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539B1 -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539B1
KR100278539B1 KR1019980020627A KR19980020627A KR100278539B1 KR 100278539 B1 KR100278539 B1 KR 100278539B1 KR 1019980020627 A KR1019980020627 A KR 1019980020627A KR 19980020627 A KR19980020627 A KR 19980020627A KR 100278539 B1 KR100278539 B1 KR 10027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electrolyte
polymer gel
electrolyte
polym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779A (ko
Inventor
오부근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2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5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분자 겔 전해질은 매트릭스 고분자로서 전해액에 용해 가능한 불소계 고분자 5∼30 중량%, 가교용 단량체 3∼20 중량%,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 5∼30 중량%, 전해액 50∼80 중량% 및 자외선 경화용 개시제 0.3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겔 전해질 제조용 슬러리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조건하에서 중합하여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조성물내에 첨가되는 전해액에 용해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도입하여 부직포 등과 같은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온전도도,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전해질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용 고분자 겔 전해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온 전도도,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제조 공정이 간편하고, 그리고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용 전해질로서 적합한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및 종래기술
고분자 겔 전해질을 채용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는 박형, 소형, 경량화 및 안전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노트북, 휴대용 통신기기, 캠코더 등 소형 정보통신용 전자제품의 구동전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본의 미쯔비시 전기가 미국 울트라라이프(Ultralife)사로부터 리튬고분자 이차전지를 제공받아 노트북에 탑재하여 총 두께가 1인치 이하인 페디온(PEDION)이라는 초박형 노트북을 출시하여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슬림화에 대한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현재, 미국의 벨코어(Bellcore), 울트라라이프(Ultralife), 폴리플러스(Polyplus), 3M 등의 회사와 일본의 유아사, 히타치막셀, 소니등에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개발 및 양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이 실제 전지에 안정하게 채용되기 위해서는 1) 높은 리튬이온 전도성(> 1 mS/cm), 2) 화학적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4.5V, Li기준), 3) 전극과의 계면 최소화, 4) 장기보존 안전성, 5) 열적 안전성, 6) 높은 기계적 강도 및 7) 제조방법의 편리성(가공성)의 요건들을 갖추지 않으면 안된다. 이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및 제조방법의 편리성은 제조업체들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항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능성 단량체의 조합과 중합의 용이성 및 별도의 중합공정 없이 단량체를 포함한 슬러리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여 겔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자외선 가교공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일본의 히타치막셀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에틸렌 글리콜 에틸 카보네이트 메타크릴레이트/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thylene glycol ethyl carbonate methacrylate/2-ethoxyethyl acrylate)의 3성분계 단량체와 LiPE6를 EC/PC 1:1 용매에 1.2몰로 녹인 액체 전해질을 혼합한 후 이를 자외선 경화시켜 제조한 겔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여 각종 크기의 리튬이온 고분자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들은 자외선 가교법을 적용하여 10분이내에 1 mS/cm 이상의 리튬 이온전도도 및 가교구조형성/리튬염 해리능향상/액체 전해질 함유능 향상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겔 고분자 전해질을 간단하게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단량체 시스템만으로 제조한 자외선 경화형 겔 전해질을 직접 전지에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 강도를 보강을 위해 별도의 조밀한 부직포에 겔 전해질을 저장(backup)하는 방식으로 고분자 전해질을 지지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폴리머밧데리의 최신 기술에 관한 세미나자료: 씨엠씨, 1997년 11월 17일, 관련특허: 미국특허 제5,609,974호, 미국특허 제5,603,982호).
또한, 일본의 니쉰보(Nisshinbo) 공업이 출원한 미국특허 제5,571,392호에 의하면, 높은 이온전도도, 필름형성능,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핸들링(handling)이 용이한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가열법 또는 자외선 등의 광선에 의한 가교 등을 사용하였으며, 히드록시알킬 폴리사카라이드(hydroxyalkyl polysaccharide) 및 이의 유도체를 매트릭스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가교용 단량체, 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리튬염, 용매 및 광개시제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전도도,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성물내에 첨가되는 전해액에 용해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도입함으로써 부직포 등과 같은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는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겔 전해질 #5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는 겔 전해질 #5을 적용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의 충방전시간율 변화에 따른 충방전 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제3도는 겔 전해질 #5을 적용한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의 충방전 횟수에 따른 활물질 용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온 전도도 및 물성이 우수한 고분자 겔 전해질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릭스 고분자로서 전해액에 용해 가능한 불소계 고분자 5∼30 중량%, 가교용 단량체 3∼20 중량%,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 5∼30 중량%, 전해액 50∼80 중량% 및 자외선 경화용 개시제 0.3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겔 전해질 제조용 슬러리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조건하에서 중합하여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조하는 것이다.
겔 전해질 제조에 있어, 매트릭스 고분자의 경우 사용되는 전해액에 용해 가능한 고분자 중 하기 구조식(Ⅰ)으로 표시되는 물성 유지능이 뛰어난 불소계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매트릭스 고분자 겔 전해질 내에 분산되어 있어, 일반적인 자외선 경화형 겔 전해질의 유연성 부족 문제, 즉 전지 제조공정에서 요구되어지는 굽힘특성 부족 문제를 해결해준다:
상기식에서 n 및 m은 정수로서, n : m의 비는 75∼90 : 10∼25의 범위이고, m은 바람직하게 8∼15의 정수임.
상기 겔 전해질 제조에 있어, 반 그물구조를 형성시켜주는 단량체로는 리튬염의 해리도를 증가시켜줄 수 있는 에틸렌옥시드 유닛(unit)을 가지고 있으며, 전해액과 친화성이 있는 아크릴 구조가 양말단에 결합되어 있는 하기 구조식(Ⅰ)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상기식에서 R1은 H 또는 메틸이고, X는 3∼13의 정수임.
또한, 그물 구조가 형성된 후에도 전해액을 겔 전해질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누액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해액과의 친화성이 큰 단량체를 겔 전해질 제조용 슬러리 내에 포함시켰다. 투입된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로는 하기 구조식(Ⅲ)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비닐아세테이트계 등을 사용하였다.
상기식에서 R1은 H 또는 메틸이고, R2는 COO- R3(R3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부틸) 또는 OCOCH3임.
본 발명의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비프로톤성 용매로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와 디메톡시 에탄 등의 에테르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리튬염에 대한 해리도와 제반 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이들 용매를 둘 이상 혼합한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도 있다. 비프로톤성의 용매에 용해한 리튬염으로 LiClO4, LiBF4, LiPF6, LiCF3SO3, LiAsF6, Li(CF3SO2)2N 등의 대이온의 큰 리튬염들이 사용되어지며, 이들 염을 상기의 비프로톤성 용매에 녹인 0.5∼1M 농도의 전해액을 겔 전해질 제조용 슬러리 내에 50∼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75 중량%를 첨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경화를 위한 개시제로서 직접 개열형과 수소 추출형 모두가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전체 중량의 0.3∼3.0 중량% 양을 사용하는데 필요에 따라, 특히 첨가되는 단량체와의 적절한 혼합 비율에 의해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직접 개열형 경화 개시제의 예로는 에틸벤조인 에테르, 이소프로필벤조인 에테르, 알파메틸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페닐에테르, 알파아실옥심 에스테르, 알파, 알파-디에톡시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시바 가이기(Ciba Geigy)사의 다로큐어(Darocur) 1173), 1-하이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돈(시바 가이기(Ciba Geigy)사의 이가큐어(Irgacure) 184), 다로큐어 1116, 이가큐어 907 등이 있다. 수소 추출형 경화 개시제의 예로는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벤질 벤조에이트, 벤조일 벤조에이트, 미클러 케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겔 전해질 제조시 자외선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트리에틸 아민, 트리부틸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N-벤질디메틸 아민 등의 아민류를 경화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경화 촉진제는 전체 중량의 0.2∼2.0 중량%의 범위에 포함되는 양을 사용한다.
또한, 매트릭스 고분자의 용해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테트라히드로퓨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등의 휘발성 용매를 일부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조성물로 고분자 겔 전해질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매트릭스 고분자를 전해액과 5 중량% 이하의 상기 휘발성 용매를 첨가하여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하고, 여기에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 가교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서로 혼합한다. 이 혼합액에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 및 경화 촉진제를 첨가한 후 300 미크론의 두께로 코팅하여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중합을 한다. 일정한 두께의 필름을 얻기 위한 또 다른 제조 방법으로는 유리판 위에 혼합액을 도포하고, 유리판 양 끝에 일정 두께의 기준 필름을 고정시킨 후 그 위에 다른 유리판으로 덮어 씌워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중합을 한다.
상기의 모든 제조공정은 아르곤이 충진된 건조실(dry box)내에서 실시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겔 전해질의 0.5 mS/cm이상의 이온 전도도 및 물성의 향상을 위해 불소계 고분자 매트릭스,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 가교용 단량체, 광경화 개시제 및 경화촉진제와 혼합한 겔 전해질 제조용 슬러리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조건하에 중합하여 제조한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매트릭스로 6불화프로필렌 단위가 12 몰% 포함된 구조식(Ⅰ)의 고분자(PVDF-HFP)를 LiClO4및 에틸렌카보네이트/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1:1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1몰 농도를 용해한 전해액과 5 중량% 이하의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하였다. 여기에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또는 비닐아세테이트(VAc), 가교용 단량체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EGDMA)를 첨가하여 서로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에 자외선 경화형 개시제인 다로큐어(Darocur) 1173 및 경화 촉진제로 트리에틸렌아민(TEA)을 첨가하여 겔 전해질 제조용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슬러리를 유리판상에 300미크론의 두께로 코팅하여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중합을 하였다. 상세한 각 성분의 투입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중 THF 용매는 4 중량% 이하의 소량을 캐스팅 과정에서 용이하게 제거되어진다.
겔 전해질 # PVDF-HFP MMA VAc PEGDMA 전해액 Darocur 1173 TEA THF
1 7.98 11.97 - 11.97 63.82 0.49 0.24 3.55
2 6.42 9.63 - 16.05 64.20 0.52 0.32 2.85
3 7.12 14.23 - 10.68 64.05 0.51 0.25 3.16
4 5.85 11.71 - 14.64 64.40 0.54 0.26 2.60
5 7.98 19.94 - 3.99 63.82 0.49 0.24 3.55
6 6.42 16.06 - 9.64 64.24 0.52 0.26 2.86
7 5.38 13.44 - 13.44 64.53 0.55 0.27 2.39
8 5.85 - 11.71 14.64 64.40 0.54 0.26 2.60
9 7.98 - 19.94 3.99 63.82 0.49 0.24 3.55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필름을 글로브 박스 내에서 2×2(cm)의 크기로 제단하여, 이를 SUS전극판 사이에 삽입하고,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밀봉포장하여, 임피던스 측정용 셀을 제조하였다. 겔 전해질에 해당하는 벌크 저항값을 임피던스 측정기인 IM6를 이용하여 1kHz∼1MHz 진동수 범위내에서 측정한 후, 하기식(Ⅳ)을 사용하여 이온전도도 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고체전해질의 두께(㎝)
이온전도도(S/㎝) = -------------------------- (Ⅳ)
저항값(Ω) × 유효측정면적(㎠)
겔 전해질 # 1 2 3 4 5 6 7 8 9
이온전도도(mS/cm) 0.74 0.94 0.99 0.82 1.27 1.53 0.31 0.79 0.84
상기에서 각기 다른 조성물의 성분비로 제조된 겔 전해질들이 전부 기본적인 이온전도도 조건인 0.5 mS/cm 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의 함유량이 큰 #5 및 #6 겔 전해질의 이온전도도는 1 mS/cm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겔 전해질 #5의 경우, 전지 제조시 요구되는 기본적인 자기 형상 유지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굽힘특성을 보였다.
실시예 2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인 MMA 15∼18 중량%, 가교용 단량체인 PEGDMA 11∼13 중량% 및 매크릭스 고분자인 PVDF-HFP 3∼7 중량%를 포함하는 겔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전해액은 실시예 1의 전해액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광경화제로 다로큐어(Darocur) 1173을 총 단량체량 기준으로 2 중량%를 투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THF나 경화촉진제인 TEA를 첨가하지 않았다. 이온전도도 측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겔 전해질 조성과 이온전도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겔 전해질# PVDF-HFP중량% MMA중량% PEGDMA중량% 전해액중량% 이온전도도[mS/cm]
1 4.16 12.50 16.67 66.67 0.660
2 3.32 12.86 17.14 66.68 0.958
3 5.00 12.14 16.18 66.68 0.840
4 6.67 11.42 15.23 66.68 1.030
표 1 내지 표 3의 결과로부터, 이온전도도가 높은 겔 전해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겔 전해질 조성물내의 매트릭스 고분자인 PVDF-HFP 함량이 5∼80 중량%,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인 MMA 함량이 10∼20 중량% 및 가교용 단량체인 PEGDMA 함량이 4∼12 중량%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 겔 전해질 #5를 2×2 ㎠로 절단하고, 이를 스텐레스 전극과 구리호일상에 압착시킨 리튬금속(미국 사이프러스(Cyprus)사 제품) 전극 사이에 샌드위치 시킨 후, 진공포장하여 전기화학적 안정성 측정용 셀을 제조하였다. 전기화학적 안정성은 선형주사전위법을 이용하여, 개회로전압에서 5.5 V 까지 5 mV/sec의 속도로 측정하였으며, 이 결과를 제1도에 나타내었다. 4.7 V이상에서 분해가 일어나기 시작함으로, 4 V급 리튬고분자 이차전지용 고분자 겔 전해질로서 충분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보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분자 겔 전해질 #5를 사용하여 리튬금속산화물 복합정극/고분자 겔 전해질/리튬금속으로 단위전지를 구성하였다. 리튬금속산화물은 일본 수미도모(Sumitomo)사의 LiNiCoO2(Ni/Co=0.83/0.17)를 사용하였고, 리튬금속은 미국 사이프러스(Cyprus)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먼저 리튬금속산화물 복합정극은 리튬금속산화물/슈퍼(Super)-P 카본/폴리아크릴로니트릴이 91.5/4.5/4.0 중량%의 조성으로 디메틸술폭시드 용매에 녹여 제조된 슬러리를 20미크론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상에 170미크론 두께로 캐스팅하고,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전지제조에는 리튬금속산화물 복합정극은 건조실(dry box)내에서 정극을 전해액 내에 침지시켜 전해액을 정극 필름내부로 흡수시켜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면적이 리튬금속산화물 복합정극 필름상에 겔 전해질 #5를 적층시키고, 그 위에 구리필름 위에 압착된 리튬금속을 붙인 후, 이를 진공 포장하여 리튬금속산화물 복합정극/고분자 겔 전해질/리튬금속으로 구성된 단위 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단위전지의 충방전 특성은 일본 토요(TOYO)사의 충방전기를 이용하였다. 제2도에 제조된 단위전지를 충방전 시간율이 각각 20시간(A-A')/10시간(B-B')/5시간(C-C') 조건에서, 3 내지 4.2 볼트의 범위에서 정전류로 충방전을 실시하였다. 20시간율 방전 조건에서는 용량이 186 mAh/g의 높은 결과가 얻어졌으며, 10시간/5시간율 조건에서도 175 mAh/g 이상의 용량특성 변화를 제3도에 나타내었다. 5회까지 충방전을 반복한 결과에서, 용량이 초기에는 180 mAh/g에서 5회째에는 176 mAh/g을 보였다. 자외선 경화로 제조된 본 발명의 겔 전해질 #5를 적용한 전지의 경우, 리튬니켈코발트 금속 산화물을 활물질로 사용하여, 충분히 용량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실시예 1
본 발명에서는 겔 전해질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해액에 용해 가능한 고분자 매트릭스를 도입하였다. 본 비교실시예에서는 매트릭스를 사용하지 않고, 조성물 함량을 각각 가교용 단량체인 PEGDMA를 12.4 중량%,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인 MMA를 12.4 중량%, 광개시제인 다로큐어(Darocur) 1173을 0.5 중량%, 실시예 1의 전해액을 74.7 중량%로 하여 제조한 후, 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겔 전해질을 만들었으며,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제조된 겔 전해질의 두께는 200∼260 미크론이었으며, 260 미크론 두께의 겔 전해질은 1.51 mS/cm의 이온전도도를 보였다. 하지만, 매트릭스 고분자를 첨가한 상기의 겔 전해질에 비해 굽힘성이 크게 취약하여, 갈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겔 전해질의 두께를 200 미크론 이하로 제조할 경우, 매트릭스 고분자를 포함하여 제조된 겔 전해질에 비해, 물성이 더욱 취약해겨 전지 제조에 적용이 어렵게 되는 특성을 보였다.
본 발명은 불소계 고분자 매트릭스, 전해액 친화성 단량체, 가교용 단량체, 광경화 개시제 및 경화촉진제와 혼합한 겔 전해질 제조용 슬러리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조건하에 중합하여 제조한 고분자 겔 전해질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0.5 mS/cm이상의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었으며, 조성물내에 첨가되는 전해액에 용해되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도입함으로써, 부직포 등과 같은 지지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온전도도, 가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전해질 필름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14)

  1. (A) 하기 구조식(Ⅰ)으로 표시되고, 전해액에 용해가능한 불소계 고분자 5∼30 중량%;
    (B) 가교결합을 하도록 이관능성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20 중량%;
    (C) 전해액과 친화성을 갖고, 전해질 필름의 자외선 경화후에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5∼30 중량%; 및
    (D) 비양자성 용매에 리튬염이 용해된 전해액 50∼8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상기식에서 n 및 m은 정수로서, n : m의 비는 75∼90 : 10∼25의 범위이고, m은 바람직하게 8∼15의 정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하기 구조식(Ⅱ)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상기식에서 R1은 H 또는 메틸이고, x는 3∼13의 정수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가 하기 구조식(Ⅲ)으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상기식에서 R1은 H 또는 메틸이고, R2는 COO-R3(R3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부틸) 또는 OCOCH3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양자성 용매는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디메톡시 에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최소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O4, LiBF4, LiPF6, LiCF3SO3, LiAsF6및 Li(CF3SO2)2N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6. 제1항에 있어서, 0.3∼3.0중량%의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가 에틸벤조인 에테르, 이소프로필벤조인 에테르, 알파메틸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페닐에테르, 알파아실옥심 에스테르, 알파, 알파-디에톡시 아세토페논, 1,1-디클로로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 시클로헥실 페닐 케돈, 안트라퀴논, 2-에틸 안트라퀴논, 2-클로로 안트라퀴논, 티옥산톤, 이소프로필 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벤조페논, p-클로로 벤조페논, 벤질 벤조에이트, 벤조일 벤조에이트, 및 미클러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8. 제6항에 있어서, 0.2∼2.0중량%의 경화 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진제가 트리에틸 아민, 트리부틸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및 N-벤질디메틸 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10. 상기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겔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전해질 용액을 유리판 위에 코팅하고; 그리고
    상기 코팅된 전해질을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조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가 상기 불소계 고분자(A),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B), 및 단량체(C)를 가교결합하고, 상기 단량체(C)가 하기 구조식(Ⅳ)의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메틸이고, R2는 COO-R3(R3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부틸) 또는 OCOCH3임.
  12. 상기 제10항 또는 제11항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겔 전해질, 정극 및 부극으로 구성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기화학 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이 리튬금속 산화물, 황화티타늄 및 산화바나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극이 리튬금속, 리튬삽입이 가능한 알로이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겔 전해질.
KR1019980020627A 1998-06-03 1998-06-03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KR10027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627A KR100278539B1 (ko) 1998-06-03 1998-06-03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627A KR100278539B1 (ko) 1998-06-03 1998-06-03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79A KR20000000779A (ko) 2000-01-15
KR100278539B1 true KR100278539B1 (ko) 2001-01-15

Family

ID=1953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627A KR100278539B1 (ko) 1998-06-03 1998-06-03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5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158B1 (ko) 2004-01-23 200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겔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 연료전지 및 겔 전해질의제조방법
US9034522B2 (en) 2012-06-15 2015-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fabricating a patterned solid polymeric electrolyte
US9123970B2 (en) 2012-07-03 2015-09-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thium battery binder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297864B2 (en) 2014-12-19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electrolyt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lyte
US11967680B2 (en) 2022-03-31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ttaining shortened crosslinking ti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85B1 (ko) * 2001-04-26 2003-1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겔형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412092B1 (ko) * 2001-05-03 2003-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2566407B1 (ko) * 2017-12-20 202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금속전지용 음극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금속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158B1 (ko) 2004-01-23 2007-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겔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 연료전지 및 겔 전해질의제조방법
US9034522B2 (en) 2012-06-15 2015-05-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fabricating a patterned solid polymeric electrolyte
US9306240B2 (en) 2012-06-15 2016-04-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olid polymeric electrolytes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9123970B2 (en) 2012-07-03 2015-09-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thium battery binder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297864B2 (en) 2014-12-19 201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e electrolyt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lyte
US11967680B2 (en) 2022-03-31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ttaining shortened crosslinking ti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79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252B1 (ko)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리튬 2차전지
US6013393A (en) Ionic conductive polymer gel and lithium-ion battery using the same
US6573009B1 (en) Electrolyte containing a crosslinked compound having ether linkages and a high-molecular compound
US5965300A (en) Polymer solid electrolyt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mer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cell adopting polymer solid electrolyte
KR100498563B1 (ko) 비프로톤성전해질박막,고정화액막도전체및폴리머전지
US10102979B2 (en) Actinic and electron beam radiation curable water based electrode binders and electrodes incorporating same
CA2227268A1 (en) Rechargeable battery polymeric electrolyte
KR101458468B1 (ko) 신규한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제조가 용이한 리튬 이차전지용 겔 고분자 전해질
KR100278539B1 (ko)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겔 전해질
JP3635302B2 (ja) 二次電池
KR20120057168A (ko) 아민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가교제로 함유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고분자 이차 전지
JPH10195271A (ja) ポリマー電解質
JPH03196407A (ja) イオン伝導性固体電解質
JPH0925384A (ja) イオン伝導性高分子ゲル電解質および該電解質を含む二次電池
JP2002500813A (ja) 重合体ゲル電解質
KR100325876B1 (ko)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중합된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 전지
JPH10223044A (ja) ゲル状高分子固体電解質
JP2000319531A (ja) 高分子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429828B1 (ko) 고분자고체전해질형성용조성물및이로부터형성된고분자고체전해질을채용하고있는리튬2차전지
KR100515983B1 (ko) 비 양성자성 전해질박막, 고정화 액막도전체 및 전지
JPH11171912A (ja) 重合性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1093575A (ja) ポリマー電池用ゲル電解質
KR100403806B1 (ko) 리튬2차전지
WO2022004628A1 (ja) 電解質、二次電池及びコンポジット材
KR100378349B1 (ko)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리튬 2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