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900B1 -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보상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보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900B1
KR100282900B1 KR1019940016312A KR19940016312A KR100282900B1 KR 100282900 B1 KR100282900 B1 KR 100282900B1 KR 1019940016312 A KR1019940016312 A KR 1019940016312A KR 19940016312 A KR19940016312 A KR 19940016312A KR 100282900 B1 KR100282900 B1 KR 100282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ydraulic
switches
condition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덕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16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900B1/ko
Priority to DE69506955T priority patent/DE69506955T2/de
Priority to EP98103519A priority patent/EP0851153B1/en
Priority to DE69519177T priority patent/DE69519177T2/de
Priority to EP95110507A priority patent/EP0691487B1/en
Priority to US08/499,061 priority patent/US5611749A/en
Priority to US08/680,984 priority patent/US56431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900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변속패턴에 따라 클러치 작동 유압에 의해 각각의 마찰요소들이 정확하게 작동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각각의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관로상에 설치된 압력 스위치들(S1, S2, S3, S4)의 신호를 독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한 제1단계에서 독출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압력 스위치(S1)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는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한 제2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1, S2)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3, S4)가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한 제3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든 압력 스위치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한 제4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2, S3)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1, S4)이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한 제5단게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1, S2, S3)가 오프상태이고 압력 스위치(S4)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로 실행되고, 상기한 제6단계가 만족되지 않으면 유압제어 시스템의 본체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또한 상기한 압력스위치 오프에서 온 상태로 변경될때 시간을 TCU에 피이드 백하여 압력을 보상하는 유압감지 보상방법.

Description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유압 제어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압력 스위치 작동 로직표,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작동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1-2 시프트 밸브 26 : 2-3/4-3 시프트 밸브
28 : 엔드 클러치 밸브 30 : 리어 클러치 해방밸브
C1 : 제1마찰요소 C2 : 제2마찰요소
C3 : 제3마찰요소 C4 : 제4마찰요소
S1,S2,S3,S4 : 압력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마찰요소에 작용하는 유압을 감지하여 변속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압감지 보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은, 엔진의 동력을 차량 주행상태에 알맞는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보유한 변속기의 기어변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마찰요소들에 요구되는 압력을 적절한 시기에 공급하는 보조 장치이다.
이러한 유압제어 시스템은, 엔진의 구동력으로 오일 펌프를 구동하여 클러치나 브레이크와 같은 마찰요소들로 공급하는 라인압과, 토오크 컨버터 피이드 압과, 솔레노이드 밸브 공급압등을 조절하는 유압발생장치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신호 발생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변속모드 유압제어장치와, 변속시 유압을 제어하는 응답성 및 변속감을 좋게하는 변속시 유압제어장치와, 마찰요소로 유압을 분배하고 또 동시물림을 방지하는 유압배분장치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압제어 시스템은 변속패턴에 따라 각 변속단을,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이 지령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는데, 지령신호를 출력한 후 지령에 따라 각각의 마찰요소가 작동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오작동이나 정확한 변속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컨데 각각의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유압이 부족한 경우 변속이 변속감이 나쁘거나 마찰요소들의 마모가 심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아 유압보상하여 줄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클러치 작동 유압을 감지하여 정확한 변속단을 결함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각 변속단 유압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관로상에 설치된 압력 스위치들(S1, S2, S3, S4)의 신호를 독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한 제1단계에서 독출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압력 스위치(S1)가 온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는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한 제2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1, S2)가 온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3, S4)가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한 제3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든 압력 스위치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한 제4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스위치(S2, S3)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1, S4)이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한 제5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1, S2, S3)가 오프상태이고 압력 스위치(S4)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로 실행되고, 상기한 제6단계가 만족되지 않으면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유압제어 시스템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시스템은, 엔진 운전중에 항상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2)와,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4)와, 이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일정한 유압 즉, 라인압으로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밸브(6)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 및 윤활용의 유압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토오크 컨버터 컨트롤 밸브(8) 및 토오크 컨버터내에 설치된 댐퍼 클러치에 작용하는 유압을 제어하는 댐퍼 클러치 컨트롤 밸브(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라인압 보다 낮은 일정한 유압을 만드는 리듀싱 밸브(12)와,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연동하여 유로를 절환시키며 각 밸브로 라인압을 보내거나 배출시키는 매뉴얼 밸브(14)와, 2개의 시프트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A, B)의 온/오프작용으로 유로를 절환하는 시프트 컨트롤 밸브(1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압력제어 솔레노이드 밸브(C, D)에 의해 제어되어 변속시의 충격발생을 방지하는 압력제어밸브(18)(20)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립 레인지에서 후진 레인지로 변속할 때의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방지밸브(22)를 갖는다.
그리고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 라인압의 흐름을 제어하고 또 후진시에는 후진시 작용하는 마찰요소로 연결되는 유압통로를 제어하는 1-2 시프트 밸브(24)와, 라인압에 의해 작동하며 제1마찰요소(C1)와 제2마찰요소(C2)로 작동압을 공급하고 제3마찰요소(C3)로 해방압을 공급하는 2-3/4-3 시프트밸브(26)를 갖는다.
또한 제4마찰요소(C4)로 작동압을 공급하는 앤드 클러치 밸브(28) 및 "L" 및 "R" 레인지에서 각각 작용하는 제5마찰요소(C5)를 갖는다.
그리고 3속에서 4속으로 변속시 제2마찰요소(C2)의 작동유압을 배출하고, 4속에는 3속으로 변속시 제2마찰요소(C2)로 공급되는 유압의 시간을 제어하여 충격 발생을 방지하는 리어 클러치 해방밸브(30)를 갖는다.
상기한 제1마찰요소(C1)는 관로(D1)를 통하여 2-3/4-3 시프트 밸브(26) 및 엔드 클러치 밸브(28)와 연통하고 있으며, 제3마찰요소(C3)의 해지측 챔버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2마찰요소(C2)는 관로(D2)를 통하여 리어 클러치 해방밸브(30)와 연통하고 있으며, 제3마찰요소(C3)는 관로(D3)를 통하여 1-2 시프트 밸브(24)와 연통하고 있다.
상기한 제4마찰요소(C4)는 관로(D4)를 통하여 엔드 클러치 밸브(28)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5마찰요소(C5)는 관로(D5)를 통하여 1-2 시프트 밸브(24)와 연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압제어 시스템에서 각각의 마찰요소들로 이어지는 관로들(D1, D2, D3, D4)에 각각 압력 스위치(S1, S2, S3, S4)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압력 스위치(S1, S2, S3, S4)는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의 입력단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유압제어 시스템은, "D" 레인지 1속에서 리어 클러치 해방밸브(30)에서 관로(D2)로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제2마찰요소(C2)가 작용하게 되고, "D" 레인지 2속에서는 제2마찰요소가 작용하는 상태에서 1-2시프트 밸브(24)를 경유한 유압이 관로(D3)를 통하여 공급됨으로서 제3마찰요소(C3)가 추가로 작동한다.
그리고 "D" 레인지 3속에서는 제2마찰요소(C2)가 그대로 작용하는 상태에서 1-2 시프트 밸브(24) 및 2-3/4-3 시프트 밸브(26)를 경유하여 흐르는 유압이 관로(D1)를 통하여 제1마찰요소(C1)로 공급됨과 아울러 제3마찰요소(C3)의 해지측 챔버로 공급되고, 엔드 클러치 밸브(28)를 통하여 제4마찰요소(C4)로 공급된다.
또한 "D" 레인지 4속에서는 제4마찰요소(C4)의 작동이 그래로 유지된 상태로 2-3/4-3 시프트 밸브(26)에서 관로(D1)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여 제3마찰요소(C3)의 해지측 챔버로 공급되는 유압을 소멸시킴으로서 제3마찰요소(C3)를 다시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변속단에서 마찰요소들로 유압이 선택적으로 공급됨으로서 차량 상태에 적합한 변속제어를 행하게 되는데, 이때 실질적으로 각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1속에서는 압력 스위치(S1)가 온 상태로 되고, 2속에서는 압력 스위치(S1,S2)가 온 상태로 되며, 3속에서는 4개의 압력 스위치(S1, S2, S3, S4)가 모두 온 상태로 되며, 4속에서는 압력 스위치(S4)가 온 상태로 된다.
이러한 압력 스위치 작동 로직(logic)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로직에 의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100)에서 모든 압력 스위치(S1, S2, S3, S4)의 신호를 독출(read)하게 된다.
그리고 제2단계(110)에서 압력 스위치(S1)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들(S2, S3, S4)는 오프 상태인 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 제2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카운트 "0"로 상태로 1속의 변속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식한다.
그러나 제2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3단계(120)에서 압력 스위치(S1, S2)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3, S4)가 오프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 제3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카운트 "0"로 상태로 2속의 변속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식한다.
그러나 제3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4단계(130)에서 모든 압력 스위치(S1, S2, S3, S4)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 제4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카운트 "0"로 상태로 3속의 변속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식한다.
그러나 제4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5단계(140)에서 압력 스위치(S1, S2, S3)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4)가 오프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 제5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카운트 "0"로 상태로 4속의 변속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식한다.
그러나 제5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6단계(150)에서 압력 스위치(S1, S2, S3)가 오프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4)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 제6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카운트 "0"로 상태로 후진의 변속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인식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지금까지의 단계를 반복하기 위하여 카운트는 +1이 되는 이러한 카운트를 10까지 한 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고장으로 판단한다.
예를들어 압력 스위치(S2)가 항시 오프상태로 되고 있다면 1-2 시프트 밸브(24)의 고착이므로 2속과 4속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S4)가 항시 오프상태로 되고 있다면 2-3/4-3 시프트 밸브(26)가 고착이므로 3속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압력 스위치(S1)가 항시 오프상태로 되고 있다면 리어 클러치 해방 밸브(30)가 고착이므로 1, 2, 3속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압감지방법은, 유압제어 시스템내의 유압 작동상태를 정확히 감지하여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으로 피이드 백시킴으로써 정확한 변속단과 밸브류의 고착등 작동불능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변속시 클러치에 유압이 도달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 피이드백시켜 보상하여 줌으로서 변속감을 항상 좋게할 수 있다.

Claims (7)

  1. 각각의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관로상에 설치된 압력 스위치들(S1, S2, S3, S4)의 신호를 독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한 제1단계에서 독출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압력 스위치(S1)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는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한 제2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1, S2)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3, S4)가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한 제3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든 압력 스위치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한 제4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2, S3)가 온 상태이고 다른 압력 스위치(S1, S4)이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5단계와, 상기한 제5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압력 스위치(S1, S2, S3)가 오프상태이고 압력 스위치(S4)이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로 실행되고, 상기한 6단계가 만족되지 않으면 고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면 1속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제3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면 2속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제4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면 3속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제5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면 4속의 작동이 이루어지며, 제6단계의 조건이 만족되면 후진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S1)는 1, 2, 3속에서 작동하는 제2마찰요소의 작동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S2)는 2, 4속에서 작동하는 제3마찰요소의 작동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S3)는 3, 4속에서 작동하는 제4마찰요소의 작동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S4)는 3속에서 후진에서 작동하는 제1마찰요소의 작동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압력스위치(S1, S2, S3, S4)는 클러치 마모에 따라 클러치 피스톤 챔버에 유량이 채워지는 시간을 감지하여 TCU에 피이드 백시켜줌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유압제어 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 보상방법.
KR1019940016312A 1994-07-07 1994-07-07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보상방법 KR100282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12A KR100282900B1 (ko) 1994-07-07 1994-07-07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보상방법
DE69506955T DE69506955T2 (de) 1994-07-07 1995-07-05 Elektronische und hydraulische Steuerung eines automatischen Vierganggetriebes für Kraftfahrzeuge
EP98103519A EP0851153B1 (en) 1994-07-07 1995-07-05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DE69519177T DE69519177T2 (de) 1994-07-07 1995-07-05 Verfahren zum Steuern des Hydraulikdrucks in automatischen Getrieben
EP95110507A EP0691487B1 (en) 1994-07-07 1995-07-05 Electronic and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 4-spe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automotive vehicle
US08/499,061 US5611749A (en) 1994-07-07 1995-07-06 Electronic and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 4-spe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US08/680,984 US5643123A (en) 1994-07-07 1996-07-16 Electronic and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 4-spe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12A KR100282900B1 (ko) 1994-07-07 1994-07-07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보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900B1 true KR100282900B1 (ko) 2001-03-02

Family

ID=7178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312A KR100282900B1 (ko) 1994-07-07 1994-07-07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보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9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1749A (en) Electronic and hydraulic control system of a 4-speed automatic transmission for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pressure
US5288279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CA1168129A (en) Hydraulic control for a power transmission
US5921888A (e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H08500660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液圧制御システム
KR19980017023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의 n-r 컨트롤 밸브
KR100282900B1 (ko) 자동변속기 유압제어시스템의 각 변속단 유압감지보상방법
KR10019158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의 라인압 제어장치
KR10028820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US5637056A (e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KR970010264A (ko) 자동차용 4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00273546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398213B1 (ko) 자동변속기의 라인압 가변제어장치
US5984833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KR100401601B1 (ko) 자동 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KR10047127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0168363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KR100254216B1 (ko)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시스템의 후진 레인지 안전회로
KR970008492B1 (ko) 자동 변속기의 라인압 유지장치
KR0168379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KR10021605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28548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216057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제어방법
JP4423528B2 (ja) 自動変速機制御装置
KR20010059187A (ko)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715

Effective date: 2000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