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349B1 - 봉제기계 - Google Patents
봉제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8349B1 KR100278349B1 KR1019980020441A KR19980020441A KR100278349B1 KR 100278349 B1 KR100278349 B1 KR 100278349B1 KR 1019980020441 A KR1019980020441 A KR 1019980020441A KR 19980020441 A KR19980020441 A KR 19980020441A KR 100278349 B1 KR100278349 B1 KR 1002783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le
- holder
- sewing
- bobbin
- sewing machin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봉제기계는 직물을 관통하는 1차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니들과 상기 1차방향과 직교하는 2차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셔틀을 포함하며,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을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과 교체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봉제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봉제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니들(needle)과 셔틀(shuttle)의 연계작동으로 직물(fabric web)에 스티칭패턴(stitching pattern)을 구성하는 봉제기계에 관련된 것이다.
퀼팅(quilting)기계와 같은 봉제기계에는 니들플레이트(needle plate)와, 상기 니들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열된 다수개의 니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니들은 상하로 왕복운동함으로써 직물을 관통하여 윗실을 공급하게 된다. 셔틀은 상기 니들플레이트의 하방에서 각 니들과 연계 설치되어 있다. 각 셔틀은 연계되는 니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어 있다. 각 셔틀에는 아랫실이 감겨진 보빈(bobbin)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니들과 셔틀은 윗실과 아랫실을 이용한 연계 왕복운동을 통해 직물에 스티칭패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퀼팅기계에서는 보빈에 정해진 길이의 아랫실이 감겨져 있다. 때문에 봉제작업 중에 아랫실을 다 사용한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다쓴 보빈을 꺼내어 실이 감긴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바, 이와 같이 번거로운 셔틀 교체작업은 봉제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수작업으로 셔틀을 교체하는 것은 다수개의 셔틀을 사용하는 퀼팅기계를 사용할 때 특히 비효율적이다. 수작업으로 퀼팅기계의 셔틀을 교체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물을 관통하는 1차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니들과 상기 1차방향과 직교하는 2차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셔틀을 포함하며,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을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과 교체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봉제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봉제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성과 이점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도시한 도면과 연계되어 상세한 기술란에서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기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기계에 적용된 봉제장치를 나타낸 도 1의 확대 측면도
도 3은 상기 봉제장치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봉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기계에 적용된 셔틀교환기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
도 6은 상기 셔틀교환기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상기 셔틀교환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7에 이은 상기 셔틀교환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에 이은 상기 셔틀교환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이은 상기 셔틀교환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이은 상기 셔틀교환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이은 상기 셔틀교환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봉제장치 22: 셔틀교환기
25: 직물 26: 니들
27: 플랫포옴 29: 셔틀홀더
30: 셔틀캐리어 31: 셔틀
32: 드라이브 샤프트 33: 레버
56: 프레임 57: 이송기구
58: 배출기구 59: 공급기구
61: 회전 플랫포옴 64: 이송 플레이트
65: 후크 67: 키
68: 리드리스 이송실린더 69: 후킹실린더
72: 회전 실린더 77: 관형상 셔틀리테이너
79: 리드 81: 피더실린더
본 발명에 따른 퀼팅기계는 도 1내지 도 12를 참조로하여 기술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퀼팅기계에는 봉제장치(21)와 셔틀교환기(22)가 구비된다. 상기 봉제장치(21)에는 니들플레이트(24)가 설치된 메인프레임(main frame)(23)이 구성된다. 레이어된(layered) 직물(25)은 상기 니들플레이트(24)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 니들플레이트(24)의 위에는 같은 간격으로 위치된 두 줄의 니들(26)이 배열된다. 각 니들(26)은 수직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상기 니들플레이트(24)에 고정된 직물(25)을 관통하게 된다. 각 니들에는 윗실이 끼워지는 바늘귀(2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윗실은 실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니들플레이트(24)의 아래에는 이동 플랫포옴(platform)(27)이 배치된다. 상기 이동 플랫포옴(27)은 니들(26)의 축방향과 수직방향(도 2에서 바닥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가이드로드(28)(guide rod)에 의해 가이드된다. 셔틀홀더(29)(shuttle holder)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27a)(guide rail)의 각 조합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가이드벽(53)(guide wall)을 따라 가이드된다. 각 니들(26)의 셔틀홀더(29)에는 셔틀캐리어(shuttle carrier)(30)가 연계된다. 셔틀(31)은 각 니들(26)의 셔틀캐리어(3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각 셔틀(31)은 니들(26) 중의 하나와 연결된다. 정해진 길이의 아랫실이 감겨진 보빈(미도시)은 각 셔틀(31)에 장착된다.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32)는 이동 플랫포옴(27) 아래에서 메인 프레임(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레버(33)(lever)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2)에 고정된다. 상기 레버(33)의 일측 선단은 롤러(35)(rolle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이동 플랫포옴(27)에는 상기 롤러(35)를 결속하는 결속부(34)가 구비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레버(33)가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와 쇄선으로 표시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경우에는 이동 플랫포옴(27), 셔틀홀더(29) 및 셔틀(31)은 니들(26)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같이 니들(26)과 셔틀(31)이 서로 연계되어 움직임으로써 직물(25)에 스티칭패턴을 구성하게 된다.
도 2와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한쌍의 고정스토퍼(fixed stopper)(36)는 각 셔틀홀더(29)에 대응되는 이동 플랫포옴(27)의 앞쪽 선단에 고정된다. 각 셔틀홀더(29)가 상기 이동 플랫포옴(27)을 따라 이동하면서 셔틀교환기(22)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고정스토퍼(36)에 의해 상기 셔틀홀더(29)의 앞쪽선단(29a)이 결속되어 셔틀홀더(29)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로터리 샤프트(37)(rotary shaft)는 상기 이동 플랫포옴(27)의 뒤쪽 선단에 의해 지지된다. 레버(38)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37)의 각 선단에 결합된다. 이동 스토퍼(movable stopper)(39)는 각 고정스토퍼(36)에 연계되는 로터리 샤프트(37)에 피봇 연결된다. 이동 스토퍼(39)에는 브라켓(bracket)(40)이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40)은 로터리 샤프트(37)에 고정된다. 각 브라켓(40)은 롤러(41)를 지지한다. 각 이동 스토퍼(39)와 이에 연계된 브라켓(40) 사이에는 한 쌍의 스프링(42)이 개재되어 상기 이동 스토퍼(39)를 연계된 고정 스토퍼(36) 측으로 압박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에는 각기 다른 위치에 있는 두 개의 브라켓(4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기 브라켓(40)들은 로터리 샤프트(37) 상에서 서로 연계된다.
메인프레임(23) 상의 각 브라켓(40)에는 록킹 실린더(locking cylinder)(43)가 구비된다. 각 록킹 실린더(43)에는 액츄에이터(actuator)(44)가 부착된 피스톤로드(piston rod)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4)에는 롤러(41)가 결속된다. 각 록킹 실린더(43)가 이동 플랫포옴(27)에 고정된 셔틀홀더(29)와 함께 피스톤로드를 밀면 연계된 이동 스토퍼(39)는 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 스토퍼(39)는 스프링(42)에 의해 셔틀홀더(29)의 뒤쪽 선단측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셔틀홀더(29)가 셔틀교환기(2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메인프레임(23)의 각 레버(38)에는 언록킹 실린더(unlocking cylinder)(45)가 구비된다. 각 언록킹 실린더(45)에는 액츄에이터가 부착된 피스톤로드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6)는 레버(38)를 결속하게 된다. 언록킹 실린더(45)가 피스톤로드를 미는 경우에는 상기 레버(38)가 로터리 샤프트(37)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계된 이동 스토퍼(39)와 브라켓(40)은 도 2에서 쇄선으로 나타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스토퍼(39)가 셔틀홀더(29)의 뒤쪽선단(29b)에서 분리되며, 셔틀홀더(29)가 셔틀교환기(2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동 플랫포옴(27)에는 다수개의 지지블럭(support block)(48)이 고정된다. 각 지지블럭(48)에는 보어(bore)(47a, 47b)가 형성된다. 각 보어(47a, 47b)들은 로터리사프트(37)를 통해 같은 위치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이동프레임(49)은 가이드로드(54)와 가이드보어(guide bore)(55)를 통해 지지블럭(48)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49)의 중간에는 상기 보어(47a, 47b)에 해제 가능하게 결속되는 핀(pin)(50)이 관통설치된다.
각 지지블럭(48)과 이동 프레임(49)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스프링(51)은 상기 이동 프레임(49)을 밀어서 핀(50)이 각 보어(47a, 47b)들 중의 하나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동 플랫포옴(27)의 각 이동 프레임(49)에는 핀(50)을 보어(47a, 47b)에서 해제시킬 수 있는 실린더(52)가 구비된다. 각 실린더(52)에는 연계된 이동 프레임(49)을 결속하는 피스톤로드(52a)가 구비된다.
일반적인 봉제작업 중에는 각 실린더(52)의 피스톤로드(52a)가 도 3에서 실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안으로 들어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핀(50)이 스프링에 의해 보어(47a, 47b)들 중의 하나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샤프트(37)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로터리 샤프트(37)의 회전이 제한되며 이동 스토퍼(39)가 도 2에서 쇄선으로 나타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각 보빈에 감겨진 실이 전부 사용되거나 거의 다 사용된 때에는 셔틀(31)이 새것으로 교체된다. 이러한 경우에 실린더(52)는 피스톤로드(52a)를 밀어 이동 프레임(49)이 스프링(51)의 탄성력을 이기고 움직이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49)의 움직임에 의해 핀(50)이 보어(47a, 47b)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로터리 샤프트(37)는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도 2에서 쇄선으로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스토퍼(39)는 피스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셔틀교환기의 구조는 도 1,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로하여 기술된다.
상기 봉제장치(21)에 인접하여 위치된 셔틀교환기(22)는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과 교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셔틀교환기(22)에는 봉제장치(21)의 뒷부분에 부착된 프레임(56)과, 셔틀홀더(29)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기구(57)와,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58)와,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구(59)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기구(57)는 봉제장치(21)와 연결되는 봉제위치와 상기 봉제장치(21)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져 있는 셔틀교환위치 사이에서 셔틀(31)을 지지하는 셔틀홀더(29)를 이송시킨다. 상기 배출기구(58)는 셔틀교환위치에서 셔틀홀더(29)로부터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배출시킨다. 상기 공급기구(59)는 셔틀교환위치에서 셔틀홀더(29)로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공급한다.
회전 플랫포옴(61)은 상기 배출기구(58)에서 각 셔틀홀더(29)의 로터리 샤프트(6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쌍의 가이드레일(63)은 상기 회전 플랫포옴(61)을 따라 연장된다. 이송 플레이트(64)는 가이드레일(6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이송 플레이트(64)에는 한쌍의 후크(hook)(65)가 피봇핀(pivot pin)(6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각 후크(65)는 상기 셔틀홀더(29)의 뒤쪽 선단에 위치된 키(key)(67)를 결속한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송 플레이트(64)에 연결된 피스톤을 구비한 로드리스 이송실린더(rodless transfer cylinder)(68)는 회전 플랫포옴(61)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로드리스 이송실린더(68)는 상기 이송 플레이트(64)를 작동하여 각 후크(65)가 도 8에 나타난 봉제위치와 도 7에 나타난 셔틀교환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후킹실린더(hooking cylinder)(69)는 이송 플레이트(64)에 배치된다. 상기 후킹실린더(69)에는 연결레버(70)에 의해 상기 피봇핀(66)에 연결된 피스톤로드가 구비된다.
도 8에 나타난 것과 같이 후크(65)와 이송 플레이트(64)가 봉제위치에 위치된 경우에는 피스톤로드가 실린더(69)에서 빠져나옴으로써 레버(70)와 피봇핀(66)을 통해 후크(65)와 키(67)를 결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로드가 실린더(69)로 다시 들어감으로써 후크(65)는 키(67)로부터 회전 분리된다.
더욱이, 상기 키(67)에 결속된 후크(65)와 이송플레이트(64)는 실린더(68)에 의해 봉제위치에서 셔틀교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셔틀(31)을 지지하는 셔틀홀더(29)는 이동 플랫포옴(27) 상의 봉제위치에서 회전 플랫포옴(61) 상의 셔틀교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난 것 처럼 상기 회전 플랫포옴(61)에는 스토퍼 실린더(stopper cylinder)(71)가 구비된다. 상기 셔틀홀더(29)가 회전 플랫포옴(61) 상의 셔틀교환위치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 실린더(71)가 셔틀홀더(29)의 결속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셔틀홀더(29)는 회전 플랫포옴(61)에 결속된다.
상기 배출기구(58)에는 프레임(56)에서 피봇핀(73)에 피봇연결된 회전실린더(pivoting cylinder)(7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실린더(72)에는 회전 플랫포옴(61)의 뒤쪽 선단에 연결된 피스톤로드가 구비된다. 도 6과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셔틀홀더(29)가 회전 플랫포옴(61) 상의 셔틀교환위치에 놓여지는 경우에는 피스톤로드가 회전실린더(72)에서 돌출됨으로써 회전 플랫포옴(61)이 수평위치에서 수직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 플랫포옴(61)이 수직위치로 되면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은 셔틀홀더(29)에서 분리된다.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에어노즐(air nozzle)(74)은 셔틀홀더(29)에 고정된 셔틀(31)과 연결된 회전 플랫포옴(61)의 아래에 배치된다. 셔틀홀더(29)를 지지하는 회전 플랫포옴(61)이 수직위치로 회전하면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노즐(74)에서 셔틀(31) 측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셔틀홀더(29)에서 셔틀(31)이 분리된다.
도 1, 도 5, 도 6 및 도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연장된 셔틀슈트(shuttle chute)(75)는 프레임(56)의 아랫부분에 배치된다. 리트리버(retriever)(76)는 셔틀슈트(75)의 가장 아랫부분에서 셔틀홀더(29)에서 분리되어 셔틀슈트(75)를 따라 내려오는 셔틀(31)을 받게 된다.
도 1, 도 5 및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공급기구(59)에는 프레임(56)의 아래에 위치된 피더(feeder)(78)에 의해 비스듬히 지지된 다수개의 관형상 셔틀리테이너(tubular shuttle retainer)(77)가 구비된다. 상기 셔틀홀더(29)가 셔틀교환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관형상 셔틀리테이너(77)는 셔틀캐리어(30)와 연결된다. 각 셔틀리테이너(77)의 최하선단에는 피봇핀(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리드(lid)(79)가 구비된다. 상기 리드(79)는 셔틀리테이너(77)의 최하단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상기 피더(78)에는 피더실린더(feeder cylinder)(81)가 구비된다. 상기 피더실린더(81)에는 연결레버(82)에 의해 리드(79)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가 구비된다.
도 5와 도7에 나타난 것 처럼 상기 피더실린더(81)의 피스톤로드는 일반적으로 안으로 들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셔틀리테이너(77)의 하단은 보통의 경우 리드(79)에 의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은 셔틀리테이너(77)에 내장되고 셔틀캐리어(30) 위에 놓여진다.
셔틀배출기구(58)에 의해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이 셔틀홀더(29)에서 배출된 후에는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더실린더(81)의 피스톤로드가 밖으로 나와 연결레버(82)를 통해 각 리드(79)를 회전시키고 셔틀리테이너(77)의 하단을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이 셔틀캐리어(30)에 놓여진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제기계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봉제기계가 봉제작업을 행할 때 셔틀(31)을 지지하는 셔틀홀더(29)는 봉제장치(21)의 이동 플랫포옴(27) 상의 봉제위치에 있게 된다. 각 셔틀홀더(29)의 앞쪽 선단은 고정 스토퍼(36)에 결속되며, 각 셔틀홀더(29)의 뒤쪽선단은 이동 스토퍼(39)에 결속된다. 따라서, 각 셔틀홀더(29)는 이동 플랫포옴(27) 상에서 나름대로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 니들(26)은 직물(25)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동시에 레버(33)는 도 1과 도 2에서 실선과 쇄선으로 나타난 위치 사이에서 드라이브 샤프트(32)에 의해 왕복 회전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이동 플랫포옴(27)에 지지된 셔틀홀더(29)는 니들(26)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앞 뒤로 움직이게 된다. 니들(26)과 셔틀(31)의 연계작동 및 니들(26)에 공급되는 윗실과 셔틀(31)에 장착된 보빈에서 공급되는 아랫실을 이용해 직물(25)에 봉제패턴을 구성하게 된다.
보빈에 감겨진 실이 다 떨어지거나, 거의 떨어진 경우에는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이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로 교체된다. 셔틀(31)을 교체하기 위해 각 실린더(52)의 피스톤로드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은 위치에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연계된 이동 프레임(49)이 스프링(51)의 탄성력을 이기고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핀(50)이 보어(47a)에서 빠져나옴으로써 로터리 샤프트(37)의 결속상태가 해제된다.
각 언록킹 실린더(45)의 액츄에이터(46)는 돌출됨으로써 연계된 레버(38)를 통해 로터리 샤프트(37)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이동 스토퍼(39)와 브라켓(40)은 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난 위치로부터 쇄선으로 나타난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각 이동 스토퍼(39)는 셔틀홀더(29)의 뒤쪽 선단(29b)에서 분리되고, 셔틀홀더(29) 후면의 결속상태가 해제된다. 각 실린더(52)의 피스톤로드는 스프링(5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들어가서 핀(50)을 또 다른 보어(47b)에 삽입시킴으로써 로터리 샤프트(37)를 결속한다. 그 다음, 셔틀교환기(22)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기구의 로드리스 이송실린더(68)는 이송플레이트(64)를 회전 플랫포옴(61)의 가이드레일(63)을 따라 봉제장치(21)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후크(65)는 도 7의 교환위치에서 도 8의 봉제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후킹실린더(69)가 돌출되어 연결레버(70)와 피봇핀(66)을 통해 후크(6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후크(65)가 셔틀홀더(29)의 뒤쪽 선단에 위치된 키(67)에 결속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로드리스 이송실린더(68)는 이송플레이트(64)를 봉제장치로부터 분리되도록 이송시키고, 후크(65)를 교환위치로 되돌리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지지하는 셔틀홀더(29)는 이동 플랫포옴(27) 상의 봉제위치에서 회전 플랫포옴(61) 상의 셔틀교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실린더(71)는 셔틀홀더(29)를 회전 플랫포옴(61)에 고정시킨다.
배출기구(58)에 구비된 회전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는 돌출되어 회전 플랫포옴(61)과 셔틀홀더(29)를 도 9에 나타난 수평위치에서 도 10에 나타난 수직위치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이 셔틀홀더(29)에서 분리된다. 셔틀홀더(29)에서 셔틀(31)이 쉽게 분리되도록 압축공기가 각 셔틀(31) 측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셔틀(31)은 셔틀슈트(75)를 따라 내려온 다음 셔틀리트리버(76)에 의해 리트리버된다.
그 다음, 회전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는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회전 플랫포옴(61)과 셔틀홀더(29)를 원래의 수평위치로 되돌린다. 이 상태에서 공급기구(59)에 구비된 피더실린더(81)의 피스톤로드가 돌출되어 각 리드(79)를 회전시키고 각 셔틀리테이너(77)의 하단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은 셔틀캐리어(30)에 놓여지게 된다.
셔틀(31)을 이송한 다음에 스토퍼 실린더(71)는 셔틀홀더(29)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로드리스 이송실린더(68)는 이송플레이트(64)를 봉제장치(21)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후크(65)는 도 11에 나타난 셔틀교환위치에서 도 12에 나타난 봉제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지지하는 셔틀홀더(29)는 셔틀교환기(22)의 회전 플랫포옴(61)에 구성된 셔틀교환위치에서 봉제장치(22)의 이동 플랫포옴(27)에 위치된 봉제위치로 이송된다. 그리고, 후킹실린더(69)의 피스톤로드는 안으로 들어가서 연계된 셔틀홀더(29)에서 키(67)로부터 후크(65)를 분리시킨다.
이어서, 보어(47b)에서 실린더(52)에 의해 핀(50)이 분리됨으로써 로터리 샤프트(37)의 결속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록킹 실린더(43)는 브라켓(40)을 통해 이동 스토퍼(39)를 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난 위치로 회전시킨다. 상기 이동 스토퍼(39)는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셔틀홀더(29)의 뒤쪽선단으로 압박된다. 이에 따라, 셔틀홀더(29)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여기서, 고정된 스토퍼(36)는 셔틀홀더(29)의 앞쪽선단과 결속됨으로써 그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각 실린더(52)는 피스톤로드를 잡아당겨 이동 프레임(49)이 스프링(51)의 힘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핀(50)이 보어(47a)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로터리 샤프트(37)가 록킹된다.
셔틀교환기(22)의 이송기구(57), 셔틀배출기구(58) 및 공급기구(59)는 상호연계작용을 통해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과 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셔틀(31)의 교체작업이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짐으로써 봉제기계를 이용한 봉제작업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셔틀교환기(22)에 의해 아랫실이 감겨진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이 교체되므로 보빈을 다쓰게 되면, 자동으로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로 교체되어 봉제작업의 효율이 높아진다.
셔틀교환기(22)에는 셔틀홀더(29)를 봉제위치와 셔틀교환위치 사이에서 이송하는 이송기구(57)가 구비된다. 배출기구(58)는 배출위치에서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셔틀홀더(29)로부터 배출시킨다. 셔틀공급기구(59)는 셔틀교환위치에서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셔틀홀더(29)에 공급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한 상기 셔틀교환기(22)는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과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셔틀이송기구(57)는 셔틀홀더(29)의 키(67)를 결속시키는 후크(65)를 사용한다. 상기 로드리스 이송실린더(68)는 봉제위치와 셔틀교환위치 사이에서 후크(65)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의 상기 셔틀이송기구(57)는 셔틀홀더(29)를 봉제위치와 셔틀교환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기구(58)는 셔틀교환위치에서 셔틀홀더(29)를 지지하는 회전 플랫포옴(61)과 상기 회전 플랫포옴(61)을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 실린더(72)를 사용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의 배출기구(58)는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셔틀홀더(29)로부터 배출하게 된다.
공급기구(59)는 셔틀교환위치의 셔틀홀더(29) 위에서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지지하는 셔틀리테이너(77)와, 셔틀교환위치에서 셔틀리테이너(77)로부터 셔틀(31)을 분리하여 셔틀홀더(29)에 놓는 실린더(81)를 사용하여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을 셔틀홀더(29)에 확실히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이 본 실시예와 다른 여러 형태로 발명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 것이다.
우선,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31)이 정해진 위치로 자동 이송되도록 콘베이어가 배출기구(58)의 셔틀리트리버(76)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셔틀을 교체하는 기구는 공급기구(59) 내에서 자동으로 셔틀리테이너(77)를 교체토록 하기 위해 셔틀리테이너(77) 위에 배치될 수 도 있다.
그러므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 가능한 것이다.
Claims (10)
- 직물을 관통하는 1차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니들과, 상기 일차방향과 직교하는 2차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셔틀을 구비하고,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은 새 보빈과 교체되며, 상기 니들과 셔틀의 연계작용으로 직물에 스티칭패턴을 구성하는 봉제기계에 있어서, 다쓴 보빈이 장착된 셔틀을 새 보빈이 장착된 셔틀과 자동으로 교체하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봉제장치에 의해 봉제작업이 이루어지는 봉제위치와 셔틀이 교체되는 교체위치 사이에서 셔틀홀더를 이송시키는 1차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2항에 있어서,교체위치로 이송된 셔틀홀더에서 셔틀을 배출시키기 위한 2차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3항에 있어서,교체위치에 있는 셔틀홀더에 새로운 셔틀을 공급하기 위한 3차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4항에 있어서,상기 1차기구는 상기 셔틀홀더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를 봉제위치와 교체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상기 2차기구는 교체위치에서 셔틀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수평위치와 수직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셔틀홀더에서 배출된 보빈을 받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상기 3차기구는 교체위치에서 셔틀홀더 상의 셔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셔틀을 셔틀홀더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1항에 있어서,교체기구는 메인프레임에 부착된 프레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1항에 있어서,셔틀홀더를 고정시키는 결속기구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 제9항에 있어서,상기 결속기구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47859 | 1997-06-05 | ||
JP14785997A JP3745500B2 (ja) | 1997-06-05 | 1997-06-05 | 縫製機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6596A KR19990006596A (ko) | 1999-01-25 |
KR100278349B1 true KR100278349B1 (ko) | 2001-02-01 |
Family
ID=5794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20441A KR100278349B1 (ko) | 1997-06-05 | 1998-06-02 | 봉제기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278349B1 (ko) |
TW (1) | TW36561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057918B1 (de) * | 1999-05-28 | 2002-09-04 | Franz Lässer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echseln der Schiffchen einer Schiffchenstickmaschi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802A (ja) * | 1991-07-01 | 1993-01-19 | Kunio Matsuura | ズボン内股自動縫製機械、内股中央操作ハンド |
-
1998
- 1998-06-02 KR KR1019980020441A patent/KR1002783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6-03 TW TW087108679A patent/TW36561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802A (ja) * | 1991-07-01 | 1993-01-19 | Kunio Matsuura | ズボン内股自動縫製機械、内股中央操作ハン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365616B (en) | 1999-08-01 |
KR19990006596A (ko) | 1999-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942620B (zh) | 在缝纫或刺绣机上用来更换用于圈结线的梭心的装置 | |
US2954805A (en) | Carpet looms | |
US7073355B2 (en) | Knitting machine with at least one striping attachment | |
KR20060049546A (ko) |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 |
KR100278349B1 (ko) | 봉제기계 | |
US6105521A (en) | Sewing machine with shuttle replenishing | |
KR101169326B1 (ko) | 환편기의 오토 스트라이퍼 모듈 | |
US6325006B1 (en) |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 |
JP2011137271A (ja) | 横編機の編糸把持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CN102177287B (zh) | 横编机的编织纱线把持装置 | |
CN1981082A (zh) | 纫针机 | |
RU2345184C2 (ru) | Гибкая стачечн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го режима с множеством голово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шпулечным зарядчиком | |
EP1235956B1 (en) |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 |
CN211005854U (zh) | 一种用于圆针织机的无虚线成圈装置和圆针织机 | |
JP2533483B2 (ja) | 横糸たて糸編物の製造方法とそのための平形たて編機 | |
KR100658187B1 (ko) | 재봉기계 | |
US3620048A (en) | Weft supplying device for a warp knitting machine | |
KR101085294B1 (ko) | 일체형 복합 실 교환 장치를 구비하는 원형 편물기 | |
JPS59179858A (ja) | ミシン | |
KR100639352B1 (ko) |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 |
KR20020018801A (ko) | 실꿰기장치 | |
KR100556704B1 (ko) | 양두 환편기의 실 공급장치 | |
CN111575928A (zh) | 纺织机和纺织机的运转方法 | |
CN111850794A (zh) | 一种用于圆针织机的无虚线成圈装置和圆针织机 | |
JPH11179084A (ja) | 刺繍縫いミシ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