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9777B1 -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_ - Google Patents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9777B1
KR100279777B1 KR1019980051145A KR19980051145A KR100279777B1 KR 100279777 B1 KR100279777 B1 KR 100279777B1 KR 1019980051145 A KR1019980051145 A KR 1019980051145A KR 19980051145 A KR19980051145 A KR 19980051145A KR 100279777 B1 KR100279777 B1 KR 10027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lamping device
air cylinder
link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025A (ko
Inventor
조영권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8005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7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대 상부의 고정부재에 지지편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널이 안착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진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3) 일측에 제 1힌지핀(51)으로써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링크(52); 상기 제 1링크(52)의 하부에 제 2힌지핀(51a)으로써 그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20)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25)에 제 4힌지핀(51c)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링크(53); 상기 제 2링크(53) 타측에 제 3힌지핀(51b)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에어실린더(22) 내경에 삽입된 작동로드(22a)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패널이 안착되는 회동부재의 회동을 단속하는 제 2에어실린더와 회동부재 사이에 제 1,2링크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도중 에어의 중단으로 인하여 클램핑장치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패널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패널이 안착되는 회동부재의 회동을 단속하는 제 2에어실린더와 회동부재 사이에 록킹수단를 구비하여 작업도중 에어의 중단으로 인하여 클램핑장치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라인에는 이동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패널을 고정시켜 용접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패널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클램핑장치가 구비되어 패널을 안정되게 클램핑시키게 되는 데, 이러한 클램핑장치는 에어실린더의 동작으로써 패널을 선택적으로 클램핑 및 언클램핑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패널 클램핑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패널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a,2b,2c는 종래 패널 클램핑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핑장치(100)는 작업대(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200)와, 상기 고정부재(20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널(P)이 안착되는 회동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상기 작업대(110) 상부에 수직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되고, 중앙 일측에 제 2에어실린더(2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편(210)이 고정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회동부재(400)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편(230)의 일측이 고정핀(23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패널(P)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감지센서(300)가 고정브래킷(230)으로써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 2에어실린더(220)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편(21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400)의 하단에 고정되는 작동로드(220a)가 내경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부재(400)의 회동을 단속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에어실린더(220)는, 차종이 다른 패널을 클램핑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위해서 클램핑장치(100)를 일측방으로 회동시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제 2에어실린더(220)의 동작은 제어부(600)에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안착감지센서(300)는, 상기 고정부재(200) 타측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240)에 설치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에 그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400)의 안착부(410)에 안착되어 패널(P)의 정확한 안착을 감지하는 감지부(3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동부재(400)의 안착부(410)에 패널(P)이 안착되면, 안착감지센서(300)의 감지부(320)가 이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이 안착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 제어부(600)에서는 이 신호를 설정된 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패널(P)의 정확한 안착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400)는, 상부 일측에 패널(P)이 안착되는 안착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0)의 지지편(230) 타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2에어 실린더(220)의 동작시 상기 지지편(230)의 고정핀(23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00)의 하부 타측에 고정된 체결편(420) 일측에 제 1에어 실린더(4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에어실린더(430)는, 상기 회동부재(400)의 체결편(4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경에는 작동로드(431)가 삽입된다. 상기 작동로드(431) 상부에는 패널(P)을 클램핑 및 언클램핑시키는 수단인 클램프부재(44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부재(440)는, 상기 작동로드(431)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400)에 회동핀(40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편(402) 일단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에어 실린더(430)의 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432)가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부재(440)의 클램핑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즉, 클램프부재(440)가 회동부재(400)의 안착부(410)에 안착된 패널(P)을 정확하게 클램핑시키는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도 2a에서와 같이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별도의 이동수단으로써 패널(P)이 이동되어 오면, 작업대(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200) 타측 상부에 고정브래킷(240)으로써 몸체부(310)가 설치되고, 회동부재(400)의 안착부(410)에 그 타단이 안착된 안착감지센서(300)의 감지부(320)가 이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이 안착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 제어부(600)에서는 이 신호를 설정된 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패널(P)의 정확한 안착유무를 판단한 다음, 패널(P)이 정확하게 안착되었다고 판단 될 경우 제 1에어실린더(430)를 동작시키게 되어 제 1에어실린더(430)의 작동로드(431)가 신장될 때, 체결편(4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에어실린더(430)가 도 2a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동부재(400)에 회동핀(40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편(402)에 고정된 클램프부재(440)가 회동핀(40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부재(400)의 안착부(410)에 안착된 패널(P)을 클램핑시키게 됨으로써 패널(P)의 조립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에어실린더(430) 일측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432)가 클램핑부재(440)의 클램핑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600)로 보내게 되고, 제어부(600)에서는 설정된 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클램핑부재(440)의 클램핑여부를 판단한 다음, 클램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제 1에어실린더(430)를 재동작시키게 된다.
도 2b에서와 같이, 패널(P)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 상태를 제어부(600)가 판단하여 제 1에어실린더(430)를 역으로 동작시키게 되어 제 1에어실린더(430)의 작동로드(431)가 신축될 때, 체결편(42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에어실린더(4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회동부재(400)에 회동핀(40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편(402)에 고정된 클램프부재(440)가 회동핀(40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부재(400)의 안착부(410)에 안착된 패널(P)을 언클램핑시키게 된다. 즉, 클램프부재(440)가 패널(P)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데, 이때 조립된 패널(P)은 다른 운반수단으로써 다른 공정으로 이동되게 되고 클램핑장치(100)는 다른 패널(P)의 조립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도 2c에서와 같이 패널(p)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600)에서 이 상태를 판단하여 고정부재(200)의 고정편(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에어실린더(220)를 신축시키게 되면, 회동부재(400)의 하부에 고정된 작동로드(220a)가 하방으로 신축될 때, 제 2에어실린더(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지지편(2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200)가 고정핀(23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다른 종류의 패널을 클램핑시키는 작업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클램핑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2에어실린더(220)를 상방으로 신장시키면, 회동부재(400)의 하부에 고정된 작동로드(220a)가 상방으로 신장될 때, 제 2에어실린더(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동시에 지지편(2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200)가 고정핀(23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도 2a에서와 같은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패널 고정용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제 1에어실린더에 의한 클램핑작업 도중 제 2에어실린더가 동작되어 회동부재의 회동을 단속하게 되는 데, 이때 제 2에어실린더의 동작이 중단되면 회동부재가 자체의 중량으로써 고정핀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회동부재와 클램프부재가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패널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패널이 안착되는 회동부재의 회동을 단속하는 제 2에어실린더와 회동부재 사이에 제 1,2링크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작업도중 에어의 중단으로 인하여 클램핑장치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업대 상부의 고정부재에 지지편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널이 안착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진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 일측에 제 1힌지핀으로써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링크; 상기 제 1링크의 하부에 제 2힌지핀으로써 그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에 제 4힌지핀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링크; 상기 제 2링크 타측에 제 3힌지핀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에어실린더 내경에 삽입된 작동로드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일측에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 2링크의 회동을 억제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패널의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a,2b,2c는 종래 패널 클램핑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4b,4c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록킹수단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램핑장치 20 : 고정부재
22 : 제 2에어실린더 22a : 작동로드
23 : 지지편 25 : 돌출편
26 : 스토퍼 50 : 록킹수단
51,51a,51b,51c : 제 1,2,3,4힌지핀 52 : 제 2링크
53 : 제 3링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고정용 클램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a,4b,4c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고정용 클램핑장치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록킹수단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10)는, 작업대(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널(P)이 안착되는 회동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작업대(11) 상부에 수직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되고, 중앙 일측에 제 2에어실린더(2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편(21)이 고정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회동부재(40) 하부에 고정되는 지지편(23)의 일측이 고정핀(23a)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패널(P)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안착감지센서(30)가 고정브래킷(24)으로써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안착감지센서(30)는, 상기 고정부재(20) 타측 상부에 설치된 고정브래킷(24)에 설치되는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에 그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40)의 안착부(41)에 안착되어 패널(P)의 정확한 안착을 감지하는 감지부(3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동부재(40)의 안착부(41)에 패널(P)이 안착되면, 안착감지센서(30)의 감지부(32)가 이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이 안착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 제어부(60)에서는 이 신호를 설정된 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패널(P)의 정확한 안착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40)는, 상부 일측에 패널(P)이 안착되는 안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지지편(23) 타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 2에어 실린더(22)의 동작시 상기 지지편(23)의 고정핀(23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0)의 하부 타측에는 체결편(42)으로써 제 1에어 실린더(4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에어실린더(43)는, 상기 회동부재(40)의 체결편(42)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경에는 작동로드(43a)가 삽입된다. 상기 작동로드(43a) 상부에는 패널(P)을 클램핑 및 언클램핑시키는 클램프부재(44)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부재(44)는, 상기 작동로드(43a)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40)에 회동핀(40a)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편(40b) 일단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에어실린더(43)의 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43b)가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부재(44)의 클램핑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클램프부재(44)가 회동부재(40)의 안착부(41)에 안착된 패널(P)을 정확하게 클램핑시키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0)의 지지편(23)과 상기 제 2에어실린더(22) 사이에는 상기 회동부재(40)의 회동을 스토핑시키는 록킹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수단(50)은, 상기 지지편(23) 일측에 제 1힌지핀(51)으로써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링크(52)와, 상기 제 1링크(52)의 하부에 제 2힌지핀(51a)으로써 그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20)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25)에 제 4힌지핀(51c)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링크(53)와, 상기 제 2링크(53) 타측에 제 3힌지핀(51b)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에어실린더(22) 내경에 삽입된 작동로드(22a)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에어실린더(22)는,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편(21)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종이 다른 패널을 클램핑시키기 위한 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위해 클램핑장치(10)를 일측방으로 회동시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제 2에어실린더(22)의 동작은 제어부(60)에서 제어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20)의 돌출편(25) 상부에는 스토퍼(26)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 2링크(53)의 회동을 억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별도의 이동수단으로써 패널(P)이 이동되어 오면, 작업대(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20) 타측 상부에 고정브래킷(24)으로써 몸체부(31)가 설치되고, 회동부재(40)의 안착부(41)에 그 타단이 안착된 안착감지센서(30)의 감지부(32)가 이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이 안착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60)에서는 이 신호를 설정된 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패널(P)의 정확한 안착유무를 판단한 다음, 패널(P)이 정확하게 안착되었다고 판단 될 경우 제 1에어실린더(43)를 동작시키게 되어 제 1에어실린더(43)의 작동로드(43a)가 신장될 때, 체결편(42)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에어실린더(43)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동부재(40)에 회동핀(40a)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편(40b)에 고정된 클램프부재(44)가 회동핀(40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부재(40)의 안착부(41)에 안착된 패널(P)을 클램핑시키게 됨으로써 패널(P)의 조립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에어실린더(43) 일측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43b)가 클램핑부재(44)의 클램핑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60)로 보내게 되고, 제어부(60)에서는 설정된 신호와 비교 판단하여 클램핑부재(44)의 클램핑여부를 판단한 다음, 클램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제 1에어실린더(43)를 재동작시키게 된다.
도 4b에서와 같이, 패널(P)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 상태를 제어부(60)가 판단하여 제 1에어실린더(43)의 작동로드(43a)가 신축될 때, 체결편(42)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에어실린더(43)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회동부재(40)에 회동핀(40a)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편(40b)에 고정된 클램프부재(44)가 회동핀(40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회동부재(40)의 안착부(41)에 안착된 패널(P)을 언클램핑시키게 된다. 즉, 클램프부재(44)가 패널(P)로부터 이탈되게 되는 데, 이때 조립된 패널(P)은 다른 운반수단으로써 다른 공정으로 이동되게 되고 클램핑장치(10)는 다른 패널(P)의 조립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도 4c에서와 같이 패널(P)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60)에서 이상태를 판단하여 고정부재(20)의 고정편(2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에어실린더(22)를 신축시키게 되면, 제 2링크(53) 타측에 제 3힌지핀(51b)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작동로드(22a)가 신축될 때, 제 2에어실린더(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링크(53)가 제 2,3,4힌지핀(51a)(51b)(51c)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작동로드(22a)가 하방으로 신축될 때, 제 3힌지핀(51b)이 작동로드(22a)의 하방으로 신축된 거리만큼 위치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20)의 돌출편(25)에 제 4힌지핀(51c)은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제 2힌지핀(51a)이 제 4힌지핀(51c)을 중심으로 상기 제 3힌지핀(51b)의 이동거리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제 2링크(53)에 제 2힌지핀(51a)과 지지편(23)에 제 1힌지핀(5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제 1링크(52)가 제 2힌지핀(51b)의 회동된 거리만큼 제 1힌지핀(5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고정부재(20)에 고정편(21)과 고정핀(23a)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20)가 고정핀(2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패널을 클램핑시키는 작업에 다른 클램핑장치(미도시)대한 간섭을 방지하게 되고, 그리고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20)의 고정편(21)에 고정된 제 2에어실린더(22)를 신장시키면, 제 2링크(53) 타측에 제 3힌지핀(51b)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작동로드(22a)가 신장될 때, 제 2에어실린더(2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링크(53)가 제 2,3,4힌지핀(51a)(51b)(51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역동작으로 제 1,2링크(51)(53)가 동작되어 도 4a와 같이 복귀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10)의 동작중 제 2에어실린더(22) 내부로 공급되는 에어가 중단되면, 즉 제 2에어실린더(22)의 동작이 중단되어 회동부재(40)의 회동을 단속하는 힘이 해제되면, 회동부재(40)가 차체의 중량으로 지지편(23)의 고정핀(2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회동부재(40)가 고정편(23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링크(52)가 제 1힌지핀(5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제 1링크(52)에 제 2힌지핀(51a)과 제 2에어실린더(22)의 작동로드(22a)에 제 3힌지핀(51b) 및 고정부재(20)의 돌출편(25)에 제 4힌지핀(51c)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링크(53)가 제 4힌지핀(51c)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데, 이때 고정부재(20)의 돌출편(25)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26)에 제 2링크(53)가 걸리게 됨으로써 제 2링크(53)의 회동이 억제되어 회동부재(40)의 회동을 강제로 정지시키게 되어 패널(P)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패널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패널의 조립작업을 하는 클램핑장치에 제 1,2링크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의 동작이 완료된 다음, 차종에 따른 종류가 다른 패널을 클램핑시키는 장치의 동작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클램핑장치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패널이 안착되는 회동부재의 회동을 단속하는 수단인 제 2에어실린더에 에어가 중단되어도, 자체 중량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재를 강제로 회동을 저지하게 됨으로써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작업대 상부의 고정부재에 지지편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널이 안착되는 회동부재로 이루어진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3) 일측에 제 1힌지핀(51)으로써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1링크(52);
    상기 제 1링크(52)의 하부에 제 2힌지핀(51a)으로써 그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고정부재(20)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25)에 제 4힌지핀(51c)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 2링크(53);
    상기 제 2링크(53) 타측에 제 3힌지핀(51b)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에어실린더(22) 내경에 삽입된 작동로드(22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그 일측에 스토퍼(26)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 2링크(53)의 회동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
KR1019980051145A 1998-11-27 1998-11-27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_ KR10027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145A KR100279777B1 (ko) 1998-11-27 1998-11-27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145A KR100279777B1 (ko) 1998-11-27 1998-11-27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025A KR20000034025A (ko) 2000-06-15
KR100279777B1 true KR100279777B1 (ko) 2001-02-01

Family

ID=1955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145A KR100279777B1 (ko) 1998-11-27 1998-11-27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404A (ko) * 2002-11-27 2004-06-0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소재 낙하방지용 클램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1234B1 (ko) 2016-07-28 2018-12-31 에너지움 주식회사 전동 클램핑 장치
KR102230716B1 (ko) * 2020-09-21 2021-03-22 조진철 루프랙 사이드 바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404A (ko) * 2002-11-27 2004-06-0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소재 낙하방지용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025A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6984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balance weight on a tire wheel
JPH07227725A (ja) 部品自動挿入方法および装置
KR100279777B1 (ko) 록킹수단이 구비된 패널 클램핑장치_
JP3646647B2 (ja) クランプ装置
JPH04167535A (ja) ボンデイングヘツド
KR20030096950A (ko) 클램핑 지그장치
KR100215930B1 (ko) 차체 용접 지그
JP3201193B2 (ja) ワーク取付装置
JPS6117788Y2 (ko)
JPH0899240A (ja) ワーク取付装置
CN211696288U (zh) 摆臂卡板检测机构
JP4363146B2 (ja) 車体部品の取付作業支援装置
JP2005313249A (ja) 位置決め装置
JP4100158B2 (ja) 無人荷役車両及びその駆動方法
JP2581069B2 (ja) 自動車のドア開閉装置
JP2600441Y2 (ja) ミッションテスト装置における搬送パレットの自動マスキング装置
KR19980048563A (ko) 자동화 라인의 판재 로케이팅 및 클램핑 장치
JP3169140B2 (ja) カムシャフトミラーの位相ピン折損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2000190269A (ja) ハンドリング装置
JPH0347835Y2 (ko)
JPH04354691A (ja) 多関節形ロボット
JPH07225103A (ja) ワークの孔検出装置
JPS6314992Y2 (ko)
JPS632233Y2 (ko)
JPH0748382Y2 (ja) ロボットのツール着脱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