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114B1 -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 Google Patents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114B1
KR100282114B1 KR1019940704121A KR19940704121A KR100282114B1 KR 100282114 B1 KR100282114 B1 KR 100282114B1 KR 1019940704121 A KR1019940704121 A KR 1019940704121A KR 19940704121 A KR19940704121 A KR 19940704121A KR 100282114 B1 KR100282114 B1 KR 10028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pipe
elastic member
ring
wear ring
tub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쉴렉트칼
벤케르트하르트무트
Original Assignee
벤케르트 하르트무트
푸츠마이스터-베르크 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1300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821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벤케르트 하르트무트, 푸츠마이스터-베르크 마쉬넨파브리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벤케르트 하르트무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084Component part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04B7/0088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istribution members and the housing
    • F04B7/0096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istribution members and the housing for pipe-type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04B15/023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supply of fluid to the pump by gravity through a hopper, e.g. without intak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04B7/0084Component part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04B7/0088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istribution members and the hou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Slurry pumps, e.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스윙파이프(202), 웨어링 링(204) 및 탄성부재(206)를 포함하는 이중실린더 슬러지 펌프의 튜브 스위치가 제공된다. 스윙 파이프(202)는 중앙판(5)의 정면에서 회전하기에 적합하며, 내부면(214)을 가진 연장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웨어링 링(204)은 스윙파이프(202)의 단부 및 중앙판(5) 사이에 지지되며, 스윙파이프(202)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웨어링 링(204)은 이 링의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홈(208)을 갖고 있으며, 이 홈은 경사경계면에 의해 한정된다. 스윙파이프(202)는 홈(208)을 가진 웨어링 링(204)의 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홈(208)은 고리형 공간(228)에 면한 스윙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의 내부면과 함께 스윙 파이프(202) 및 웨어링 링(204) 사이의 고리형공간(228)을 한정한다. 탄성부재(206)는 방사상의 내부면 및 웨어링 링(204)의 경계면(222)과 일치하며 인접해 있는 경사진 정면단부면(232)을 포함하고 있다. 탄성부재(206)는 스윙파이프(202) 및 고리형 공간안의 웨어링 링(204) 사이에 지지된다. 스윙 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의 내부면(214)은 돌기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스윙파이프(202)의 어떠한 부분도 탄성부재(206)의 방사상의 내부 부분(236)가 접촉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제1a도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의 튜브 스위치의 실린더쪽을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1b도는 제1a도에서 보여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웨어링(wearing ring)에 작용하는 유압의 효과하에 작용하는 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수정된 실시예에 따른 튜브 스위치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물질공급 탱크의 구멍 5 : 중앙고정판
100 : 튜브스위치 102 : 스윙파이프(swing pipe)
104 : 웨어링 링(wearing ring) 106 : 탄성부재(고무탄성링)
108 : 웨어링 링의 홈 110 : 파이프 통로
112 : 스윙 파이프의 연장부 114 : 스윙 파이프 연장부의 내부면
116 : 축안내면 118 : 웨어링 링위에 있는 중심면
120 : 웨어링 링의 정면 접촉면 122 : 웨어링 링의 경계면
124, 126 : 웨어링 링의 계단면 128 : 고리형 공간
130 : 탄성부재의 외부면 132 : 탄성부재의 정면 단부면
134 : 탄성부재의 후방단부면 136 : 탄성부재의 방사상의 내부부분
138, 140 : 탄성부재의 내부부분의 계단 내부면
142, 144 : 계단 정면 단부면 146, 148 : 스윙파이프의 방사상 내부면
150 : 보강링 152 : 점성물질
본 발명은 실린더 안쪽에 있는 튜브 스위치의 중앙 고정판의 정면에서 회전하기에 적합한 스윙 파이프를 포함하는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 펌프에 웨어링 링이 장착되어 이 링은 스윙 파이프의 중앙 고정판 위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스윙 파이프안의 내부 유압에 의해 중앙고정판을 향해 압력을 받기에 적합하게 된다. 하나의 고무 탄성링이 스윙파이프 및 웨어링 링 사이에 장착된다.
스윙 파이프는 웨어링 링에 인접한 단부에 축안내면을 갖고 있다. 이 안내면은 웨어링 링의 원통중심면 위에 지지되며, 이 원통 중심면은 방사상으로 바깥쪽을 향해 있다. 축안내면은 중심면과 함께 밀폐틈새를 한정한다. 웨어링 링은 중앙 고정판과 인접한 외부정면 접촉면을 갖고 있다. 웨어링 링은 그 후방부분과 함께, 고무 탄성링에 의해 연결된 파이프의 내부를 향해 열린 축방향 틈새에 의해 스윙 파이프의 단부면으로부터 분리된 경계면을 형성하는 하나의 홈을 갖고 있다.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대개, 자동링으로 언급되는 웨어링 링을 가진 종류의 튜브 스위치들은 예를들면, 독일특허 제 26 14 895 호 및 제 31 03 321 호에 나타나 있다. 독일특허 제 31 03 321 호에서, 고무 탄성링을 수용하는 링홈들은 스윙파이프 및 웨어링 링 모두에 만들어진다. 홈들은 서로 면해 있고, 고무 탄성링의 단부들 아래에 뻗어있다.
하나의 문제점은 연마물질이 링홈들 부분 안으로, 또한 고무 탄성링 뒤로 침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스윙 파이프의 측면 위에서는 연마물질이 웨어링 링 및 스윙 파이프 사이의 방사상의 틈새를 통과할 수 있으며, 또한 방사상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반면, 웨어링 링 및 밀폐링 사이의 편심 릴리프(relief)를 통과하는 연마재료는 압력이 약해졌을 때 보통 파이프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은 튜브 스위치에 축방향의 인장력을 발생시키므로써 튜브 스위치의 스위치를 통한 작동이 어렵게 되어 마모를 증가시킨다.
추가적으로, 편심 릴리프는 경화된 연마물질로 점점 채워지게 되므로써, 마모가 증가하고, 축방향의 공기가 증가하여 유연한 밀폐링이 파이프의 내부를 향해 당겨지게 되므로 이 링이 이탈하게 될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슬러지 펌프가 역송출동안 압력이 낮아질때 발생한다. 외부로 나가는 경화된 연마물질의 효과로 인해, 고압하의 송출시에 특히 발생하는 스윙 파이프 및 웨어링 파이프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은 때아닌 마모 및 파손을 초래하게 된다. 주기적으로 증가하는 압력하에서, 이러한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은 대개 약 1-3mm 범위안에 있으며, 펌프 하우징의 탄성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기본 과제는 연마물질의 외부 송출을 확실하게 막으므로써 웨어링 링 및 튜브스위치 사이에서 마모가 적게 발생하는 축안내를 쉽게 할수 있는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의 튜브 스위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풀기 위해 청구범위 1-8항에 기술된 특징들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의 유리한 개선 및 또다른 개발들은 종속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실제 작동에 있어서, 튜브 스위치가 전환되고 돌등과 같은 고체 입자들이 웨어링 링 및 중앙고정판 사이에 있게될때, 웨어링 링은 다소간 뒤로 튀어 물러날 수 있어야 하며, 추가적으로 축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쉽게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 특히 중요하게 된다. 더우기, 연마물질은 가능한한 밀폐틈새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데, 도달하게되면 이 연마물질은 경화되고 양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고무 탄성링의 방사상의 외부면이 홈을 잇는 스윙 파이프의 원통형 축 안내면 부분과 접촉해 있게 된다. 탄성링의 후단부는 스윙 파이프의 내부면과 접촉하므로써 스윙 파이프의 내부면이 돌기가 없게되어 스윙 파이프의 어떠한 부분도 탄성링의 방사상의 내부부분과 접촉되지 않게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고무 탄성링의 방사상의 내부부분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1/3이 웨어링 링안의 홈에 의해 한정된 경계면 위에 놓이게 된다.
확실한 밀폐를 위하여, 접촉면적이 탄성링의 방사상 내부부분 위의 계단면들에 의해 증가되며, 이에 따라 탄성링의 계단면들중 하나가 웨어링 링의 방사상 경계면 위에 놓이게 된다. 바람직하게, 탄성부재의 정면단부는 웨어링 링안의 홈에 의해 한정된 경계면 위의 두개의 축방향 계단면들에 대응하여 접해있는 두개의 계단면들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가압시 파이프 안쪽으로부터 나와 틈새공간에 도달하여 경화되는 송출물질이 압력에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스윙파이프의 내부면의 측면 위의 후단부의 근처에 있는 고무 탄성링 안으로 압력을 받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탄성링의 정면 및 방사상의 외부부분은 웨어링 링 및 스윙파이프 사이의 축안내면의 근처의 밀폐틈새를 향해 강하게 힘을 받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링 링은 중심면에 대해 경사진 경계면에 의해 한정된 홈을 갖고 있다. 따라서, 탄성링의 정면 단부면은 웨어링 링의 경계면에 접촉하기 위해 기울어진다.
웨어링 링이 스윙파이프의 축에 대해 효과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 축안내면 및 중심면은 이들 사이의 방사상의 틈새를 한정한다. 바람직하게, 틈새는 약 1mm 의 넓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스윙파이프 및 웨어링 링 사이의 건조된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는 이 콘크리트가 웨어링 링의 주변에 분포될 수 있기 때문에 감소하게 된다.
탄성링이 스윙파이프의 구멍안으로 끌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보강링이 스윙파이프의 연장부분에 인접한 탄성링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보강링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부터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은 구체화한 튜브스위치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튜브스위치(100)는 이중실린더 슬러지 펌프와 함께 사용되는데, 이 펌프는 송출 실린더들(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질공급탱크(도시되지 않음) 측면에 있는 구멍들은 교체할 수 있는 중앙고정판(5)에 의해 가려져 있다. 물질공급탱크의 측면 위에 스윙파이프(102)의 정면단부가 중앙고정판(5)의 정면에 지지된다. 스윙파이프(102)는 파이프를 통해 뻗어있는 통로(110)을 갖고 있으며, 수평축에 대해 전후로 회전하기 적합하여, 파이프 통로는 두개의 탱크구멍들(4,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중 하나의 정면에 교대로 위치하여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구멍들과 각각 물질공급탱크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중앙 고정판(5)의 반대편에 있는 스윙파이프(102)의 단부는 송출파이프(도시되지 않음) 안으로 연결된다.
압력고정 방식으로 스윙파이프(102)의 정면을 중앙고정판(5)에 연결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웨어링 링(104)이 지지된다. 스윙파이프(102)는 웨어링 링(104) 위에 원통형 안내 중심면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이에 관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원통형 축안내면(116)를 갖고 있다. 웨어링 링은 정면단부 위에 중앙 고정판(5)의 접촉면(24)에 접해있는 외부 정면 접촉면(120)을 갖고 있다.
제1a도에 보여지는 발명의 실시예에서 계단홈(108)은 웨어링 링(104)의 뒷부분에 형성된다. 계단홈(108)은 방사상 경계면(122) 및 한쌍의 축방향 계단면들(124, 126)에 의해 한정된다. 이에 따라 고리형 공간(128)이 스윙 파이프(102) 및 웨어링 링(104) 사이에 형성되며, 웨어링 링(104)의 계단홈(108), 원통형 축안내면(116) 및 스윙 파이프(102)의 연장부분(112)의 내부면(114)에 의해 한정된다.
고무탄성링(106)은 고리형 공간에 위치하며, 초기 스트레스 상태로 유지된다. 링(106)은 외부면(130), 전후단부들(132, 134) 및 방사상 내부부분(136)을 갖고있다. 방사상의 내부부분(136)은 한쌍의 방사상 계단 내부면들(138, 140)을 갖고있다. 정면단부(132)는 한쌍의 계단 정면단부면들(142, 144)을 갖고있다.
탄성링(106)의 방사상 내부면(140)이 고리형 공간(128)에 위치할때 웨어링 링(104)이 방사상 경계면(122)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탄성링(106)의 정면단부면들(142, 144)은 웨어링 링(104)의 축방향 계단면들(124, 126) 각각에 접촉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탄성링(106)의 후단부(134)는 스윙 파이프(102)의 내부면과 접하고, 탄성링(106)의 외부면(130)은 고리형 공간(128)을 연결하는 스윙 파이프(102)의 축안내면(116)에 접한다. 또한 탄성링(106)의 방사상 내부면(138)은 대개 통로(110)에 각각 면해있는 스윙파이프(102) 및 웨어링 링(104)의 방사상 내부면들 (146, 148)과 정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링(106)의 방사상 내부(136)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1/3이 웨어링 링(104)의 방사상 경계면(122) 위에 위치에 있다. 또한, 스윙파이프(102)의 연장부분(112)은 돌기가 없기 때문에 대개 스윙파이프(102)의 어떠한 부분도 탄성링(106)의 방사상 내부(136)와 접촉되지 않는다.
보강링(150)이 스윙파이프(102)의 연장부분(112)에 인접한 탄성링(106)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보강링(150)은 탄성링(106)이 고리공간을 벗어나 통로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작용한다. 보강링(150)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b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튜브스위치(100)가 사용중일때, 통로(110)를 통해 이동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또는 다른 물질들(152)은 탄성링(106)의 후단부(134) 및 스윙파이프(102)의 내부면 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운반된 점성물질(152)은 축운동을 일으켜 고무탄성링(106)을 압축시킨다. 링(106)에 대한 압축의 결과, 이 링(106)은 웨어링 링(104) 및 스윙파이프(102)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따라서, 탄성링(106)의 오직 제한된 장력만이 튜브스위치(100)의 조립시에 요구된다. 계단홈 및 계단 탄성링의 배치는 탄성링(106)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므로써 웨어링 링 및 스윙파이프(102) 사이의 밀폐를 좋게한다.
밀폐기능과 함께, 고무탄성링(106)은 또한 초기 스트레스에 기초하여 마모의 경우 웨어링 링을 자동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더우기, 링(106)의 방사상 외부면(130)은 축안내 중심면(118)의 연장부로서 작용한다. 제1a,1b,2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링(106)의 축방향 길이는 스윙파이프(102)와 접촉해 있는 안내중심면(118)의 축방향 길이와 적어도 같다. 결과적으로, 웨어링 링(104)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웨어링 링(104) 및 스윙파이프(102) 사이의 틈새 때문에, 또한 고체입자들이 웨어링 링(104)과 중앙고정판(5)의 접촉면들(120, 24) 사이의 틈새 안으로 이동하게 될때 링(106)의 탄성들 때문에 중심면(118)의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쉽게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마모 및 파손이 현저히 줄어들어 웨어링 링(104) 및 중앙고정판(5)의 기대수명이 증가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스위치(200)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튜브 스위치(200)는 웨어링 링(204)을 수용하기 적합한 스윙 파이프(202)를 갖고있다. 또한, 탄성부재 또는 탄성링(206)이 웨어링 링(204) 안에 형성된 홈(208) 안에 부분적으로 위치해 있다.
앞서 기술된 튜브스위치(100)에서처럼, 튜브스위치(200)는 송출실린더들(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는 이중실린더 슬러지 펌프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펌프에서 물질공급탱크(도시되지 않음) 측면 위의 구멍들은 교체될 수 있는 중앙고정판(5)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스윙파이프(204)의 정면 단부는 중앙고정판 또는 중앙판(5)의 정면에 지지된다. 스윙파이프(204)는 파이프를 통해 뻗어있는 통로(210)를 갖고 있으며, 수평축에 대해 앞뒤로 회전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통로(210)는 중앙고정판(5)의 두개의 구멍들(4, 하나만 도시됨)중 어느 하나의 정면에 교대로 위치하여 이들과 통하게 된다. 중앙고정판(5)의 반대편에 있는 스윙파이프(202)의 단부는 송출파이프(도시되지 않음) 안으로 연결된다. 스윙파이프(202)는 또한 홈(208)과 면해 있는 내부면(214)을 가진 연장부분(212)을 갖고있다.
웨어링 링(204)은 압력고정 방식으로 스윙 파이프(202)를 중앙고정판(5)에 연결하기 위하여 스윙파이프(202) 및 중앙고정판(5) 사이에 지지된다. 스윙파이프(202)는 웨어링 링(204)위에 원통형 안내중심면(218)을 수용하기 적합한 원통형 축안내면(216)을 갖고있다. 원통형 축 안내면(216)은 원통형 안내 중심면(218)에 대해 축방향으로 또한 회전가능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방사상의 틈새(219)가 원통형 축 안내면(216) 및 원통형 안내 중심면(218) 사이에 존재한다.
웨어링 링(204)은 그 정면단부 위에 중앙고정판(5)의 접촉면(24)과 접해있는 외부정면접촉면(220)을 갖고있다. 홈(208)이 웨어링 링(204)의 뒷부분에 형성되며, 이 홈은 원통형 안내중심면(218) 및 방사상의 틈새(219)에 대해 경사진 경사경계면(222)에 의해 한정 된다. 따라서, 고리형 공간(228)이 스윙파이프(202) 및 웨어링 링(204) 사이에 형성되며, 이 공간은 웨어링 링(204)의 홈, 원통형 축 안내면(216) 및 스윙파이프(202)의 내부면(214)에 의해 한정된다.
탄성링(206)은 고리형공간(228)에 위치한다. 링(206)은 외부면(230), 전후단부면들(232, 234) 및 방사상 내부면(236)을 갖고있다. 전방단부면(232)은 경사지며 웨어링 링(204)의 경사경계면(222)에 일치한다.
탄성링(206)이 고리형공간(228)에 위치할때, 탄성링(206)의 정면단부면(232)은 웨어링 링(204)의 경사경계면(222)과 접하게 된다. 또한, 탄성링(206)의 외부면(230)은 고리형공간(228)을 잇는 스윙파이프(202)의 원통형 축안내면(216)과 접하게 된다. 더우기, 탄성링(206)의 후방단부면(234)은 스윙파이프(202)의 내부면과 접하게 된다. 그러나, 제2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윙파이프(202)를 통해 이동하는 콘크리트 또는 다른 물질들(235)은 스윙파이프(202)의 내부면(214) 및 탄성링(206)의 후방 단부면(234)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링(206)의 방사상 내부면(236)은 대개 통로(210)에 각각 면해 있는 스윙파이프(202) 및 웨어링링(204)의 방사상 내부면들(246,248)과 정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스윙 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은 돌기가 없기 때문에 스윙파이프(202)의 어떠한 부분도 탄성링(206)의 방사상 내부면(236)과 접촉되지 않는다.
제2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튜브스위치(200)가 사용중일때, 통로(210)를 통해 이동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같은 물질(235)은 탄성링(206)의 후단부면(234) 및 스윙파이프(202)의 내부면 (214)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는 웨어링 링(204)의 경계면(222) 및 탄성링(206)의 정면 단부면(232) 사이에서 최초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튜브 스위치(200)의 외부압력이 스윙파이프(202)를 통해 이동하는 콘크리트의 압력보다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는 정면단부면(232) 및 경계면(222) 사이에서 최초로 웨어링 링(204) 및 스윙파이프(202) 사이의 방사상의 틈새(213)로 자유롭게 이동한 다음 튜브 스위치(200)의 바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 동시에 탄성링(206)의 후단부면(234) 및 스윙파이프(202)의 내부면(214) 사이에서 이동하는 콘크리트는 그 사이에 축적됨에 따라, 흐름에 대해 방사상 틈새(219)를 효과적으로 밀폐하기 위하여 탄성링(206)의 정면 단부면(232)이 웨어링 링(204)의 경계면(222)을 향해 힘을 받게 된다. 바람직하게, 탄성링의 후단부면(234) 및 스윙 파이프(202)의 내부면(214) 사이에 축적된 콘크리트(235)는 경계면(222)에 향해 정면단부면(232)에 항상 힘을 가하도록 경화될 것이다.
콘크리트(235)의 존재는 탄성링(206)의 압축을 일으키며, 스윙파이프(202)에 상대적으로 웨어링 링(204)에 의해 만들어진 보통의 신축운동을 감쇠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고있다. 웨어링 링(204)의 신축운동은 펌프작업 공정에 의해 발생한 진동에 의해 발생한다.
스윙파이프(202) 및 웨어링 링(204) 사이의 방사상 틈새(219)는 웨어링 링(204)이 스윙파이프(202)의 축에 대해 효과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약 1mm의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부품들 사이의 건조된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하는 부품들간의 마모는 콘크리트가 웨어링 링(204)의 원주둘레에 분포될 수 있기 때문에 감소하게 된다.
스윙파이프(202)에 대한 웨어링 링(204)의 적절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거의 인장력없이 웨어링 링(204) 및 스윙파이프(202) 사이에 탄성링(206)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링(250)이 스윙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에 인접한 탄성링안에 삽입되거나 정화될 수 있다. 보강링(250)은 탄성링(206)이 스윙파이프(202)에 대한 웨어링 링(204)의 신축운동동안 고리형공간(228)에서 벗어나 통로(210) 안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위해 작용한다. 보강링(250)은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스윙파이프(202), 웨어링 링(204) 및 탄성부재(206)를 포함하는 이중실린더 슬러지 펌프의 튜브 스위치가 제공된다. 스윙 파이프(202)는 중앙판(5)의 정면에서 회전하기에 적합하며, 내부면(214)을 가진 연장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웨어링 링(204)은 스윙파이프(202)의 단부 및 중앙판(5) 사이에 지지되며, 스윙파이프(202)에 대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웨어링 링(204)은 이 링의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홈(208)을 갖고 있으며, 이 홈은 경사경계면에 의해 한정된다. 스윙파이프(202)는 홈(208)을 가진 웨어링 링(204)의 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홈(208)은 고리형 공간(228)에 면한 스윙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의 내부면과 함께 스윙 파이프(202) 및 웨어링 링(204) 사이의 고리형공간(228)을 한정한다. 탄성부재(206)는 방사상의 내부면 및 웨어링 링(204)의 경계면(222)과 일치하며 인접해 있는 경사진 정면단부면(232)을 포함하고 있다. 탄성부재(206)는 스윙파이프(202) 및 고리형 공간안의 웨어링 링(204) 사이에 지지된다. 스윙 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의 내부면(214)은 돌기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스윙파이프(202)의 어떠한 부분도 탄성부재(206)의 방사상의 내부부분(236)가 접촉되지 않는다.

Claims (13)

  1.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에 있어서, 하나의 스윙 파이프(102)가 중앙판(5)의 정면에서 회전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이 스윙 파이프(102)는 한쪽단부에 원통형 축안내면을 갖고 있고, 또한 내부면을 가진 연장부분(112)을 갖고 있으며, 하나의 웨어링 링(104)이 스윙파이프(102)의 단부 및 중앙판(5) 사이에 지지되어 스윙 파이프(10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이 웨어링 링(104)은 한쪽단부에 있는 하나의 홈(108)과 하나의 중심면(118)을 갖고 있으며, 이 홈(108)은 방사상의 경계면(122)과 축방향의 계단면(124,126)을 갖고 있으며, 스윙파이프(102)의 원통형 축안내면(116)은 홈을 가진 웨어링 링(104)의 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이 홈(108)은 스윙파이프(102) 및 웨어링 링(104) 사이의 고리형 공간을 한정하며, 다른쪽 단부에 외부정면 접촉면(120)을 가진 웨어링 링(104)은 스윙 파이프 안의 압력에 응하여 중앙판(5)을 향해 힘을 받기에 적합하며 스윙파이프(102)의 연장부분(112)의 내부면은 고리형공간과 면해 있으며, 또한 하나의 탄성부재(106)가 방사상 내부면(131) 및 전후단부들(132,134)을 갖고 있으며, 이 탄성부재(106)는 스윙파이프(102) 및 홈(108)에 의해 한정된 고리형 공간(128) 안의 웨어링 링(104) 사이에 지지되며, 탄성부재(106)의 방사상 내부(136)는 웨어링 링(104)의 방사상 경계면(122)에 접해있고, 탄성부재(106)의 정면단부(132)는 웨어링 링(104)의 축방향 계단에 접해 있으며, 탄성부재(106)의 후단부(134)는 스윙 파이프(102)의 내부면(114)에 접해 있으며, 또한 탄성부재(106)의 방사상 내부(136)의 축방향 길이의 적어도 1/3 이 방사상의 경계면(122) 위에 위치하며, 스윙 파이프(102)의 연장부분(112)의 내부면(114)이 돌기가 없기 때문에 스윙파이프(102)의 어떠한 부분도 탄성부재(106)의 방사상 내부(136)와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탄성부재(106)는 웨어링 링(104) 및 스윙파이프(10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 언급된 하나의 스윙파이프(102), 하나의 웨어링 링(104) 및 하나의 탄성부재(106)를 포함하는 이중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보강링(150)이 탄성부재(106)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보강링(150)이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4. 제1-3항중 한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06)의 방사상내부(136)가 계단면들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5. 제1-4항중 한항에 있어서, 탄성부재(106)의 계단면들이 웨어링 링(104)의 방사상 경계면(122)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6. 제1-5항중 한항에 있어서, 웨어링 링(104)의 홈(108)이 두개의 축방향 계단면들(124,126)을 갖고 있으며, 탄성부재의 정면단부가 탄성부재(106)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두개의 축방향 계단면들(124,126)에 일치하도록 접해있는 두개의 계단면들(142,144)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7. 제1-6항중 한 항에 있어서, 스윙파이프(102)가 이 파이프를 통해 뻗어있는 통로(110)에 면한 방사상 내부면(146,148)을 갖고 있으며, 또한 탄성부재(106)의 방사상내부(136)의 일부가 통로(110)에 면하여 스윙파이프(102) 및 웨어링 링(104)의 방사상 내부면(146,148)과 일반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8.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에 있어서, 하나의 스윙파이프(202)가 중앙판(5)의 정면에서 회전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이 스윙파이프(202)는 한쪽단부에 원통형 축 안내면을 갖고 있고, 또한 내부면을 가진 연장부분(212)을 갖고 있으며, 하나의 웨어링 링(204)이 스윙파이프(202)의 단부 및 중앙판(5) 사이에 지지되어 축방향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스윙파이프(202)에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 웨어링 링(204)은 한쪽단부에 하나의 홈(208)과 중심면(218)을 갖고 있으며, 이 홈(208)은 중심면(218)에 대해 기울어진 경계면(222)에 의해 한정되며, 스윙파이프(202)의 원통형 축안내면(216)은 홈(208)과 적어도 중심면(218)의 일부를 포함하는 웨어링 링(204)의 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이 홈(208)은 스윙파이프(202) 및 웨어링 링(204) 사이의 고리형공간(228)을 한정하며, 다른쪽 단부에 외부정면 접촉면(220)을 가진 웨어링 링(204)은 스윙파이프(202) 안의 압력에 응답하여 중앙판(5)에 대해 힘을 받기에 적합하며, 스윙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의 내부면(214)은 고리형 공간과 면해 있으며, 또한 하나의 탄성부재(206)가 방사상 내부(136) 및 전후단부들(132,134)을 갖고 있으며, 이 탄성부재(106)는 스윙파이프(102) 및 홈(108)에 의해 한정된 고리형 공간(128) 안의 웨어링 링(104) 사이에 지지되며, 탄성부재(206)의 정면단부면(232)은 웨어링 링(204)의 경계면(222)에 일치하도록 기울어져 접해있으며, 탄성부재(206)의 후단부면(234)은 스윙파이프(202)의 내부면(214)과 접해 있으며, 스윙파이프(202)의 연장부분(212)의 내부면(214)은 돌기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윙파이프(202)의 어떠한 부분도 탄성부재(206)의 방사상 내부면(214)과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탄성부재(206)는 웨어링 링(204) 및 스윙파이프(20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 언급된 하나의 스윙파이프(202), 하나의 웨어링 링(204) 및 하나의 탄성부재(206)를 포함하고 있는 이중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9. 제8항에 있어서, 보강링(250)이 탄성부재(206) 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보강링(250)이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11. 제8-10항중 한항에 있어서, 원통형 축안내면(216) 및 중심면(218)이 이들 사이의 방사상 틈새(219)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방사상의 틈새(219)가 약 1mm의 넓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13. 제8-12항중 한항에 있어서, 스윙파이프(202)가 이 파이프를 통해뻗어있는 통로(210)를 갖고 있으며, 스윙파이프(202) 및 웨어링링(204) 각각이 통로(210)에 면한 방사상 내부면(246,248)을 갖고 있으며, 탄성부재(206)의 방사상 내부면(214)이 통로(210)에 면하여, 스윙파이프(202) 및 웨어링 링(204)의 방사상 내부면들(246,248)과 일반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스위치.
KR1019940704121A 1992-08-25 1993-03-30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KR100282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506392A 1992-08-25 1992-08-25
US7/935063 1992-08-25
US07/940,557 US5302094A (en) 1988-07-19 1992-09-04 Tube switch for a double-cylinder sludge pump
US7/940557 1992-09-04
PCT/EP1993/000765 WO1994004821A1 (en) 1992-08-25 1993-03-30 Tube switch for a double-cylinder sludge pu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114B1 true KR100282114B1 (ko) 2001-05-02

Family

ID=2713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121A KR100282114B1 (ko) 1992-08-25 1993-03-30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02094A (ko)
EP (1) EP0656995B1 (ko)
JP (1) JP3289780B2 (ko)
KR (1) KR100282114B1 (ko)
AT (1) ATE139825T1 (ko)
AU (1) AU664266B2 (ko)
CA (1) CA2136611A1 (ko)
DE (1) DE69303376C5 (ko)
ES (1) ES2089811T3 (ko)
WO (1) WO1994004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3401B1 (de) * 1998-02-04 2003-04-09 PUTZMEISTER Aktiengesellschaft Rohrweiche für zweizylinder-dickstoffpumpe
US6857861B2 (en) 2002-05-15 2005-02-22 Kennametal Inc. Ring for concrete pump
US6821097B2 (en) * 2002-10-11 2004-11-23 Reinert Manufacturing Co. Concrete pump with S-tube valve assembly with wear ring-spring-retainer ring construction
DE102004015181A1 (de) * 2004-03-25 2005-10-13 Putzmeister Ag Materialaufgabebehälter für eine Dickstoffpumpe
GB2416569A (en) * 2004-07-27 2006-02-01 Clarke Uk Ltd Method of and a pump for pumping drill cuttings
US20060193738A1 (en) * 2005-02-26 2006-08-31 Friedrich Schwing Pum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conveying a viscous material
DE102005008938B4 (de) * 2005-02-26 2007-01-25 Schwing, Friedrich, Dipl.-Ing. Pump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Förderung breiiger Massen
DE102005024174A1 (de) * 2005-05-23 2006-12-07 Schwing, Friedrich, Dipl.-In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Pumpvorrichtung zur Förderung breiiger Massen sowie Steuerung einer Pumpvorrichtung zur Förderung breiiger Massen
CN102606442B (zh) * 2012-03-21 2015-06-10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泵送泥浆状物料,尤其是混凝土的活塞泵及混凝土泵
DE102013215990A1 (de) * 2013-08-13 2015-02-19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Zweizylinder-Dickstoffpumpe mit Rohrweiche
DE102018119973A1 (de) * 2018-08-16 2020-02-20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Schwenkrohr für Zweizylinder-Dickstoffpumpe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5276C2 (de) * 1974-03-29 1976-11-11 Friedrich Schwing Pumpe zum Fördern von Dickstoffen, insbesondere Beton
US3963385A (en) * 1975-05-05 1976-06-15 Caban Angel M Valve assembly for concrete pumps
DE2632816C2 (de) * 1976-07-21 1982-07-29 Friedrich Wilh. Schwing Gmbh, 4690 Herne Abdichtvorrichtung für eine Doppelzylinderpumpe, insbesondere für die Förderung von Beton
US4198193A (en) * 1978-05-12 1980-04-15 Walters James F Automatic wear compensation apparatus for concrete pumping hopper apparatus
DE2903749C2 (de) * 1979-02-01 1983-11-10 Karl Dipl.-Ing. 7000 Stuttgart Schlecht Kolbenpumpe mit S-förmig gekrümmtem Schwenkrohr
DE2921735A1 (de) * 1979-05-29 1980-12-04 Teka Bau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dichten einer betonpumpe
DE2933128C2 (de) * 1979-08-16 1985-09-26 Friedrich Wilh. Schwing Gmbh, 4690 Herne Dickstoffpumpe, insbesondere zur Förderung von Beton
DE3042930A1 (de) * 1980-11-14 1982-07-08 Stetter Gmbh, 8940 Memmingen Rohrweiche fuer betonpumpen
DE3103321A1 (de) * 1981-01-31 1982-08-12 Friedrich Wilh. Schwing Gmbh, 4690 Herne "zweizylinder-dickstoffpumpe, vorzugsweise betonpumpe mit einem von einer zylinderseitigen brillenplatte abwechselnd schwenkenden schaltorgan"
DE3410211A1 (de) * 1984-03-20 1985-10-03 Gerhard Dr. 7900 Ulm Hudelmaier Vorrichtung zum dichten einer betonpumpe
US4613290A (en) * 1984-04-23 1986-09-23 Lefco Western, Inc. Evacuated pumping system
DE3419832A1 (de) * 1984-05-26 1985-11-28 Karl Dipl.-Ing. 7000 Stuttgart Schlecht Rohrweiche einer dickstoff, insbesondere beton foerdernden doppelkolbenpumpe
US5037275A (en) * 1987-06-27 1991-08-06 Karl Schlecht Pipe junction switch for two-cylinder thick-material pump
DE3905355C2 (de) * 1989-02-22 1994-06-23 Schlecht Karl Rohrweiche für Zweizylinder-Dickstoffpumpen
DE3824466A1 (de) * 1988-07-19 1990-01-25 Putzmeister Maschf Mehrzylinder-dickstoffpumpe
CA2007977C (en) * 1990-01-17 1996-04-23 Rene Letarte Sludge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3376C5 (de) 2006-01-26
DE69303376D1 (de) 1996-08-01
US5302094A (en) 1994-04-12
AU3890593A (en) 1994-03-15
ATE139825T1 (de) 1996-07-15
EP0656995A1 (en) 1995-06-14
AU664266B2 (en) 1995-11-09
JPH08502800A (ja) 1996-03-26
JP3289780B2 (ja) 2002-06-10
DE69303376T2 (de) 1996-10-31
CA2136611A1 (en) 1994-03-03
ES2089811T3 (es) 1996-10-01
WO1994004821A1 (en) 1994-03-03
EP0656995B1 (en) 199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114B1 (ko) 이중 실린더 슬러지 펌프용 튜브 스위치
SU1160942A3 (ru) Двухцилиндровый бетононасос
US3377820A (en) Universal joint seal
EP0326725B1 (en) A roller chain
KR910005634B1 (ko) 압연기 유막 베어링용 밀봉장치
KR100478389B1 (ko) 회전부의냉각재덕트를연결하기위한장치
KR880000932B1 (ko) 중유동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펌프용 멀티웨이 밸브
US6092809A (en) Secondary seal for a sealing arrangement
SK287899B6 (sk) Bushing arrangement for protecting seal cavity of rotary fluid equipment
US6328528B1 (en) Elastomeric pump impeller
JP2514729B2 (ja) 2シリンダ―濃密物質ポンプの管切り替え部
US20040071575A1 (en) Concrete pump with S-tube valve assembly with retainer ring for spring
JPH07224878A (ja) 空気力式ばね
PL142428B1 (en) Pump for thick materials,especially for concrete
JP3738509B2 (ja) 密封装置
EP0408117A1 (en) Seal device between two mutually pivoted mechanical parts, in particular the crawler track links of tracked vehicles
KR20020015341A (ko) 회전 압출기 노즐 구조
KR970004883Y1 (ko) 벨로우즈를 구비한 오일시일
RU2231706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пар гидропневмомашин
KR200151773Y1 (ko) 플로어힌지의 왕복이동체
JP2002502939A (ja) 2シリンダ型粘性物質ポンプ用の管切換器
RU2043557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штока цилиндра
JPS62141373A (ja) 油圧シリンダのロツドのシ−ル装置
CA1184072A (en) Hydraulic sleeve valve and seal arrangement for piston pump
KR940002625B1 (ko) 스크롤 압축기의 팁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