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231B1 - 벨트텐셔너및그를포함하는벨트텐셔닝장치와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벨트텐셔너및그를포함하는벨트텐셔닝장치와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231B1
KR100284231B1 KR1019950701086A KR19950701086A KR100284231B1 KR 100284231 B1 KR100284231 B1 KR 100284231B1 KR 1019950701086 A KR1019950701086 A KR 1019950701086A KR 19950701086 A KR19950701086 A KR 19950701086A KR 100284231 B1 KR100284231 B1 KR 10028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pport means
coil spring
wound coil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710A (ko
Inventor
데이비드이.가드너
데이비드비.노바크
Original Assignee
타쓴 조셉 브이.
데이코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쓴 조셉 브이., 데이코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타쓴 조셉 브이.
Publication of KR95070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comprising a mechanical st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텐셔너 및 그를 포함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벨트 텐셔닝 장치는 지지수단(21)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텐셔너 암(24)과, 한쪽 단부가 상기 지지수단(21)의 받침대 수단(46)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암(24)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된 대향하는 단부(30),(31)를 갖는 감긴 코일 스프링(29)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24)은, 상기 암(24)이 특정 위치로 선회되었을때 상기 암(24)과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을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지지수단(2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대향하는 단부(30),(31)증 한쪽 단부에 맞물리는 쇼울더(72)를 갖고, 상기 암(24)의 쇼울더수단(72)은 상기 스프링(29)의 한쪽 단부에 맞물려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상기 지지수단(21)의 받침대 수단(46)과 접촉하지 않은 채로 효율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은 내측 단부(31) 및 외측 단부(30)를 구성하는 대향하는 단부(30),(31)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한쪽 단부가 외측 단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벨트 텐셔너 및 그를 포함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와 그 제조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벨트 텐셔너 및 그를 이용한 벨트 텐셔닝 장치와, 상기 벨트 텐셔닝 장치 및 벨트 텐셔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벨트 텐셔닝 장치는 받침대 수단을 갖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특정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벨트 구조와, 상기 지지수단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암과, 상기 벨트 구조와 맞물려서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된 풀리와, 한쪽이 상기 지지수단의 받침대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암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된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 감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힘이 상기 벨트구조를 팽팽하게 유지하고 있는 힘으로 상기 풀리를 벨트구조에 대해 유지하는 암을 한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와 같은 예가 헨더슨의 미합중국 특허제 4,886,483 호에 나타내어져 있다.
또 다른 종래의 벨트 텐셔닝 장치는 받침대 수단을 갖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특정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벨트 구조와, 상기 지지수단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암과, 상기 벨트 구조와 맞물려서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풀리와, 한쪽이 상기 지지수단의 받침대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다른쪽은 상기 암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된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 감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그에 의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힘이 상기 벨트 구조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힘으로 상기 풀리를 상기 벨트구조에 대해 유지하는 암을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암은 특정 위치로 선회되었을 때 상기 암 및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을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대향하는 단부중 한쪽 단부에 맞물리는 쇼울더수단을 갖고, 상기 암의 쇼울더수단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와 맞물려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가 상기 지지수단의 받침대 수단과 접촉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은 내측 및 외측의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내측 단부률 구성한다. 그 예로서가드너등 몇명에게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 5,190,502 호가 있다.
[발명의 개요]
앞서 언급한 가드너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 5,190,502 호 발명의 특징중 하나는, 암과, 독립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암에 수반될 수 있고 지지수단에 조립되었을때 스프링의 한쪽 단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힘이 무한 경로상을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수단에 수반된 무한 운반벨트 구조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하기위하여 상기 지지수단상의 받침대 수단으로 스프링의 상기 한쪽 단부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감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벨트 텐셔너를 구비한벨트 텐셔닝 장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발명의 지시에 따르면, 상기 암과 스프링이 독립적인 장치로 상기 벨트 텐셔닝 장치에 삽입되고 또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가 맞물릴 수 있는 쇼울더수단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지지수단에 조집되는 경우 스프링의 상기 한쪽 단부의 맞물림을 상기 암의 쇼울더 수단으로부터 상기 지지수단상의 받침대수단으로 이동시켜 상기 한쪽 단부가 상기 지지수단에 효과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스프링의 힘이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된 풀리에 의해 맞물리는 벨트 구조에 장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암을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서는 스프링의 한쪽 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내측 단부를 구성하였으나, 본 특허 출원서에 침부된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셔너가 지지수단에 탑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제는 상기 스프링의 한쪽 단부가 스프링의 외측 단부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구체적 실시예는 받침대 수단을 갖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특정 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 벨트 구조; 상기 지지수단에 선희가능하게 탑재된 암;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되어 상기 벨트구조와 맞물리는 풀리; 한쪽 단부는 상기 지지수단의 받침대 수단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암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는 대향하는 단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힘이 상기 암을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벨트구조에 인가되는 장력으로 상기 벨트구조에 대항하여 상기 풀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암은 특정위치로 선회되었을때 상기 암과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을 독립적인 장치로 상기 지지수단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해 감긴 코일 스프링의 대향하는 단부중 하나에 맞물리기 위한 쇼울더수단을 갖고, 상기 암의 쇼울더수단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에 맞물려서 지지수단의 받침대 수단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은 내측 및 외측 단부로 이루어지는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한쪽 단부는 외측단부를 구성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앞서서 이미 설명했거나 또는 이후에 나타내어지고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새로운 벨트 텐셔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벨트 텐셔닝 장치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앞서서 이미 설명했거나 또는 이후에 나타내어지고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벨트 텐셔닝 장치를 위한 새로운 벨트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으로, 앞서서 이미 설명했거나 또는 이후에 나타내어지고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벨트 텐셔너를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앞서서 이미 설명했거나 또는 이후에 나타내어지고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 특허청구범위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형태 및 기술적 장점이 나타내어진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이용한 본 발명의 새로운 벨트 텐셔닝 장치를 나타내는 국부적인 투시도,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에서 벨트 텐셔너와 벨트구조가 제거되고 상기 벨트 텐셔닝 장치의 지지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형성하는 여러가지 부분의 분해 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확대된 배면도,
제 5 도는 상기 제 4 도의 화살표5-5의 방향에서 본 벨트 텐셔너의 측면도,
제 6 도는 상기 제 2 도 지지수단의 국부적인 정면도,
제 7 도는 상기 제 4 도의 벨트 텐셔너가 상기 제 6 도의 지지수단에 처음에 어떻게 조립되는가를 보여주는 간략화된 정면도,
제 8 도는 벨트 텐셔너가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벨트구조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 7 도의 벨트 텐셔너가 어떻게 선회되는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제 9 도는 상기 제 7 도의 9-9선에서 바라 본 국부적인 단면도,
제 10 도는 상기 제 9 도의 10-10선에서 바라 본 국부적인 단면도,
제 11 도는 상기 제 10 도에서 텐셔너가 텐셔닝 위치에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 12 도는 상기 제 11 도의 텐셔너가 벨트구조에 장력을 인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최선 실시예]
이제부터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는 특히 특정 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벨트구조상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벨트 텐셔너를 제공하기에 적합하지만, 다른 시스템에 대하여도 바람직한 벨트 텐셔너를 제공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여러가지 조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침부된 도면은 탄지 본 발명의 광범위한 이용형태들 중에서 하나만을 나타내는데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도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벨트 텐셔닝 장치가 번호 20에 의해 지시되어 있고, 지지수단(21), 상기 지지수단(21)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21)에 대해 특정 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 벨트 구조(22), 및 이후에 설명하게 될 방법으로 상기 벨트구조(22)를 팽팽하게 유지하는 참고 번호 '23'으로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벨트 텐셔너로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 텐셔너(23)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1)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벨트구조(22)의 일측(27)과 맞물려 구르도록 배치된 벨트 접촉면(26)을 갖는 획전가능한 풀리(25)를 수반하는 금속이나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암(24)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암(24)과 풀리(25)는 정상적인 경우 감긴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제 12 도에서 화살표 '28'로 나타내어진 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한쪽 단부(30)는 이후에 설명하게 될 방법으로 상기 지지수단(21)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며 다른쪽 단부(31)은 상기 암(24)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된다.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은 나선형으로 감기는 납작한 금속 도선 스프링수단으로서, 마찰없는 중합체 스트립(32)이 인접하는 코일 사이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수단(29)이 종래에 잘 알려진 방식대로 기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헨더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 4,886,483 호로서 본 출원에 참고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벨트 텐셔너(23)는 스프링 수단(29)을 수반하여 지지수단(21)에 독립적으로 부착되거나 제거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수단(29)은 상기 암(24)의 일부(69)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되는 외측 단부(30)를 갖고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방법으로 상기 지지수단(21)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풀리(25)가 상기 벨트구조(22)를 어느 정도 완전히 팽팽하게 하는 힘으로 상기 벨트구조(22)에 대해 유지되고, 앞서 언급한 헨더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 4,886,483 호에서 충분히 설명된 이유로 이제부터 본 발명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벨트 텐셔닝 장치(20) 및 벨트 텐셔너(23)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지지수단(21)은 도시되지 않은 수송차(transportation vehicle)등의 내부 연소엔진과 같은 지지구조체(33)를 구비하고, 볼트와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상기 지지구조체(33)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수단(21)을 상기 지지구조체(33)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판 또는 브래킷(bracket )에 탑재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커버이다.
상기 지지수단(21)은 제 2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1)의 일측(37)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중심부(36)을 갖고, 상기 원통형 중심부(36)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방법으로 금속 고정부재(40)의 외측으로 나삿니가 형성된 단부(39)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측으로 나삿니가 형성된 개구(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40)는 제 3 도 및 체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1)의 원통형 중심부(36) 상의 평평한 쇼울더(43)와 상기 나삿니가 형성된 부분(39)에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평평한 쇼울더(42)에 의해 맞물려 결합되는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확대된 원통부(41)를 가지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0)를 상기 지지수단(21)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방법으로 텐셔너(23)를 지지수단(21)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21)은 상기 원통형 중심부(36)와 중심축이 같고 상기 지지수단의 일측(37)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롯(45)이 형성되어 있는 고리형 벽(44)과, 이후에 더욱 분명해 지겠지만 상기 지지수단(21)에 상기 단부(30)를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제 1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스프링(29)의 단부(30)가 맞물리는 받침대 수단(46)을 갖는다.
상기 지지수단(21)의 벽(44)은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방법으로 벨트 텐셔너(23) 암(24)의 원통형 벽(49)에 형성된 아치형의 외측 표면(4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일정간격 떨어져서 신축자재하게 배치되기에 적합한 아치형의 내측 표면(47)을 갖는다.
상기 지지수단(21)은 또한 그의 일측(37)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된벽(5l),(52)을 갖고, 상기 각벽(51),(52)은 벨트 텐셔너(23) 암(24)의 정지 연장부(57)의 표면(55),(56)에 맞물려질 수 있는 표면(53),(54)을 갖는다.
상기 표면(53),(55)은 또한 초기 조립시 정렬수단이 된다. 즉, 상기 표면(53),(55)는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조립시에 상기 표면(53), (55)이 서로 접촉하도록 병렬로 배치된다.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21)에 처음 벨트 텐셔너(23)가 탑재되면, 고정부재(40)가 원통형 중심부(36)내의 개구(38)에 나사식으로 죄어져서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벨트 텐셔너 시스템(20)이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구조(22)에 장력을 가하기 위해 처음 이용되면, 적절한 도구(58)가 시스템(20)에 상기 벨트구조(22)를 조립하기 위하여 도면에서 화살표(61)로 나타낸 방향으로 암(24)을 회전시킴에 의해 암(24)내의 사각 개구(60)내에 배치되고, 종래에 잘 알려진 방법대로 상기 개구(60)로부터 도구(58)를 제거하므로써 상기 풀리(25)가 장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제 3 도에 아주 잘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암(24)의 벽(49)에는 슬롯(62)이 형성되어 있어서 끼웠다 뺏다 할수 있는 마찰없는 부재(66)의 디스크 형상부(65)상의 돌출부(64)가 수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마찰없는 부재(66)는 앞서 언급된 헨더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 4,886,483 호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는 이유로 스프링(29)의 첫번째 내측 코일(68) 아래로 삽입되는 아치형 플랜지(67)를 갖는다.
암(24)에 조립되어 일부를 형성하는 부재(69)는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배치된 한 쌍의 로드(70),(71)를 갖고, 상기 로드(70),(71)는 각각 상기 부재(69)의 표면(69')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24)에 접해졌을때 상기 암(24)의 개구(70'),(71')에 수용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상기 부재(69)는 또한 스프링의 외측 단부(30)가 맞물리도록 형성된 쇼울더 수단(72)을 갖는다.
이와 같이 감긴 코일 스프링(29)이 상기 암(24)에 조립되면 상기 스프링(29)의 내측 단부(31)가 벽(49)의 슬롯(62)내에 놓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암(24)에 상호연결되고, 외측 단부(30)는 상기 부제(69)의 쇼울더 수단(72)에 놓여지며,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스프링(29')은 여전히 감겨진 상태가 되므로 종래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코일(29')는 풀리려고 하는 힘을 갖게 되고 스프링(29)는 탄성력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29)의 단부(31)는 상기 스프링(29)의 내측 코일(68)에대해 직각을 이루고 외측 단부(30)는 제 10 도 및 제 1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여 있다.
상기 스프링(29)의 내측 단부(31)는 상기 암(24)의 벽(49)에 형성된 슬롯(62)에 삽입될 수 있고, 외측 단부(30)는 미도시된 적절한 도구에 의해 맞물려서 상기 부재(69)의 쇼울더 수단(72) 너머의 위치로 구부려진다. 이때 상기 부재(69)의 각 로드(70),(71)는 개구(70),(71')에 놓여져 그 안으로 눌려진다. 그리고 상기 로드(70)는 볼트, 브랙킷, 납땜, 또는 용접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기 암(24)에 고정된다. 그 후, 지금은 상기 암(24)의 일부가 된 부재(69)의 쇼울더 수단(72)에 상기 스프링의 표면(30')을 맞물리도록 도시되지 않은 도구에 의해 상기 스프링(29)이 풀려진다.
상기 암(24)의 단부(73)에 위치한 원통형 샤프트 수단(73')상에는 풀리(25)가 회전가능하게 탑재되어 나사식 고정부재(74)와 같이 종래의 잘 알려진 방법으로 고정되고, 그렇게 하므로써 상기 풀리(25)는 상기 암(24)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암(24)은 이후에 나타내어지게 되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21)의 원통형 중심부(36) 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된다. 특히 원통형 개구(75)가 상기 암(24)의 벽(49) 또는 중심부를 통해 중합체 물질과 같은 어떤 적절한 마찰없는 물질로 된 원통형 끼움쇠테(77)와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끼움쇠테(77)는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24)의 측면(79)에 대해 밀착되어 배치되기에 적합한 확대된 플랜지 단부(78)를 갖는다.
그리고 고정부재(40)는 제 9 도에 도시된 끼움쇠테(77) 원통형 중심부의 개구(80)내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원통형 중심부(41)와, 상기 고정부재(40)의 나삿니가 형성된 단부(39)가 지지수단(21)의 나삿니가 형성된 개구(38)에 완전히 나사식으로 결합되었을때 상기 암(24)의 측면(79)에 대해 단단히 밀착되도록 볼록하게 곡면을 이루는 워셔(washer )(82)와 같은 바이어싱수단을 구성하는 확대된 헤드(81)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고정부재(40)의 평평한 쇼울더(42)가 지지수단(21)의 원통형 중심부(36)에 형성된 평평한 쇼울더(43)에 인접하게 되고, 그에 의해 비록 상기 바이어싱수단(82)의 힘이 고정부재(40) 상에서 상기 암(24)을 축을 중심으로 운동시킬지라도 마찰없는 부재(66)의 디스크 형상부(65)가 상기 지지수단(21)의 고리형 벽(44)의 표면수단(85)에 인접하여 맞물릴때까지 상기 암(24)이 상기 끼움쇠테(77)상에서 선회하거나 또는 회전하는 즉 지지수단(21)에 대해 선회하는 동안 상기 고정부재(40)는 회전하지 않고 유지된다.
그리고 벨트 텐셔너(23)가 상기 지지수단(21)으로부터 분리되었을때 상기 고정부재(40)를 상기 암(24) 및 스프링(29)과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 끼움쇠테(77)는 상기 고정부재(40)의 고리형 슬롯(42')에 맞물리는 상승된 선반(76)을 갖고, 그에 의해 상기 끼움쇠테(77)와 암(24)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부재(40)가 유지된다. 상기 끼움쇠테(77)는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의 원통형 벽(49)에 형성된 개구(75)를 통해 완전히 밀어넣어졌을때 상기 원통형 벽부(49)에 딸깍 소리를 내면서 맞춰지는 수단(77')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벨트 텐셔너(23)는 암(24), 풀리(25) 및 감긴 코일 스프링(29)을 포함하는 독립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비교적 소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앞서 언급된 헨더슨의 미합중국 특허 제 4,886,483 호에 설명된 벨트 텐셔너와 같이 종래에 이미 알려진 벨트 텐셔너의 구성을 변경하므로써 비교적 저가의 벨트 텐셔너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지지수단(2)이 부착되고 다음으로 이미 설명된 방법으로 볼트나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지지 구조체(33)에 부착된 본 발명의 벨트 텐셔너(23)를 시스템(20)에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벨트 텐셔너(23)는 제 7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조립되며, 따라서 스프링(29)의 외측 단부(30)가 상기 벽(44)의 슬롯(45)내에 배치되고 상기 암(24)의 연장부(57)의 정지 표면(55),(56)은 상기 지지수단(21)의 표면(53),(5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장부(57)의 정지 표면(55)이 상기 지지수단(21)의 벽(51)의 정지표면(53)을 지나 간격을 둔 관계로 미끄러진다. 더욱이 상기 암(24)의 원통형 벽(49)은 지지수단(21)의 원통형 중심부(36)에 대해 신축자재하게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9)의 외측 단부(30)는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1)의 고리형 벽(44)에 설치된 받침대 수단(46)으로 쑥 걸쳐져 있다.
이때 고정부재(40)는 고리모양의 펑펑한 쇼울더(42)가 제 9 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원통형 중심부(36)의 평평한 쇼울더(43) 표면에 인접할 때까지 원통형 중심부(36)의 나삿니가 형성된 개구(38)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삿니가 형성된 단부(39)를 갖고, 상기 고정부재(40)의 확대된 헤드(81)와 끼움쇠테(77)의 플랜지 단부(78) 사이에는 상기 암(24)의 측면(79)에 대해 상기 끼움쇠테(77)의 플랜지 단부(78)가 밀접하고 상기 지지수단(21)의 고리형 벽(44)의 접촉 표면수단(85)에 대해 마찰없는 부재(66)의 디스크 형상부(65)가 밀접하도록 바이어싱 수단(82)이 끼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벨트 텐셔너(23)가 지지수단(21)에 완전히 조립되어 이제부터 설명될 무한 운반 벨트 구조(22)에 장력을 가하기 위한 작동위치로 놓여질 수 있다.
일단 벨트 텐셔너(23)가 벨트구조(22)에 장력을 가하게 하려면, 적절한 도구(58)가 암(24)의 사각 개구(60)내에 삽입되고, 제 8 도에서 화살표(61)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상기 도구(58)를 이용하여 암(24)을 제 8 도에서 화살표(61)로 표시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회전하는 암(24)의 일부(69)에 형성된 쇼울더(72)가 스프링(29)의 외측단부(30)의 표면(30')과의 맞물림에서 벗어나 상기 스프링(29)의 외축 단부(30)가 상기 지지수단(21)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제 8 도 및 제 11 도에서 화살표(61)로 도시된 시계방향으로의 상기 암(24)의 회전은 상기 스프링(29)의 내측단부(31)를 상기 스프링(29)을 더욱 감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벨트구조(22)의 일측(27)이 제 1 도, 제 8 도 및 제 1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풀리(25)의 벨트 접촉면(26)에 대항하여 놓여지면 그때부터는 스프링(29)을 풀으려고 하는 힘이 제 12 도에서 화살표(2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벨트구조(22)의 일측(27)에 대해 작용하게 되어 종래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벨트구조(22)에 장력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벨트 텐셔너(23)의 장력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암(24)의 정지표면(55),(56)은 제 1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21)상의 표면(53),(54)의 중간에 놓이게 된다.
벨트 텐셔너(23)를 지지수단(21)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벨트구조(22)를 상기 풀리(25)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암(24)의 정지표면(55)이 상기 지지수단(21)의 정지표면(53)에 맞물릴 때까지 즉, 회전하는 암(24)의 일부(69)에 형성된 쇼울더(72)가 스프링(29)의 외측 단부(30) 표면(30')과 다시 맞물려서 실질적으로 상기 스프링(29)의 외측 단부(30) 표면(30')을 상기 지지수단(21)의 받침대 수단(46)으로부터 제거하므로서 상기 스프링(29)의 외측 단부(30)가 더 이상 상기 지지수단(21)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암(24)을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21)의 나삿니가 형성된 개구(38)로부터 고정부재(40)가 분리될 수 있고 스프링(29)을 수반한 독립적인 장치로서 벨트 텐셔너(23)를 지지수단(2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상기 이전의 벨트 텐셔너를 대체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이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벨트 텐셔너(23)가 앞서 설명된 방법으로 상기 지지수단(21)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여하튼 본 발명은 새로운 벨트 멘셔닝 장치 및 그를 위한 벨트텐셔너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상기 벨트 텐셔닝 장치 및 벨트 텐셔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받침대 수단(46)을 갖는 지지수단(21):
    상기 지지수단(21)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특정 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 벨트 구조(22);
    상기 지지수단(21)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암(24);
    상기 암(24)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되어 상기 벨트 구조(22)와 맞물리는 풀리(25): 및
    한쪽 단부(30)는 상기 지지수단(21)의 상기 받침대 수단(46)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다른쪽 단부(31)는 상기 암(24)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는 대향하는 단부(30),(31)를 갖는 감긴 코일 스프링(29)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이 상기 벨트 구조에 인가되는 장력으로 상기 벨트 구조(22)에 대해 상기 풀리(25)를 지지하는 상기 암(24)을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되어있고,
    상기 암(24)은 특정 위치로 선회되었을때 상기 암(24)과 상기 감긴코일 스프링(29)을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지지수단(2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대향하는 단부(30),(31)증 한쪽 단부가 맞물리는 쇼울더 수단(72)을 갖고, 상기 암의 쇼울더 수단(72)은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한쪽 단부와 맞물려서 상기 지지수단(21)의 받침대 수단(46)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상기 한쪽 단부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은 내측 단부(31) 및 외축 단부(30)를 구성하는 대향하는 단부(30),(31)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상기 쪽 단부가 상기 외측 단부(3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2. 받침대 수단(46)을 갖는 지지수단(21)과 상기 지지수단(21)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특정 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 벨트 구조(22)로 이루어지는 벨트 텐셔닝 장치(20)용 벨트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23)는,
    상기 지지수단(21)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암(24);
    상기 암(24)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되어 상기 벨트 구조(22)와 맞물리는 풀리(25); 및
    한쭉 단부는 상기 지지수단(21)의 상기 받침대 수단(46)에 작농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암(24)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는 대향하는 단부(30),(31)를 갖는 감긴 코일 스프링(29)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이 상기벨트 구조에 인가되는 장력으로 상기 벨트 구조(22)에 대해 상기 풀리(25)를 지지하는 상기 암(24)을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암(24)은 특정 위치로 선회되었을때 상기 암(24)과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을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지지수단(21)에 장착하고 또 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대향하는 단부(30),(31)중 한쪽 단부가 맞물리는 쇼울더 수단(72)을 갖고, 상기 암의 쇼울더 수단(72)은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한쪽 단부와 맞물려서 상기 지지수단(21)의 받침대 수단(46)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상기 한쪽 단부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은 내측 단부(31) 및 외측 단부(30)를 구성하는 대향하는 단부(30),(31)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상기 쪽 단부가 상기 외측 단부(3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은 사실상 납작한 도선으로 된 나선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1)은 상기 암의 선회운동을 그의 각 선회운동 방향내로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암(24)에 의해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된 한 쌍의 정지수단(51),(5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24)이 특정 위치에 놓여졌을때 상기 암(24)이 상기 한 장의 정지수단(51),(52)증 하나에 가까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1)은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원통형 중심부(36)를 갖고, 상기암(24)은 상기 원통형 중심부(36)에 대해 이동하기 위하여 배치된 표면수단(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1)은 개구(38)를 갖고, 고정부재(40)가 상기 암(24)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21)에 상기 암(24)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38)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24)은 상기 고정부재(40)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암(24) 사이에는 그 사이의 회전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원통형 끼움쇠테(7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끼옴쇠테(77)는 상기 암(24)과 맞물리는 고리형 플랜지(78)를 갖고,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암(24)에 대하여 상기 고리형 플랜지(78)를 죄기 위한 확대된 헤드(8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24)의 쇼울더수단(72)은 수직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로드(70),(71)를 갖는 부분(69)을 구비하고,
    상기 암(24)은 상기 한 쌍의 로드(70),(71)가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개구(70'),(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
  12. 받침대 수단(46)을 갖는 지지수단(21);
    상기 지지수단(21)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특정 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 벨트 구조(22);
    상기 지지수단(21)에 선희가능하게 탑재되는 암(24);
    상기 암(24)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되어 상기 벨트 구조(22)와 맞물리는 풀리(25); 및
    한쪽 단부는 상기 지지수단(21)의 상기 받침대 수단(46)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암(24)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는 대향하는 단부(30),(31)를 갖는 감긴 코일 스프링(29)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이 상기 벨트 구조에 인가되는 장력으로 상기 벨트 구조(22)에 대해 상기 풀리(25)를 지지하는 상기 암(24)을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암(24)은 특정 위치로 선회되었을때 상기 암(24)과 상기 감긴코일 스프링(29)을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지지수단(2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대향하는 단부(30),(31)증 한쪽 단부가 맞물리는 쇼울더 수단(72)을 갖고, 상기 암의 쇼울더 수단(72)은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한쪽 단부와 맞물려서 상기 지지수단(21)의 받침대 수단(46)과 접촉하기 않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상기 한쪽 단부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은 내측 단부(31) 및 외측 단부(30)를 구성하는 대향하는 단부(30),(31)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상기 한쪽 단부가 상기 외측 단부(30)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의 제조하는 방법.
  13. 받침대 수단(46)을 갖는 지지수단(21)과 상기 지지수단(21)에 수반되고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 특정 경로내를 움직이도록 설치된 무한 운반 벨트 구조(22)로 이루어지는 벨트 텐셔닝 장치(20)용 벨트 텐셔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23)는,
    상기 지지수단(21)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암(24);
    상기 암(24)에 회전가능하게 수반되어 상기 벨트 구조(22)와 맞물리는 풀리(25); 및
    한쪽 단부는 상기 지지수단(21)의 상기 받침대 수단(46)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상기 암(24)에 작동가능하게 상호연결되는 대향하는 단부(30),(31)를 갖는 감긴 코일 스프링(29)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이 상기 벨트 구조에 인가되는 장력으로 상기 벨트 구조(22)에 대해 상기 풀리(25)를 지지하는 상기 암(24)을 한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암(24)은 특정 위치로 선회되었을때 상기 암(24)과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을 독립적인 장치로서 상기 지지수단(21)에 장착하고 또 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대향하는 단부(30),(31)중 한쪽 단부가 맞물리는 쇼올더 수단(72)을 갖고, 상기 암의 쇼울더 수단(72)은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한쪽 단부와 맞물려서 상기 지지수단(21)의 받침대 수단(46)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의 상기 한쪽 단부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은 내측 단부(31) 및 외측 단부(30)를 구성하는 대향하는 단부(30),(31)을 갖는 나선형 스프링이고, 상기 감긴 코일 스프링(29)의 상기 한쪽 단부가 상기 외측 단부(30)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텐셔닝 장치의 제조하는 방법.
KR1019950701086A 1992-09-18 1993-09-17 벨트텐셔너및그를포함하는벨트텐셔닝장치와그제조방법 KR100284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47317 1992-09-18
US07/947,317 US5277667A (en) 1992-09-18 1992-09-18 Belt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of making
PCT/US1993/008864 WO1994007057A1 (en) 1992-09-18 1993-09-17 Belt tensioning system, belt tensioner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710A KR950703710A (ko) 1995-09-20
KR100284231B1 true KR100284231B1 (ko) 2001-11-22

Family

ID=2548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086A KR100284231B1 (ko) 1992-09-18 1993-09-17 벨트텐셔너및그를포함하는벨트텐셔닝장치와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5) US5277667A (ko)
EP (1) EP0659249B1 (ko)
JP (1) JP3271011B2 (ko)
KR (1) KR100284231B1 (ko)
AT (1) ATE163214T1 (ko)
AU (1) AU664657B2 (ko)
CA (1) CA2143710C (ko)
DE (1) DE69316985T2 (ko)
ES (1) ES2113553T3 (ko)
MX (1) MX9305709A (ko)
WO (1) WO1994007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0502A (en) * 1992-02-07 1993-03-02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ing system, belt tensioner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GB2287519A (en) * 1992-09-03 1995-09-20 Nsk Ltd Auto tensioner
US5352160A (en) * 1992-09-03 1994-10-04 Nsk Ltd. Auto tensioner
US5277667A (en) * 1992-09-18 1994-01-11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of making
US5348514A (en) * 1993-09-21 1994-09-20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components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462494A (en) * 1994-10-20 1995-10-31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647812A (en) * 1995-11-30 1997-07-15 Borg-Warner Automotive, Inc. Coil spring chain tensioner
US5964674A (en) * 1997-03-21 1999-10-12 The Gates Corporation Belt tensioner with bottom wall of base juxtaposed pivot arm
CZ20022396A3 (en) * 2000-01-12 2004-04-14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comprising a damping mechanism
US6582332B2 (en) * 2000-01-12 2003-06-24 The Gates Corporation Damping mechanism for a tensioner
US6560879B2 (en) 2001-08-02 2003-05-13 Wci Outdoor Products, Inc. Chain saw adjuster
US7163478B2 (en) * 2001-12-12 2007-01-16 Dayco Products, Llc Belt tensioner having an automatically adjustable travel stop
US6855079B2 (en) * 2002-09-30 2005-02-15 Fenner, Inc. Bi-directional belt tensioner
US7883436B2 (en) * 2004-09-15 2011-02-08 Fenner U.S., Inc. Bi-directional tensioner
US7837582B2 (en) * 2002-09-30 2010-11-23 Fenner, Inc. Bi-directional belt tensioner
US7090606B2 (en) * 2003-07-03 2006-08-15 The Gates Corporation Adjustable tensioner
US7637829B2 (en) * 2004-09-29 2009-12-29 The Gates Corporation Eccentric pivot arm tensioner
WO2006105656A1 (en) * 2005-04-08 2006-10-12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molded arm
WO2006111988A1 (en) 2005-04-20 2006-10-26 Dayco Europe S.R.L. Con Unico Socio Tightener for a belt drive operating in the presence of oil
CN101263320B (zh) * 2005-07-29 2010-06-02 戴科欧洲科学研究实验室 用于与油一起使用的同步带传动的履带片张紧装置
US8083623B2 (en) * 2005-07-29 2011-12-27 Dayco Europe S.R.L. Con Unico Socio Shoe tensioner for a synchronous belt drive for use with oil
WO2007025374A2 (en) * 2005-09-01 2007-03-08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Low profile tensioner with arcuate spring
US20080119310A1 (en) * 2006-11-16 2008-05-22 Holcombe C Scott Rotary tensioner
US20080171622A1 (en) * 2007-01-16 2008-07-17 Holger Schever Flatband torsion spring and tensioner
BRPI0810603B1 (pt) * 2007-05-01 2019-02-12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or para tracionar um acionamento flexível
US20090186727A1 (en) * 2008-01-18 2009-07-23 Alexander Serkh Tensioner
US8403785B2 (en) * 2008-11-05 2013-03-26 Dayco Ip Holdings, Llc Clutched damper for a belt tensioner
IT1394250B1 (it) * 2009-04-09 2012-06-01 Dayco Europe Srl Pattino a molla per una trasmissione a cinghia bagnata d'olio
US20100261564A1 (en) * 2009-04-13 2010-10-14 Hughes Thomas E Rotary tensioner
KR101220106B1 (ko) * 2010-07-27 2013-01-11 국방과학연구소 하중지지장치, 이를 구비한 수송시스템 및 하중지지방법
FR2987411B1 (fr) * 2012-02-27 2014-09-12 Skf Ab Dispositif tendeur d'un element de traction et procede de montage d'un tel dispositif
EP2951466B1 (en) * 2013-01-30 2019-05-08 Cummins IP, Inc. Spacer for belt tensioner
WO2014123204A1 (ja) * 2013-02-07 2014-08-14 日本発條株式会社 荷重付加装置
FR3006405B1 (fr) * 2013-05-30 2016-12-23 Hutchinson Ensemble comportant un support fixe, des poulies, une courroie et un tendeur de courroie.
DE102014206716A1 (de) 2014-04-08 2015-10-08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EP2955414A1 (en) * 2014-06-13 2015-12-16 Aktiebolaget SKF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tensioning device
EP3199834B1 (en) * 2016-01-29 2018-11-07 Aktiebolaget SKF Pulley device for a belt, installation method of such a devic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CN110249158B (zh) * 2017-02-02 2020-10-27 大同工业株式会社 张紧器
DE102017003300B3 (de) * 2017-04-05 2018-04-12 Mtu Friedrichshafen Gmbh Riemenspannvorrichtung
JP6948992B2 (ja) 2018-08-01 2021-10-13 日本発條株式会社 テンショナ
JP6924172B2 (ja) * 2018-08-01 2021-08-25 日本発條株式会社 テンショナ
US11125305B2 (en) * 2019-06-20 2021-09-21 Gates Corporation Tensioner
AT524949B1 (de) * 2021-04-29 2022-11-15 Blum Gmbh Julius Fräsvorrichtung zum Ausfräsen einer taschenförmigen Ausnehmung in einer Möbelplatte zur Aufnahme eines Möbelbeschlag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8318A (en) * 1984-08-23 1988-03-01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886483A (en) * 1988-11-23 1989-12-12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30172A (en) * 1989-09-06 1991-07-09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057059A (en) * 1989-12-13 1991-10-15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131889A (en) * 1990-10-22 1992-07-21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engine accessory drive tensioner
US5129864A (en) * 1991-02-27 1992-07-14 Dayco Products, Inc. Tensioner for a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190502A (en) * 1992-02-07 1993-03-02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ing system, belt tensioner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277667A (en) * 1992-09-18 1994-01-11 Dayco Products, Inc. Belt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13553T3 (es) 1998-05-01
US5277667A (en) 1994-01-11
US5453057A (en) 1995-09-26
EP0659249A1 (en) 1995-06-28
EP0659249A4 (en) 1995-10-25
US5423723A (en) 1995-06-13
EP0659249B1 (en) 1998-02-11
AU664657B2 (en) 1995-11-23
KR950703710A (ko) 1995-09-20
JP3271011B2 (ja) 2002-04-02
CA2143710A1 (en) 1994-03-31
CA2143710C (en) 2004-07-20
US5342249A (en) 1994-08-30
DE69316985T2 (de) 1998-05-28
US5575726A (en) 1996-11-19
AU5132093A (en) 1994-04-12
MX9305709A (es) 1994-05-31
JPH08501619A (ja) 1996-02-20
DE69316985D1 (de) 1998-03-19
WO1994007057A1 (en) 1994-03-31
ATE163214T1 (de) 199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231B1 (ko) 벨트텐셔너및그를포함하는벨트텐셔닝장치와그제조방법
JP3271010B2 (ja) ベルト引張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ベルト引張器
CA2327032C (en) Autotensioner
US4713045A (en) Auto-tensioner for belt systems and a method for adjusting tension degree
JP2980936B2 (ja) ベルト緊張装置
JP2757164B2 (ja) テンショナ
JPH07301295A (ja) 偏心型ベルトテンショナ
EP0114779B1 (fr) Tendeur de courroie ou de chaîne de transmission
US5254048A (en) Belt tensioning system, belt tensioner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0387135B1 (fr) Dispositif de tension d'une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US4757409A (en) Carriage movement device for a magnetic memory device
EP0337864B1 (fr) Porte-monture de lunettes perfectionné pour machine à réproduire
JPH04347043A (ja) テンシヨン付与装置のタイトナ
JPS5936769Y2 (ja) タイミングベルトのテンシヨナ−装置
JPH08270742A (ja) ベルトテンショナー
JP2001165253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2003287096A (ja) オートテンショ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ンジン
JPH11141629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JP2939428B2 (ja) ベルトテンショナー
JP2002249162A (ja) ベルト締具
FR2656908A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par lien flexible tel que courroie.
BE502849A (ko)
JPH06147280A (ja) ベルト伝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