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213B1 -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213B1
KR100277213B1 KR1019980053763A KR19980053763A KR100277213B1 KR 100277213 B1 KR100277213 B1 KR 100277213B1 KR 1019980053763 A KR1019980053763 A KR 1019980053763A KR 19980053763 A KR19980053763 A KR 19980053763A KR 100277213 B1 KR100277213 B1 KR 10027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missile
restraint
rigid sphe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687A (ko
Inventor
나문수
이열화
박태학
박흥준
Original Assignee
최동환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환,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최동환
Priority to KR101998005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213B1/ko
Priority to US09/296,719 priority patent/US6286409B1/en
Priority to FR9906546A priority patent/FR2786860B1/fr
Publication of KR2000003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2Locking of ammunition in 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52Means for securing the rocket in the launch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로서는 미사일을 폭발볼트나 인장 또는 전단볼트 등을 이용하여 발사관 내에 구속한 상태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기 직전에 폭발볼트를 폭발시키거나 인장 또는 전단볼트를 파단시켜 미사일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구속 해제의 정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구속 해제의 확인이 어렵고 구속이 해제될 때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하여 미사일의 초기 비행안정성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강체구를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의 구속부에 구속시킨 상태에서 미사일 발사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이용하여 강체구가 구속 해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미사일의 구속을 작은 힘으로 신속 정확하고 확실하며 원활하게 해제되게 함으로써 신뢰성이 높고, 충격에 의한 발사대의 진동 발생을 방지하며, 발사 안정성을 높이고, 발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MISSILE DETENT/RELEASE MECHANISM USING SOLID SPHERE}
본 발명은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속이 견고하고 확실하면서도 발사 시에는 충격이나 진동이 거의 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해제되도록 한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사일을 운용함에 있어서는 운반 시에는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미사일을 보호하기 위하여 미사일을 발사관(또는 캐니스타 ; canister) 및 발사대(이하, "발사관"으로 통칭함)에 삽입하여 구속하고, 발사 시에는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발사관에 미사일을 삽입하여 구속하였다가 해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미사일을 수송하거나 운용할 때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미사일이 움직이지 않도록 발사관에 견고하고 확실하게 구속하여야 하며, 미사일 발사 시에는 신속하고 정확하며 원활하게 구속을 해제하여 미사일이 발사관에서 신뢰성이 높고 안정되게 발사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여러 종류의 미사일 구속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폭약이 내장된 폭발볼트를 이용하여 미사일을 발사관에 구속하고 발사 직전에 폭발볼트를 폭발시켜 파단함으로써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폭발방식과, 인장볼트나 전단볼트를 이용하여 미사일을 발사관에 구속하고 발사 시 미사일 추진제의 추력에 의해 일정한 힘이 가해질 때 인장볼트나 전단볼트가 파단되면서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인장볼트나 전단볼트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폭발방식의 경우, 폭발력이 주변 구조물, 특히 미사일 내부에 심각한 손상을 줄 우려가 있고, 폭발볼트가 폭발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사일이 발사되는 경우 발사관이 결합된 상태로 발사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사일을 점화하기 전에 폭발볼트가 폭발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인장볼트나 전단볼트 방식의 경우, 미사일이 점화되어 그 추력이 인장볼트의 인장강도나 전단볼트의 전단강도에 도달하였을 때 파단되는 것으로, 인장볼트의 인장강도나 전단볼트의 전단강도가 추력의 초기 가속에 영향을 받는 것이어서 초기 추력이 작은 미사일의 경우 인장강도나 전단강도가 작은 볼트를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운반 및 발사대 장착 운용 시 쉽게 파단될 수 있어 신뢰도가 떨어지며, 반대로 초기의 추력이 큰 미사일의 경우 인장강도나 전단강도가 큰 볼트를 사용함으로서 운반이나 운용 시 임의로 파단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강도가 큰 만큼 발사 시 발사관에 가하는 충격력이 크게 되어 발사대의 진동 원인이 되고 미사일의 초기 비행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폭발방식 및 인장 또는 전단볼트 방식의 경우는 모두 재료 파단 방식으로서 재료의 파단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운반 또는 발사대 장착 운용 시에 파단 부위가 피로 파단될 가능성이 높으며, 폭발볼트나 인장 또는 전단볼트 생산 시 정확한 파단강도나 인장 또는 전단강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재 및 가공의 균질성 유지와 검사에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 및 문제점으로 인하여 미사일 발사 시에 오차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사일의 구속이 견고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미사일의 로켓 모터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미사일의 구속을 작은 힘으로 신속 정확하고 확실하며 원활하게 해제되게 함으로써 신뢰성이 높고, 충격에 의한 발사대의 진동 발생을 방지하며, 발사 안정성을 높이고, 발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가 적용된 미사일과 발사관의 조립 상태 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확대 배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분해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해 미사일이 발사관에 구속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해 미사일이 발사관에서 구속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작동실린더와 작동피스톤 및 강체구의 치수 관계를 보인 도 4a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a의 "B"부 확대도.
도 6은 작동실린더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작동피스톤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고정부재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고정실린더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0은 연소가스 유입부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1은 연소가스 유도부재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12는 마감고정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미사일 12 : 구속돌기
13 : 구속나사홈 20 : 발사관
21 : 나사관통공 22 : 고정나사
30 : 작동실린더 31 : 작동부
35 : 강체구 출몰공 40 : 작동피스톤
41 : 구속작동부 42 : 안내부
43 : 구속해제작동홈 44 : 후단확대부
50 : 강체구 60 : 고정부재
61 : 구속 및 해제 작동부 62 : 미사일 구속부
63 : 고정실린더 고정부 64 : 피스톤 안내부
65 : 연소가스 도입부 65a : 연소가스 도입공
70 : 고정실린더 71 : 작동공간
72 : 강체구 구속홈 80 : 연소가스 유입부재
81 : 연소가스 유입공 90 : 연소가스 유도부재
91 : 연소가스 유도공 100 : 마감고정부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사일 노즐부 후단에 형성된 한 쌍의 원형 구속돌기와; 상기 미사일의 구속돌기 후단면에 결합되는 작동실린더와, 이 작동실린더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피스톤과, 상기 작동피스톤이 후퇴하였을 때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작동피스톤이 전진하였을 때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몰입되는 강체구를 가지는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과; 상기 미사일이 삽입되는 발사관의 후단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원형 구속돌기가 삽입되는 미사일 구속부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강체구가 삽입되는 고정실린더와, 상기 작동피스톤의 후단부를 안내하는 피스톤 안내부가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과; 미사일 발사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작동피스톤의 후단부로 유도하여 작동피스톤을 전진시킴으로써 강체구가 강체구 구속홈에서 이탈되면서 미사일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연소가스 유도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가 적용된 미사일과 발사관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 배면도로서, 도면에서 10은 미사일이고, 20은 발사관이며, 상기 미사일(10)은 발사관(20)내에서 구속 및 해제 수단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다.
상기 미사일(10)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관(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 후단부에 구비된 로켓 모터의 노즐부(11)가 구속 및 해제 수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노즐부(11)의 후단면에는 한 쌍의 원형 구속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속돌기(12)의 중심에는 구속나사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사관(2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사일(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중공 통상체(中共筒狀體)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사관(20)의 주벽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속 및 해제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22)가 관통되는 나사 관통공(21)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구속 및 해제수단은 미사일(10)측에 고정 결합되는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과 발사관(20)측에 고정 결합되는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사일(10)의 구속돌기(13) 후단면에 고정 결합되는 작동실린더(30)와, 상기 작동실린더(30) 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피스톤(40)과, 상기 작동피스톤(40)이 후퇴하였을 때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작동피스톤(40)이 전진하였을 때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몰입되는 강체구(5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실린더(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속돌기(12)의 후단면에 고정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피스톤 작동공간(31a)을 가지며 주벽(32)에 상기 강체구(50)가 출몰되는 강체구 출몰공(35)이 형성된 작동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피스톤(40)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30)에 대하여 후퇴되었을 때 상기 강체구(50)의 일부가 강체구 출몰공(35)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속작동부(41)와 전진되었을 때 일부가 상기 강체구 출몰공(35)에 삽입된 강체구(50)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되는 구속해제작동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작동부(31)는 주벽(32)과 전면벽(33)에 의하여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이 막인 피스톤 작동공간(31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벽(33)에는 수나사봉(36)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 수나사봉(36)를 상기 구속돌기(12)의 중심부에 후방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구속나사홈(13)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작동실린더(30)가 미사일(10)의 후단부에 고정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전면벽(33)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봉(36)을 구속나사홈(13)에 체결하는 데 사용되는 드라이버 또는 렌치 등의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홈(37)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례에서는 공구홈(37)이 일(一)자 드라이버를 끼울 수 있는 일(一)자홈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십(十)자 드라이버를 끼울 수 있는 십(十)자홈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사각 또는 육각 렌치를 끼울 수 있는 사각 또는 육각 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에서 34는 작동실린더(30)의 후단면을 보인 것이고, 도 3 및 도 5에서 38은 구속돌기(12)와 작동실린더(30)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이다.
상기 작동피스톤(40)은 작동실린더(30)에 대한 작동피스톤(40)의 진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구속해제작동홈(43)의 후방측으로 작동실린더(30)의 피스톤 작동공간(31a) 내주면에 접촉 안내되는 안내부(4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작동피스톤(40)은 미사일 발사 시 발생되어 연소가스 유도수단에 의하여 유도된 연소가스가 안내부(42)의 후단부에 직접 작용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연소가스에 의해 작동피스톤(40)이 전진하였을 때 강체구 출몰공(35)과 구속해제작동홈(43)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위치시켜 강체구(50)가 구속해제작동홈(43)으로 원활하게 이동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내부(42)의 후단부에 후단확대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피스톤(40)은 상기 작동실린더(30)의 피스톤 작동공간(31a) 내에서 그 구속작동부(41)의 전단면과 작동실린더(30)의 전면벽(33)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5)에 의하여 상시 후퇴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강체구(50)는 강성과 강도가 강체에 가깝도록 클수록 좋으며, 형상은 완전구에 가까울수록 좋다. 상기 강체구(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실린더(30)의 강체구 출몰공(35)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피스톤(40)이 후퇴하여 구속작동부(41)가 상기 강체구 출몰공(35)에 위치할 때는 구속작동부(41)에 의하여 떠받쳐져서 그 중심이 강체구 출몰공(35)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강체구 출몰공(35)을 통해 작동실린더(30)의 주벽(32)에서 돌출되고, 상기 작동피스톤(40)이 전진하여 구속해제작동홈(43)이 강체구 출몰공(35)에 위치할 때는 강체구 출몰공(35)과 구속해제작동홈(43)내로 완전히 몰입되어 작동실린더(30)의 작동부(31)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크기로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체구(50)의 직경 D는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주벽(32) 두께를 t라고 하고 상기 구속해제작동홈(43)의 깊이를 d라고 하고, 후술하는 고정실린더(70)의 강체구 구속홈(72)의 깊이를 d'라고 할 때, D ≤ t + d, D = t + d', D/2 < t 및 D/2 > d로 된다.
상기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은 도 3 내지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사관(20)의 후단부 내주면 양측에 고정되며 전단부에는 상기 구속돌기(12)가 삽입 구속되는 미사일 구속부(62)와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강체구(50)를 구속하는 고정실린더(7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실린더 고정부(63)와 상기 작동피스톤(40)의 후단부를 안내하는 피스톤 안내부(64)와 상기 연소가스 유도수단이 설치되는 연소가스 도입부(65)가 전후 방향 동축상으로 관통 형성된 구속 및 해제 작동부(61)를 가지는 고정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60)에는 이를 발사관(20)의 내주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6)가 연결지지부(67)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66)는 발사관(2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발사관(20)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만곡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사관(20)에 천공된 나사관통공(21)에 끼워지는 고정나사(22)가 체결되는 나사홈(6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사관(20)의 내주면과 고정부(66)의 접촉면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68)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부(66)의 나사홈(66a) 주위에는 상기 오링(68)이 끼워지는 오링 자리파기홈(66b)을 형성하여 고정나사(22)의 체결 시 오링(68)이 임의로 위치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상기 자리파기홈(66b)은 인출선의 표시가 어려운 관계로 오링(68)과 함께 표시하였다.
상기 미사일 구속부(62)는 상기 미사일(10)의 구속돌기(12)의 삽입 및 이탈이 원활하면서도 삽입되었을 때 미사일(10)을 유동이 없이 안정되게 구속할 수 있는 공차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실린더 고정부(63)에는 상기 강체구(50)가 끼워져 걸리는 강체구 구속홈(72)이 내주면에 주면을 따라 형성된 고정실린더(7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고정실린더(70)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피스톤 작동공간(71)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강체구 구속홈(72)이 전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실린더(70)의 내경은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작동실린더(30)가 그 작동공간(71)내에서 진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례에서는 상기 고정실린더 고정부(63) 내에 상기 강체구 구속홈(72)이 형성된 별도의 고정실린더(70)를 삽입 고정하여 강체구(50)가 강체구 구속홈(72)에 끼워져 구속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실린더 고정부(63)의 내주면에 강체구 구속홈(72)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실린더 고정부(63)의 주벽에는 고정실린더(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69)이 관통되는 다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핀 관통공(63a)이 천공되며, 상기 고정실린더(70)의 주벽에는 상기 핀 관통공(63a)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핀 고정공(73)이 형성되어 상기 핀 관통공(63a)에 고정핀(69)을 관통하여 상기 핀 고정홈(73)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실린더 고정부(63)에 고정실린더(7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 안내부(64)는 상기 작동피스톤(40)의 후단확대부(44)가 원활하게 진퇴 작동할 수 있는 맞춤 공차(公差)를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안내부(64)와 후단확대부(44)간의 맞춤 공차는 후술하는 연소가스 유도수단에 의해 유도되는 미사일 연소가스의 압력이 후단확대부(44)에 작용할 때 피스톤 안내부(64)의 내주면과 후단확대부(44)의 외주면 사이로 연소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는 연소가스 유도수단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주벽에는 연소가스 도입공(6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연소가스 도입공(65a) 주변에는 연소가스 유도수단의 구성 부품(가스유입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6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65a)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연소가스 유도수단의 구성 부품(가스유입부재)을 정확한 위치로 결합하기 위한 조립홈(65c)과 키 안내홈(6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홈(65c)의 주위에는 오링 자리파기홈(65e)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오링 자리파기홈(65e)은 인출선의 표시가 어려운 관계로 오링(86)과 함께 표시하였다.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내주면에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연소가스 유도수단 구성 부품(가스유도부재)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키 안내홈(65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부에는 연소가스 유도수단 구성 부품(가스유도부재)를 고정하는 부품(마감고정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수나사부(65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65g)의 후단면에는 오링 자리파기홈(65h)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오링 자리파기홈(65h)은 인출선의 표시가 어려운 관계로 오링(102)와 함께 표시하였다.
상기 연소가스 유도수단은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65a)에 미사일 연소가스를 유입시키는 연소가스 유입공(81)이 형성된 연소가스 유입부재(80)와,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65a)으로 도입된 미사일 연소가스를 상기 구속 및 해제 작동부(61)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유도하는 연소가스 유도공(91)이 형성된 연소가스 유도부재(90)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가스 유입공(81)은 일단이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타단이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65a)에 연결되는 절곡형(대략 "ㄱ"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 유입공(81)의 전단부에는 미사일 연소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벌어지는 원추형 연소가스입구(81a)가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내측에는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8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82)에는 다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나사관통공(83)이 천공되어 이 나사관통공(83)을 관통하는 고정나사(84)를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65b)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소가스 유입부재(80)가 고정부재(60)의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측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내측에는 조립돌기(85)가 형성되며 이 조립돌기(85)의 외주면 일측에 안내키(85a)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기(85)를 상기 조립홈(65c)에 끼움과 아울러 상기 안내키(85a)를 상기 키 안내홈(65d)에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소가스 유입부재(80)를 연소가스 유입공(81)의 연소가스입구(81a)가 전방을 향함과 아울러 내측단이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65a)에 정확히 일치되는 상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소가스 유입공(81)은 조립돌기(85)에도 관통 형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조립돌기(85)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주면과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86)이 끼워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연소가스 도입공(65a) 외측 가장자리와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플랜지부(82)에는 각각 오링 자리파기홈(65e,87)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90)의 연소가스 유도공(91)은 일단이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65a)의 내측단에 일치되고 타측단이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절곡형(대략 "ㄴ"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90)에는 안내키(92)가 돌출 형성되어 연소가스 유도부재(90)를 연소가스 도입부(65)에 삽입할 때 안내키(92)를 상기 키 안내홈(65f)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그 연소가스 유도공(91)의 일단이 연소가스 도입공(65a)의 내측단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90)는 연소가스 도입부(65)의 내부에 억지끼움에 의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도시례와 같이 마감고정부재(100)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고정부재(100)는 깊이가 낮은 그릇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65g)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01)를 형성하여 이들 수나사부(65g)와 암나사부(101)의 체결에 의하여 연소가스 유도부재(9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면과 마감고정부재(100)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102)이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면과 마감고정부재(100)의 전면에는 오링 자리파기홈(95h,103)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를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미사일(10)에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을 결합하고 발사관(20)에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을 결합한다.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을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작동실린더(30)의 나사봉(36)을 미사일(10)의 구속돌기(12)에 형성된 구속나사홈(13)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미사일(10)에 작동실린더(30)를 고정한다(도 4b 참조). 이때 상기 전면벽(33)의 내측면에 형성된 공구홈(37)에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를 끼워 돌리는 것에 의하여 작동실린더(30)를 구속돌기(12)에 간편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다음, 구속돌기(12)에 고정 결합된 작동실린더(30)의 피스톤 작동공간(31a)내에 후단부로부터 탄성부재(45)를 삽입하고, 작동피스톤(40)을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강체구 출몰공(35)에는 강체구(50)를 삽입한다. 이때 도 4b의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수단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피스톤(40)의 후단확대부(44) 전면이 작동실린더(30)의 후단면(34)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탄성부재(45)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체구(50)를 강체구 출몰공(35)을 통하여 삽입하여 강체구(50)의 일부는 강체구 출몰공(35)내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작동피스톤(40)의 구속해제작동홈(43)내에 삽입되어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피스톤(40)의 구속작동부(41)와 안내부(42)와 작동실린더(30)의 피스톤 작동공간(31a)의 내주면에는 작동실린더(30)에 대한 작동피스톤(40)의 진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위하여 윤활유를 바른 상태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 고정부재(60)의 고정실린더 고정부(63)에 고정실린더(70)를 삽입하고, 고정실린더 고정부(63)의 주벽에 천공된 핀 관통공(63a)에 고정핀(69)을 삽입하여 그 내측단을 고정실린더(70)의 주벽에 형성된 핀 고정홈(73)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고정실린더 고정부(63)에 고정실린더(70)를 고정 결합한다(도 4a 및 도 5 참조).
고정실린더(70)가 결합된 고정부재(60)의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주측에서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조립돌기(85)를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주면에 형성된 조립홈(65c)에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부(82)의 나사관통공(83)을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65b)에 일치시킨 다음 나사관통공(83)을 통해 고정나사(84)를 끼워 나사홈(65b)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부재(60)의 연소가스 도입부(65)에 연소가스 유도부재(8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조립돌기(85) 일측에 형성된 안내키(85a)를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키 안내홈(65d)에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소가스 유입공(81)의 연소가스입구(81a)가 전방을 향함과 아울러 그 내측단이 연소가스 도입공(65a)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외주면과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플랜지부(82)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86)을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오링(86)은 연소가스 도입부(65)의 연소가스 도입공(65a) 주위와 연소가스 유도부재(80)의 플랜지부(82)에 형성된 오링 자리파기홈(65e,87)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정확한 상태로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작동피스톤(40)의 후단확대부(44)의 전면이 작동실린더(30)의 후단면에 완전히 밀착되게 삽입된 강체구(50)가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에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된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수단의 조립체(도 4b참조)를 고정실린더(70)의 피스톤 작동공간(71)에 삽입하여 강체구(50)가 고정실린더(70)의 강체구 구속홈(72)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도 4a 및 도 5 참조).
이때, 상기 작동피스톤(40)은 탄성부재(45)에 의하여 그 구속작동부(41)가 작동실린더(30)의 강체구 출몰공(35)에 대응하는 위치로 후퇴되며, 강체구(50)는 구속작동부(41)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나가서 강체구 출몰공(35)에서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상태로 고정실린더(70)의 강체구 구속홈(72)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서 구속되는 것이다.
다음, 연소가스 도입부(65)의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연소가스 유도부재(90)를 삽입한다(도 4a 내지 도 5 참조).
이때,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90)에 형성된 안내키(92)를 연소가스 도입부(65)의 내주면에 형성된 키 안내홈(65f)에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소가스 유도부재(90)의 연소가스 유도공(91)의 일단이 연소가스 도입공(65a)에 정확히 일치되고 타단이 연소가스 도입부(65)의 내부에서 정확히 전방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90)는 그 자체로서 연소가스 도입부(65)의 내부에 억지끼움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부에 마감고정부재(10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내지 도 5 참조).
상기 마감고정부재(100)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01)를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65g)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면과 마감고정부재(100)의 전면 사이에 오링(102)을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연소가스 유입공(81), 연소가스 도입공(65a) 및 연소가스 유도공(91)을 통해 구속 및 해제 작동부(91)내로 유입된 연소가스가 유출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오링(102)은 연소가스 도입부(65)의 후단면과 마감고정부재(100)의 전면에 형성된 오링 자리파기홈(65h,103)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실린더(70)와, 연소가스 유입부재(80), 연소가스 유도부재(90) 및 마감고정부재(100)가 조립된 고정부재(60)는 그 고정부(66)를 발사관(20)의 내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관통공(21)에 고정나사(22)를 관통시켜 고정부(66)의 나사홈(66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결합한다.
이때, 상기 발사관(20)의 내주면과 고정부(66) 사이에는 오링(68)을 끼워 발사관(20)내의 연소가스가 발사관(20)의 외주벽을 통해 유출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상기 오링(68)은 고정부(66)에 형성된 오링 자리파기홈(66b)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립은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을 구성하는 작동실린더(30), 작동피스톤(40)을 먼저 조립한 후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을 구성하는 고정부재(60)와 고정실린더(70)와 연소가스 유입부재(80)와 연소가스 유도부재(90) 및 마감고정부재(10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신속,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4a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사일(10)측에는 작동실린더(30)와 작동피스톤(40)이 결합되고, 발사관(20)에는 고정실린더(70)와 연소가스 유입부재(80)와 연소가스 유도부재(90) 및 마감고정부재(100)가 조립된 고정부재(6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실린더(30)가 고정부재(60)의 고정실린더 고정부(63)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실린더(70)의 내부로 삽입됨과 아울러 미사일(10)의 구속돌기(12)는 고정부재(60)의 미사일 구속부(62)에 끼워져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강체구(50)는 고정실린더(70)의 강체구 구속홈(62)에 끼워진 상태로 되면서 미사일(10)과 발사관(20)이 작동실린더(30)와 작동피스톤(40) 및 강체구(50)와, 고정부재(60)와 고정실린더(70) 등의 작용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강체구(50)는 그 중심이 작동실린더(30)의 강체구 출몰공(35)내에 위치하고 나머지 대략 절반 윗부분이 고정실린더(70)의 강체구 구속홈(62)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동실린더(40)의 구속작동부(41)의 외주면에 의하여 떠받쳐져 있으므로 발사관(20)에 대한 미사일(10)의 구속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동피스톤(40)는 그 후단확대부(44)의 후단면이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9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미사일(10)의 모터부가 점화되어 노즐부(11)에서 연소가스가 분출되면 이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유입부재(80)의 연소가스입구(81a)를 통해 연소가스 유입공(81)으로 유입되고, 연소가스 유입공(81)으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도입공(65a)을 통해 연소가스 유도부재(90)의 연소가스 유도공(91)으로 유입되며, 연소가스 유도공(91)으로 유입된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유도공(91)에 의하여 작동피스톤(40)의 후단확대부(44) 후단면으로 유도된다.
이에 따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피스톤(40)은 연소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탄성부재(45)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전진하게 되고, 구속해제작동홈(43)이 작동실린더(30)의 강체구 출몰공(35)의 위치에 이르면 강체구(50)를 떠받치고 있던 작동피스톤(40)의 구속작동부(41)의 구속력이 제거되므로 강체구(50)는 자유 상태로 되면서, 이때 미사일 추력에 의하여 미사일과 함께 미사일 전방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작동피스톤(40)의 외주면이 강체구(50)의 중심 윗쪽을 밀게 되므로 강체구(50)는 마찰없이 그 일부가 구속해제작동홈(43)으로 이동하여 삽입되면서 구속이 해제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강체구(50)의 직경 D는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주벽(32) 두께를 t라고 하고 상기 구속해제작동홈(43)의 깊이를 d라고 할 때, D ≤ t + d로 되어 있으므로 강체구(50)는 작동실린더(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지 않는 상태, 즉 강체구 구속홈(62)에서 빠져나온 상태로 되면서 구속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속이 해제되면 미사일(10)이 전진하게 되고 순간적으로 미사일(10)의 구속돌기(12)가 고정부재(60)의 구속 및 해제 작동부(61)의 미사일 구속부(62)에서 빠지게 됨과 동시에 작동피스톤(40)과 작동실린더(30)는 고정실린더(70)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미사일(10)은 작동실린더(30)가 결합된 상태로 발사관(20)을 빠져나와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는 미사일 운용 중에는 발사관에 대하여 견고하고 확실하게 구속하면서도 발사 시에는 미사일의 추력에 의하여 작은 힘으로 신속 정확하고 확실하며 원활하게 구속이 해제되므로 발사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게 되며, 구속 해제 시 충격이나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발사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발사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사일을 구속하기 위하여 발사관에 조립함에 있어서도 발사관의 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되므로 그 조립 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4)

  1. 미사일 노즐부 후단에 형성된 한 쌍의 원형 구속돌기와;
    상기 미사일의 구속돌기 후단면에 결합되는 작동실린더와, 이 작동실린더내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피스톤과, 상기 작동피스톤이 후퇴하였을 때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작동피스톤이 전진하였을 때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몰입되는 강체구를 가지는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과;
    상기 미사일이 삽입되는 발사관의 후단부 내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원형 구속돌기가 삽입되는 미사일 구속부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강체구가 삽입되는 고정실린더와, 상기 작동피스톤의 후단부를 안내하는 피스톤 안내부가 동축상으로 배치되는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과;
    미사일 발사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일부를 작동피스톤의 후단부로 유도하여 작동피스톤을 전진시킴으로써 강체구가 강체구 구속홈에서 이탈되면서 미사일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하는 연소가스 유도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사일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은 상기 구속돌기의 후단면에 고정 결합되고 후방이 개방된 피스톤 작동공간을 가지며 주벽에 상기 강체구가 출몰되는 강체구 출몰공이 형성된 작동실린더와,
    상기 작동실린더의 피스톤 작동공간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며 후퇴되었을 때 상기 강체구의 일부가 강체구 출몰공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구속작동부와 전진되었을 때 일부가 상기 강체구 출몰공에 삽입된 강체구의 나머지 일부가 삽입되는 구속해제작동홈이 형성된 작동피스톤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는 전면벽에 나사봉이 형성되어 이 나사봉을 미사일의 구속돌기에 형성된 구속나사홈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미사일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실린더의 전면벽 내측면에는 상기 나사봉을 구속나사홈에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피스톤에는 상기 구속해제작동홈를 중심으로 구속작동부와 반대측에서 연장되어 작동실린더의 피스톤 작동공간 내주면에 접촉 안내되면서 작동피스톤의 진퇴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6.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피스톤의 후단부에는 상기 연소가스 유도수단에서 유도된 연소가스의 압력이 최대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후단확대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구(50)의 직경 D는 상기 작동실린더(30)의 주벽(32) 두께를 t라고 하고 상기 구속해제작동홈(43)의 깊이를 d라고 하고, 상기 고정실린더(70)의 강체구 구속홈(72)의 깊이를 d'라고 할 때, D ≤ t + d, D = t + d', D/2 < t 및 D/2 > d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구는 그 중심이 작동실린더의 강체구 출몰공 내에 위치하고 나머지 대략 절반 윗 부분이 고정실린더의 강체구 구속홈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동실린더의 외주면에 떠 받혀져 있게 되어서 발사관에 대한 미사일의 구속력을 발휘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측 구속 및 해제 수단은 상기 발사관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미사일 구속부와 고정실린더 고정부 및 피스톤 안내부가 형성된 구속 및 작동부를 가지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실린더 고정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작동실린더와 작동피스톤이 관통되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강체구가 삽입 구속되는 강체구 구속홈이 형성된 고정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구속 및 해제 작동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에 다수개의 나사홈이 형성되어 발사관의 주벽에 천공된 나사관통공을 통하여 고정나사를 나사홈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발사관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발사관의 내주면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나사홈 주위에는 상기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 자리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피스톤 안내부 후단부에는 주벽에 연소가스 도입공이 천공된 연소가스 도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유도수단은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미사일 발사 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을 유입시키는 연소가스 유입부재와,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로 도입된 연소가스를 상기 작동피스톤의 후단확대부로 유도하는 연소가스 유도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유입부재는 외측단이 전방을 향하며 내측단이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의 외측단에 일치되는 연소가스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는 외측단이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의 내측단에 일치되고 내측단이 상기 작동피스톤의 후단확대부를 향하는 연소가스 유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유입부재에는 조립돌기와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립돌기를 연소가스 도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삽입하고 플랜지부를 연소가스 도입부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관통공을 통하여 연소가스 도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고정나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소가스 도입부의 외주측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의 일측에는 안내키가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의 일측에는 상기 안내키에 대응하는 키 안내홈이 형성되어 연소가스 유입부재의 조립 방향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외주면과 연소가스 유입부재의 플랜지부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연소가스 도입공 주위와 상기 연소가스 유입부재의 연소가스 유입공의 내측단 주위에는 상기 오링이 끼워지는 오링 자리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는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측단이 상기 연소가스 도입공의 내측단에 일치되고 내측단이 상기 작동피스톤의 후단확대부를 향하는 연소가스 유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안내키가 형성되며,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안내키에 대응하는 키 안내홈이 형성되어 연소가스 유도부재의 조립 방향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유도부재는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후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마감고정부재의 암나사부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소가스 도입부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 후단면과 마감고정부재의 전면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도입부의 후단면과 마감고정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 자리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KR1019980053763A 1998-12-08 1998-12-08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KR10027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63A KR100277213B1 (ko) 1998-12-08 1998-12-08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US09/296,719 US6286409B1 (en) 1998-12-08 1999-04-22 Apparatus for restraining and releasing missile using rigid sphere
FR9906546A FR2786860B1 (fr) 1998-12-08 1999-05-20 Dispositif de retenue et de deverrouillage d'un projectile utilisant une sphere rig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63A KR100277213B1 (ko) 1998-12-08 1998-12-08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87A KR20000038687A (ko) 2000-07-05
KR100277213B1 true KR100277213B1 (ko) 2001-01-15

Family

ID=1956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63A KR100277213B1 (ko) 1998-12-08 1998-12-08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86409B1 (ko)
KR (1) KR100277213B1 (ko)
FR (1) FR2786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427B1 (ko) 2016-10-10 2018-11-09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용 꼬리날개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9154B1 (en) * 2002-11-25 2004-01-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assive dynamically disconnecting arm
US7340986B1 (en) * 2005-03-28 2008-03-1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release system for canistered munitions
US7624669B2 (en) * 2005-05-03 2009-12-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assively-actuated snubber
EP2002198B1 (en) * 2006-03-30 2013-04-24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locked thruster mechanism
US7506570B1 (en) 2007-12-10 2009-03-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chanism to hold and release
KR101316073B1 (ko) * 2013-03-27 2013-10-11 국방과학연구소 미사일의 노즐 구속 해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1508321B1 (ko) * 2013-12-27 2015-04-08 주식회사 한화 유도무기의 측추력 발생장치
DE102015214959A1 (de) * 2015-08-05 2017-02-09 Thyssenkrupp Ag Fernbedienbare Waffenkupplung
KR102457039B1 (ko) * 2017-12-27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N111288847B (zh) * 2020-02-24 2022-04-29 北京中科宇航技术有限公司 一种下夹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9228A (ko) * 1959-01-22
FR1340562A (fr) * 1961-12-06 1963-10-18 Brevets Aero Mecaniques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installations lance-roquettes à tubes de lancement, notamment à celles pour aérodynes
US3251267A (en) * 1963-06-18 1966-05-17 Emerson Electric Co Spin rocket and launcher
DE1428642A1 (de) * 1964-12-28 1968-11-28 Dynamit Nobel Ag Befestigung von Raketen in ihrer Abschussvorrichtung
FR1455877A (fr) * 1965-05-06 1966-10-21 Sud Aviation Dispositif d'assemblage à libération rapide
CH544280A (de) * 1971-09-17 1973-11-15 Oerlikon Buehrle Ag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Schussweite einer Rakete in einer Abschussvorrichtung
FR2458459A1 (fr) * 1979-06-07 1981-01-02 Thomson Brandt Dispositif d'accouplement mecanique et electrique pour charges, notamment militaires
US4453449A (en) * 1981-09-10 1984-06-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Holding apparatus
US4550640A (en) * 1983-09-16 1985-11-05 Werkzeugmaschinenfabrik Oerlikon-Buehrle Ag Missile canister restraint device
DE3937344A1 (de) * 1989-11-09 1991-05-16 Dynamit Nobel Ag Raketenhalterung in einer startvorrichtung
KR0141405B1 (ko) * 1995-09-29 1998-06-15 배문한 미사일 구속장치
KR0156674B1 (ko) * 1995-12-15 1998-10-15 배문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427B1 (ko) 2016-10-10 2018-11-09 주식회사 한화 유도탄용 꼬리날개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86409B1 (en) 2001-09-11
FR2786860A1 (fr) 2000-06-09
KR20000038687A (ko) 2000-07-05
FR2786860B1 (fr) 200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213B1 (ko) 강체구를 이용한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US8640589B2 (en) Projectile modification method
JP5216804B2 (ja) 携帯用誘導弾の射出及び分離装置
KR20100138883A (ko) 항공기로부터 덮개를 분리하고 제거하기 위한 기기
KR950004925B1 (ko) 전기 접속기 조립용 폭발성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하는 동력 공구
US7971533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eapon fuze
KR870007763A (ko) 화학력작동볼트 부착기
FI112700B (fi) Järjestely kranaatin tukemiseksi aseen putkeen
US10989243B2 (en) Doubly-separating explosively releasable bolt
US8413586B2 (en) Door breaching projectile system
US4333400A (en) Two stage parachute fuze recovery system
US7506570B1 (en) Mechanism to hold and release
FI120708B (fi) Sovitelma ammuksen tukemiseksi aseen putkeen, tukielementti ja menetelmä
KR0156674B1 (ko) 미사일 구속 및 해제 장치
KR101316073B1 (ko) 미사일의 노즐 구속 해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4697524A (en) After-firing safety
KR102252821B1 (ko) 탄성을 이용한 발사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시험 방법
JP2004051042A (ja) 部材の分離装置
US20220373310A1 (en) Grenade with independently detachable carpel segments
KR20170136890A (ko) 유연 도폭선 폭발 가스를 이용한 절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4079B1 (ko) 비전기식 폭발볼트 및 이를 이용한 발사체 분리 장치
JP2006226202A (ja) 二段推力ロケットモータ
KR100586822B1 (ko) 화약을 이용한 볼트 절단장치
KR102534213B1 (ko)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US11415399B1 (en) Ignition apparatus for projec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