨대, 21BG)의 형태이며, 상기 원형 부재는 축방향 이동에 의해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구동력 전달 부재(예컨대, 50E)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형 부재는 회전된다.
4. 상기 원형 부재(예컨대, 21BG)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은 상기 현상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된 기어(예컨대, 50F)를 통해 상기 현상 롤러(예컨대, 21BS)의 한 단부로 전달된다.
5. 카트리지는 주 조립체가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예컨대, 21BU1)에 인접하게 병치된 노출식 토너 잔량 검출 접점(예컨대, 21BU2)을 추가로 구비한다.
6. 상기 구동력 수용부(예컨대, 21BG)의 자유 단부 측면은 대략 8.0 내지 18.0 ㎜ 만큼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예컨대, 21BU1)의 표면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흑색 현상 장치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흑색 현상 장치가 장착될 때 구동력 수용부(21BG)와 구동력 전달 부재(50E)는 카트리지가 위치결정 부재(50L)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된 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후에 전기 접점(21BU1, 21BU2)은 주 조립체 핀(62a, 62b)에 접촉될 수 있다.
7.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부재의 표면을 덮기 위한 커버링 위치와 상기 커버링 위치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현상 부재의 표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셔터(예컨대, 21BO)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셔터의 한 종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아암(예컨대, 21BP)의 회전 중심과 상기 셔터의 다른 종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아암(예컨대, 21BQ1)의 제2 회전 중심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상기 한 종단부에 제공된다.
8.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될 때 사용될 수 있는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단부에 그립(예컨대, 21BX)을 추가로 구비한다.
9. 카트리지는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구(예컨대, 21BK1)를 누설되지 않게 밀봉하기 위한 토너 시일(21BT; 도11)을 당기기 위해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단부에 제2 그립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 전에 상기 제2 그립을 이용하여 토너 시일을 당김으로써 상기 토너 공급구(21BK1)는 토너가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현상 부재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예로서 칼라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단색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흑색 현상 카트리지는 예로서 개시되며, 본 발명은 칼라 현상 카트리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프린터는 예로서 개시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다른 전자사진 기록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선회식 안내부를 따라 이를 삽입 또는 꺼냄으로써 적절히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칼라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많은 양의 토너를 수용할 수 있는 흑색 현상 장치는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
전자사진 감광 부재의 모선과 평행한 선회식 안내부의 선회 축을 이용함으로써, 현상 장치의 현상 롤러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사이의 평행 관계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 및 주 조립체가 정확하게 위치되어 양질의 화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용이하게 보장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결정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원에서 개시된 구성을 참고하여 서술되었으나 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상 후속 특허 청구의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과,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의 리세스에 구비되도록 된, 구동력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부재에 공급될 현상 바이어스를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선단측에 마련된 현상 바이어스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를 구성하는 벽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카트리지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의 축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축을 갖는 원형 부재의 형태이고, 상기 원형 부재가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부재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이 상기 현상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된 기어를 통해 현상 롤러의 일단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 조립체가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고 현상 바이어스 접점에 인접하여 병렬 배치된 토너 잔량 검출 접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자유단 측이 8.0 ㎜ 내지 18.0 ㎜만큼 현상 바이어스 접점의 표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표면이 노출되도록 된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의 표면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이 커버링 위치로부터 후퇴되고 현상 롤러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의 한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아암의 제1 선회 중심과 상기 셔터의 다른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아암의 제2 선회 중심이 상기 현상 부재의 상기 한 종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주 조립체에 장착하거나 주 조립체로부터 탈거할 때 사용할 수 있고 현상 부재의 한 종단부에 마련된 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구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토너 시일을 당기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의 다른 종단부에 마련된 제2 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 전에 제2 그립을 사용하여 토너 시일을 당김으로써 상기 토너 공급구가 개방되어 토너가 토너 수용부로부터 현상 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주 조립체가 현상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지지 부재가 현상 카트리지를 현상을 위한 작동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현상 위치와 현상 카트리지가 작동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회전식 지지 부재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1. 구동력 전달 부재가 구비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롤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의 리세스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를 구성하는 벽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롤러의 축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축을 갖는 원형 부재의 형태이고, 상기 원형 부재가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원형 부재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이 현상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된 기어를 통해서 현상 롤러의 일단부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될 현상 바이어스를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선단측에 구비된 현상 바이어스 접점과,
    주 조립체가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에 인접하여 병렬 배치된 토너 잔량 검출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롤러의 종방향으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자유단 측이 8.0 ㎜ 내지 18.0 ㎜만큼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의 표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는 현상 롤러의 표면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이 커버링 위치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현상 롤러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셔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셔터의 한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아암의 제1 선회 중심과 상기 셔터의 다른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아암의 제2 선회 중심이 상기 현상 롤러의 한 종단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주 조립체에 장착하거나 주 조립체로부터 탈거할 때 사용 가능하고 상기 현상 롤러의 한 종단부에 마련된 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구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토너 시일을 당기기 위해 상기 현상 롤러의 다른 종단부에 마련된 제2 그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 전에 상기 제2 그립을 사용하여 토너 시일을 당김으로써 상기 토너 공급구가 개방되어 토너가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6. 제11항에 있어서, 주 조립체가 현상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식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지지 부재가 현상 카트리지를 현상을 위한 작동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현상 위치와 현상 카트리지가 작동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회전식 지지 부재에 대하여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7. 구동력 전달 부재가 구비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프레임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롤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의 리세스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를 구성하는 벽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롤러의 축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축을 갖는 원형 부재의 형태이고, 상기 원형 부재가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원형 부재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이 현상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된 기어를 통해서 현상 롤러의 일단부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될 현상 바이어스를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고 상기 선단측에 구비된 현상 바이어스 접점과,
    주 조립체가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에 인접하여 병렬 배치된 토너 잔량 검출 접점과,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는 현상 롤러의 표면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이 커버링 위치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현상 롤러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그 한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아암의 제1 선회 중심과 다른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아암의 제2 선회 중심이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한 종단부에 마련된 구성을 취하는 셔터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주 조립체에 장착하거나 주 조립체로부터 탈거하는 데 사용 가능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그립과,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구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토너 시일을 당기기 위해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 전에 제2 그립을 사용하여 토너 시일을 당김으로써 상기 토너 공급구를 개방하여 토너가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는 제2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자유단이 8.0 ㎜ 내지 1.80 ㎜만큼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의 표면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18.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부재와,
    b.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와,
    c.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시키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가 상기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의 리세스에 구비되도록 된, 구동력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부재에 공급될 현상 바이어스를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선단측에 마련된 현상 바이어스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부재의 종방향으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9.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부재와,
    b.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와,
    c.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프레임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롤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의 리세스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를 구성하는 벽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롤러의 축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축을 갖는 원형 부재의 형태이고, 상기 원형 부재가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원형 부재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이 현상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된 기어를 통해서 현상 롤러의 일단부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될 현상 바이어스를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선단측에 구비된 현상 바이어스 접점과,
    주 조립체가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에 인접하여 병렬 배치된 토너 잔량 검출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롤러의 종방향으로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0.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부재와,
    b. 기록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와,
    c. 현상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수용부와,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 카트리지가 현상 롤러의 종방향으로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선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 내의 리세스에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를 구성하는 벽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 조립체 내에 마련된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현상 롤러의 축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축을 갖는 원형 부재의 형태이고, 상기 원형 부재가 구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원형 부재에 의해 수용된 구동력이 현상 롤러와 동축으로 배치된 기어를 통해서 현상 롤러의 일단부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될 현상 바이어스를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고 상기 선단측에 구비된 현상 바이어스 접점과,
    주 조립체가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고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에 인접하여 병렬 배치된 토너 잔량 검출 접점과,
    카트리지 프레임을 통해서 노출되는 현상 롤러의 표면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이 커버링 위치로부터 후퇴되어 상기 현상 롤러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그 한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아암의 제1 선회 중심과 다른 종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아암의 제2 선회 중심이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한 종단부에 마련된 구성을 취하는 셔터와,
    상기 현상 카트리지를 주 조립체에 장착하거나 주 조립체로부터 탈거하는 데 사용 가능하고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된 그립과,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 공급구를 개봉 가능하게 밀봉하는 토너 시일을 당기기 위해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다른 종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사용 개시 전에 제2 그립을 사용하여 토너 시일을 당김으로써 상기 토너 공급구를 개방하여 토너가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는 제2 그립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의 자유단이 8.0 ㎜ 내지 1.80 ㎜만큼 상기 현상 바이어스 접점의 표면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9970050212A 1996-09-30 1997-09-30 현상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KR100284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8877 1996-09-30
JP25887796 1996-09-30
JP26173897A JP3416486B2 (ja) 1996-09-30 1997-09-26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97-261738 1997-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159A KR19980025159A (ko) 1998-07-06
KR100284991B1 true KR100284991B1 (ko) 2001-03-15

Family

ID=2654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212A KR100284991B1 (ko) 1996-09-30 1997-09-30 현상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23926A (ko)
EP (1) EP0833234B1 (ko)
JP (1) JP3416486B2 (ko)
KR (1) KR100284991B1 (ko)
CN (1) CN1101947C (ko)
AU (1) AU702249B2 (ko)
DE (1) DE69717389T2 (ko)
HK (1) HK1009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871A (ja) * 1999-08-30 2001-03-16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640820B1 (en) 2004-08-06 2011-12-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s with a projection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ing
JP4765501B2 (ja) * 2005-09-14 2011-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7148286A (ja) * 2005-11-30 2007-06-14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像担持体保持ユニット、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3309195B (zh) * 2013-06-26 2015-12-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激光打印机用感光鼓
MA46363A (fr) * 2016-09-30 2019-08-07 Canon Kk Cartouche de toner et mécanisme d'alimentation de to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378A (en) * 1993-07-29 1994-07-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independent drive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9349C3 (de) * 1977-06-29 1981-06-25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Elektrostatisches Kopiergerät
JPS5788461A (en) * 1980-11-22 1982-06-02 Canon Inc Picture formation device
JPS5875161A (ja) * 1981-10-29 1983-05-06 Canon Inc プロセスキツト及びこのキツト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S58108553A (ja) * 1981-12-22 1983-06-28 Canon Inc プロセスキツト
JPS592061A (ja) * 1982-06-28 1984-01-07 Canon Inc 現像装置
JPS61200558A (ja) * 1985-03-01 1986-09-0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040031A (en) * 1986-05-10 1991-08-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control output to multiple devices to accommodate differing operating timing of those devices
JPH0271278A (ja) * 1988-09-06 1990-03-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235383A (en) * 1990-08-31 1993-08-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2584517Y2 (ja) * 1990-10-12 1998-11-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283619A (en) * 1991-12-20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JP3869868B2 (ja) * 1994-04-27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69637378T2 (de) * 1995-04-20 2009-01-02 Ricoh Co., Ltd. Entwicklungsgerät für eine Mischung aus Toner- und Trägerteilch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1378A (en) * 1993-07-29 1994-07-19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independent drive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931797A (en) 1998-04-02
EP0833234A3 (en) 1999-07-21
EP0833234B1 (en) 2002-11-27
US5923926A (en) 1999-07-13
JPH10153912A (ja) 1998-06-09
HK1009520A1 (en) 1999-06-04
KR19980025159A (ko) 1998-07-06
DE69717389T2 (de) 2003-07-10
CN1182896A (zh) 1998-05-27
JP3416486B2 (ja) 2003-06-16
EP0833234A2 (en) 1998-04-01
CN1101947C (zh) 2003-02-19
AU702249B2 (en) 1999-02-18
DE69717389D1 (de) 200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222B1 (ko) 현상 장치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349649B2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0822469B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process cartridge can detachably be mounted
KR100331921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 제조방법 및 화상형성 장치
KR100472889B1 (ko)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AU713445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03604B1 (ko) 현상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EP1336905B1 (en) Stable mounting of 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92657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KR20040028547A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
KR20040028545A (ko) 현상 카트리지, 측면 커버 장착 방법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KR100284991B1 (ko) 현상카트리지및전자사진화상형성장치
JPH1010501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19572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AU736223B2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378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A3114158A1 (en) Drum cartridge and developing cartridge
JPH10104947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10494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