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450B1 -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450B1
KR100284450B1 KR1019940011986A KR19940011986A KR100284450B1 KR 100284450 B1 KR100284450 B1 KR 100284450B1 KR 1019940011986 A KR1019940011986 A KR 1019940011986A KR 19940011986 A KR19940011986 A KR 19940011986A KR 100284450 B1 KR100284450 B1 KR 10028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video signal
digital video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926A (ko
Inventor
칭 항 창
나오후미 야나기하라
준 요네미츠
가츠미 다하라
요이치 야가사키
데르히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5533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4678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2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04N5/7826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using more than one track for the recording of one television field or frame, i.e. segmented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 디지탈방식에서 전송되어 온 HDTV신호를 직접기록한 경우에도 변속재생시의 화질이 열화하지 않는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TV신호를 디지탈VTR의 현행텔레비젼 신호기록모드에서 기록할 때에, ATV신호의 전송률이 압축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함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ATV신호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변속재생시에 I프레임을 포함하는 HD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확률이 증가되고 변속재생시의 화질향상이 도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디오 기록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탈 VTR의 기록계의 구성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중복 HP영역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중복 HP영역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중복 HP영역과 재생RF신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17배속에서의 헤드트레이스를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HP패킷데이터의 거두워들임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HP패킷데이터의 거두워들임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변속재생의 화면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포맷변환부의 구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탈 VRT의 재생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변속재생시의 재생파형과 재생가능영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는 블럭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분리회로 구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포맷변환회로의 구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블럭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분리회로 구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포맷변환부의 구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이용하는 블럭도이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분리회로 구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2도는 AD-HDTV방식의 송신계의 구성의 일예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3도는 AD-HDTV방식에 있어서의 GOP구성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24도는 AD-HDTV방식에 있어서의 송신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제25도는 AD-HDTV방식에 있어서의 송신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제26도는 AD-HDTV방식에 있어서의 송신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선도이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헤드배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헤드배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헤드배치의 또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3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3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3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3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하는 개략선도이다.
제3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포맷변화부의 설명에 이용하는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디지탈VTR 4 :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
5 : 기록재생부 35,37 : 메모리
38 : 독출어드레스발생기 40 : 멀티플렉서
이 발명은 ATV(Advanced Television)신호를 회전헤드에 의해 직접자기테이프에 기록재생할 수 있는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기록장치와 방법 빛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속재생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입력디지탈 비디오신호를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변환하고, 가변길이부호에 의해 압축하고, 회전헤드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디지탈 VRT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탈 VTR에서는 NTSC방식등의 현행 텔레비젼방식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이하, SD모드라고 한다)와 HDTV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이하, HD모드로 한다)를 설정할 수 있다. SD모드에서는 비디오신호가 거의 25Mbps로 압축되어 기록된다. HD모드에서는 비디오신호가 거의 50Mbps로 압축되어 기록된다.
상술한 것같이 HDTV신호를 디지탈VTR에서 기록하는 경우, HD모드에서 HDTV신호를 압축하여 기록하고 있다. 그렇지만, AD-HDTV방식과 같이, 전디지탈방식의 경우에는 신호가 압축되어 전송되므로 전송되어 온 신호를 디지탈 VTR에서 직접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되온 신호를 디지탈 비디오로 직접 기록하면, 전송되어 온 신호로부터 HDTV신호를 디코드하고, 그것을 압축하여 또는 다시 엔코드하여 디지탈 VTR에 입력할 필요는 없고, 하드웨어의 불필요함이 없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결국, ATV(Advanced Television)의 방식선정으로 신호처리에서 전송까지 전부 디지탈화하여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식중에서 유력한 것으로 AD-HDTV방식이 있다. AD-HDTV방식에서는 동화상의 국제표준방식인 MPEG(Moving Imge Coding Experts Group)에 준처한 화상압축에 의해 HDTV신호가 압축되고, 패킷화되어 전송된다.
제22도는 AD-HDTV방식의 송신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22도에 있어서, 부호(101)는 비디오압축엔코더, 부호(102)는 오디오엔코더이다. 비디오압축엔코더(101)에는 입력단자(103)에서 HDTV방식의 비디오신호가 공급된다. 오디오엔코더(102)에는 입력단자(104)에서 오디오신호가 공급된다.
비디오압축엔코더(101)는 동화상의 국제표준방식인 MPEG방식으로 준처한 방식으로 입력된 HDTV신호를 압축한다.
즉, 비디오압축엔코더(101)는 HDTV신호를 DCT와 이동보상을 조합시킨 고능률부호화방식을 이용하여 압축한다. 비디오압축엔코더(101)로 부터는 제23도에 나타낸 것같은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I프레임이라 칭한다)과 앞방향 예측부호화한 프레임(P프레임이라 칭한다)과 양방향 예측부호화한 프레임(B프레임이라 칭한다)이 소정의 순번으로 보내진다. I프레임으로는 다른 프레임과의 상관을 이용하지 않고, 독립으로 DCT변환된다. P프레임에서는 그것보다 앞의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으로부터 이동보상예측이 행해지고, 그 차분신호가 DCT변환된다. B프레임에서는 전후의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에서 이동보상예측이 행해지고, 그 차분신호가 DCT변환된다. I프레임이 나타나는 주기는 GOP(Group Of Picturc)라 불리워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GOP=9)로 되어 있다.
제22도에 있어서, 부호(105)는 우선엔코더이다. 우선엔코더(105)는 압축된 HDTV신호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붙이는 것이다. 이하에 우선순위의 일예가 나타나 있다.
I 프레임
1. 프레임헤더
2. 슬라이스헤더
3. 마크로블럭 어드레스, 타입 및 양자화스텝
4. 직류치
5. 저주파계수
6. 고주파계수
P 및 B프레임
1. 프레임헤더
2. 슬라이스헤더
3. 마크로블럭 어드레스, 타입 및 양자화스텝
4. 이동벡터
5. 직류치
6. 저주파계수
7. 고주파계수
이와 같이, I프레임에서는 프레임헤더가 제1우선순위로 I프레임의 슬라이스헤더, 마크로블럭어드레스, 타입 및 양자화스텝, 직류치, 저주파계수, 고주파계수로 우선순위가 이어져 있다. P 및 B프레임에서는 프레임헤더, 슬라이스헤더, 마크로블럭 어드레서, 타입 및 양자화스텝, 이동벡터, 직류치, 저주파계수, 고주파계수로 우선순위가 이어져 있다.
부호(106)는 트랜스포트엔코더로, 트랜스포트엔코더(106)는 우선엔코더(105)로 우선순위가 부착된 비디오데이터 및 오디오엔코더(104)에서 엔코드된 오디오데이터, 입력단바(107)로부터의 부가정보로 패킷을 생성한다. 패킷에는 우선도가 높은 패킷과 우선도가 낮은 패킷이 있다. 우선도가 높은 패킷은 HP(High Priortiy)패킷이라고 부르고, 우선도가 낮은 패킷은 SP(Standard Priority)패킷이라고 부른다. HP패킷과 SP패킷과의 비는 1대4이다. 통상의 화상에서는 I프레임의 헤더에서 저역계수까지와 P 및 B프레임헤더에서의 이동벡터까지가 HP패킷으로 전송된다. HP패킷은 높은 출력전력의 반송파로 전송된다. SP패킷은 낮은 출력전력의 반송파로 전송된다.
제24도는 패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24(a)도에 나타낸 것같이, 전송되는 패킷의 패킷길이는 148바이트로 되어 있다. 이 패킷의 선두에는 싱크가 설치되고 이것에 이어서 전송데이터와 오차정정용의 패러티가 부가되어 있다.
제24(b)도는 전송데이터의 상세가 나타나 있다. 전송데이터의 선두에는 서비스타입(ST)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서비스타입(ST)에는 제25도에 나타낸 것같이 이 패킷이 우선도가 높은 HP패킷과 우선도가 낮은 SP패킷을 나타내는 정보(P)와 비디오인가 오디오인가등의 식별정보(ID)와 0∼15로 카운트하는 카운터(CC)가 포함된다.
서비스타입(ST)에 이어서, 애프터헤드(AH)를 설치한다. 제26(a)도는 HP패킷과 애프터헤더이고, 제26(b)도는 SP패킷의 애프터헤더이다. HP패킷의 애프터헤드(AH)에는 전송데이터의 입력점의 최초의 비트를 나타내는 슬라이스의 개시포인터, 프레임타입, 프레임넘버, 프레임중에서의 슬라이스넘버, 양자화팩터가 포함된다. SP패킷의 애프터헤더(AH)에는 마크로블럭의 개시포인터, 프레임타입, 프레임넘버, 프레임중에서의 마크로블럭넘버가 포함된다.
제22도에 있어서, 부호(108)는 채널모듈레이터이다. 전송엔코더(106)에서 생성된 HP패킷 및 SP패킷은 채널모듈레이터(108)에 공급된다. 채널모듈레이터(108)에서, 이 HP패킷 및 SP패킷이 2개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변조된다. 채널모듈레이터(108)의 출력이 출력단자(109)에서 출력된다.
AD-HDTV방식에서는 상술한 것같은 화상압축에 의해 17.4Mbps에서 HDTV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상술한 디지탈 VTR의 SD모드에서의 기록율(약 25Mbps)이하이다. 따라서 AD-HDTV방식으로 전송되고 있는 신호는 디지탈 VTR의 SD모드에서 직접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되온 신호를 디지탈 VTR에 직접 기록하면 전송되어 온 신호에서 HDTV신호를 디코드하고, 그것을 디지탈 VTR에 입력할 필요는 없고 하드웨어의 불필요함이 없게 된다. 또한, SD모드로 기록할 수 있으므로 기록시간이 길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AD-HDTV신호를 SD모드에서 디지탈 VTR로 직접기록하면, 이하의 이유에 의해 양호한 변속재생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되어왔다.
즉, 상술한 것같이 AD-HDTV방식에서는 MPEG방식에 준처한 압축이 행해진다. 이 방식에서는 상술한 것같이 프레임내 부호화한 I프레임과 전방향예측부호화한 P프레임과 양방향예측부호화한 B프레임이 보내져 온다. 변속재생시에는 헤드가 트랙을 통과하므로 연속한 프레임의 데이터가 얻어질 수 없게 된다. 연속한 프레임의 데이터가 얻어지지 않으면, P프레임 및 B 프레임의 데이터는 디코드할 수 없다.
디코드할 수 있는 것은 프레임내에서 부호화된 I프레임의 데이터뿐이다. 이 I프레임의 데이터는 통상 전부 HP패킷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변속재생시에는 재생되는 데이터중 HP패킷의 I프레임의 데이터만 사용하는 것으로 변속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AD-HDTV에서 전송되어온 신호를 직접 디지탈 VTR에 기록하고 있으면, 변속재생시에 I프레임을 포함하는 HD패킷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I프레임의 데이터가 어떠한 위치관계에서 기록되는 것인가가 정해지지 않게 된다. 이로인해, 변속재생시에 화면의 특정부분에 상당하는 I프레임의 데이터가 뽑혀져 버리고, 그 부분의 화면만큼이 점점 갱신할 수 없다고 하는 것같은 것이 있고, 변속재생시의 화질이 열화한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전 디지탈방식에서 전송되어 온 HDTV신호를 직접기록한 경우에도 변속재생시의 화질이 열화하지 않는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디지탈 VTR에서는 헤드배치로서 3종류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즉, 방위각이 다른 2개의 헤드를 180도 대향하여 배치한 구성의 것과 방위각이 다른 2개의 헤드를 더블방위각으로 1개의 위치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과 서로 방위가 각각 다른 더블방위헤드를 180도 대향하여 설치하고, 4헤드의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변속재생시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에 여유기록영역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n배 재생시에 거의 n트랙연속하여 동일한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여유기록영역에 중복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이 나타나는 주기마다에 상기 여유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의 위치를 시프트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디지탈 방식의 HDTV신호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ATV신호를 직접자기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전송되어 온 ATV신호를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와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로 분리하고, ATV신호의 전송률은 현행 텔레비젼방식의 비디오신호를 디지탈기록하기 위해 압축한 압축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되어 있고,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ATV신호의 전송률이 압축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음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기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이다.
본 발명은 ATV 신호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 및 중요도가 낮은 패킷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시에 각 트랙의 여유기록영역에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가 중복하여 기록된 자기테이프를 재생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변속재생시에는 각 트랙의 여유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은 ATV신호의 전송률이 압축현행방식의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음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ATV신호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 데이터를 거의 2n(n은 변속재생시의 배속) 트랙에, 걸쳐서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 데이터중 1개는 제1방위각의 트랙에 다른 한 개는 제2방위각의 트랙에 기록하도록한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이다.
본 발명은 전디지탈 방식으로 HDTV신호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ATV신호를 직접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ATV신호의 전송률이 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음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ATV신호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는 것이고,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거의 2n(n은 변속재생시의 배속) 트랙에 걸쳐서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중 1개는 제1방위각의 트랙에 다른 한 개는 제2방위각의 트랙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이다.
전디지탈 방식에서 압축되어 전송되는 ATV신호를 디지탈 VTR의 현행 텔레비젼 신호기록모드(SD모드)로 기록하는 때에 ATV신호의 전송률이 디지탈 VTR의 SD모드에서의 소스율보다 낮음으로써 생기는 여유영역에 I프레임을 포함하는 HD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함으로써 변속재생시에 I프레임을 포함하는 HD패킷데이터를 얻을 확률이 증가되고 변속재생시의 화질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 HD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는 영역은 변속재생시에 헤드의 트레이스와 트랙의 위치관계가 유지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 영역에 할당된다. 이로인해, 변속재생시에 I프레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HP패킷이 확실히 재생되고 변속재생시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1트랙당 32싱크블럭의 HP패킷데이터를 18트랙중복시키면서 90트랙마다 장소를 시프트하여 기록하고 있으므로 변속재생시에 화면전체가 갱신되고 변속재생시의 화질이 향상된다.
그리고, 2개의 HP패킷데이터를 거의 2n(n은 변속재생시의 배속)트랙인 36트랙에 걸쳐서, 1개는 A방위각의 트랙에 다른 한 개는 B방위각의 트랙에 기록함으로써 헤드 배치에 상관없이 양호한 변속재생이 행해진다.
[실시예]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이 적용된 비디오 기록재생 시스템의 일예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는 채널모듈레이터이다. 채널모듈레이터(1)에는 입력단자(2)로부터 AD-HDTV방식의 전송데이터가 입력된다. 채널모듈레이터(1)에서 전송데이터로부터 패킷이 복조된다.
전송되어 오는 패킷으로는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HP패킷과 중요도가 낮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SP패킷이 있다.
부호(3)는 디지탈 VTR이다. 디지탈 VTR(3)은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4)와 기록재생부(5)를 갖추고 있다. 채널모듈레이터(1)로부터 HP패킷 및 SP패킷은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4)를 통하여 트랜스포트 및 우선 디코더(6)에 공급되는 동시에 기록재생부(5)에 공급된다.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4)를 통하여 기록재생부(5)에 전송되어 온 데이터는 기록재생부(5)에서 회전헤드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4)는 기록재생부(5)에서 기록한 기록데이터를 변속재생한 때에, 재생화면이 양호하게 되도록 기록재생부(5)에 보내지는 데이터를 포맷한다. 이것에 대하여는 뒤에 상술한다.
기록재생부(5)는 디지탈비디오신호를 DCT변환 및 가변길이부호화하여 압축하고 회전헤드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는 구성의 것이다. 이 기록재생부(5)는 NTSC방식등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SD모드와 HDTV신호를 기록하는 HD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AD-HDTV방식의 전송데이터를 복조하여 직접기록하는 경우에는 SD모드로 설정된다. 또한, SD모드에서의 소스율은 24.3Mbps이다.
트랜스포트 및 우선디코더(6)는 전송되어온 HP패킷 및 SP패킷의 에러정정을 행하는 동시에 전송되어온 HP패킷 및 SP패킷으로부터 전송데이터 및 부가데이터를 취출한다. 통상의 화상에서는 I프레임의 헤더에서 저역계수까지와 P 및 B프레임의 헤더에서 움직임벡터까지가 HP패킷으로 전송되어 온다. 그 외에는 SP패킷으로 전송되어 온다.
부호(7)는 비디오 신장 디코더, 부호(8)는 오디오 디코더이다. 비디오신장 디코더(7)는 MPEG방식으로 준처하고, 허프만부호의 복호, DCT역변환을 행하고, 보내져 온 데이터를 신장하고, HDTV의 베이스밴드신호를 형성하는 것이다. 비디오신장 디코더(7) 및 오디오디코더(8)에는 트랜스포트 및 우선 디코더(6)의 출력이 공급된다.
비디오신장디코더(7)에서 전송되어 온 데이터가 신장되고 HDTV신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HDTV신호는 출력단자(9)에서 출력된다. 또한, 오디오디코더(8)에 의해 오디오디코더가 디코드되고, 이 오디오디코더가 출력단자(10)에서 출력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및 우선 디코더(6)에서 출력되는 부가정보는 출력단자(11)에서 출력된다.
제2도는 이 발명이 적용된 VTR에 있어서의 기록재생부(5)의 기록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부호(21)는 NTSC방식등의 현행 텔레비젼방식의 비디오신호 또는 HDTV신호의 입력단자이다. 외부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입력단자(21)에 현행 텔레비젼방식의 비디오신호 또는 HDTV신호의 컴포넌트 비디오신호가 공급된다. 입력단자(21)로부터의 컴포넌트 비디오신호는 A/D컨버터(22)에 공급되고, A/D컨버터(22)에서 이 컴포넌트 비디오신호가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부호(23)는 DCT압축회로이다. DCT압축회로(23)는 DCT변환과 가변길이부호화에 의해 입력비디오신호를 압축한다. A/D컨버터(22)의 출력은 DCT압축회로(23)에 공급되고 압축된다. 즉, A/D컨버터(22)에서의 출력은 컴포넌트 비디오신호는 블럭화되고 셔플링되고 DCT변환이 행해진다. DCT변환된 데이터는 소정의 버퍼단위로 버퍼된다. 그리고, 이 소정의 버퍼단위의 총부호량이 추정되고 총부호량이 소정값이하가 되도록 최적한 양자화표가 결정되고 이 최적한 양자화표로 양자화된다. 그리고, 가변길이부호화된 후 프레임화된다.
부호(24)는 전송되어온 AD-HDTV방식의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와 입력단자(21)에서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서 전환되는 스위치회로이다. 스위치회로(24)의 단자(24A)에는 전술의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4)를 통하여 AD-HDTV방식의 신호가 공급된다. 스위치회로(24)의 단자(24B)에는 DCT압축회로(23)의 출력이 공급된다. 전송되어온 AD-HDTV방식의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스위치회로(24)가 단자(24A)측에 설정된다. 입력단자(21)에서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스위치회로(24)가 단자(24B)측에 설정된다.
부호(25)는 프레임화회로이다. 프레임화회로(25)는 기록데이터를 소정의 싱크블럭으로 전개하는 동시에 에러정정부호화처리를 행한다.
부호(26)는 채널엔코더이다. 스위치회로(24)의 출력은 채널엔코더(26)에 공급되고 변조된다. 채널엔코더(26)의 출력은 기록앰프(27)를 거쳐서 회전헤드(28)에 공급된다. 회전헤드(28)에 의해 자기테이프(도시생략)에 압축된 입력단자(21)에서의 비디오신호 또는 AD-HDTV신호가 기록된다.
또한, 회전헤드(28)는 예를 들면 4개 설치되어 있다. SD모드에서는 이 중의 2개가 사용된다. HD모드에서는 4개의 회전헤드가 사용되고, 테이프주행속도가 SD모드의 2배로 된다. 회전드럼은 SD모드의 경우에도 HD모드의 경우에도 150㎐로 회전된다. 따라서, 필드주파수60㎐의 경우, SD모드에서는 10트랙으로 1프레임이 기록되고, HD모드에서는 20트랙으로 1프레임이 기록된다.
이와 같은 기록계에 있어서, 전송되어온 AD-HDTV방식의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스위치회로(24)가 단자(24A)측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4)를 거쳐서 입력된 AD-HDTV방식의 신호는 프레임화회로(25)에서 프레임화되고 채널엔코더(26)에서 변조되고 회전헤드(27)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다.
입력단자(21)에서의 비디오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스위치회로(24)가 단자(24B)측에 전환된다. 이로 인해, 입력단자(21)에서의 비디오신호는 DCT압축회로(23)에 의해 압축되고, 프레임화회로(25)에서 프레임화되고, 채널엔코더(26)에 의해 변조되고 회전헤드(27)에 의해 자기테이프에 기록된다.
AD-HDTV신호의 기록시에는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4)는 변속재생시의 화질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H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충분히 기록하는 동시에 이 H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변속재생시에 확실히 얻을수 있는 위치에 공급된다.
즉, 디지탈 VTR의 SD모드에서의 소스율이 24.3Mbps인 것에 대하여, AD-HDTV신호의 전송률이 17.4Mbps이므로, 전송되어온 AD-HDTV의 신호를 SD모드로 기록하면 기록영역에 여유가 생긴다. 그래서, 변속재생시의 화질을 개선하기위해 SD모드에서 AD-HDTV의 신호를 기록하는 때에는 이 여유의 영역에 H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한다. SD모드에서는 1트랙에는 135싱크블럭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AD-HDTV에서는 HP패킷과 SP패킷과의 비율은 1:4이다. 그리고, AD-HDTV의 전송률은 17.4Mbps로 디지탈 VTR의 SD모드의 소스율은 24.38bps이다. 이것에서 1트랙중에 HP패킷이 차지하는 싱크블럭수는
135×(17.42/24.3)×(1/5) 19.333(싱크블럭)
으로, 약 20싱크블럭이다. 그리고, 1트랙의 SP패킷이 차지하는 싱크블럭수는
20×4=80(싱크블럭)
이다. 따라서, 1트랙, 135싱크블럭중 나머지로는
135-20-80=35(싱크블럭)
이다. 따라서, 1트랙당 35싱크블럭만큼까지 HP패킷을 중복하여 기록할 수 있다.
즉, 제3(a)도에 나타낸 것같이 1트랙의 비디오영역에는 135싱크블럭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제3(b)도에 나타낸 것같이 1트랙중 예를 들면 3개소에 중복 HP영역(DHP)가 설치되고, 이 3개소의 중복 HP영역(DHP)에 HP패킷의 데이터가 예를 들면 32싱크블럭분만큼 중복하여 기록된다.
변속재생시에 서보회로에 의해 헤드의 트레이스와 트랙의 위치관계를 상당히 동일하게 유지하면 1트랙내의 재생가능영역이 고정된다. 이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에 중복HP영역(DHP)이 할당된다.
제4도에 나타낸 것같이 변속재생시에는 헤드가 트랙을 통과하여 간다. 이것에 의해 제5(a)도에 나타낸 것같은 재생신호가 얻어진다. 제5(b)도에 나타낸 것같이, 이 재생신호가 충분히 얻어지는 위치(HRF)는 헤드의 트레이스와 트랙의 위치관계가 상당히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고정된다. 중복HP영역은 이 재생신호가 충분히 얻어지는 위치(HRF)에 설치된다.
상술한 것같이, 디지탈 VTR은 SD모드에서는 1프레임이 10트랙으로 기록된다. AD-HDTV방식의 1프레임의 주기(GOP)는 9프레임이다. 이것으로 평균적으로 1GOP주기의 데이터는 90트랙에 기록된다. 1GOP주기의 데이터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I프레임, B프레임, P프레임중 I프레임만큼으로 이것은 1GOP사이에 I프레임만큼이다.
제6도에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때의 헤드스캔의 모습을 나타낸다. 배속수 17이라고 하는 기수를 선택하는 것으로 2개의 헤드(A 및 B)에 대하여 중복HP영역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것같이, 중복HP영역에 17트랙에 걸쳐 동일 데이터를 기록하면, 1혹은 2스캔으로 반드시 그 데이터가 재생된다.
그렇지만, 1GOP주기는 90트랙이므로 동일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트랙수를 1GOP 주기의 90트랙의 약수로 설정한 편이 처리하기 쉽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90트랙의 약수인 18트랙에 동일데이터가 기록된다.
1트랙당의 중복HP영역의 용량을 32싱크블록만큼으로 하면, 1GOP주기의 90트랙분의 중복HP영역의 총용량은 32×90=2880싱크블럭 만큼이다. 18트랙에 걸쳐서 동일데이터를 기록한 경우에는 1GOP주기의 90트랙의 중복HP영역에 기록되는 HP패킷은
2880/18=160싱크블럭
만큼으로 된다. 이 160싱크블럭만큼의 HP패킷데이터를 18트랙씩 중복시키면서 90트랙에 기록한다.
HP패킷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전부 I프레임데이터인 것으로 가정하면, 1트랙의 싱크블럭수를 135, 1GOP주기의 트랙수를 90, SD모드의 소스율을 24.3Mbps, AD-HDTV의 전송률을 17.4Mbps, HP패킷과 SP패킷과의 비를 1대4로 한때, I프레임데이터가 차지하는 싱크블럭수는 135×90×(17.4/24.3)×0.2=1740싱크블럭이다. 1GOP주기의 90트랙에서는 이 1740싱크블럭중의 일부분(160싱크블럭상당분)이 기록된다.
또한, 이 1GOP주기의 90트랙에 기록하는 160싱크블럭상당분의 HP패킷데이터를 90트랙마다 그 장소를 시프트하여 간다. 즉, 제7(a)도∼제7(d)도는 연속하는 GOP주기를 나타내고, 제7(b)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1GOP주기의 사이에 HP패킷데이터가 160싱크블럭분 메모리에 축적된다. 메모리에 축적된 160싱크블럭분의 HP패킷데이터는 1트랙당 32싱크블럭을 18트랙중복시키면서 90트랙에 걸치도록 GOP주기에서 중복 HP영역에 기록된다. 다음의 GOP주기에서는 제7(c)도에 나타낸 것같이 HP데이터의 160싱크블럭만큼 메모리에 축적되는 타이밍이 시프트된다. 즉, 최초의 GOP주위에서는 143싱크블럭록에 상당하는 타이밍에서 160싱크블록 축적된다. 이와 같이 17싱크블럭분 오버랩시키므로 160싱크블럭만큼이 축적되고, 상술과 동일하게 1트랙당 32싱크블럭을 18트랙중복시키면서 90트랙에 걸치도록 GOP주기에서 중복 HP영역에 기록된다.
17싱크블럭분 오버랩시키는 것은, MPEG2의 데이터가 가변길이 부호화되고 있으므로 부호길이가 변화하여도 재생화면상에서 화면의 결락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각 트랙에는 제8도에 나타낸 것같이 HP패킷이 중복기록된다. 제8(a)도에 나타낸 것같이 이 160싱크블럭만큼의 HP패킷의 데이터중 싱크블럭(SB0∼SB31)의 데이터가 트랙(T0∼T17)의 중복HP영역에 기록되고, 싱크블럭(SB32∼SB63)의 데이터가 트랙(T18∼T35)의 중복HP영역에 기록되고, 싱크블럭(SB64∼SB95)의 데이터가 트랙(T36∼T53)의 중복HP영역에 기록되고, 싱크블럭(SB96∼SB127)의 데이터가 트랙(T54∼T71)의 중복HP영역에 기록되고, 싱크블럭(SB128∼SB159)의 데이터가 트랙(T72∼T89)의 중복HP영역에 기록된다. 제8(b)도에 나타낸 것같이, 최초의 90트랙에는 싱크블럭(SB0∼SB159)의 HP패킷이 기록되고, 다음의 90트랙에는 싱크블럭(SB143∼SB302)의 HP패킷이 기록되고, 다음의 90트랙에는 싱크블럭(SB286∼SB445)의 HP패킷이 기록된다.
상술한 것같이, I프레임의 데이터수는 I프레임당 1740싱크블럭/프레임이다. 1GOP의 90트랙세에서는 160싱크블럭을 기록하고, 다음의 GOP주기에서는 17싱크블럭분만큼이 오버랩되므로,
1740/(160-17)=12.27에서 1화면분의 데이터를 12분할한 부분이 각 90트랙에 기록되게 된다.
90×12=1080트랙
에서, 1화면상당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여기에서, 정확히 180트랙으로 되도록 최후의 90트랙에서는 오버랩하는 싱크블럭수가 17싱크블럭보다 적게 된다(10싱크블럭).
또한, GOP=9이기 때문에, 12분할되어 기록된 각 부분은 서로 9프레임분리된 I프레임 데이터이다.
제9도는 이와 같이 기록된 데이터를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때의 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9도에 나타낸 것같이 변속재생을 하면, 화면은 영역(M1,M2,M3,…)로 12분할된다. 각 분할영역(M1,M2,M3,…)은 각각 90트랙의 중복 HP영역에 기록한 160싱크블럭만큼의 HP패킷의 I프레임데이터를 재생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각 분할영역(M1,M2,M3,…)은 서로 9프레임 분리된 I프레임으로 구성된다.
1GOP주기의 90트랙에 기록하는 160싱크블럭상당분의 HP패킷데이터를 90트랙마다 그 장소를 시프트하여 가면 변속재생시에 12분할한 영역(M1,M2,M3,…)을 전부 갱신할 수 있다.
제10도는 상술한 것같이 160싱크블럭만큼의 HP패킷데이터를 18트랙만큼씩 중복시키면서 중복HP영역의 90트랙에 기록하고, 이 90트랙에 기록하는 160싱크블럭상당분의 HP패킷데이터를 90트랙마다 그 장소를 시프트하도록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제10도에 있어서, 부호(31) 및 (32)는 입력단자이고, 입력단자(31)에는 H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공급되고, 입력단자(32)는 S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공급된다.
입력단자(31 및 32)에서의 H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입력단자(32)에서의 S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병렬/직렬변환회로(33)에 공급된다. 또한, 입력단자(31)에서의 H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싱크블럭포매터(34)에 공급된다.
병렬/직렬변환회로(33)는 입력단자(31 및 32)에서 병렬로 보내져 오는 HP패킷데이터 및 SP패킷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한다. 이 병렬/직렬변환회로(33)의 출력이 메모리(35)에 공급된다. 메모리(35)에는 1트랙분의 HP패킷데이터 및 SP패킷데이터가 축적된다.
싱크블럭포매터(34)에는 입력단자(36)에서 타이밍신호가 공급된다. 싱크블럭포매터(34)의 출력은 메모리(37)에 공급된다. 메모리(37)에는 90트랙에 기록하는 160싱크블럭분의 HP패킷데이터가 축적된다.
부호(38)는 독출어드레스발생기이다. 독출어드레스발생기(38)에는 입력단자(39)에서 영역제어신호가 공급된다. 독출어드레스발생기(38)는 이 영역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독출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이 독출어드레스가 메모리(35)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중복HP영역의 위치가 설정된다.
부호(40)는 멀티플렉서이다. 멀티플렉서(40)는 메모리(35)에서의 HP패킷 및 SP패킷데이터에 메모리(37)에서의 HP패킷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이다. 멀티플렉서(40)에는 메모리(35 및 37)의 출력이 공급된다. 멀티플렉서(40)의 출력이 엔코더(41)에 공급된다.
제11도는 디지탈 VTR(2)의 기록재생부(5)의 재생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1도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의 기록신호는 회전헤드(28)에 의해 재생되고, 재생앰프(51)를 거쳐서 채널디코더(52)에 공급된다. 채널디코더(52)는 상술의 기록계의 채널엔코더(26)에 대응하는 변조방식으로 재생신호를 복조하는 것이다.
부호(53)는 TBC(Time Base Corrector)이다. TBC(53)는 재생신호의 시간축변동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TBC(53)에는 재생신호에 기초하여 쓰기클럭과 기준신호에 기초하는 독출클럭이 주어진다. 채널디코더(52)의 출력은 TBC(53)에 공급된다. TBC(53)에 의해 재생신호중의 시간축 변동성분이 제거된다.
부호(54)는 디프레임화회로이다. 디프레임화 회로(54)는 기록계의 프레임화회로(25)에 대응하고 있고, 재생데이터의 에러정정처리등을 행한다. 디프레임화회로(54)에는 TBC회로(53)의 출력이 공급된다.
부호(55)는 스위치회로이고 이 스위치회로(55)는 AD-HDTV방식의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와 컴포넌트 비디오신호를 재생하는 경우를 전환된다. TBC회로(54)의 출력은 스위치회로(55)에 공급된다. 재생신호가 AD-HDTV방식의 신호의 경우에는 스위치회로(55)가 단자(55A)측에 전환된다. 재생신호가 컴포넌트 비디오신호의 경우에는 스위치회로(55)가 단자(55B)측에 전환된다.
부호(56)는 CDT신장회로이다. DCT신장회로(56)는 기록계의 DCT압축회로(23)에 대응하고 있다. 즉, DCT신장회로(56)는 가변길이부호화를 복호하고, 역 DCT변환을 행함으로써 압축되어 기록된 비디오신호를 원래의 베이스밴드 비디오신호로 신장한다. DCT신장회로(56)에는 스위치회로(55)의 단자(55B)의 출력이 공급된다.
DCT신장회로(56)에 의해 압축비디오신호 베이스밴드 비디오신호에 돌아가고 이 비디오신호가 출력단자(57)에서 출력된다.
부호(58)는 헤더디코더, 부호(59)는 패킷선택회로이다. 헤더디코더(58)는 AD-HDTV의 재생신호의 헤더를 디코드하고, 이 재생신호가 I프레임의 데이터인가 아닌가를 식별한다. I프레임의 패킷인가 아닌가는 패킷의 헤더에서 식별할 수 있다. 헤더디코더(58)에는 스위치회로(55)의 단자(55A)의 출력이 공급된다. 이 헤더디코더(58)의 출력이 패킷선택회로(59)에 공급된다. 변속재생시에는 I프레임의 데이터만 유효하다. 패킷선택회로(59)는 변속재생시에 I 프레임의 데이터의 패킷을 선택하고 출력한다. 패킷선택회로(59)의 출력이 출력단자(60)에서 출력된다.
부호(61)는 컨트롤러이다. 컨트롤러(61)는 통상재생과 변속재생을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컨트롤러(61)에는 입력부(62)에서 모드설정신호가 공급된다. 이 모드설정신호에 따라서 서보회로(63) 및 패킷선택회로(59)가 설정된다. AD-HDTV신호의 변속재생시에는 서보회로(63)에 의해 ATF등의 트래킹신호를 이용하여 테이프속도제어에 위상정보가 더해지고 헤드의 트레이스와 트랙의 위치관계가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고 트랙내의 재생가능영역이 고정된다. 상술한 것같이, 이 재생가능영역은 중복HP영역(DHP)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변속재생시에는 I프레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HP패킷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반드시 재생된다.
제12(a)도, 제12(c)도, 제12(e)도는 각각 4배속, 9배속 및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경우의 재생RF신호를 나타내는 것이고, 제12(b)도, 제12(d)도, 제12(f)도는 각각 4배속, 9배속 및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경우의 트랙상의 재생가능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다. EN1, EN2 및 EN3는 각각 4배속, 9배속 및 17배속도로 재생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2(b)도와 제12(f)도에서 알수 있는 것같이 4배속으로 재생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을 EN1은 17배속으로 재생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을 EN3에 포함된다. 또한 제12(d)도와 제12(f)도에서 알 수 있는 것같이 9배속으로 재생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EN2)은 17배속으로 재생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EN3)에 포함된다. 따라서, 17배속으로 재생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EN3)에 중복HP영역을 설치하고, 이 중복HP영역에 HP패킷데이터를 기록하여 놓으면, 4배속이나 9배속의 경우에도 HP패킷데이터를 확실히 얻을수 있다. 즉, 17배속에서의 재생가능영역을 중복HP영역으로 하는 것으로 17배속에서의 재생에 그치지 않고, 그 이하의 배속에서의 변속재생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AD-HDTV방식은 전디지탈방식의 방송방식에서 그 부호화 알고리즘은 MPEG(2)를 사용하고 있다. AD-HDTV는 이 MPEG(2)를 이용하여 화상데이터를 부호화한후 부호화비트 스트림에 우선순위를 붙여서 고우선도 데이터(HP데이터) 및 저우선도데이터(SP데이터)로 분리하여 전송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송국측에서 데이터를 HP데이터와 SP데이터로 분리하여 패킷화를 행하고, 각 패킷에는 패킷내의 데이터의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AH)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술의 제1실시예와 같이 디지탈 VTR에 기록하면, 양호한 변속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그렇지만, 방송국측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에 준처한 방식으로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에서는 HP데이터와 SP데이터로 분리하는 것에 대하여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비디오데이터는 HP데이터의 패킷과 SP데이터의 패킷으로 분리되지 않고 전송되어 오는 것으로 된다.
또한, 방송국측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에 준처하고 있는 경우, 많은 가정용 수신기(디코더)는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 밖에 복호할 수 없다고 고려된다. 이 경우 디지탈 VTR에서 재생되는 신호는 통상 재생뿐만 아니라 고속재생시의 신호도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에 준처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경우, 디지탈 VTR에서는 기록하기 전에 VTR측에서 HP데이터와 SP데이터의 분할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속재생용의 데이터 즉, HP데이터는 그것만으로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에 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13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비디오기록시스템의 일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것같이 HP데이터와 SP데이터로 분리되지 않고 전송되어 온 경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의 전단에 데이터분리기(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3도에 있어서, 채널복조기(102)의, 트랜스포트 및 우선엔코더(106), 비디오신장디코더(107), 오디오엔코더(108)는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채널모듈레이터(1), 트랜스포트 및 우선엔코더(6), 비디오신장디코더(7), 오디오엔코더(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의 전단에 데이터분리기(112)가 설치되어 있는 것과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의 구성이 상술의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다.
데이터분리기(112)에 대하여 제1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4도는 데이터분리기(112)의 구성의 일예이다. 제14도에 있어서 입력단자(72)에 MPEG2의 비트스트림이 입력된다. 입력단자(72)에서의 비트스트림은 지연회로(73)를 거쳐서 HP추출기(74)에 공급되는 동시에 VLD회로(75)에 공급된다. 지연회로(73)는 VLD회로(75)에서의 복호 및 그 처리시간분의 지연을 부여하는 것이다. VLD회로(75)에서는 MPEG2의 가변길이부호화가 해석되고 비트스트림의 구문해석이 행해진다. VLD회로(75)의 출력이 카운터(76)에 보내진다.
카운터(76)에는 FF/FR레이트 제어회로(77)에서 값 NUM이 주어진다. FF/FR레이트 제어회로(77)에는 단자(78)에서 점유플래그(VBV)가 공급된다.
카운터(76) 및 FF/FR레이트 제어기(77)는 이 구문해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HP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를 결정한다. 카운터(76)에서는 분리신호(DEV)가 출력된다.
이 분리신호(DEV)가 HP추출기(74)에 공급된다.
HP추출기(74)는 HP데이터에 할당된 데이터의 말미, 통상은 각 블럭의 어느 DCT 계수에 EOB(End Of Block)코드를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HP데이터만으로도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밖에 복호할 수 없는 디코더에 있어서도 HP데이터만을 복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HP추출기(74)에서는 출력단자(79)가 도출된다. 이 출력단자(79)에서는 고속재생용 HP데이터 및 통상 재생용의 데이터(HP 및 SP)가 출력된다. 이 고속재생용 HP데이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중복 HP영역에 쓰여지고, 고속재생시에 읽혀진다. 또한 지연회로(73)로 부터는 출력단자(80)가 도출된다. 이 출력단자(80)으로부터는 통상시의 데이터가 (즉,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에 준처한 비트스트림)이 출력된다.
다음에, HP데이터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MPEG2의 가변길이 부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DCT계수의 경우, 가변길이 부호에서는 1개의 비영의 계수의 값, 레벨을 1개의 조(랜, 레벨)로 하여 가변길이 부호화를 행한다. DCT계수의 경우 이(랜, 레벨)의 조에서 1개의 VLC이벤트가 된다.
FF/FR레이트 제어기(77)에서는 HP데이터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량을 준비한다. 이것은 슬라이스단위로 행해진다. FF/FR레이트 제어기(77)는 HP데이터로서 할당하는 비영의 DCT계수의 갯수NUM을 결정하고 이 갯수NUM을 카운터(76)에 부여한다.
카운터(76)는 VLC의 이벤트수에서 비영의 DCT계수의 갯수 지그재그스캔의 순서로 가산한다. 이 값이 NUM에 달한때 카운터(76)는 분리신호(DEV)를 HP추출기(74)에 출력한다. 또한 이 값이 NUM에 달하기 이전에 EOB가 존재하는 경우, 카운터(76)는 리세트되고 그 블럭전 데이터는 HP데이터에 할당된다.
값(NUM)은 FF/FR레이트 제어기(77)에 의해 슬라이스단위로 재설정된다. FF/FR레이트 제어기(77)는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에서 입력된다. 중복HP영역점유블럭(VBV)에 따르고, HP데이터가 중복영역을 오버플로를 일으키고 그와 같은 경우에는 HP에 할당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킨다. 즉, 값(NUM)을 감소시킨다.
또한 HP데이터가 중복영역에 대하여 적은 경우에는 HP데이터에 할당하는 데이터량을 증가시킨다. 즉, 값(NUM)을 증가시킨다.
다음에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에 대하여 제15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는 제10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에 대응하고 있고, 고속재생용의 HP데이터를 중복HP영역에 쓴다. 고속재생용 HP패킷은 입력단자(131)에서 입력된다. 입력단자(131)에서 입력되는 HP데이터는 싱크블럭포매터(134)에 공급된다. 또한, 입력단자(132)에서 입력되는 통상 데이터는 병렬/직렬변환부(133)에 입력된다.
싱크블럭포매터(134)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속재생용 데이터를 소정의 싱크블럭으로 쓰도록 포맷을 정리한다. 또한, 싱크블럭포매터(34)는 싱크블럭의 점유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VBV)를 출력한다. 이 플래그(VBV)는 데이터분리기(112)에 공급된다.
메모리(135), 메모리(137), 독출어드레스 발생회로(138), 멀티플렉서(140), 기록엔코더(141)는 제10도에 있어서의 메모리(35), 메모리(37), 독출어드레스 발생기(38), 멀티플렉서(140), 기록엔코더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104)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변경을 실시하므로, MPEG2의 메인프로파일, 메인레벨에 준처한 방송방식의 디지탈 VTR에 기록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변속재생이 실현가능하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방송국측에서 HP데이터, SP데이터를 분리하지 않고 송신되지만 수신기(디코더)는 데이터분리된 MPEG2의 비트스트림을 복호할 수 있는 경우의 디지탈 VTR에 적용된다.
제16도에 있어서, 채널복조기(201), 트랜스포트 및 우선엔코더(206), 비디오신장디코더(207), 오디오엔코더(208)는 상술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채널복조기(1), 트랜스포트 및 우선엔코더(6), 비디오신장디코더(7), 오디오엔코더(8)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 제3실시예에 의한 비디오기록시스템은 데이터분리기(212),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204), 2포인트버퍼(213)를 제외하고, 제1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7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분리기(212)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17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72)에 MPEG2의 비트스트림이 공급된다. 입력단자(172)에 MPEG2의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면 지연회로(173)에 의해 VLD 및 그 처리시간분 지연되고, 이 비트스트림이 PBP부가기(174)에 공급된다. VLD회로(175)에서는 MPEG2의 가변길이부호가 해결되고 비트스트림의 구문해석이 행해진다. 카운터(176) 및 FF/FR레이트 제어기(177)는 이 구문해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HP에 할당하는 데이터를 결정한다.
PBP(Priority Break Point)부가기(174)에서는 HP데이터로서 할당한 데이터의 정보를 MPEG2 비트 스트림의 헤더에 쓰고, 고속재생용 데이터로서 HP에 할당된 데이터 및 그 다른 SP데이터로 분할하여 출력한다. 여기에서 전체의 헤더는 HP,SP의 양방향으로 출력된다. 제18도는 헤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데이터분리기에서 출력되는 것은 상술의 고속재생용 HP데이터 및 통상 재생용 데이터(SP)이다. 고속재생용 HP데이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중복HP영역에 쓰여지고, 고속재생시에 읽혀진다.
다음에 HP의 할당에 대하여 설명한다. FF/FR레이트 제어기(177)에서는 HP데이터로 할당할 수 있는 데이터량을 결정한다. 이것은 슬라이스 단위로 행해진다.
FF/FR레이트 제어기(177)는 HP데이터로서 할당하는 데이터량을 결정하고, 분리포인트를 나타내는 블럭(PBP)을 카운터(176)에 출력한다. PBP의 값은 제18도에 나타낸다. 예를 들면, PBP2의 경우 지그재그스캔의 순서로 DCFLCA를 제외하는 2번째의 비영계수까지가 HP데이터로서 할당된다.
PBP부가기(174)에서는 카운터(176)에서 DEV를 수취하면 거기까지 PBP부가기(174)에 입력된 데이터까지를 HP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PBP데이터로 된다. 그 블럭의 전체의 데이터는 HP로 할당되어 출력된다.
PBP는 FF/FR레이트 제어기(177)에 의해 슬라이스단위로 재설정된다. FF/FR레이트 제어기(177)는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204)에서 단자(178)를 거쳐서 입력된다. 중복HP영역점유블럭(VBV) 및 디코더가 가지는 코드버퍼(213)와 동일의 용량의 버퍼인 2포인트버퍼에서 출력되는 버퍼점유블럭(B_FULL)에 따르고 HP데이터가 중복영역을 오버플로우를 일으키는 그런 경우에는 HP데이터로 할당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킨다. 즉, PBP를 감소시킨다. 또한, HP가 중복HP영역에 대하여 적은 경우에는 HP에 할당하는 데이터량을 증가시킨다. 즉, PBP를 증가시킨다.
여기에서, 버퍼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트스트림을 디코드하는 때, 입력비트스트림이 디코더의 코드버퍼를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를 일으키지 않도록 엔코더측에서는 디코더가 가지고 코드버퍼와 동일의 용량을 가지는 가상버퍼를 가지고, 이 가상버퍼에 발생비트스트림을 입력하고 이 가상버퍼의 점유량을 감시함으로써 비트할당의 제어를 행한다. 픽쳐헤드에 기록되어 있는 vbv_delay는 디코더가 비트를 코드버퍼에서 읽는 때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HP데이터, SP데이터의 데이터분할도 또한 동일하게 버퍼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HP데이터, SP데이터로 데이터가 분리되어 입력되어 오는 경우, 데이터는 HP용의 코드버퍼 및 SP용의 코드버퍼의 2개를 가지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것은 즉 2개의 VBV_delay를 기록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HP데이터 및 SP데이터량이 버퍼를 오버플로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HP데이터,SP데이터의 각각의 버퍼에서 오버플로 또는 언더플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2포인터버퍼(213)는 HP데이터, SP데이터의 분할을 행할 때, 1개의 vbv_delay를 기록하는 것으로 버퍼관리를 보상하기 위한 코드버퍼이다. MPEG2에서는 이 가상 버퍼용량은 1.75Mbit로 규정되어 있다. 2포인터버퍼(213)는 따라서 이것과 동일의 용량 1.75Mbit를 가진다.
HP데이터, SP데이터의 비율은 AD-HDTV에서는 1:4이다. 이 비율로 HP데이터, SP데이터의 분할이 행해지는 경우, 2포인터버퍼(213)는 이 비율로 2개의 파티션으로 분할된다. 한측에는 HP데이터가 입력되고, 또 한측에는 SP데이터가 입력된다. 각 파티션에는 버퍼점유량을 나타내는 포인터가 존재한다. 디코더측 및 엔코더측의 쌍방에서 이와 같은 구성의 버퍼를 가지는 경우 HP데이터 및 SP데이터의 버퍼점유량을 감시할 만큼 충분하다.
2포인터버퍼(213)에서는 이 HP데이터 및 SP데이터의 버퍼점유량(B_FULL)이 데이터분리기(212)로 출력된다. 데이터분리기(212)에서는 상술한 것같이 B_FULL을 이용하여 버퍼관리를 행한다.
다음에, 인터페이스 및 포맷변환부에 대하여 제19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9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0도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고속재생용의 HP데이터를 HP중복영역에 기입한다. 고속재생용 HP데이터는 입력단자(231)에서 입력된다. HP데이터는 싱크블럭포매터(236) 및 병렬/직렬변환회로(233)에 공급된다. 또한, 입력단자(232)에서 입력되는 통상 재생데이터는 병렬/직렬변환회로(233)에 공급된다.
싱크블럭포매터(234)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속재생용 디코더를 소정의 싱크블럭에 기입하도록 포맷을 정리한다. 또한, 싱크블럭포매터(234)는 싱크블럭의 점유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VBV)를 출력한다. 이 플래그(VBV)은 데이터분리기(212)에 입력된다. 메모리(235), 메모리(237), 읽기어드레스 발생회로(238), 멀티플렉서(240), 기록엔코더(241)는 제10도에 있어서의 메모리(35), 메모리(37), 독출어드레스발생기(38), 멀티플렉서(40), 기록엔코더(4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실시에에 대하여, 이상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HP데이터, SP데이터로 분리되지 않는 신호가 방송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MPEG2에 데이터분할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할 수 있는 수신기(디코더)가 있으면, 상술한 것같이 디지탈 VTR에 기록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변속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제20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방송국측에서 제3실시예와 동일한 PBP가 슬라이스헤더에 쓰여져 있지만, 전송의 때에는 HP데이터, SP데이터로 분할되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비디오기록재생시스템은 데이터분리회로(314)를 제거하고, 제1도에 나타내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1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분리회로(314)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4실시예의 VTR에 입력되는 비트스트림데이터는 HP데이터, SP데이터로 분리되지 않지만, 제3실시예가 나타내는 PBP플래그가 슬라이스헤더에 기록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 VTR측에서 HP의 분리를 위한 레이트컨트롤을 행할 필요가 없다.
제21도에 있어서, 입력단자(272)에 MPEG2의 비트스트림이 입력되면, 이 비트스트림이 VLD회로(275)에 공급되는 동시에, 지연회로(273)에서 VLD 및 그 처리시간분 지연되고, HP추출기(274)에 공급된다. VLD회로(275)에서는 MPEG2의 가변길이부호가 해석되고 비트스트림의 구문해석이 행해진다. 또한, VLD회로(275)에서는 헤더정보가 복호된다. VLD회로(275)는 슬라이스헤더에서 PBP를 복호하고, 카운터(276)에 출력한다. 카운터(276)는 이 구문해석결과를 이용하여 HP에 할당하는 데이터를 결정한다.
카운터(276)는 비영의 DCT계수의 갯수를 지그재그스캔의 순서로 가산한다. 카운터(276)는 PBP에 달한 때, 분리신호(DEV)를 HP추출기(274)에 출력한다. 또한, PBP에 달하기 이전에 EOB가 존재하는 경우, 카운터(276)는 리세트되고, 그 블럭의 전체의 데이터는 HP데이터에 할당된다.
HP추출기(274)에서는 DEV를 수취하면, 거기까지에 HP추출기(274)에 입력된 데이터까지를 HP로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PBP에 나타낸 데이터량의 계수데이터까지가 HP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데이터분리기(303)에서 출력되는 것은 상술의 고속재생용 HP데이터 및 그 다른 데이터(SP)이다. 고속재생용 HP데이터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중복HP영역에 쓰여지고 고속재생시에 독출된다.
제3실시예에 대하여 이상의 변경을 실시하는 것으로 HP데이터, SP데이터로 분할되어 있지 않지만, PBP가 방송국측에서 설정되어 있는 신호가 방송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MPEG2의 데이터분할된 비트스트림 복호할 수 있는 수신기(디코더)가 있으면, 상술한 것같이 디지탈 VTR에 기록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변속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HP데이터와 SP데이터의 분리가 행해지지만, 패킷데이터에 AD-HDTV신호와 같은 헤더(A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AD-HDTV의 HP/SP는 방송국측에 에러대책의 이점이 있다. 이것은 시스템레이어에 있는 헤더(AH)가 존재하고, 이것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방송국측에서 HP데이터, SP데이터의 분할을 행하지만, 헤더(AH)를 이용하지 않고 최저한의 패킷의 손실에서의 에러회복처리순서를 거둬들인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비디오레이어만에서 데이터분할을 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이 방식에서 방송되는 비디오신호를 디지탈 VTR에 기록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설명한다.
MPEG2에 있어서의 데이터분할의 비디오레이어에 있어서의 신택스는 제3실시예에 나타낸 것같이 슬라이스헤더에 PBP 플래그가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슬라이스헤더는 HP데이터이므로 SP데이터에는 그 데이터 예를 들면 DCT계수 데이터가 어느 프레임의 어느 슬라이스의 어느 마크로블럭의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전연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SP의 패킷이 손실된 경우, HP데이터 및 SP데이터의 동기가 취해지지 않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더정보는 HP패킷뿐만 아니라 SP데이터에도 부가한다. 이 SP에 있어서의 헤더정보를 이용하여 패킷의 손실을 일으킨 경우에 있어서도 동기를 보다 회복할 수 있다. 따라서, SP데이터에는 전체의 헤더정보가 부가된다. 이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방송국측에서, HP데이터, SP데이터로 분할되어 방송되지만, A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MPEG2의 데이터분할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할 수 있다. 수신기에 디코더가 있으면, 상술한 것같이 디지탈 VTR에 기록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변속재생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디지탈 VTR의 헤드위치로서는 제27도에 나타낸 것같이, 방위각이 다른 2개의 헤드(71A 및 71B)가 180도 대향하여 배치되는 구성의 것과 제28도에 나타낸 것같이 동일위치에 더블방위각구성의 헤드(72A 및 72B)를 설치하도록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제29도에 나타낸 것같이 더블방위각구성의 헤드(73A 및 73B)와 더블방위각구성의 헤드(74A 및 74B)를 180도 대향하여 배치되는 4헤드의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제27도 및 제28도에 나타내는 2헤드의 구성에서는 드럼은 9000rpm으로 회전된다. 제29도에 나타내는 4헤드의 구성에서는 드럼은 4500rpm으로 회전된다.
동일의 HP패킷데이터를 18트랙에 걸쳐서 연속하여 기록하는 경우, 제30도에 나타낸 것같이 연속하는 18트랙에 동일의 HP패킷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고려된다.
제30도에 있어서, 1GOP의 사이의 최초의 18트랙에 기록되는 HP패킷데이터를 D0로 하고, 다음의 18트랙에 기록되는 HP패킷데이터를 D1로 하고, 다음의 18트랙에 기록되는 HP패킷데이터를 D2로 하고, 또한 다음의 18트랙에 기록되는 HP패킷데이터를 D3로 하고, 또한 다음의 18트랙에 기록되는 HP패킷데이터를 D4로 하고 있다.
제32도는 이와 같이 연속하는 18트랙에 동일의 HP패킷데이터를 기록한 트랙은 180도 대향의 헤드(71A 및 71B)를 이용하여 17배속으로 변속재생경우의 헤드(71A 및 71B)의 궤적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32도에 나타낸 것같이, 이와 같이 180도 대향의 헤드(71A 및 71B)를 이용한 경우에는 A채널의 헤드(71A)에서 HP패킷데이터(D0,D0,…)이 재생되고, 다음에 B채널의 헤드(71B)에서 HP패킷데이터(D1,D1,…)이 재생되고, 전체의 중복HP패킷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33도는 더블방위헤드의 헤드(72A 및 72B)로 이와 같이 연속하는 18트랙의 동일의 HP패킷데이터를 기록한 트랙을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경우의 헤드(72A 및 72B)의 궤적을 나타내는 것이다. 더블방위헤드의 헤드(72A 및 72B)를 이용한 경우에는 제33도에 나타낸 것같이 A채널의 헤드(71A) 및 B채널의 헤드(71B)에서 같이 HP패킷데이터(D0)가 재생되지만, 다음의 HP패킷데이터(D1)은 양헤드에서 같이 재생되지 않고, 다음에 재생되는 것은 HP패킷데이터(D2)로 된다. 이와 같이 더블방위헤드의 헤드(72A 및 72B)를 이용한 경우에는 중복HP패킷데이터가 전부 재생되지 않는다.
그래서, 제31도에 나타낸 것같이, 36트랙중에 동일의 방위각의 트랙에 동일의 HP패킷데이터가 배치되도록 2개의 HP패킷데이터가 기록된다.
제34도는 이와 같이 36트랙중 동일의 방위각의 트랙에 동일의 HP패킷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180도 대향의 헤드(72A 및 72B)를 이용하여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경우의 헤드궤적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34도에 나타낸 것같이 이와 같이 180도 대향의 헤드(71A 및 71B)를 이용한 경우에는 A채널의 헤드(71A)에서 HP패킷데이터(D0,D0,…)가 재생되고, 다음에 B채널의 헤드(71B)에서 HP패킷데이터(D1,D1,…)가 재생되고, 전체의 중복HP패킷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5도는 더블방위헤드의 헤드(72A 및 72B)로 36트랙중 동일 방위각의 트랙에 동일의 HP패킷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한 것을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경우의 헤드궤적을 나타내는 것이다. 더블방위의 헤드(72A 및 72B)를 이용한 경우에는 제35도에 나타낸 것같이 A채널의 헤드(71A)에서 HP패킷데이터(D0)가 재생되는 동시에 B채널의 헤드(71B)에서 HP패킷데이터(D1)가 재생되고 전체의 중복HP패킷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36트랙중 동일 방위각의 트랙에 동일의 HP패킷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면, 180도 대향의 헤드(71A 및 71B)를 이용하여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경우에도, 더블방위헤드(72A 및 72B)로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경우에도 전체의 HP패킷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4헤드의 경우에는 회전헤드수가 1/2이 되므로, 17배속의 때의 헤드의 궤적은 제36도에 나타낸 것같이 된다. 이와 같은 4헤드의 구성에서는 9배속으로 하면 더블방위헤드를 이용한 때와 동일한 헤드의 궤적이 된다. 따라서, 36트랙중 동일 방위각의 트랙에 동일의 HP패킷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면, 9배속과 5배속으로 변속재생을 행할 수 있다.
제9도는 이와 같이 기록된 데이터를 17배속으로 변속재생한 때의 화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9도에 나타낸 것같이 변속재생을 하면, 화면은 영역(M1,M2,M3,…)로 12분할된다. 각 분할영역(M1,M2,M3,…)은 각각 90트랙의 중복HP영역에 기록한 160싱크블럭분의 HP패킷의 I프레임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변속재생시에 12분할한 영역(M1,M2,M3,…)을 전부 갱신할 수 있다.
제10도는 상술한 것같이 160싱크블럭분의 HP패킷데이터를 36트랙중에서 동일의 방위각의 트랙에는 동일의 HP패킷데이터가 기록되도록 90트랙에 기록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제37도는 메모리(17A∼17C)의 읽기/쓰기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것이고, 제18(a)도는 GOP주기를 나타낸다. 제37(b)도∼제37(d)도에 나타낸 것같이 먼저 메모리(37A∼37C)에 데이터가 순서대로 축적된다. 그리고, 제37(d)도∼제37(g)도에 나타낸 것 같은 메모리(37A∼37C)에서 2채널로 데이터가 순서대로 독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D-HDTV방식의 신호를 디지탈 VTR의 SD모드에서 기록하는 때에, AD-HDTV방식의 신호의 전송률이 SD모드에서의 소스율보다 낮음으로써 생기는 여유영역에 I프레임을 포함하는 HP패킷데이터가 중복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이 HP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는 영역은 변속재생시에 헤드의 트레이스와 트랙의 위치관계가 유지된 때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에 할당된다. 이로 인해, 변속재생시에 I프레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HP패킷이 확실히 재생되고 변속재생시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1트랙당 32싱크블럭의 동일의 HP패킷데이터를 18트랙중복시키면서 90트랙마다 장소를 시프트하여 기록하고 있으므로 변속재생시에 화면전체가 갱신되고 변속재생시의 화질이 향상된다.

Claims (13)

  1. 압축하여 전송되는 화상신호를 직접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는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과 앞 또는 양방향 예측부호화한 프레임을 순서대로 중요도가 높은 패킷과 중요도가 낮은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탈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의 데이터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은 현행 텔레비젼방식의 비디오신호를 디지탈기록하기 위해 압축한 압축현행방식의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되어 있고,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이 상기 압축현행방식의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음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상기 화상신호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는 기록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변속재생시에 고정으로 되는 재생가능영역에 상기 여유기록영역을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n배속 재생시에 거의 n트랙연속하여 동일한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상기 여유기록영역에 중복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이 나타나는 주기마다에 상기 여유기록영역에 기록하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의 위치를 시프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5. 압축하여 전송하는 화상신호를 직접자기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에 있어서, 전송되어온 상기 화상신호를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와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로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은 현행 텔레비젼방식의 비디오신호를 디지탈기록하기 위해 압축한 압축 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되어 있고, 상기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이 상기 압축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함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장치.
  6. 화상신호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 및 중요도가 낮은 패킷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시에 각 트랙의 여유기록영역에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가 중복하여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변속재생시에는 상기 각 트랙의 여유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재생장치.
  7. 압축하여 전송되는 화상신호를 직접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는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과 앞 또는 양방향 예측부호화한 프레임을 순서대로 중요도가 높은 패킷과 중요도가 낮은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탈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의 데이터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은 현행 텔레비젼방식의 비디오신호를 디지탈기록하기 위해 압축한 압축현행방식의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되어 있고,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이 상기 압축현행방식의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음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상기 화상신호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8. 압축하여 전송되는 화상신호를 직접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 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전송되어온 상기 화상신호를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와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로 분리하고,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은 현행 디지탈방식의 비디오신호를 디지탈기록하기 위해 압축한 압축 현행방식 텔레비젼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되어 있고, 상기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이 상기 압축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함으로써 행기는 여유기록영역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9. 화상신호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 및 중요도가 낮은 패킷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시에 각 트랙의 여유기록영역에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가 중복하여 기록된 자기 테이프를 재생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재생방법에 있어서, 변속재생시에는 상기 각 트랙의 여유기록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10. 압축하여 전송되는 화상신호의 전송률이 압축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함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상기 화상신호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거의 2n(n은 변속재생시의 배속) 트랙에 걸쳐서 상기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중의 1개는 제1방위각의 트랙에 기록하고 다른 한 개는 제2방위각의 트랙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재생시의 배속수는 17이고, 상기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기록하는 트랙수는 36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12. 압축하여 전송되는 화상신호를 직접 자기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한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의 전송률이 상기 압축현행방식 디지탈 비디오신호의 전송률보다 낮게 함으로써 생기는 여유기록영역에 상기 화상신호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는 것과,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거의 2n(n은 변속재생시의 배속) 트랙에 걸쳐서 상기 2개의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중의 1개는 제1방위각의 트랙에 기록하고 다른 한 개는 제2방위각의 트랙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재생시의 배속수는 17이고, 상기 2개의 상기 중요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기록하는 트랙수는 36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방법.
KR1019940011986A 1993-05-31 1994-05-30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KR100284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52837 1993-05-31
JP15283793 1993-05-31
JP19553393A JP3284678B2 (ja) 1993-07-13 1993-07-13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93-195533 1993-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926A KR940026926A (ko) 1994-12-10
KR100284450B1 true KR100284450B1 (ko) 2001-04-02

Family

ID=2648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986A KR100284450B1 (ko) 1993-05-31 1994-05-30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43932A (ko)
EP (1) EP0627855B1 (ko)
KR (1) KR100284450B1 (ko)
DE (1) DE694289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81185B2 (en) * 1993-10-22 1997-08-2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video data
JPH07226022A (ja) * 1994-02-15 1995-08-22 Sony Corp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US6115537A (en) * 1994-02-18 2000-09-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G43131A1 (en) * 1994-03-23 1997-10-17 British Telecomm Video signal coding
JP3385109B2 (ja) * 1994-04-12 200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vtr
US6977964B1 (en) * 1994-04-12 2005-12-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VTR for recording and replaying data depending on replay modes
JP3289045B2 (ja) * 1994-04-12 2002-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JPH089319A (ja) * 1994-06-23 1996-01-12 Sony Corp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3330459B2 (ja) * 1994-07-04 2002-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970004637B1 (ko) * 1994-07-18 199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브이씨알(dvcr)의 변속 재생 방법
EP0695088B1 (en) * 1994-07-29 2000-05-10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storage type communication device
JPH08106735A (ja) * 1994-10-04 1996-04-23 Sony Corp 再生装置
JPH08138316A (ja) * 1994-11-07 1996-05-31 Toshiba Corp 記録再生装置
JP3575100B2 (ja) * 1994-11-14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信/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GB9424436D0 (en) * 1994-12-02 1995-01-18 Philips Electronics Video editing buffer management
KR0129947B1 (ko) * 1994-12-30 1998-04-18 김광호 트릭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방법
KR0135810B1 (ko) * 1995-01-23 1998-05-15 김광호 트릭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재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기록/재생장치
JP2935340B2 (ja) * 1995-03-17 1999-08-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ビデオデコード装置
JP3308129B2 (ja) * 1995-03-27 2002-07-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復号化方法及び画像信号復号化装置
US5887110A (en) * 1995-03-28 1999-03-2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Corp. Video data playback system using effective scheme for producing coded video data for fast playback mode
US5793927A (en) * 1995-06-07 1998-08-11 Hitachi America, Ltd. Methods for monitoring and modifying a trick play data stream to insure MPEG compliance
US5867134A (en) * 1995-08-25 1999-02-02 Alvelda; Phillip VLSI visual display
DE19531847A1 (de) * 1995-08-29 1997-03-06 Sel Alcatel Ag Vorrichtung zur Speicherung von Videobilddaten
KR100195096B1 (ko) * 1995-09-14 1999-06-15 윤종용 트릭 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US5686963A (en) * 1995-12-26 1997-11-11 C-Cube Microsystems Method for performing rate control in a video encoder which provides a bit budget for each frame while employing virtual buffers and virtual buffer verifiers
US5909638A (en) * 1996-08-06 1999-06-01 Maximum Video Systems, Inc. High speed video distribution and manufacturing system
AR016812A1 (es) * 1997-08-14 2001-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o para transmitir informacion de video comprimida, disposiciones de compresion y de grabacion de video y aparato de reproduccion de video
US6407998B1 (en) * 1997-10-02 2002-06-18 Thomson Licensing S.A. Multimedia decoder for prioritiz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broadcast system
US6137916A (en) * 1997-11-17 2000-10-24 Sony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digital video data processing using 8-point discrete cosine transforms
US6215909B1 (en) 1997-11-17 2001-04-10 Sony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digital video data processing using 4-point discrete cosine transforms
JP3551016B2 (ja) * 1998-04-09 2004-08-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画像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US6628838B1 (en) * 1999-05-13 2003-09-30 Sony Corporation Picture decoding apparatus, picture 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icture decoding method
EP1107107A1 (en) * 1999-12-10 2001-06-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rallel data processing and shuffling
US7298959B1 (en) 1999-12-16 2007-11-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MPEG-2 transport streams using a conventional digital video recorder
US6671319B1 (en) 1999-12-28 2003-12-30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using neighboring macroblocks
US6483876B1 (en) 1999-12-28 2002-11-19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prediction modes in motion estimation
US6690728B1 (en) 1999-12-28 2004-02-10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tion estimation in compressed domain
US7088911B2 (en) * 2000-04-26 2006-08-08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366244B1 (ko) * 2007-04-24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지듀얼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의 에러 은닉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5663A1 (de) * 1989-08-03 1991-02-07 Thomson Brandt Gmbh Digitales signalverarbeitungssystem
US5168356A (en) * 1991-02-27 1992-12-0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segmenting encoded video signal for transmission
TW237589B (ko) * 1991-02-27 1995-01-01 Gen Electric
JP2909239B2 (ja) * 1991-03-27 1999-06-23 株式会社東芝 高能率符号化記録再生装置
EP1947864A3 (en) * 1991-09-30 2010-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Band-compressed signal recording/reproducing processing apparatus
US5377014A (en) * 1992-01-06 1994-12-27 At&T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recorded compressed digital high definition video information
GB9301093D0 (en) * 1993-01-20 1993-03-10 Rca Thomson Licensing Corp Digital video tape recorder for digital hd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43932A (en) 1996-08-06
DE69428938T2 (de) 2002-07-25
DE69428938D1 (de) 2001-12-13
EP0627855A3 (en) 1995-06-21
KR940026926A (ko) 1994-12-10
EP0627855B1 (en) 2001-11-07
EP0627855A2 (en) 1994-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450B1 (ko)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US6009236A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 and playback device and method for giving priority to a center of an I frame
KR100291404B1 (ko) 디지탈 기록 재생 장치
KR100838902B1 (ko) 스트림 처리 장치
JP4010066B2 (ja) 画像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画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US7536080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327771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US6643729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apparatus
KR100289856B1 (ko) 화상 신호 재생 방법 및 화상 신호 재생 장치
KR100739262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과,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US6741793B1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681992B1 (ko) 기록 장치 및 방법
GB2293516A (e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 arrangement with enhanced skip search playback
JP3792770B2 (ja) 記録再生装置
JP3460251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6217251A (ja) 画像信号記録装置および画像信号記録媒体
JP3284678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0149455A (ja)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JP3978903B2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325724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100224623B1 (ko) 영상 데이터 저장장치
JP2000312341A (ja)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方法、記録装置、ならびに、記録再生装置
JP2002171524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0152174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画像データ記録装置
JPH089323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