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185B1 -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185B1
KR100284185B1 KR1019980047085A KR19980047085A KR100284185B1 KR 100284185 B1 KR100284185 B1 KR 100284185B1 KR 1019980047085 A KR1019980047085 A KR 1019980047085A KR 19980047085 A KR19980047085 A KR 19980047085A KR 100284185 B1 KR100284185 B1 KR 100284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rotation
bush
hand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177A (ko
Inventor
권오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1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예: 모니터)의 경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모니터의 경사 조절이 힌지부와 나사의 체결에 따라 2축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모니터의 경사가 사용자의 시야에 맞게 자유로이 조절되지 못하였다. 즉, 상기의 힌지부가 제조자에 의해 고정되어 출하되는 관계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로 모니터의 자유로운 경사조절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더불어,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및 지지대를 연결하는 힌지부와 나사가 모니터의 반복적인 경사 및 회전조절에 따라 그 체결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초래되므로서, 전반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스프링 타입의 부쉬와 손잡이를 통해 3축에서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종래 제조자에 의해 힌지부가 고정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에 맞게 자유로이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을 하여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더불어, 스프링 타입의 부쉬와 손잡이를 이용하여 3축의 체결력이 조정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모니터를 반복적으로 경사 및 회전조절을 하더라도 그 체결상태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보다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예: 모니터)의 경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 타입의 부쉬와 손잡이를 통해 3축에서 모니터의 경사각도를 사용자의 시야에 맞게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니터의 경사 조절은 2축을 통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니터(1)의 후면에 일체화된 제 1 프레임(2)에 제 2 프레임(6)의 일측을 힌지부(3)로 연결하여 모니터(1)의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 2 프레임(6)의 타측을 나사(5)로 모니터(1)의 지지대(4)에 연결하여 상기 모니터(1)의 회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모니터의 경사 조절이 힌지부(3)와 나사(5)의 체결에 따라 2축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모니터(1)의 경사가 사용자의 시야에 맞게 자유로이 조절되지 못하였다.
다시말해, 상기의 힌지부(3)와 나사(5)가 제조자에 의해 고정되어 출하되는 관계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로 모니터(1)의 경사조절이 자유롭지 못하였던 것이다.
더불어, 제 1 및 제 2 프레임(1)(6)과, 제 2 프레임(6) 및 지지대(4)를 연결하는 힌지부(3)와 나사(5)가 모니터(1)의 반복적인 경사 및 회전조절에 따라 그 체결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초래되므로서, 전반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 타입의 부쉬와 손잡이를 통해 3축에서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종래 제조자에 의해 힌지부가 고정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에 맞게 자유로이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스프링 타입의 부쉬와 손잡이를 이용하여 3축의 체결력이 조정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모니터를 반복적으로 경사 및 회전조절을 하더라도 그 체결상태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보다 더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를 보인 부분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3의 C-C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프링 타입의 부쉬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연결하는 회동부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조절장치의 부분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3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 3의 C-C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프링 타입의 부쉬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연결하는 회동부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니터(1)의 후면에 일체화된 U자 형상의 제 1 프레임(10)과,
모니터(1)의 지지대(4)와 결합하되, 상기 제 1 프레임(10)과 동일형상으로 서로 직교하게 위치하는 제 2 프레임(20)과,
제 1 체결홈(30a)이 가공된 샤프트(30b)를 상하좌우에서 일체로 가지되, 서로 직교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재(30)와,
모니터(1)의 회전 및 경사가 3축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의 저어널부 체결력을 조정하는 체결조정부재(40)와,
상기 체결조정부재(40)에 의한 체결력 조정시 수축 또는 텐션작용으로 샤프트(30b)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프링 타입의 부쉬(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10)은 대향되는 제 1 저어널부(10a)와 제 1 접촉부(10b)가 일체화된 구조로서, 상기 제 1 저어널부(10a)에는 회동부재(30)와 부쉬(50)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는 제 1 안내홀(10c)이 가공된 구조이며,
상기 제 2 프레임(20)은 대향되는 제 2 저어널부(20a)와 제 2 접촉부(20b)가 일체화된 구조로서, 상기 제 2 저어널부(20a)에는 회동부재(30)와 부쉬(50)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안내홀(20c)이 가공되고,
상기 제 2 접촉부(20b)의 중심부상에는 모니터(1)의 지지대(4)를 관통하는 임의의 손잡이가 체결되기 위한 제 2 체결홈(20d)이 가공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체결조정부재(40)는, 모니터(1)의 상하 경사를 제어하도록 제 1 프레임(10)의 제 1 저어널부(10a)에 삽입된 부쉬(50)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경사조절부(41)와,
모니터(1)의 좌우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 2 프레임(20)의 제 2 저어널부(20a)에 삽입된 부쉬(50)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1 회전조절부(42)와,
모니터(1)와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의 좌우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 2 회전조절부(43)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조절부(41)는, 제 1 프레임(10)의 제 1 저어널부(10a) 체결력을 조정하도록 회전하는 제 1 손잡이(41a)와, 상기 제 1 손잡이(41a)의 회전시 샤프트(30b)의 제 1 체결홈(30a)에서 유동하여 제 1 저어널부(10a)의 제 1 안내홀(10c)에 삽입된 부쉬(50)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1 나사부(41b)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조절부(42)는, 제 2 프레임(20)의 제 2 저어널부(20a) 체결력을 조정하도록 회전하는 제 2 손잡이(42a)와, 상기 제 2 손잡이(42a)의 회전시 샤프트(30b)의 체결홈(30a)에서 유동하여 제 2 저어널부(20a)의 제 2 안내홀(20c)에 삽입된 부쉬(50)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2 나사부(42b)가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 2 회전조절부(43)는, 모니터(1)와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 3 손잡이(43a)와, 상기 제 3 손잡이(43a)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지지대(4)의 경사진 관통홀(4a)에 삽입된 부쉬(50)에 안착되는 원형의 회전면(43b)과, 제 3 손잡이(43a)의 회전시 제 2 접촉부(20b)의 중심부상에 가공된 제 2 체결홈(20d)에서 유동하여 상기 회전면(43b)에 안착된 부쉬(50)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3 나사부(43c)가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부쉬(50)의 길이방향으로 텐션홈(50a)을 가공하여 손잡이(41a) (42a)의 회전(잠금)시에는 상기 텐션홈(50a)의 폭 만큼 수축하고, 손잡이(41a) (42a)의 회전(풀림)시에는 텐션에 의해 확장되도록 하여 샤프트(30b)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모니터(1)의 후면에 U자 형상으로 대향되는 제 1 저어널부(10a)와 제 1 접촉부(10b)가 일체화된 제 1 프레임(10)을 밀착시키면, 상기 제 1 접촉부(10b)가 모니터(1)의 후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모니터(1)와 제 1 프레임(10)은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을 서로 직교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 1 체결홈(30a)이 가공된 샤프트(30b)를 상하좌우에 일체로 형성시킨 회동부재(30)를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0)의 좌우에 형성된 샤프트(30b)를 제 1 프레임(10)의 제 1 저어널부(10a)에 가공된 제 1 안내홀(10c)에 삽입하고, 상기 회동부재(30)의 상하에 형성된 샤프트(30b)를 제 2 프레임(10)의 제 2 저어널부(20a)에 가공된 제 2 안내홀(20c)에 삽입시킨다.
이후, 상기 샤프트(30b)가 삽입된 제 1 및 제 2 안내홀(10c)(20c)에 길이방향으로 텐션홈(50a)이 가공된 원형의 부쉬(50)를 삽입하면,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는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홀(10c)(20c)에서 샤프트(30b)와 부쉬(50)는 서로 밀착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체결조정부재(40)로서 경사조절부(41)의 제 1 나사부(41b)와, 제 1 회전조절부(42)의 제 2 나사부(42b)를 상기 제 1 및 제 2 저어널부(10a)(20a)에 삽입된 샤프트(30b)의 제 1 체결홈(30a)에 체결시키면,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의 조립이 일차적으로 완료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니터(1)의 지지대(4)에 경사지게 가공된 관통홀(4a)에 부쉬(50)와 제 3 손잡이(43a), 회전면(43b), 제 3 나사부(43c)가 일체화된 제 2 회전조절부(43)를 관통시킨 후, 상기 제 3 나사부(43c)에 U자 형상으로 대향되는 제 2 저어널부(20a)와 제 2 접촉부(20b)가 일체화된 제 2 프레임(20)의 제 2 체결홈(20a)에 수직방향으로 체결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과 회동부재(30), 모니터(1), 지지대(4)의 연결상태는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 완료된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및 회전조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1)를 상하방향으로 경사조절을 시키거나 좌우방향으로 회전조절을 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모니터(1)의 후면에 일체화된 제 1 프레임(10)과 상기 제 1 프레임(10)과 직교하면서 모니터(1)의 지지대(4)에 고정된 제 2 프레임(2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서로 직교된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은 좌우방향으로 샤프트(30b)를 가지는 회동부재(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샤프트(30b)에 의해 모니터(1)의 경사 및 회전은 3축에서 그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체결조정부재(40)로서 경사조절부(41)에 포함된 제 1 손잡이(41a)와, 제 1 회전조절부(42)에 포함된 제 2 손잡이(42a)의 회전에 따라 일정경사면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안내홀(10c)(20c)에 삽입된 스프링 타입의 부쉬(50)가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하게 되는 바,
상기 부쉬(50)가 수축작용을 하면 샤프트(30b)의 회전이 제어되어 모니터(1)의 경사 및 회전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부쉬(50)가 텐션작용을 하면 샤프트(30b)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므로서 상기 모니터(1)의 경사 및 회전은 사용자의 시야에 맞게 조절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니터(1)의 상하방향 경사조절이 일정위치에 도달시킨 후, 사용자가 경사조절부(41)에 포함된 제 1 손잡이(41a)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P)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손잡이(41a)와 일체화된 제 1 나사부(41b)가 샤프트(30b)의 제 1 체결홈(30a)에 깊숙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안내홀(10c)에 삽입된 샤프트(30b)의 외측에는 스프링 타입의 부쉬(50)의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 1 안내홀(10c)은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부쉬(50)는 제 1 안내홀(10c)의 경사면을 따라 제 1 손잡이(41a)와 동일하게 회전 전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쉬(50)의 길이방향에는 텐션홈(50a)이 가공되어 있는 바, 상기 텐션홈(50a)의 폭만큼 상기 부쉬(50)는 제 1 안내홀(10c)에서 수축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부쉬(50)의 수축작용에 따라 상기 부쉬(50)와 샤프트(30b) 및 제 1 안내홀(10c)의 간격은 점점 좁아지게 되므로서, 상기 샤프트(30b)의 회전이 제어됨과 동시에 모니터(1)의 경사조절은 일정각도에서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모니터(1)의 좌우방향 회전조절이 일정위치에 도달시킨 후, 사용자가 제 1 회전조절부(42)에 포함된 제 2 손잡이(42a)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살표방향(Q)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손잡이(42a)와 일체화된 제 2 나사부(42b)가 샤프트(30b)의 제 1 체결홈(30a)에 깊숙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 2 안내홀(20c)에 삽입된 샤프트(30b)의 외측에는 스프링 타입의 부쉬(50)의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 1 안내홀(20c)은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부쉬(50)는 제 2 안내홀(20c)의 경사면을 따라 제 2 손잡이(42a)와 동일하게 회전 전진하면서 수축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부쉬(50)의 수축작용에 따라 상기 부쉬(50)와 샤프트(30b) 및 제 2 안내홀(20c)의 간격은 점점 좁아지게 되므로서, 상기 샤프트(30b)의 회전이 제어됨과 동시에 모니터(1)의 회전조절은 일정각도에서 정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41a)(42a)를 상기 설명된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41a)(42a)와 일체화된 제 1 및 제 2 나사부(41b)(42b)가 샤프트(30b)의 제 1 체결홈(30a)에서 이탈하게 되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부(41b)(42b)의 이탈에 따라 제 1 및 제 2 안내홀(10c)(20c)에 삽입되어 수축작용을 하고 있던 부쉬(50)는 길이방향으로 가공된 텐션홈(50a)에 의해 확장되는 텐션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샤프트(30b)는 다시 자유로운 회전운동을 수행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모니터(1)의 회전 및 경사가 3축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회전조절부(43)에서는 상기 모니터(1)와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의 좌우회전을 동시에 제어한다.
즉, 상기 제 2 회전조절부(43)에 포함된 제 3 손잡이(43a)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제 3 손잡이(43a)와 일체화된 제 3 나사부(43c)가 제 2 프레임(20)에 형성된 제 2 접촉부(20b)의 중심부상에 가공된 제 2 체결홈(20d)에서 유동을 하면서 관통홀(4a)의 벽면을 따라 부쉬(50)도 이동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제 3 나사부(43c)에 의해 모니터(1)와 제 1 및 제 2 프레임(10)(20)의 좌우회전을 동시에 조절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프링 타입의 부쉬와 손잡이를 통해 3축에서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종래 제조자에 의해 힌지부가 고정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에 맞게 자유로이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조절을 하여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더불어, 스프링 타입의 부쉬와 손잡이를 이용하여 3축의 체결력이 조정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모니터를 반복적으로 경사 및 회전조절을 하더라도 그 체결상태의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보다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모니터의 후면에 일체화된 U자 형상의 제 1 프레임과,
    모니터의 지지대와 결합하되, 상기 제 1 프레임과 동일형상으로 서로 직교하게 위치하는 제 2 프레임과,
    제 1 체결홈이 가공된 샤프트를 상하좌우에서 일체로 가지되, 서로 직교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부재와,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가 3축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저어널부 체결력을 조정하는 체결조정부재와,
    상기 체결조정부재에 의한 체결력 조정시 수축 또는 텐션작용으로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프링 타입의 부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대향되는 제 1 저어널부와 제 1 접촉부를 일체화하되, 상기 제 1 저어널부에는 회동부재와 부쉬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는 제 1 안내홀이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대향되는 제 2 저어널부와 제 2 접촉부를 일체화하되, 상기 제 2 저어널부에는 회동부재와 부쉬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안내홀을 가공하며, 상기 제 2 접촉부의 중심부상에는 모니터의 지지대를 관통하는 임의의 손잡이가 체결되기 위한 제 2 체결홈이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조정부재는 모니터의 상하 경사를 제어하도록 제 1 프레임의 제 1 저어널부에 삽입된 부쉬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경사조절부와,
    모니터의 좌우 회전을 제어하도록 제 2 프레임의 제 2 저어널부에 삽입된 부쉬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1 회전조절부와,
    모니터와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좌우회전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 2 회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는 제 1 프레임의 제 1 저어널부 체결력을 조정하도록 회전하는 제 1 손잡이와, 상기 제 1 손잡이의 회전시 샤프트의 제 1 체결홈에서 유동하여 제 1 저어널부의 제 1 안내홀에 삽입된 부쉬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1 나사부가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조절부는 제 2 프레임의 제 2 저어널부 체결력을 조정하도록 회전하는 제 2 손잡이와, 상기 제 2 손잡이의 회전시 샤프트의 제 1 체결홈에서 유동하여 제 2 저어널부의 제 2 안내홀에 삽입된 부쉬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2 나사부가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조절부는 모니터와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 3 손잡이와, 상기 제 3 손잡이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지지대의 경사진 관통홀에 삽입된 부쉬에 안착되는 원형의 회전면과, 제 3 손잡이의 회전시 제 2 접촉부의 중심부상에 가공된 제 2 체결홈에서 유동하여 회전면에 안착된 부쉬의 수축 또는 텐션작용을 제어하는 제 3 나사부가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의 길이방향으로 텐션홈이 가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회전(잠금)에 따라 텐션홈의 폭 만큼 부쉬가 수축하여 샤프트의 회전이 정지되고,
    손잡이의 회전(풀림)에 따라 부쉬가 텐션작용으로 확장되어 샤프트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KR1019980047085A 1998-11-04 1998-11-04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KR100284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085A KR100284185B1 (ko) 1998-11-04 1998-11-04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085A KR100284185B1 (ko) 1998-11-04 1998-11-04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177A KR20000031177A (ko) 2000-06-05
KR100284185B1 true KR100284185B1 (ko) 2001-03-02

Family

ID=1955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085A KR100284185B1 (ko) 1998-11-04 1998-11-04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396B1 (ko) * 2011-03-28 2013-02-05 (주) 이노밴 모니터 받침대
CN106122725A (zh) * 2016-07-20 2016-11-16 柳州长虹机器制造公司 一种用于吊挂投影机的三轴调节挂臂关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177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3303A (en) Chair seat tilting mechanism
KR100284185B1 (ko)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US4158868A (en) Universally adjustable head support for tape deck
US5964440A (en) Cam actuated, adjustable clamp
US5505422A (en) Top adjustable kinematic mount
JP3504615B2 (ja) Tvカメラ用傾動可能取付台における、またはそれに関連する改良
JP3070793B2 (ja) 電子機器装置
JP3103856B2 (ja) ミラー保持調整装置
JPH10240141A (ja) 表示器ユニットスタンド
JPH0280085A (ja) ミシンの送り歯の支持装置
KR19990039208U (ko) 평판 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조절 장치
KR200284959Y1 (ko) Lcd 모니터 조절 장치
JP2513512Y2 (ja) Vtrのテンションレギュレ―タ
KR20000025108A (ko) 피봇 힌지
JP2765816B2 (ja) 扉の支持装置
KR970006532Y1 (ko) 모니터 스탠드
JPH11151392A (ja) 針留の針幅調節機構
KR200182196Y1 (ko) 액정모니터용스탠드
KR1003393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탠드 장착용 연결장치
KR100275041B1 (ko)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JPS6350174A (ja) チルトスタンド
JP2000204828A (ja) ヒンジ装置
JP3190265B2 (ja) 蝶 番
JP2569162Y2 (ja) 顕微鏡取付用架台
KR200191261Y1 (ko) 평판 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