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503B1 - 재생 장치 (disc reprouduc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disc reprouduc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503B1
KR100282503B1 KR1019940016061A KR19940016061A KR100282503B1 KR 100282503 B1 KR100282503 B1 KR 100282503B1 KR 1019940016061 A KR1019940016061 A KR 1019940016061A KR 19940016061 A KR19940016061 A KR 19940016061A KR 100282503 B1 KR100282503 B1 KR 10028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tor
area
channel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236A (ko
Inventor
야스아끼 마에다
히데끼 나가시마
고스께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0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992Circuits for stereophonic or quadraphonic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목적 ; 출력 음성의 정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한다.
구성 ; LR 채널의 데이타를 디스크로부터 독출하여 메모리 수단에 기억하고, 이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타를 디코더 수단에 공급하여 소정의 디코드를 행해 재생 출력을 행하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코드 수단에 복수 채널의 데이타 Dt를 시분할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디코더에는 받아들인 각 데이타 단위(예를 들면 사운드 프레임)에 대하여 채널 식별을 행할 수 있는 채널 식별 신호 SLR가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재생 장치 (DISC REPRODUCING APPARATUS)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디스크의 P-TOC 섹터의 설명도.
제3도는 디스크의 U-TOC 섹터의 설명도.
제4도는 디스크의 U-TOC의 관리 상태의 설명도.
제5도는 디스크의 데이타 섹터의 설명도.
제6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버퍼 RAM의 기억 에리어의 설명도.
제7도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버퍼 RAM의 기억 에리어의 설명도.
제8도는 실시예의 메모리 제어 장치 및 주변 회로부의 블럭도.
제9도는 실시예의 메모리 제어 장치 및 주변 회로부의 블럭도.
제10도는 실시예의 버퍼 RAM으로의 기입 동작의 설명도.
제11도는 실시예의 메모리 콘트롤러와 인코더/디코더 간의 입·출력 신호의 설명도.
제12도는 실시예의 L 채널 펄스로서의 채널 식별 신호의 설명도.
제13도는 실시예의 메모리 콘트롤러에 의한 섹터 우기(偶奇) 판별을 위한 버퍼 RAM 기입시의 처리의 플로우챠트.
제14도는 실시예의 메모리 콘트롤러에 의한 섹터 우기(偶奇) 판별을 위한 버퍼 RAM 독출시의 처리의 플로우챠트.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각종 채널 식별 신호의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LR 채널 클럭으로서의 채널 식별 신호의 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LR 채널 클럭으로서의 채널 식별 신호의 설명도.
제18도는 디스크의 데이타 포맷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3 : 광학 헤드
8 : 인코더/디코더부 11 : 시스템 콘트롤러
12 : 메모리 콘트롤러 13 : 버퍼 RAM
14 : 인코더/디코더부 30 :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부
31 : RAM 데이타 인터페이스부 32 : 음성 압축 인터페이스부
33 : 콘트롤러 인터페이스부 34 : 어드레스 카운터
35 : 콘트롤부 40 : 기입 섹터 카운터
41 : 독출 섹터 카운터 42, 43 : 가감산 회로
44, 49 : 선택 회로 45 : 섹터 어드레스 산출부
46 : 기입 바이트 카운터 47 : 독출 바이트 카운터
48 : 파라미터 오프셋트 발생부 50 : 어드레스 발생/출력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스크상 기록 매체로부터 악곡 등의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로부터 음악 데이타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로서 CD 플레이어가 알려져 있으며, 또한 유저가 음악 데이타 등을 기록할 수 있는 데이타 개서(改書)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를 이용한 재생 장치로서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 매체를 이용한 재생 장치에서는, 특히 버퍼 RAM을 이용하여 내진(耐震)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 실현되고 있다.
즉 재생시에는,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음성 데이타를 고속 비율로 버퍼 RAM에 간헐적으로 기입해 가고, 한편 버퍼 RAM으로부터 저속 비율로 계속적으로 독출을 행하여 음성 재생 신호로서 복조 처리해 간다. 이때, 버퍼 RAM에는 항상 어느 정도의 데이타 축적이 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진동 등에 의해 트랙 점프가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타 독출이 중단 되어 버려도, 버퍼 RAM 으로부터는 계속하여 음성 데이타를 독출할 수 있어서, 재생 음성은 끊어지는 일없이 출력된다.
한편 미니 디스크 시스템을 예로 들면, 광자기 디스크에서의 기록 트랙은, 제18a도, 제18b도와 같이 4 섹터의 (1 섹터 = 2352 바이트) 서브 데이타 영역과 32 섹터(SC0∼SC31)의 메인 데이타 영역으로 구성되는 클러스터(cluster, CL)(=36 섹터)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있고, 1 클러스터가 기록시의 최소 단위로 되어 있다. 이 1 클러스터는 2-3 주회 트랙분에 상당한다. 또한, 어드레스는 1 섹터마다 기록된다.
4 섹터의 서브 데이타 영역은 서브데이타나 링깅 에리어 등에 이용되며, TOC 데이타, 오디오 데이타 등의 기록은 32 섹터의 메인 데이타 영역에서 행해진다.
또, 섹터에 기록되는 악곡 데이타의 영역은 더욱 사운드 그룹으로 세분화 되어, 2 섹터가 11 사운드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제18b도에서의 우수 섹터(SC0, SC2, SC4 …)는 제18c도와 같이 구성되고, 또 제18b도에서의 기수 섹터(CS1, SC3, SC5 …)는 제18d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각 섹터는 제18c도 및 제18d도와 같이 선두에 동기 패턴 SYNC나 어드레스 AD가 기록된 헤더가 설치되고, 이어서 서브헤더가 설치된다. 그리고 서브 헤더에 이어서 실제의 음성 데이타가 기록된다.
기록되는 음성 데이타로서는 212 바이트의 사운드 프레임 SF가 최소 데이타 단위로 되고, 각 섹터에는 11개의 사운드 프레임이 포함된다. 하나의 사운드 프레임은 L 또는 R 채널에 대하여 11.6 msec분의 음성 신호를 압축 처리한 데이타로 되어 있다.
여기서, 먼저 우수 섹터에는,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SF(L0),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R0),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L1)… 등이 L, R 각 채널에 부가되어 교대로 기록되어 가고,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L5)까지가 기록된다.
한편, 기수 섹터에는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R5),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L6),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R6)… 등이 교대로 기록되어 가고,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R10)까지가 기록된다.
그리고, L, R 쌍의 사운드 프레임에 의해 1개의 사운드 그룹(SG0∼SG10)이 구성된다. 따라서 사운드 그룹(SG0∼SG4) 및 사운드 그룹(SG5)의 전반이 우수 섹터에 기록되고, 사운드 그룹(SG5)의 후반으로부터 사운드 그룹(10)까지가 기수 섹터에 기록되게 되어, 즉 상술한 바와 같이 2 섹터에 11개의 사운드 그룹의 데이타가 기록되게 된다.
디스크 상에서 이와 같은 포맷으로 기록되는 데이타에 대하여, 버퍼 RAM을 통하여 기록/재생을 행하는 경우, 버퍼 RAM에서는 섹터 단위로 기억을 행하게 된다. 즉, 섹터 어드레스와, 섹터 내의 바이트 어드레스(0∼2351 바이트)가 합성되어 억세스 어드레스가 생성되어 기입 및 독출이 실행된다.
그런데, 일단 버퍼 RAM에 기억된 데이타는 다시 섹터 단위로 독출되어 후단의 디코더에 공급되어, 예를 들면 음성 압축 처리에 대한 디코드 처리를 실행하여 L, R의 2 채널의 재생 음성으로서 출력되는 것이지만, 상술의 섹터 포맷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우수 섹터의 데이타를 디코더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L 채널의 데이타(사운드 프레임 SF(L0))로부터 순서대로 전성되고, 한편 기수 섹터의 데이타를 디코더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R 채널의 데이타(사운드 프레임 SF(R5))로부터 순서대로 전송되는 것에 의해, 즉, 우수 섹터와 기수 섹터에서 L, R의 전송 순서가 역으로 된다.
각 섹터가 정확한 순서로 버퍼 RAM에서 기입/독출이 행해지고, 그 독출된 데이타가 디코더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사운드 프레임 단위로 보면 반듯이 L, R의 데이타가 교대로 전송되게 되므로 문제는 없다. 즉, 디코더에서는 취입된 사운드 프레임 마다, 그 압축 데이타를 11.6 msec의 음성 데이타로 신장하는 디코드 처리를 행하고, 그 데이타를 L 채널 데이타/R 채널 데이타로서 교대로 출력하고 있으므로, L, R의 사운드 프레임이 정확하게 교대로 공급되면, 그대로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을 L 채널의 음성 데이타로 하고, 또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을 R 채널의 음성 데이타로 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버퍼 RAM에서의 섹터 데이타의 취입시나 독출시에 미스가 발생되거나, 전송시의 처리의 에러 등의 원인에 의해, 예를 들면 우수 섹터의 데이타에 있어서, 우수 섹터의 데이타가 전송되어 버리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면, L 채널의 데이타가 연속하는 전송 에러가 발생해 버리게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사태에 의해, L, R의 사운드 프레임의 상호 교대의 전송 상태가 유지될 수 없게 되면 디코더에서는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의 데이타에 대하여 디코드 데이타를 R 채널의 음성 데이타로서 출력하고, 또 역으로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의 데이타에 대하여 디코드 데이타를 L 채널의 음성 데이타로서 출력해 버린다.
즉, 재생 음성 LR의 위상 변화가 발생하며, 소위 스테레오 음성의 정위(定位) 편차가 발생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출력 음성의 정위(定位)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시킨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복수 채널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여 메모리 수단에 기억하고, 이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타를 디코더 수단에 공급하여 소정의 디코더를 행하여 재생 출력을 행하도록 구성된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코더 수단에 복수 채널의 데이타를 시분할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디코더에는 수취하는 각 데이타 단위(예를 들면 사운드 프레임)에 대하여 채널 식별을 행할 수 있는 채널 식별 신호가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데이타는 L 채널 및 R 채널의 음성 데이타인 경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코더 수단에 전송되는 데이타 내의 어떤 데이타 단위에 거의 동기하여, 그 데이타 단위가 L 채널인지, 혹은 그 데이타 단위가 R 채널 인지를 나타내는 펄스가, 채널 식별 신호로서 디코더 수단에 공급되게 한다.
또한,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코더 수단에 전송되는 각 데이타 단위에 거의 동기하여, 각 데이타 단위의 채널을 식별하는 L/R 클럭 펄스가 채널 식별 신호로서 디코더 수단에 공급되게 한다.
디코더가, 입력되는 데이타 단위(예를 들면 사운드 프레임)에 대하여, L 채널인지 R 채널인지를 식별하면, 틀림없이 L 채널의 데이타 단위의 디코드 데이타를 L 채널의 출력으로 하고, 또 R 채널의 데이타 단위의 디코드 데이타를 R 채널의 출력으로 할 수가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17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재생 장치의 실시예로서, 광자기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한 기록 재생 장치를 예로 하여 다음의 순서로 설명하다.
1 :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2 : P-TOC 섹터
3 : U-TOC 섹터
4 : 데이타 섹터
5 : 버퍼 RAM의 영역 구성
6 : 메모리 콘트롤러의 구성
7 : 버퍼 RAM에 대한 기입/독출 동작
8 : 메모리 콘트롤러로부터 디코더로의 채널 식별 신호의 공급 동작
9 : 채널 식별 신호로서의 각종 실시예
[1.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제1도는 기록 재생 장치의 요부의 블럭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도면 참조 부호(1)는 예를 들면 음성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를 나타내고,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도면 참조 부호(3)는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기록/재생시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광학 헤드이고, 기록시에는 기록 트랙을 큐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하고, 또 재생시에는 자기 케르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타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행한다.
이를 위해, 광학 헤드(3)는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향 빔 스플리터나 대물 렌즈 등으로 구성되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출력하기 위한 디텍터가 탑제되어 있다. 대물 렌즈(3a)는 2개의 축 기구(4)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속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도면 참조 부호(6)는 공급된 데이타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광자기 디스크에 인가하는 자기 헤드를 나타내고, 광자기 디스크(1)를 사이에 두고 광학 헤드(3)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학 헤드(3) 전체 및 자기 헤드(6)는, 슬래드 기구(5)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재생 동작에 의해, 광학 헤드(3)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검출된 전보는 RF 앰프(7)로 공급된다. RF 앰프(7)는 공급된 정보의 연산 처리에 의해, 재생 RF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절대 위치 정보(광자기 디스크(1)에 프리그루브(워블링 그루브)로서 기록되어 있는 절대 위치 정보), 어드레스 정보, 포커스 모니터 신호 등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재생 RF 신호는 인코더/디코더부(8)에 공급된다. 또, 트랙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되고, 어드레스 정보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 공급된다. 또한 절대 위치 정보, 포커스 모니터 신호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9)는 공급된 트랙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나, 시스템 콘트롤러(11)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 싱크 지령, 스핀들 모터(2)의 회전 속도 검출 정보 등에 의해 각종 서보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2개의 축 기구(4) 및 슬래드 기구(5)를 제어하여 포커스 및 트랙킹 제어를 행하고, 또 스핀들 모터(2)를 일정각 속도(CAV) 또는 일정 선속도(CLV)로 제어한다.
재생 RF 신호는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EFM 복조, CIRC 등의 디코더 처리된 후,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의해 일단 버퍼 RAM(13)에 기입된다. 또한, 광학 헤드(3)에 의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타의 독출 및 광학 헤드(3)로부터 버퍼 RAM(13)까지의 계에 있어서의 재생 데이타의 전송은 1.41 M 비트/초로, 더우기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버퍼 RAM(13)에 기입된 데이타는, 재생 데이타의 전송이 0.3 M 비트/초가 되는 타이밍으로 독출되어, 인코더/디코더부(14)로 공급된다. 그리고, 음성 압축 처리에 대한 디코드 처리 등의 재생 신호 처리를 행하고, D/A 변환기(15)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되어, 단자(16)로부터 소정의 증폭 회로부로 공급되어 재생 출력 된다. 예를 들면, L, R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버퍼 RAM(13)으로의 데이타의 기입/독출은,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의해 기입 포인터와 독출 포인터의 제어에 의해 어드레스 지정되어 행해지지만, 기입 포인터(기입 어드레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1.41 M 비트/초의 타이밍에서 증분되고, 한면 독출 포인터(독출 어드레스)는 0.3 M 비트/초의 타이밍에서 증분되어 가기 때문에, 이 기입과 독출의 비트 레이트(rate)의 차이에 의해, 버퍼 RAM(13) 내에는 어느 정도 데이타가 축적된 상태가 된다. 버퍼 RAM(13) 내에 풀 용량의 데이타가 축적된 시점에서 기입 포인터의 증분은 정지되고, 광학 헤드(3)에 의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타 독출 동작도 정지된다. 단 독출 포인터 R의 증분은 계속하여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재생 음성 출력은 끊김이 없게 된다.
그후, 버퍼 RAM(13)으로부터 독출 동작만이 계속 되어가고, 어떤 시점에서 버퍼 RAM(13) 내의 데이타 축적량이 소정량 이하로 되었다고 하면, 다시 광학 헤드(3)에 의한 데이타 독출 동작 및 기입 포인터 W의 증분이 재개되어 다시 버퍼 RAM(13)의 데이타 축적이 행해져 간다.
이와 같이 버퍼 RAM(13)을 통해 재생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외란 등에 의해 트랙킹이 벗어난 경우에도, 재생 음성 출력이 중단되어 버리는 일은 없으며, 데이타 축적이 남아 있는 동안에 예를 들면 옳바른 트랙킹 위치까지 액세스를 하여 데이타 독출을 재개함으로써 재생 출력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동작을 속행할 수 있다. 즉 내진 기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어드레스 디코더(10)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정보나 제어 동작에 협조하는 서브 코드 데이타는 인코더/디코더부(8)를 통해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되고, 각종의 제어 동작에 이용된다.
또한, 기록/재생 동작의 비트 클럭을 발생시키는 PLL 회로의 록(lock) 검출 신호, 및 재생 데이타(L.R 채널)의 프레임 동기 신호의 결락 상태의 모니터 신호도 시스템 콘트롤러(11)에 공급된다.
또,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광학 헤드(3)에서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 신호(SLP)를 출력하게 되고,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을 온/오프 제어함과 동시에, 온 제어시에는 레이저 파워가 비교적 저레벨인 재생시의 출력과, 비교적 고레벨인 기록시의 출력을 전환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기록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단자(17)에 공급된 기록 신호(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18)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로 된 후, 인코더/디코더부(14)로 공급되고, 음성 압축 인코드 처리를 행한다. 인코더/디코더부(14)에 의해 압축된 기록 데이타는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의해, 일단 버퍼 RAM(13)에 기입되고, 또 소정 타이밍으로 독출되어 인코더/디코더부(8)로 보내진다. 그리고 인코더/디코더부(8)에서 CIRC 인코드, EFM 변조 등의 인코드 처리된 후, 자기 헤드 구동 회로(15)에 공급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15)는 인코드 처리된 자기 데이타에 따라, 자기 헤드(6)에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자기 헤드(6)에 의한 N 또는 S의 자계인가를 실행시킨다. 또, 이때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광학 헤드에 대하여, 기록 레벨의 레이저광을 출력하게끔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도면 참조 부호(19)는 유저 조작에 협조하는 키가 설치된 조작 입력부이고, 도면 참조 부호(2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표시부이다. 조작 입력부(19)에는 녹음키, 재생키, 정지키, AMS키, 서치키 등이 유저 조작에 협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디스크(1)에 대하여 기록/재생 동작을 행할 때에는, 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 정보, 즉 P-TOC(프리 마스터드 TOC), U-TOC(유저 TOC)를 독출하여,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이들의 관리 정보에 따라 디스크(1) 상에 기록할 세그먼트의 어드레스나, 재생할 세그먼트의 어드레스를 판별하는 것으로 되지만, 이 관리 정보는 버퍼 RAM(13)에 유지된다. 이를 위한 버퍼 RAM(13)은, 상기한 기록 데이타/재생 데이타의 버퍼 에리어와, 이들 관리 정보를 유지하는 에리어가 분할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콘트롤러(11)는 이들의 관리 정보를, 디스크(1)가 장진된 경우에 관리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의 최내주측의 재생 동작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독출하여, 버퍼 RAM(13)에 기억해 두고, 이후 그 디스크(1)에 대한 기록/재생 동작의 경우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U-TOC는 데이타의 기록이나 소거에 따라 편집되어 개서되는 것이지만, 시스템 콘트롤러(11)는 기록/소거 동작때마다 이 편집 처리를 버퍼 RAM(13)에 기억된 U-TOC 정보에 대하여 행하고, 그 개서 동작에 따라 소정의 타이밍으로 디스크(1)의 U-TOC 에리어에 대해서도 개서할 수 있게끔 하고 있다.
[2. P-TOC 섹터]
여기서, 디스크(1)에서 섹터 데이타 형태로 기록되는 음성 데이타 섹터, 및 음성 데이타의 기록/재생 동작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정보로서, 먼저 P-TOC 섹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P-TOC 정보로서는, 디스크의 기록 가능 에리어(레코더 풀 유저 에리어) 등의 에리어 지정이나 U-TOC 에리어의 관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디스크(1)가 재생 전용의 광디스크인 풀 마스터드 디스크의 경우는, P-TOC에 의해 ROM화 되어 기록되고 있는 악곡의 관리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P-TOC의 포맷을 제2도에 도시한다. 제2도는 P-TOC용으로 되는 영역(예를 들면 디스크 최내주측의 ROM 에리어)에 있어서 반복 기록되는 P-TOC 정보 중 하나의 섹터(섹터 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P-TOC 포맷은 섹터 0로부터 섹터 4까지 준비되어 있으나, 섹터 1 이하는 옵션으로 되어 있다.
P-TOC의 섹터의 데이타 영역(4 바이트 x 588, 즉 2352 바이트)은, 선두 위치에 전부 제도(0) 또는 전부 1의 1 바이트 데이타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기 패턴을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등이 4 바이트 부가되어, 이상에서 헤더로 되어 P-TOC의 영역으로 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 헤더에 이어서 소정 어드레스 위치에 「MINI」라고 하는 문자에 대응한 아사키 코드에 의한 식별 ID가 부가되고 있다.
또한, 이어서 디스크형이나 녹음 레벨, 기록되어 있는 최초의 악곡의 곡 번호(제1 TNO), 최후의 악곡의 곡번호(최종 TNO), 리드 아우트 스타트 어드레스 R0A, 파워 칼 에리어 스타트 어드레스 PCA, U-TOC(후술하는 제3도의 U-TOC) 섹터 제도(0)의 데이타 영역)의 스타트 어드레스 USTA, 녹음 가능한 에리어(레코더 풀 유저 에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 RSTA등이 기록된다.
이어서, 기록되어 있는 각 악곡 등을 후술하는 관리 테이블부의 부분 테이블에 대응시킨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를 갖는 대응 테이블 지시 테이타부가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 부에 이은 영역에서는,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의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에 대응하여, (O1h)∼(FFh)까지의 255개의 부분 테이블이 설치된 관리 테이블부가 준비된다(또한 본 명세서에서 「h」를 부가한 수치는 소위(16진 표기이다). 각각의 부분 테이블에는, 어떤 세그먼트에 대하여 기점이 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종단이 되는 앤드어드레스, 및 그 세그먼트(트랙)의 모스 정보(트랙모드)가 기록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부분 테이블의 트랙 모드 정보라는 것은, 그 세그먼트가 예를 들면 오버라이트 금지나 테이타 복사 금지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나, 오디오 정보인지의 여부, 모노/스테레오의 종별 등이 기록되어 있다.
관리 테이블부의(01h)∼(FFh)까지의 각 부분 테이블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의 테이블 포인터(P-TNO1∼P-TNO255)에 의해, 그 세그먼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결국, 제1곡의 악곡에 대해서는 테이블 포인터 P-TNO1로서 어떤 부분 테이블(예를 들면 (01h), 단 실제로는 테이블 포인터에는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P-TOC 섹터 제로(0) 내의 바이트 포지션으로 어떤 부분 테이블을 표시할 수 있는 수치가 기억되어 있다)이 기록되어 있고, 이 경우 부분 테이블(01h)의 스타트 어드레스는 제1곡의 악곡의 기록 위치의 스타트 어드레스가 되고, 동일하게 앤드 어드레스는 제1곡의 악곡이 기록된 위치의 앤드 어드레스가 된다. 또한 트랙 모드 정보는 그 제1곡에 대한 정보가 된다.
동일하게 제2곡에 대해서는 테이블 포인터 P-TNO2로 표시되는 부분 테이블(예를 들면(02h))에, 그 제2곡의 기록 위치의 스타트 어드레스, 앤드 어드레스, 및 트랙 모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하 동일하게, 테이블 포인터는 P-TNO255까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P-TOC 상에서는 제255곡까지 관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P-TOC 섹터 제로(0)가 형성됨으로써, 예를 들면 재생시에 있어서, 소정의 악곡을 억세스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재생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의 경우, 소위 프리마스터드의 악곡 에리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한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 및 관리 테이블부는 사용되지 않고(이들은 이어서 설명하는 U-TOC에서 관리된다). 따라서 각 바이트는 전부 「00h」로 되어 있다.
단, 악곡 등이 기록되는 애라옳소 ROM 에리어와 광자기 에리어의 양쪽 모두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타이프의 디스크에 대해서는, 그 ROM 에리어 내의 악곡의 관리에 상기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탑 및 관리 테이블부가 사용된다.
[3. U-TOC 섹터]
이어서 U-TOC의 설명을 한다.
제3도는 U-TOC의 1 섹터의 포맷을 나타내며, 주로 유저가 녹음을 행한 악곡이나 새로운 악곡이 녹음 가능한 미기록 에리어(프리-에리어)에 대해서의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 영역이 된다. 또한, U-TOC도 섹터 제로(0)로부터 섹터 4까지의 포맷이 존재하지만, 섹터 1 이후는 옵션이 된다.
예를 들면 디스크(1)에 어떤 악곡의 녹음을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콘트롤러(11)는, U-TOC로부터 디스크상의 프리에리어를 찾아내어, 여기에 음성 데이타를 기록해 갈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또, 재생시에는 재생할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에리어를 U-TOC로부터 판별하여 그 에리어에 억세스를 행하여 재생 동작을 행한다.
제3도에 도시하는 U-TOC의 섹터(섹터 제로(0))에는, P-TOC와 동일하게 먼저 헤더가 설치되고, 이어서 소정 어드레스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최초의 악곡의 곡번호(제1 TNO), 최후의 악곡의 곡 번호(최종 TNO), 섹터 사용 상황, 디스크 시리얼 넘버, 디스크 ID 등의 데이타가 기록되고, 또한 유저가 녹음을 행하여 기록되어 있는 악곡의 영역이나 미기록 영역 등을 후술하는 관리 테이블 부에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 식별하기 위해,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로서 각종의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O1∼PNO255)가 기록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부의 테이블 포인터(P-DFA∼P-TNO255)에 대응시키게 되는 관리 테이블부로서(O1h)∼(FFh)까지의 255개의 부분 테이블이 설치되고, 각각의 부분 테이블에는, 상기 제2도의 P-TOC 섹터 제로(0)와 동시에 어떤 세그먼트에 대하여 기점이 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종단이 되는 앤드 어드레스, 그 세그먼트의 모드 정보(트랙 모드)가 기록되어 있고, 또한 이 U-TOC 섹터 제로(0)의 경우, 각 부분 테이블로 표시되는 세그먼트가 다른 세그먼트로 계속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된 세그먼트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앤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 테이블을 나타내는 링크 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하나의 악곡의 데이타 물리적으로 불연속으로, 즉 복수의 세그먼트(여기서 세그먼트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데이타 기록되어 있는 트랙 부분을 말한다)에 걸쳐서 기록되어 있어도 세그먼트 간에서 억세스하면서 재생해 가는 것에 의해 재생 동작에는 지장이 없기 때문에, 유저가 녹음하는 악곡 등에 대해서는, 녹음 가능 에리어의 효율 사용 등의 목적으로부터, 복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링크 정보가 설치되고, 예를 들면 각 부분 테이블에 제공된 넘버(01h)∼(FFh)(실제로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U-TOC 섹터 제로(0) 내의 바이트 포지션이 되는 수치로 표시된다)에 의해, 연결할 부분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부분 테이블이 연결될 수 있게끔 되어 있다(또한, 먼저 기록되는 악곡 등에 대해서는 통상 세그먼트 분할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제2도와 같이 P-TOC 섹터 제로(0)에서 링크 정보가 모두 「(00h)」로 되어 있다.
즉 U-TOC 섹터 제로(0)에서의 관리 테이블부에서는, 하나의 부분 테이블은 하나의 세그먼트를 표현하고 있고, 예를 들면 3개의 세그먼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악곡에 대해서는 링크 정보에 의해 연결되는 3개의 부분 테이블에 의해 그 세그먼트 위치의 관리는 이루어진다.
U-TOC 섹터 제로(0)의 관리 테이블부에서의 (01h)∼(FFh)까지의 각 부분 테이블은, 대응 테이블 지시 테이타부의 테이블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O1∼P-TNO255)에 의해, 이하와 같이 그 세그먼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테이블 포인터 P-DFA는 광자기 디스크(1)상의 결함 영역에 부가되어 표시되어 있고, 홈 등에 의한 결함 영역이 되는 트랙 부분(=세그먼트)이 표시된 하나의 부분 테이블 또는 복수의 부분 테이블 내의 선두의 부분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DFA에서 (01h)∼(FFh) 중 어느 것인가가 기록되어 있고, 그것에 상당하는 부분 테이블에는, 결함 세그먼트가 스타트 및 앤드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 그 밖에도 결함 세그먼트가 존재하는 경우는, 그 부분 테이블의 링크 정보로서 그외의 부분 테이블이 지정되고, 그 부분 테이블에도 결함 세그먼트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그 밖의 결함 세그먼트가 없는 경우는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00h)」로 되어 이후 링크가 없는 것으로 된다.
테이블 포인터 P-EMPTY는 관리 테이블부의 1 또는 복수의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의 선두의 부분 테이블을 나타내는 것이며,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EMPTY로서, (01h)∼(FFh) 중 어느 것인가가 기록된다.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EMPTY에 의해 지정된 부분 테이블로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 순차 부분 테이블이 지정되어가고, 전체의 미사용의 부분 테이블이 관리 테이블부 상에서 연결된다.
테이블 포인터 P-FRA는 광자기 디스크(1) 상의 테이타의 기입 가능한 프리에리어(소거 영역 포함)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고, 프리에리어가 되는 트랙 부분(=세그먼트)이 표시된 1 또는 복수의 부분 테이블 내의 선두의 부분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프리 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 포인터 P-FRA에 있어서 (01h)∼(FFh) 중 어느 것인가가 기록되어 있고, 그것에 상당하는 부분 테이블에는, 프리에리어인 세그먼트가 스타트 및 앤드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세그먼트가 복수개 있고, 즉 부분 테이블이 복수개 있는 경우는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 정보가 「(00h)」가 되는 부분 테이블까지 순차 지정되어 있다.
제4도에 부분 테이블에 의해, 프리에리어가 되는 세그먼트의 관리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세그먼트(03h), (18h), (1Fh), (2Bh), (E3h)가 프리에리어로 되어 있을 때에, 이 상태가 대응 테이블 지시 데이타 P-FRA에 이어서 부분 테이블(03h), (18h), (1Fh), (2Bh), (E3h)의 링크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함 영역이나, 미사용 부분 테이블의 관리 상태도 이것과 동일하게 된다.
그런데, 전체 악곡 등의 음성 데이타의 기록이 행해져 있지 않고 결함도 없는 광자기 디스크이면, 테이블 포인터 P-FRA에 의해 부분 테이블(01h)이 지정되고, 이것에 의해 디스크의 레코더 풀 유저 에리어의 전체가 미기록 영역(프리-에리어)인 것이 표시된다. 그리고 이 경우 남은(02h)∼(FFh)의 부분 테이블은 사용되지 않게됨으로, 상기한 테이블 포인터 P-EMPTY에 의해 부분 테이블(02h)이 지정되고, 또, 부분 테이블(02h)의 링크 정보로서 부분 테이블(03h)가 지정되며, 부분 테이블(03h)의 링크 정보로서 부분 테이블(04h)이 지정되는 바와 같이 부분 테이블(FFh)까지 연결된다. 이 경우 부분 테이블(FFh)의 링크 정보는 이후 연결이 없음을 나타내는 「(00h)」로 된다.
또한, 이때 부분 테이블(01h)에 대해서는, 스타트 어드레스로서는 레코더 풀 유저 에리어의 스타트 어드레스가 기록되고, 또 앤드 어드레스로서는 리드 아우트 스타트 어드레스 직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게 된다.
테이블 포인터 P-TNO1∼P-TNO255는, 광자기 디스크(1)에 유저가 기록을 행한 악곡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고, 예를 들면 테이블 포인터가 P-TNO1에서는 제1곡의 데이타가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세그먼트 중 시간적으로 선두가 되는 세그먼트가 표시된 부분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곡으로 된 악곡이 디스크 상에서 트랙이 분단 되지 않고(즉 하나의 세그먼트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그 제1곡의 기록 영역은 테이블 포인터 P-TNO1으로 표시되는 부분 테이블의 스타트 및 앤드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제2곡으로 된 악곡이 디스크 상에서 복수의 세그먼트에 이산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는, 그 악곡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각 세그먼트가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된다. 즉, 테이블 포인터 P-TNO2로 지정된 부분 테이블로부터, 또한 링크 정보에 의해 그 밖의 테이블이 순차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되고, 링크 정보가 「(00h)」로 되는 부분 테이블까지 연결된다(상기, 제4도와 동일한 상태).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제2곡을 구성하는 데이타가 기록된 전 세그먼트가 순차 지정되어 기록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U-TOC 섹터 제로(0)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제2곡의 재생시나, 그 제2곡의 영역으로 오버라이드를 행하는 경우에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를 억세스시켜 이산적인 세그먼트로부터 연속적인 음악 정보를 인출해내거나 기록 에리어를 효율 사용한 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디스크 상의 에리어 관리는 P-TOC에 의해 이루어지고, 또 레코더 풀 유저 에리어에서 기록된 악곡이나 프리 에리어 등은 U-TOC에 의해 행해진다.
이들의 TOC 정보는 버퍼 RAM(13)으로 읽어들여져 시스템 콘트롤러(11)가 이것을 참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 데이타 섹터]
이어서 음성 데이타가 기록되는 섹터의 포맷은 제5도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이 섹터(2352 바이트)에 있어서, 선수의 12 바이트는 동기 데이타로 되어, 연속하여 3 바이트가 클러스터 어드레스 및 섹터 어드레스용으로 설정되고, 이어서 1 바이트가 모드로 되어 지금까지의 16 바이트가 헤더로 된다.
헤더에 이어서 4 바이트가 서브헤더로 되고, 서브헤더에이어서 바이트, 즉 섹터의 제21바이트∼제2352바이트까지의 2332 바이트가 데이타 에리어(Data 0∼ Data 2331)로 되어 있다.
이 2332 바이트의 데이타 에리어에는 212 바이트의 사운드 프레임(제18도 참조)이 11 단위 기록되는 것에 의해, 1 섹터에서 5.5 단위의 사운드 그룹이 기록되고, 섹터 어드레스가 우수(어드레스의 LSB가 제로(0))인 우수 섹터와, 다음의 섹터, 즉 섹터 어드레스가 기수(어드레스의 LSB가 1)인 기수 섹터의 2개의 섹터에서 11 단위의 사운드 그룹이 기록되게 된다.
[5. 버퍼 RAM의 영역 구성]
이들의 섹터 (P-TOC 섹터, U-TOC 섹터, 및 데이타 섹터)를 기억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 버퍼 RAM(13)은 예를 들면 제6도와 같이 사용된다.
버퍼 RAM(13)의 기억 용량을 4 M 비트로 하고, 또 TOC 정보를 8 섹터분 유지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선두의 12 바이트(어드레스 000h∼000Ch)는 빈 에리어도 되고, 이어서 어드레스 000Ch∼4AOBh까지의 18944 바이트가 TOC용으로 사용된다. 즉, 에리어 00∼에리어 07까지의 8개의 에리어가 각각 TOC 섹터를 유지하게 된다.
각 에러이는 2368 바이트이므로, 2352 바이트인 1 섹터분의 데이타(제2도, 제3도 참조)에 가해져 16 바이트의 부가 데이타가 기억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4AOCh∼O7FC4Bh까지가 음성 데이타용으로 사용되어, 즉 각각의 2368 바이트로 되는 에리어 08∼에리어 DC가 음성 데이타 섹터의 축적 및 독출에 사용되고, 상술한 쇼크 프로프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여기서, 각 에리어는 2368 바이트이므로, 2352 바이트인 1 섹터 분의 데이타(제5도 참조)에 부가되어 16 바이트의 부가 데이타가 기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드레스 07FC4Ch∼07FFFFh까지는 빈 에리어 되어 있다.
여기서, 에리어 00∼에리어 DC의 각 에리어의 선두 어드레스로서 표시된 000Ch∼07F30Ch는, 기입/독출의 대상이 되는 섹터의 카운트 값에 따라 산출된다. 즉 섹터 카운트 값을 NS로 하면, 섹터 어드레스는 940h x NS+ 0Ch가 된다. 또한 「+0Ch」는 선두의 빈 에리어 분의 오프 세트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에리어 08에 대해서의 선두 어드레스는, 940h x 08h + 0Ch = 4AOCh로서 산출된다.
2368 바이트의 각 에리어 내의 구성을 에리어 09를 예로 들어 제7도에 도시한다. 에리어 09는 음성 데이타, 즉 제5도의 데이타 섹터가 기억되게 한다. 이 에리어 09는 534ch가 선두 어드레스가 되지만, 이것을 선두로서 어드레스 5C8Bh까지의 2368 바이트(000h∼93Fh)는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용된다.
즉, 섹터의 기입은 싱크 검출에 따라서 실행되므로, 최초에 클러스터 어드레스, 섹터 어드레스, 모드가 기억되고, 이어서 4 바이트의 서브 헤더가 기억되며, 그 후 데이타 Data 0∼Data 2331가 순서대로 기억되어 간다. 그리고, 그 후에 싱크가 기입되고, 1 섹터(2352 바이트)가 기억된다.
여기서, 에리어 내에는 섹터를 기억한 후 16 바이트가 남게 되지만, 이 16 바이트(930h∼93Fh)에는 부가 데이타가 기억되도록, 섹터 파라미터의 기억 에리어(부가 영역 0.9 add)가 된다. (이하, 부가 데이타라는 것은, 이 16 바이트의 영역에 섹터에 대응하여 기억되는 각종 정보를 뜻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바이트의 어드레스는 그 에리어의 선두 어드레스(섹터 어드레스)에 바이트 어드레스를 가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면 에리어 09의 Data 0의 어드레스는(940h x 09h x 0Ch) + 008h = 534Ch + 008h = 5354h가 된다.
이와 같이, 버퍼 RAM(13) 내의 각 에리어(에리어 00∼에리어 DC)까지에는, 섹터 데이타에 대응하여 부가 데이타를 기억할 수 있는 부가 영역(00add∼DCadd)이 설정되고, 이에 따라 섹터에 부수하는 트랙 넘버, 진행 시간, 트랙 모드, 링크 정보, 에러 정보 등을 섹터와 대응시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섹터 데이타를 독출하는 경우에, 그것에 부수하는 부가 데이타도 독출하여 각종 동작 관리에 이용되고 있다.
부가 데이타를 섹터 데이타와 대응시켜 버퍼 RAM(13) 내에 유지해두는 것에 의해, 시스템 콘트롤러(11)에 있어서는, 버퍼 RAM(13)으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하는 경우에, 그 독출된 섹터에 대해서의 각종 정보가 얻어지고, 시스템 동작 처리상 형편이 좋다. 예를 들면 버퍼 RAM을 통해 재생함으로써, 어떤 섹터에서의 연주 진행 시간의 정보등은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시점과 실제로 재생 출력되는 시점에 변위가 생기게 되지만, 그 섹터의 연주 진행 시간 정보를 그 섹터의 데이타 버퍼 RAM으로부터 독출되는 시점에서 독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그 밖에도 트랙 번호(악곡 번호), 트랙 변경 정보나, 스테레오/모노별, 강조, 카피라이트 등의 트랙 모드 정보, 또한 음성 데이타의 관리 정보에서의 전후의 링크 정보 등, 에러 정보 등에 대해서도, 버퍼 RAM에 그 섹터의 데이타를 기입할 때에 동시에 기입하고, 또, 그 섹터의 데이타를 버퍼 RAM으로부터 독출할 때에 독출할 수 있고, 각종 동작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 콘트롤러(12)로부터 인코더/디코더부(14)로 데이타 전송되는 경우에 출력되는 채널 식별 신호 SLR는, 이 부가 데이타를 이용하여 생성하게 된다.
[6. 메모리 콘트롤러의 구성]
이어서, 버퍼 RAM(13)을 이와 같은 형태로 이용하기 위한 메모리 콘트롤러(12)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메모리 콘트롤러(1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 참조부호(30)는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부이고, 디스크 드라이브측, 즉 인코더/디코더부(8)에 대한 기록/재생 데이타 Dt, 및 TOC 정보 TDt 등의 유지 및 수수를 행한다.
도면 참조 부호(31)는 RAM 데이타 인터페이스부이고, 버퍼 RAM(13)에 대하여 데이타의 기입/독출 및 이들의 데이타의 유지를 행한다. 기입/독출 대상이 되는 데이타는 기록/재생 데이타 Dt 및 TOC 정보 TDt로 된다.
도면 참조 부호(32)는 음성 압축 인터페이스부이며, 음성 압축부 즉 인코더/디코더부(14)에 대한 기록/재생 데이타 Dt 등의 유지 및 수수를 행한다.
도면 참조 부호(33)는 콘트롤러 인터페이스부이며, 시스템 콘트롤러(11)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된다. 여기서는 시스템 콘트롤러(11)와의 사이에서 TOC 정보 TDt의 양도나, 시스템 콘트롤러(11)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입력 및 이들의 데이타 유지가 행해진다.
도면 참조 부호(34)는 어드레스 카운터이며, 콘트롤러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공급되는 어드레스 지정 데이타, 모드 정보,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부(30) 또는 음성 압축 인터페이스부(32)에서 검출되는 섹터의 싱크 데이타, 및 RAM 데이타 인터페이스부(31)로부터 공급되는 바이트 카운트 신호 등에 따라 후술하는 동작으로 기입 어드레스/독출 어드레스(MAd)를 발생시켜, 버퍼 RAM(13)으로 출력한다.
도면 참조 부호(35)는 메모리 콘트롤러(12)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부이다. 이 콘트롤부(35)는 시스템 콘트롤러(1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버퍼 RAM(13)에 대한 기입/독출 동작 제어나, 인코더/디코더부(8), 인코더/디코더부(14)에 대한 데이타 등의 송수신 동작의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 인코더/디코더부(14)에 대해 채널 식별 신호(SLR)의 출력 동작의 제어도 행하나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면 참조 부호(B)는 각 부를 접속하고 있는 제어 버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어드레스 카운터(34)의 구성을 제9도에 도시한다.
도면 참조 부호(40)은 버퍼 RAM(13)으로의 데이타 기입을 위한 어드레스를 얻기 위해 섹터 싱크에 따라 카운트 동작을 행하는 기입 섹터 카운터이고, 도면 참조 부호(41)는 버퍼 RAM(13)으로부터의 데이타 독출을 위한 어드레스를 얻기 위해 섹터 싱크에 따라 카운터 동작을 행하는 독출 섹터 카운터이다. 또한,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섹터 데이타를 버퍼 RAM에 기입하는 경우에는, 그 기입 동작으로서 순회 모드, 직진 모드, 리트라이 모드 중 어느 것인가가 제공되고, 모드에 따라 기입 섹터 카운터(40)의 카운트 동작이 제어된다.
도면 참조 부호(42)는 기입 섹터 카운터(40)의 계수치를 +1 또는 -1로 할 수 있는 가감산 회로, 도면 참조 부호(43)는 독출 섹터 카운터(41)의 계수치를 +1 또는 -1로 할 수 있는 가감산 회로이다.
도면 참조 부호(44)는 선택 회로이고, 기입 섹터 카운터(40), 독출 섹터 카운터(41), 가감산 회로(42, 43)로부터의 계수치로부터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선택 동작은 예를 들면 시스템 콘트롤러(11)로부터 콘트롤러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실행된다.
도면 참조 부호(45)는 섹터 어드레스 연산부이며, 선택 회로(44)로부터 출력된 섹터 카운트 값 NS에 대하여, NSx 940h x 0Ch를 행한다. 즉, 제6도에서 설명한 에리어 00∼에리어 DC에 대해서의 선두 어드레스(버퍼 RAM(13)에서의 섹터 단위의 선두 어드레스)를 산출한다.
도면 참조부호(46)는 버퍼 RAM(13)으로의 데이타 기입을 위한 바이트 어드레스(섹터의 제몇 바이트인가)를 얻기 위해 섹터 싱크에 따라 리세트 되고, RAM 데이타 인터페이스부(31)로부터의 바이트 카운트 신호 CT에 의해 카운트 동작을 행하는 기입 바이트 카운터이고, 도면 참조 부호(41)는 버퍼 RAM(13)으로부터의 데이타 독출을 위한 바이트 어드레스(섹터의 제몇 바이트인가)를 얻기 위해 섹터싱크에 따라 리세트되고, RAM 데이타 인터페이스부(31)로부터의 바이트 카운트 신호 CT에 의해 카운트 동작을 행하는 독출 바이트 카운터이다.
또, 도면 참조 부호(48)는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 RAM(13) 내에서 (에리어 00∼에리어 DC)에 설치되어 있는 각 16 바이트의 부가 영역(00add∼DCadd)을 억세스하기 위해 소정의 파라미터 오프 셋트를 발생하는 파라미터 오프 셋트 발생부이다. 이 파라미터 오프 셋트 발생부(48)는, 제7도의 부가 영역의 억세스를 위해, 파라미터 오프 셋트로서는 「930h」∼「93Fh」까지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참조 부호(49)는 선택 회로이며, 기입 바이트 카운터(46), 독출 바이트 카운터(47), 혹은 파라미터 오프 셋트 발생부(48)의 출력을, 바이트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면 참조 부호(50)는 어드레스 발생/출력부이며, 섹터 어드레스 연산부(45)로부터 출력된 섹터 어드레스에 선택 회로(49)로부터 출력된 바이트 어드레스를 가산함으로써 억세스 어드레스를 산출하고, 이것을 버퍼 RAM(13)에 대해 출력한다.
[7. 버퍼 RAM에 대한 기입/독출 동작]
메모리 콘트롤러(12) 내에서 이상과 같이 어드레스 카운터(34)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디스크(1)로부터의 재생 동작시에, 디스크(1)로부터 독출된 섹터 데이타를 버퍼 RAM(13)에 기억시키는 경우, 및 버퍼 RAM(13)으로부터 섹터 데이타를 독출하여, 이것을 인코더/디코더부(14)에 대하여 재생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때의 섹터 어드레스를 생성하기 위한 섹터 카운터(40, 41)의 값, 및 파라미터 오프 셋트 발생부(48)의 출력을 이용하여, 부가 영역의 억세스 어드레스를 얻을 수가 있고, 부가 데이타의 기입/독출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부가 영역의 억세스 방식으로서의 각종 예를 설명한다.
또한, 부가 영역으로의 기입/독출은, 이 기입 재생 장치에서의 기록시에, 입력되는 데이타는 버퍼 RAM에 기억시키는 경우, 버퍼 RAM(13)으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하여 기록 데이타로서 공급하는 경우에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도 어드레스 카운터(34)에서의 이하 설명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처리에 의해 부가 영역의 억세스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을 것이므로, 이 경우의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타를 버퍼 RAM(13)에 기입하는 경우에, 부가 데이타를 기록하는 동작예를 설명하려고 하는 바, 이를 위해,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시에 있어서,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타를 버퍼 RAM(13)에 기입하는 경우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제10도를 이용하여 설명해 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섹터 데이타를 버퍼 RAM에 기입하는 경우에는 그 기입 동작으로서 순회 모드, 직진 모드, 리트라이 모드 중 어느 것인가가 제공된다. 이것은 목적의 섹터를 소정의 에리어(에리어 08∼에리어 DC 중 어느 것)에 기입하기 위한 모드 제어이고, 기입이 개시되는 경우에는 먼저 순회 모드로 되어 있다. 순회 모드의 경우, 기입 섹터 카운터(40)는 섹터 싱크가 입력되어 있어도 그때의 카운트 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순회 모드에서 에리어 08으로부터 어드레스 지정되는 경우는, 섹터 어드레스 연산부(45)에서 연산되는 섹터 어드레스는 항상 어드레스 4AOCh가 되고, 기입 바이트 카운터(46)의 카운트 값에 따라, 에리어 08내에서 기입 억세스가 실행된다.
그리고, 섹터 싱크의 개입이 있음과 동시에 그 섹터의 데이타를 각 바이트로 기입해 가고, 그 기입된 섹터가 목적의 섹터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목적의 섹터가 아니면, 순회 모드에 따라 다시 섹터 싱크의 개입에 따라 입력된 섹터의 데이타를 에리어 08내에 각 바이트로 기입해 간다. 즉, 목적의 섹터가 기입될 때 까지 순회 모드로서 중복 기입을 실행해 간다.
예를 들면 에리어 08에 있어서 목적의 섹터가 기입 완료되면, 그 시점에서 직진 모드로 된다. 직진 모드의 경우는 기입 섹터 카운터(40)는 섹터 싱크에 따라 카운트 업을 행한다.
따라서, 억세스 어드레스는 다음의 섹터의 섹터 싱크에 의해 에리어 09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로 되고, 섹터 싱크 이후, 섹터 데이타를 에리어 09의 각 바이트로 기입해 가게 된다.
이후, 기입 에러가 없으면, 기입이 종료(단속적인 기입 동작인 경우 1회에 기입 동작 완료)할 때까지 직진 모드로 순차 섹터 데이타가 각 에리어에 기입되어 간다.
단, 직진 모들 옮긴 경우 및 직진 모드가 계속되어 다음의 에리어로 옮긴 경우에는, 그 직전에 기입된 섹터에 대하여 기입 에러의 유무를 판별하고, 혹시 에러가 있으면 리트라이 모드로서 다시 기입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에리어 0A에 입력된 시점에서 에리어 09에서의 기입 에리어가 검출되면 리트라이 모드로 되어 기입 섹터 카운터의 계수값이 -1이 되어, 즉 억세스 어드레스가 어리어 09내의 어드레스로 된다. 그리고, 에리어 09내에서 순회 모드 상태로 섹터 싱크에 따라서 기입을 계속하고 목적의 섹터가 완전히 기입 완료되면 직진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섹터 데이타를 기입해 가는 경우에 있어서, 그 섹터에 대응한 부가 데이타를 부가 영역에 기입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제10도의 예에서, 직진 모드로 되어 에리어 09의 기입이 행해지고 있는 사이에는, 이미 에리어 08에는 적정한 섹터 데이타가 기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에리어 08에의 부가 영역 08add에, 기입된 섹터에 대한 부가 데이타를 기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가 영역 08add의 억세스 어드레스가 얻어지면 좋다.
이를 위해, 기입 섹터 카운터(40)의 카운터 값은 에리어 09를 나타내는 값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하여 가감산 회로(42)에서 -1을 행하고, 선택 회로(44)는 가감산 회로(42)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게 하여, 에리어 08에 대한 섹터 어드레스가 얻어지도록 한다.
또 동시에, 부가 영역내에 기입할 바이트에 상당하는 파라미터 오프 세트를 파라미터 오프 셋트 발생부(48)로부터 선택 회로(49)를 통해 출력시킨다.
예를 들면 제7도의 섹터 내의 928h 바이트 째에 파라미터 PRM20으로서 부가 데이타를 기입하고 싶을 경우는, 「938h」라고 하는 파라미터 오프 셋트를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어드레스 발생/출력부(50)에서는, 에리어 08의 섹터 어드레스 4A0Ch에 파라미터 오프 셋트 938h가 가산 합성되고, 파라미터 PRM20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생성되어, 출력되게 된다.
또, 순회 모드에 있을 때에, 그 에리어에 기입할 섹터에 대응시켜 부가 데이타를 기입하고 싶은 경우는, 그대로 파라미터 오프 셋트 발생부(48)로부터의 소정의 파라미터 오프 셋트를 출력시켜, 이것을 선택 회로(49)에서 선택 출력시키면, 에리어 09의 부가 영역 09add 내에 소정 바이트로의 억세스 어드레스가 생성되게 된다.
이어서, 버퍼 RAM(13)으로부터 섹터 데이타를 독출하여 재생 데이타로서 전송하는 경우는, 통상 에리어 08, 09, 0A …등의 순으로 독출되어 가는데, 예를 들면 에리어 09에 대해서의 섹터 데이타 독출을 행하는 이것을 전송하는 경우는 그 다음의 섹터(즉 에리어 0A에 기억된 섹터)에 대해서의 부가 데이타가 독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독출 섹터 카운터(41)의 카운트 값에 대하여 가감산 회로(43)에서 +1로 된 값을 선택 회로(44)에서 선택 출력시킨다. 동시에 파라미터 오프 셋트 발생부(48)로부터의 소정의 파라미터 오프 셋트를 출력시켜, 이것을 선택 회로(49)에서 선택 출력시킨다.
그러면, 섹터 어드레스 산출부(45)로부터 섹터 어드레스로서 에리어 0A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64BCh가 얻어지고, 이것에 파라미터 오프 셋트 값이 가산되므로, 에리어 0A의 부가 영역 0Aadd 내의 어떤 바이트의 어드레스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 어드레스에 의해 소망의 부가 데이타를 독출할 수 있다.
이하,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동작시의 각종 경우에 대하여, 부가 영역의 최초의 바이트의 파라미터 PRM00를 억세스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어드레스의 산출 연산 처리를 종합하여 예시한다. 또한, 각 시점의 기입 섹터 카운트 값을 WSC, 독출 섹터 카운트 값을 RSC, 발생하는 어드레스를 Mad로 한다. 또, WSC 혹은 RSC에 대한 +1 또는 -1의 연산 처리는 가감산 회로(42) 혹은 (43)의 처리에서, 선택 회로(44)가 가감산 회로(42) 또는 (43)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X940h + 0Ch)의 연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섹터 어드레스 연산부(45)의 처리를 표시한다. 또한, 파라미터 PRM00는 섹터 내의 930h라고 하는 오프 셋트 위치에 상당하는 바이트에 위치한다.
◎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섹터 데이타를 버퍼 RAM으로의 기록의 경우에, 파라미터 PRM00으로서 부가 데이타를 기입하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 방식
a. 직선 모드 또는 순회 모드에서 어떤 에리어 기입 중에 그전의 에리어의 섹터에 대하여 부가 데이타(PRM00)를 기입하는 경우.
Mad= (WSC - 1) x 940h + 0Ch + 930h
b. 직진 모드 또는 순회 모드에서 어떤 에리어 기입 중에 그 에리어의 섹터에 대하여 부가 데이타(PRM00)를 기입하는 경우.
Mad= WSC x 940h + 0Ch + 930h
c. 직진 모드 또는 순회 모드에서 어떤 에리어 기입 중에 그 다음의 에리어에 기입되는 섹터에 대하여 부가 데이타(PRM00)를 기입하는 경우.
Mad= (WSC + 1) x 940h + 0Ch + 930h
◎ 버퍼 RAM으로부터 섹터 데이타를 독출하여 재생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경우에, 파라미터 PRM00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부가 데이타를 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발생방식
a. 독출 중의 에리어의 다음 에리어의 섹터 데이타에 관한 부가 데이타(PRM00)를 읽어들이는 경우.
Mad= (RSC + 1) x 940h + 0Ch + 930h
b. 독출 중의 에리어의 섹터 데이타에 관한 부가 데이타(PRM00)를 읽어들이는 경우.
Mad= RSC x 940h + 0Ch + 930h
c. 독출 중의 에리어 전의 에리어의 섹터 데이타에 관한 부가 데이타(PRM00)를 읽어들이는 경우.
Mad= (RSC-1) x 940h + 0Ch + 930h
또한, 파라미터 PRM01∼PRM33에 대해서의 억세스 어드레스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930h」의 가산항, 즉 파라미터 오프 셋트가 「931h」∼「93Fh」로 되면 좋다.
또, 기입시 및 독출시에 각각 상기 a, b, c 중 어느 방식으로 어드레스를 발생시킬 건가는, 시스템 콘트롤러(11) 및 콘트롤부(35)에 의한 선택 회로(44, 49)의 출력 선택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과 같이 어드레스카운터(34)가 구성됨으로써, 부가 데이타를 억세스하는 경우에 시스템 콘트롤러(11가 그 어드레스를 산출할 필요는 없고, 파라미터 오프 셋트 지정을 행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섹터내의 억세스 바이트 위치가 부가 영역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그 부가 영역을 억세스하는 섹터에 대해서도, 섹터 카운터의 값 혹은 그것에 +1, -1을 제공한 값을 이용해 지정할 수 있다.
또 섹터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부가 영역의 억세스 어드레스를 얻음으로써, 시스템 콘트롤러(11)는 버퍼 RAM(13)에 기입된 섹터와 그것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타의 관계 및 어드레스 위치의 관리를 행하지 않아도, 버퍼 RAM(13)에서는 섹터에 대응하여 동일의 에리어에 부가정보가 유지되고, 독출시에도 그 독출 동작에 따라 섹터에 대응한 부가 데이타를 독출할 수 있다.
또한, 항상 현재 카운트 되고 있는 섹터에 대하여, 부가 데이타의 독출, 기입을 행하면 가감산 회로(42, 43)는 반드시 필요치 않다.
어떻든, 섹터 데이타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각종 정보를 버퍼 RAM(13) 내에서 부가 데이타로서 유지하고, 섹터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우에, 이 부가 데이타를 독출하여 각종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
[8. 메모리 콘트롤러로부터 디코더로의 채널 식별 신호의 공급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콘트롤러(12)로부터 인코더/디코더부(14)에 대해 공급되는 채널 식별 신호 SLR에 대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콘트롤러(12)에서의 음성 압축 인터페이스부(32)와, 인코더/디코더부(14)와의 사이에는 버퍼 RAM(13)으로부터 독출된 섹터 데이타(디스크(1)로부터 독출된 압축 처리되고 있는 상태의 음성 데이타) Dt의 전송시에,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의 수수가 행해지고 있다.
재생 동작시에 있어서는, 인코더/디코더부(14)측은 음성 데이타를 사운드 프레임 단위로 받아들여, 이것을 디코드하여 16 비트의 디지탈 신호로서 출력하기 위해, 데이타 받아들임의 요청 신호 RQ를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출력하고, 메모리 콘트롤러(12)에서는 요청 신호 RQ에 따라 음성 데이타를 사운드 프레임 단위로 송신해 오게 된다.
그리고, 인코더/디코더부(14)에서는 전송된 음성 데이타 Dt를 클럭 CK 및 래치 신호 LATCH에 따라 받아들이고, 디코드 처리를 행하게 된다.
ER-FG는 에러 플래그이고, 전송하는 음성 데이타 Dt에서의 에러 유무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 메모리 콘트롤러(12)로부터는 사운드 프레임 단위로 송신하는 음성 데이타에 대하여 인코더/디코더부(14)가 L 채널과 R 채널을 식별할 수 있도록 채널 식별 신호 SLR를 송신하고 있다.
요청 신호 RQ 및 음성 데이타 Dt의 전송 상태, 및 채널 식별 신호 SLR을 제12도에 도시한다. 또한, 제12도에서 (a-1)과 (a-2)는 연속한 요청 신호 RQ를 분할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동일하게 (b-1), (b-2)는 음성 데이타, (c-1), (c-2)는 채널 식별 신호 SLR를 분할하여 표시하고 있다.
제18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운드 그룹은 11.6 msec분의 L, R의 음성으로 되는 음성 데이타이므로, 인코더/디코더부(14)는 5.8 mesc마다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과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이 받아 들여지도록 요청 신호 RQ를 출력하고 있다.
그리고, 메모리 콘트롤러(12)에서는 버퍼 RAM(13)으로부터 섹터 단위로 독출을 행하고, 요청 신호 RQ에 따라 사운드 프레임 단위로 음성 데이타를 인코더/디코더부(14)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우수 섹터에 대응하는 기간에서는, 제12도(b-1)에 도시하듯이 5.8 mesc마다, 사운드 프레임 SF(L0), SF(R0), SF(L1), SF(R1)…등 L, R 채널로 교대로 출력되어 가고, 또 그 우수 섹터에 이은 기수 섹터에 대응하는 기간에서는, 제12도(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운드 프레임 SF(R5), SF(L6), SF(L7)…등으로 출력되어 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 콘트롤러(12)는, 2 섹터에 1회의 비율로, 그 사운드 프레임이 L 채널의 테이다인 것을 인코더/디코더부(14)에 식별시키기 위해, 채널 식별 신호 SLR을 출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수 섹터에서의 선두의 사운드 프레임 SF(L0)의 출력 타이밍에서, 제12도(c-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널 식별 신호 SLR를 출력하여, 인코더/디코더부(14)에 대하여, 그 사운드 프레임이 L 채널인 것을 식별시키도록 하고 있다. (2 섹터에 1회의 비율로 L 채널인것을 나타내는 펄스인 채널 식별 신호 SLR를 출력하는 이 실시예에서는, 제12도(C-2)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수 섹터에서는 채널 식별 신호 SLR로서의 펄스를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코더/디코더부(14)에서는, 채널 식별 신호 SLR로서의 펄스가 공급되고 있을 때에 받아들인 사운드 프레임에 대해서는 우수 섹터의 최초의 사운드 프레임 SF(L0), 즉 L 채널의 데이타의 사운드 프레임으로 판별할 수 있고, 그 이후는 받아들이는 사운드 프레임 마다 R 채널, L 채널, R 채널 …로서 처리해 감으로써 L/R을 잘못 처리해 출력는 일은 없게 된다.
가령 어떤 에러에 의해 우수 섹터가 2회 연속해서 버퍼 RAM(13)으로부터 읽혀지면, 예를 들면 우수 섹터의 최후의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L5)의 다음에, 다시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L0)이 전송되어온 경우에도, 그 사운드 프레임 SF(L0)에 대응하여 L 채널인 것을 나타내는 채널 식별 신호 SLR가 공급되므로, 이것을 R 채널(즉, 기수 섹터의 최초의 사운드 프레임 SF(R5))로 잘못해 처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L 채널을 표시하는 펄스로서의 채널 식별 신호 SLR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콘트롤러(12)는 버퍼 RAM(13)으로부터 독출된 섹터에 대하여, 그것이 우수 섹터인지 기수 섹터인지를 판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한 처리를 제13도, 제14도에 도시한다.
디스크(1)로부터 독출된 데이타는 메모리 콘트롤러(12)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섹터 단위로 버퍼 RAM(13)에 기입되어 가지만, 이 버퍼 RAM(13)으로의 기입의 경우에, 메모리 콘트롤러(12)의 콘트롤부(35)는 제13도의 처리를 행하게 된다.
먼저 섹터 데이타를 받아들이면(F100), 헤더에서 싱크 패턴을 검출하게 되는데, 싱크 패턴이 정확하게 얻어진 경우는 단계(F101)로부터 단계(F102)로 진행하고, 헤더 데이타로서의 에러가 없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헤더 데이타로서의 에러가 없으면 섹터 데이타가 올바르게 받아들여진 것으로 된다.
섹터 데이타가 올바르게 받아들여지면, 섹터 어드레스의 LSB를 확인하고, 그 값이 「0」인지 「1」인지를 판별한다(F103). 섹터 어드레스의 LSB가 「0」이면 우수 섹터이므로(F104), 우수/기수 섹터의 판별을 위해 준비되어 있는 우수 섹터 플래그 Feven를 「1」로 한다(F105).
또한, 싱크 검출이 부적합했던 경우, 헤더 데이타에 에러가 있었던 경우 및 섹터 어드레스의 LSB가 「1」이며, 기수 섹터라고 판별된 경우는, 우수 섹터 플래그 Feven는 「0」으로 된다(F106).
이 우수 섹터 플래그 Feven는, 상술한 부가 데이타로서 준비된 것이며, 섹터 데이타를 제6도의 에리어 05∼에리어 DC 중 어느 것인가에 기입하는 경우, 그 부가 데이타 영역(05add∼DCadd 중 어느 것)의 파라미터(RPM00∼PRM33)의 하나로서 기입된다.
또한, 섹터 데이타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타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밖에도 여러 종류가 생성되어 각각 파라미터(PRM00∼PRM33)의 하나로서 기입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의 처리는, 상기 제10도를 이용하여 설명한 섹터 데이타로 받아들여 동작 내에서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버퍼 RAM(13) 내에서는 섹터 데이타에 대응하여 우수/기수 섹터를 나타내는 부가 데이타가 기입되어 있게 되므로, 섹터 데이타를 독출하여 인코더/디코더부(14)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의 우수 섹터 플래그 Feven으로 되는 파라미터를 확인하면 좋은 것으로 된다.
즉 메모리 콘트롤러(12)는 버퍼 RAM(13)으로부터 섹터 데이타를 독출하는 경우에는, 그 섹터 데이타에 대응하여 부가 데이타를 독출할 수 있지만(부가 데이타의 독출 타이밍은 전술한 대로 여러 형태로 설정 가능하지만, 이 경우 독출하고 있는 섹터의 데이타 전송의 개시전의 시점에서 부가 데이타를 독출하게 된다), 부가 데이타로서의 각 파라미터를 독출하면(F201), 그들의 부가 데이타에 따라 에러 플래그 등의 각종 설정을 행하고(F202), 또 채널 식별 신호 SLR의 생성을 위해 우수 섹터 플래그 Feven의 체크를 행한다(F203).
그리고 우수 섹터 플래그 Feven= 1이면 우수 섹터이므로, 그의 대응하는 섹터의 데이타에 대하여 선두의 사운드 프레임 SF(L0)를 전송하는 타이밍에 동기시켜 채널 식별 신호 SLR로서 L 채널을 표시하는 펄스가 출력되도록 설정 처리를 행하게 된다(F204).
한편, 우수 섹터 플래그 Feven= 0이면 기수 섹터이므로, 그의 대응하는 섹터의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채널 식별 신호 SLR로서 L 채널을 나타내는 펄스가 출력되지 않도록 설정 처리를 행하게 된다(F205).
이상의 동작을 콘트롤러부(35)가 행함으로써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은 2섹터에 1회의 타이밍으로 채널 식별 신호 SLR펄스가 출력되고, 인코더/디코더부(14)가 L/R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3도, 제14도의 처리는 메모리 콘틀롤러(12)의 콘트롤부(35) 내에서 하드로직 회로에 의해 실행하는 것 외에, 예를 들면 시스템 콘트롤러(11)에 대한 소프트웨어 연산 수단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9. 채널 식별 신호로서의 각종 실시예]
채널 식별 신호 SLR는 이상과 같이 사운드 프레임 SF(L0)에 대응하는 펄스로서 출력하는 외에, 각종 상태가 생각되어질 수 있다. 이들은 제15도에 도시한다.
제15a도는 4 섹터분에 대하여 사운드 프레임의 전송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고, 제15b도는 상술한 실시예의 채널 식별 신호 SLR를 표시하고 있다.
제15b도의 변형예로서, 제15c도는 펄스폭이 다르다.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채널 식별 신호 SLR를, 사운드 프레임 SF(L0)의 전송 시간에 맞추어 하이 레벨이 되는 펄스폭의 신호로 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할 필요는 없으며, 사운드 프레임 SF(L0)이 L 채널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제15c도와 같은 펄스라도 관계없다.
또 제15d도는 채널 식별 신호 SLR를 R 채널을 나타내는 펄스로 하는 예이며, 기수 섹터의 제1의 사운드 프레임 SF(R5)에 대응하여 펄스가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또 제15e도는 각 섹터마다 L 채널의 식별 펄스가 채널 식별 신호 SLR로서 출력되는 예이며, 사운드 프레임 SF(L0), SF(L6)에 대응한 기간에 출력되는 것이다.
또 제15f도는 각 섹터 마다에 R 채널의 식별 펄스가 채널 식별 신호 SLR로서 출력되는 예이며, 사운드 프레임 SF(R0), SF(R5)에 대응한 기간에 출력되는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이 L 채널 혹은 R 채널의 식별을 행하는 펄스로서 채널 식별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는, 어떤 섹터에 걸쳐서 출력할 것인가의 출력 타이밍이나, 어떤 사운드 프레임에 대응하여 출력할 것인가의 출력 타이밍으로서는 제15b도 내지 제15f도에 도시한 이외에도 여러가지 생각할 수 있다.
제15g도는, 채널 식별 신호 SLR를 상술한 L 또는 R 채널의 어떤 사운드 프레임에 대응하는 펄스가 아니고, L/R의 채널 클럭으로서 각 사운드 프레임에 대응시켜 출력하도록 한 예이다.
이 채널 식별 신호 SLR를 채널 클럭으로 한 실시예의 출력 파형을, 상기 제12도와 동일한 형식으로 제16도에 도시한다.
이 경우, 채널 식별 신호 SLR로서는, 제16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사운드 프레임의 전송이 종료된 시점에서 반전되는 클럭이 된다. 따라서, 인코더/디코더부(14)에서는, 이 채널 식별 신호 SLR에서의 R 기간에는, R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R0), SF(R1), SF(R2)…가 공급되고, 이 채널 식별 신호 SLR에서의 L 기간에는, L 채널의 사운드 프레임 SF(L0), SF(L1), SF(L2)…가 공급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고, L/R의 처리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7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령 우수 섹터의 데이타가 2회 계속해서 출력되는 에러가 발생했다고 하자. 즉 인코더/디코더부(14)에 대하여 사운드 프레임 SF(L5)에 이어서 사운드 프레임 SF(L0)이 전송되어 버리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그러나, 메모리 콘트롤러(12)에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수단에 의해 섹터의 우수 기수 판별을 행하여, 우수 섹터의 선두에서는 LR 클럭으로서의 채널 식별 신호 SLR가 L 채널 기간이 되게함으로써, 채널 식별 신호 SLR을 제1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되고, 인코더/디코더부(14)측에서는 이 채널 식별 신호 SLR에 따라, 받아들인 사운드 프레임 데이타에 대하여 정확히 L, R 채널을 식별하고, 디코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음성 출력의 경우 L/R이 반전하고, 스테레오 음성의 정위 편차가 발생하는 일도 없게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는 광자기 디스크(1)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예에 의해 설명했으나, 물론 재생 전용 장치라도 좋다.
또, 채널 식별 신호의 생성 방식이나 채널 식별 신호의 파형 상태 등은 더욱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콘트롤러(12)로부터 출력하는 외에, 시스템 콘트롤러(11) 등으로 채널 식별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생 장치에서는,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디코더 수단에 복수 채널의 데이타를 시분할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디코더에는, 받아들이는 각 데이타 단위(예를 들면 사운드 프레임)에 대하여, 데이타 단위가 L 채널인 것, 혹은 그 데이타 단위가 R 채널을 나타내는 펄스, 또는 각 데이타 단위에 거의 동기하여 각 데이타 단위의 채널을 식별하는 L.R 클럭 펄스가, 채널 식별 신호로서 공급되므로, 디코더가 입력되는 데이타 단위(예를 들면 사운드 프레임)에 대하여, L 채널인지 R 채널인지가 정확히 식별되며, 가령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섹터 독출 에러 등이 생겨도 틀림없이 L 채널의 데이타 단위의 디코드 데이타를 L 채널의 출력으로 하고, 또 R 채널의 데이타 단위의 디코드 데이타를 R 채널의 출력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재생 스테레오 음성의 경우에 정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 채널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하여 메모리 수단에 기억하고, 이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한 데이타를 디코드 수단에 공급하여 소정의 디코드를 행해 재생 출력을 행하도록 구성한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코드 수단에 복수 채널의 데이타를 시분할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디코더에는 받아들이는 각 데이타 단위에 대하여 채널 식별을 행할 수 있는 채널 식별 신호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는 L 채널 및 R 채널의 음성 데이타이고,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코더 수단으로 전송하는 데이타 내의 어떤 데이타 단위에 거의 동기하여, 그 데이타 단위가 L 채널인지, 혹은 그 데이타 단위가 R 채널인지를 나타내는 펄스가 상기 채널 식별 신호로서 상기 디코더 수단에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는 L 채널 및 R 채널의 음성 데이타이고,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디코더 수단으로 전송되는 각 데이타 단위에 거의 동기하여, 각 데이타 단위의 채널을 식별하는 L/R 클럭 펄스가 상기 채널 식별 신호로서 상기 디코더 수단에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KR1019940016061A 1993-07-07 1994-07-06 재생 장치 (disc reprouducing apparatus) KR100282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85393A JP3508168B2 (ja) 1993-07-07 1993-07-07 再生装置
JP93-191853 1993-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236A KR950004236A (ko) 1995-02-17
KR100282503B1 true KR100282503B1 (ko) 2001-03-02

Family

ID=1628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061A KR100282503B1 (ko) 1993-07-07 1994-07-06 재생 장치 (disc reprouducing a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19681A (ko)
EP (1) EP0633570B1 (ko)
JP (1) JP3508168B2 (ko)
KR (1) KR100282503B1 (ko)
DE (1) DE6942063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89B1 (ko) * 1996-08-23 2006-06-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재생장치,재생장치및기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73555B1 (pl) * 1993-06-14 1998-03-31 Sony Corp Sposób alokacji danych cyfrowych o różnych formatach na nośniku zapisu
JP3467832B2 (ja) * 1994-04-20 2003-11-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EP0688113A2 (en) * 1994-06-13 1995-12-2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audio signals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audio
JP3560074B2 (ja) * 1994-07-29 2004-09-0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JP3500724B2 (ja) * 1994-09-05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CA2168327C (en) * 1995-01-30 2000-04-11 Shinichi Kikuchi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is record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ata according to navigationdata,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on a recording medium.
CN1086498C (zh) * 1995-02-22 2002-06-19 株式会社东芝 信息记录方法,信息重放方法以及信息重放装置
TW430785B (en) * 1995-04-14 2001-04-21 Toshiba Corp Interactively broadcasting recording-media and its regeneration system
US6009234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JP2766466B2 (ja) * 1995-08-02 1998-06-18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方式、その再生方法、並びにその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媒体への記録方法
TW329515B (en) * 1995-10-24 1998-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tion apparatus
TW318240B (ko) * 1996-01-22 1997-10-21 Sony Co Ltd
KR100217745B1 (ko) * 1996-05-31 1999-09-01 윤종용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시스템 디코더
JPH1065718A (ja) * 1996-08-23 1998-03-06 Sony Corp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JPH1065758A (ja) * 1996-08-23 1998-03-06 Sony Corp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JPH10106146A (ja) * 1996-09-25 1998-04-24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の記録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US6283764B2 (en) * 1996-09-30 2001-09-04 Fujitsu Limited Storage medium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6178147B1 (en) * 1997-08-22 2001-01-23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192014B1 (en) 1998-06-05 2001-02-20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interleaved audio programs recorded on a record carrier
US6694091B1 (en) * 1999-08-17 2004-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ssigning audio channel identification, method for selecting audio channel using the sam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therefor
US6678236B1 (en) * 1999-08-24 2004-01-1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2003006992A (ja) * 2001-06-26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装置
CN1890742A (zh) * 2003-12-11 2007-01-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号处理电路
JP4452136B2 (ja) * 2004-03-30 2010-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同期再生装置及び端末装置
JP4207832B2 (ja) * 2004-04-16 2009-01-14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JP4465617B2 (ja) * 2005-05-20 2010-05-19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制御方法
US7788555B2 (en) * 2005-07-22 2010-08-31 Broadcom Corporation Using fractional sectors for mapping defects in disk drives
EP2031590A1 (en) * 2007-08-31 2009-03-04 Deutsche Thomson OHG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detection
US9129627B1 (en) * 2014-05-15 2015-09-08 Seagate Technology Llc Sector-based write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174A (en) * 1979-10-04 1981-05-08 Sony Corp Reproducing device of video signal
KR910005644B1 (ko) * 1986-09-19 1991-08-01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디스크재생장치
JP2725257B2 (ja) * 1987-09-16 1998-03-1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記録装置
US4811325A (en) * 1987-10-15 1989-03-07 Personics Corporation High-speed reproduction facility for audio programs
JPH0727651B2 (ja) * 1989-06-12 1995-03-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トラック構造を有する情報記録媒体の情報読取方法
JP3395192B2 (ja) * 1991-05-25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ディスクプレーヤの再生ポーズ回路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の再生制御回路
US5412628A (en) * 1992-10-05 1995-05-02 Yamaha Corporation Apparatus for intermittently recording and reproducing a signal on a disc type record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89B1 (ko) * 1996-08-23 2006-06-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재생장치,재생장치및기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19681A (en) 1996-05-21
EP0633570A2 (en) 1995-01-11
JP3508168B2 (ja) 2004-03-22
JPH0729308A (ja) 1995-01-31
EP0633570A3 (en) 1995-09-20
DE69420634T2 (de) 1999-12-30
KR950004236A (ko) 1995-02-17
DE69420634D1 (de) 1999-10-21
EP0633570B1 (en)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503B1 (ko) 재생 장치 (disc reprouducing apparatus)
EP0681292B1 (e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JP3353382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CA2096195C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calculates and displays management information of recorded segments
JP3560074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US20060044969A1 (en) Dubbing apparatus
KR100278191B1 (ko) 기록 가능한 영역을 목록으로 관리하는 방법과 이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또는 기록 재생 장치
JP3503231B2 (ja) 記録装置
US6310842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US5897652A (en) Memory control device and address generating circuit
JP3444277B2 (ja) 再生装置
JP3433759B2 (ja) 記録位置取得装置
JP3931917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3799075B2 (ja) 記録装置
JP3297936B2 (ja) 再生装置
JP2003178516A (ja)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記録又は再生方法
JPH0863897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6309847A (ja) 記録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