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213B1 -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 Google Patents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213B1
KR102534213B1 KR1020200162071A KR20200162071A KR102534213B1 KR 102534213 B1 KR102534213 B1 KR 102534213B1 KR 1020200162071 A KR1020200162071 A KR 1020200162071A KR 20200162071 A KR20200162071 A KR 20200162071A KR 102534213 B1 KR102534213 B1 KR 10253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hape memory
memory alloy
separation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029A (ko
Inventor
김동진
김남춘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05Breakbolts loosening due to the action of an explosiv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006Explosive bolts; Explosive actu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에 관한 것으로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체결부분을 분리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과 오염을 최소화하여 분리 대상체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 분리 대상체의 안정적인 임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고, 볼트의 분리 구조를 단순화하여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SEPARATING BOLT USING SHAPE MEMORY ALLOY}
본 발명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체결부분을 분리시킬 수 있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발사체 등에서 위성 시스템을 분리시키거나 발사관 내에서 구속된 발사관을 발사 명령에 따라 발사관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폭발형 분리 볼트를 사용하고 있다.
즉, 폭발볼트는 발사관 내에서 발사체와 분리 대상체의 연결부분 또는 발사체를 발사관에 체결시켜 분리 대상체의 분리 시점 또는 발사전 까지 분리 대상체를 발사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발사체를 발사관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폭발볼트는, 폭발 신호를 받아 폭발되어 분리 대상체를 발사체에서 분리시키거나 발사체를 발사관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리시켜 위성 시스템 등의 분리 대상체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발사체가 발사관 내에서 원활하게 발사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폭발볼트로서는, 한국 등록특허 제0084170호의 '폭발볼트'(1994.12.27.)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084170호의 '폭발볼트'는 볼트 몸체의 내부에 분리화약과 기폭장치를 설치하여 리드선을 통해 기폭장치에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기폭장치의 작동으로 분리화약의 폭발이 발생되어 볼트 몸체)가 분리선을 따라 분리가 일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폭발볼트는 리드선을 통한 전기신호를 폭발볼트로 인가하여 폭발볼트를 폭발시키기 위해 전기식 데토네이터 즉, 전기식 뇌관과 전기식 뇌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리드선 등을 구비하므로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폭발볼트는 전기신호를 인가하는 리드선의 단락되거나 전기식 데토네이터가 오작동되는 경우 발사체의 발사 시 폭발볼트가 폭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발사체 발사 시 발사관 내에서 발사체의 연결부분과 함께 발사관이 파손되고, 발사체가 원활하게 발사되지 못하거나 위성 시스템 등의 분리 대상체가 발사체에서 원활하게 분리되지 못해 임무 수행에 차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폭발볼트와 같은 폭발식 분리장치(Pyrshock Devices)는 분리시 충격량이 5000g 이상으로 매우 높아 전자장비의 파손과 더불어 분리시 발생되는 화염으로 광학렌즈의 오염을 끼치는 등 직접적인 임무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0001)한국 등록특허 제0084170호의 '폭발볼트'(1994.12.27.)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체결부분을 분리시키는 경우 충격과 오염을 최소화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체결부분을 분리시키는 구조를 단순화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이 위치된 볼트 몸체부재,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며 가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볼트 몸체부재를 분리시키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 몸체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부가 위치된 볼트부, 상기 볼트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위치되고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이 위치되며 외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베이스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와 볼트부의 경계에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팽창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단부는 외주면에 노치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부는 점화되어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를 가열하는 화약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일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화약부를 점화시키는 착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화기는 상기 볼트 몸체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는 머리부에 결합되고,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착화기를 상기 볼트 몸체부재의 머리부에 결합시키는 착화기 어댑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약부는 중공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화기 어댑터부는 상기 착화기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삽입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에 위치된 어댑터 삽입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상기 중공부와 일치되는 화염전달 구멍이 위치되어 상기 착화기에서 착화된 화염을 상기 화염전달 구멍을 통해 상기 중공부 내 상기 화약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단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팽창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볼트부를 분리시키는 피스톤 로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단부측에 걸리는 피스톤부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는 상기 파단부가 절단되면서 상기 볼트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단부측에 걸려 이동이 정지되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타단부 측을 막아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중공부에서 점화된 상기 화약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나선형으로 파여진 나선형홈부가 위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에는 상기 나선형홈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나선형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용 돌기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의 외주면에는 회전되어 상기 파단부를 절단하는 절단날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용 돌기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 위치되며, 상기 피스톤부 내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볼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나선형홈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될 있고, 상기 회전용 돌기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체결부분을 분리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과 오염을 최소화하여 분리 대상체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 분리 대상체의 안정적인 임무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분리 구조를 단순화하여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가 분리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한 도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이 위치된 볼트 몸체부재(100)를 포함한다.
볼트 몸체부재(100)는 외주면에 나사산부가 구비되어 나사 체결이 가능한 볼트 형상을 가진다.
볼트 몸체부재(100)의 내부에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가 위치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이 위치된다.
볼트 몸체부재(100)는 외주면에 나사산부가 위치된 볼트부(110), 볼트부(110)의 일측에 연장되어 위치되고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이 위치되며 외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베이스 몸체부(120)를 포함하며, 베이스 몸체부(120)와 볼트부(110)의 경계에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팽창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130)가 위치된다.
파단부(130)는 외주면에 노치홈부가 형성되어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팽창에 의해 베이스 몸체부(120)에서 볼트부(11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베이스 몸체부(120)의 일단부 측에는 머리부(140)가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는 파단부(130)와 볼트부(110)가 일체로 연결되어 위치된다.
볼트부(110)는 분리 대상체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파단부(130)에서 절단이 발생되면서 체결된 분리 대상체를 분리시키게 된다.
베이스 몸체부(120)는 외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으로 분리 대상체가 볼트 체결로 체결되는 결합 대상체에 위치된다.
일 예로 발사체를 발사관 내에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로 구속시켜 장착하는 경우 발사관이 결합 대상체가 되고, 발사체가 분리 대상체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로 발사체에 위성 시스템을 결합시켜 장착시키는 경우 발사체가 결합 대상체가 되고, 위성 시스템이 분리 대상체가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는 발사체를 발사관에 구속시키는 경우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부(110)가 발사체에 체결되고, 외주면이 평면인 베이스 몸체부(120)가 발사관에 위치되어 발사체를 발사관에 구속시키게 되고 파단부(130)가 절단되면 볼트부(110)가 체결된 발사체가 발사관에서 분리되어 발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는 위성 시스템을 발사체에 결합시킨 경우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부(110)가 위성 시스템에 체결되고, 외주면이 평면인 베이스 몸체부(120)가 발사체에 위치되어 위성 시스템을 발사체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고 파단부(130)가 절단되면 볼트부(110)가 체결된 위성 시스템이 발사체에서 분리되어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은 베이스 몸체부(120)의 일단부 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 내에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를 팽창시키는 가열부(300)가 위치된다.
가열부(300)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를 가열하여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가 길이 방향으로 팽창되도록 한다.
가열부(300)는 점화되어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를 가열하는 화약부(31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예는 볼트 몸체부재(100)의 일단부 측 즉, 베이스 몸체부(120)의 일단부 측에 결합되어 화약부(310)를 점화시키는 착화기(400)를 더 포함한다.
화약부(310)는 착화기(400)로 점화된 후 내부에서 폭발하지 않고 열로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를 가열하여 팽창시킬 수 있는 고열량을 발생시키는 화약성분으로 제조된다.
착화기(400)는 전기식 착화기로 분리 대상체의 분리 명령 신호를 전달받아 인가되는 순간 전류에 의해 작동되어 화염을 발생시켜 화약부(310)를 착화시킨다.
착화기(400)는 공지의 전기식 착화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착화기(400)는 볼트 몸체부재(100)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는 머리부(140)에 결합되고,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일 실시예는 착화기(400)를 볼트 몸체부재(100)의 머리부(140)에 결합시키는 착화기 어댑터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화기 어댑터부(500)는 착화기(40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삽입 나사결합부(510)를 포함하고, 머리부(140)에 위치된 어댑터 삽입부(141)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착화기 어댑터부(500)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중공부(210)와 일치되는 화염전달 구멍(520)이 위치되어 착화기(400)에서 착화된 화염을 화염전달 구멍(520)을 통해 중공부(210) 내 화약부(310)로 전달한다.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210)를 구비하고, 화약부(310)는 중공부(210) 내에 위치된다.
화약부(310)는 중공부(210) 내에 채워져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를 길이 방향에서 고르게 가열하여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가 길이 방향으로 빠르고 신속하게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내부에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단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팽창에 의해 이동되어 볼트부(110)를 분리시키는 피스톤 로드부재(600)가 구비된다.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일단부 측의 일부분이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타단부 측이 파단부(130)를 관통하여 볼트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볼트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된 타단부 측이 볼트부(110)를 지지하도록 위치된다.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일단부 측에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피스톤 로드부재(600)의 이동을 안내하고,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단부측에 걸리는 피스톤부(610)가 구비된다.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가 화약부(310)에 의해 가열되어 길이 방향으로 팽창될 때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에 의해 밀려 이동하고, 볼트부(110)의 단부 측에 삽입된 타단부 측이 볼트부(110)를 밀어 볼트부(110)를 파단부(130)를 중심으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파단부(130)가 절단되면서 볼트부(110)가 분리된 상태에서 피스톤부(610)가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단부측에 걸려 이동이 정지되면서 베이스 몸체부(120)의 단부 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피스톤부(610)가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단부측에 걸려 이동이 정지되면서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타단부 측을 막아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중공부(210)에서 점화된 화약부(31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볼트부(110)가 분리된 후 화약부(310)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화약부(310)의 화염으로 주변 구조물을 손상시키거나 주변에 폭발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가 분리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는 분리 대상체의 분리 명령 신호가 착화기(400)로 전달되어 착화기(400)가 작동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면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중공부(210) 내 화약부(310)가 점화되어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가 가열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팽창되어 피스톤 로드부재(600)를 밀어 파단부(130)를 절단시킴으로써 볼트부(110)가 베이스 몸체부(12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볼트부(110)가 베이스 몸체부(120)에서 분리되더라도 피스톤 로드부재(600)가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타단부 측을 막아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의 중공부(210)에서 점화된 화약부(310)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의 다른 실시 예에서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내주면에는 피스톤 로드부재(600)를 회전시키도록 나선형으로 파여진 나선형홈부(100b)가 위치되고, 피스톤 로드부재(600)에는 나선형홈부(100b) 내에 삽입되어 나선형홈부(100b)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용 돌기부(620)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부재(600)의 외주면에는 회전되어 파단부(130)를 절단하는 절단날부(630)가 위치된다.
회전용 돌기부(620)는 피스톤부(610)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피스톤 로드부재(600) 내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볼체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나선형홈부(100b)는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100a)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될 있고, 회전용 돌기부(620)는 피스톤 로드부재(600)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어 피스톤 로드부재(600)를 더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용 돌기부(620)는 회전 가능한 볼체로 나선형홈부(100b)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회전되면서 피스톤 로드부재(600)가 나선형홈부(100b)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피스톤 로드부재(600)의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외주면에 위치된 절단날부(630)로 파단부(130)를 절단하여 볼트부(110)가 더 빠르고 신속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피스톤 로드부재(600)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가 길이 방향으로 팽창될 때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200)에 의해 밀려 이동하면서 회전용 돌기부(620)가 나선형홈부(100b)를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되고 이에 외주면에 구비된 절단날부(630)가 파단부(130)를 절단하여 볼트부(110)를 더 빠르고 신속하게 분리시키고, 오작동없이 정확하게 볼트부(110)를 분리시킴으로써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체결부분을 분리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과 오염을 최소화하여 분리 대상체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고, 분리 대상체의 안정적인 임무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절단시켜 볼트에 의한 분리 구조를 단순화하여 콤팩트한 설계가 가능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볼트 몸체부재 100a :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
100b : 나선형홈부 110 : 볼트부
120 : 베이스 몸체부 130 : 파단부
140 : 머리부 141 : 어댑터 삽입부
200 :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 210 : 중공부
300 : 가열부 310 : 화약부
400 : 착화기 500 : 착화기 어댑터부
510 : 삽입 나사결합부 520 : 화염전달 구멍
600 : 피스톤 로드부재 610 : 피스톤부
620 : 회전용 돌기부 630 : 절단날부

Claims (13)

  1.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이 위치된 볼트 몸체부재;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며 가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볼트 몸체부재를 분리시키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몸체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부가 위치된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위치되고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이 위치되며 외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베이스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와 볼트부의 경계에는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팽창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가열부는 점화되어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를 가열하는 화약부이며,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단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팽창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볼트부를 분리시키는 피스톤 로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단부측에 걸리는 피스톤부가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는 상기 파단부가 절단되어 상기 볼트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단부측에 걸려 이동이 정지되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타단부 측을 막아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중공부에서 점화된 상기 화약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나선형으로 파여진 나선형홈부가 위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에는 상기 나선형홈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나선형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회전용 돌기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의 외주면에는 회전되어 상기 파단부를 절단하는 절단날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는 외주면에 노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의 일단부 측에 결합되어 상기 화약부를 점화시키는 착화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착화기는,
    상기 볼트 몸체부재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는 머리부에 결합되고,
    상기 착화기를 상기 볼트 몸체부재의 머리부에 결합시키는 착화기 어댑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약부는 중공부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화기 어댑터부는,
    상기 착화기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삽입 나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에 위치된 어댑터 삽입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볼트 분리용 형상기억합금부재의 상기 중공부와 일치되는 화염전달 구멍이 위치되어 상기 착화기에서 착화된 화염을 상기 화염전달 구멍을 통해 상기 중공부 내 상기 화약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 돌기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 위치되며, 상기 피스톤부 내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홈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삽입공간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될 있고, 상기 회전용 돌기부는 상기 피스톤 로드부재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KR1020200162071A 2020-11-27 2020-11-27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KR10253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71A KR102534213B1 (ko) 2020-11-27 2020-11-27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071A KR102534213B1 (ko) 2020-11-27 2020-11-27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029A KR20220074029A (ko) 2022-06-03
KR102534213B1 true KR102534213B1 (ko) 2023-05-22

Family

ID=8198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071A KR102534213B1 (ko) 2020-11-27 2020-11-27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2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3300U (ko) * 1988-10-31 1990-05-11
KR19980052164A (ko) * 1996-12-18 1998-09-25 장근호 분리형 볼트장치
KR20050114110A (ko) * 2004-05-31 2005-12-05 국방과학연구소 완전밀봉형 압력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폭발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029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510B2 (en) Remote setting for electronic systems in a projectile for chambered ammunition
US8640589B2 (en) Projectile modification method
EP3105533B1 (en) Shock-resistant fuzewell for munition
US5107766A (en) Follow-thru grenade for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EP227938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impulse fuze booster
KR20150010733A (ko) 에너지 전달 장치
JPS63254399A (ja) 安全および安全解放機構を具える弾丸の圧電信管
JPH07301499A (ja) 圧電式の着発信管を備えたタンデム型弾頭
US2925775A (en) Well casing perforator
US3491692A (en) Multi-stage rocket
US4259906A (en) Shape charge agent disposing process
KR102534213B1 (ko)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분리 볼트
KR20220030251A (ko) 포탄을 포함하는 탄두 내장형 탄약
KR102124079B1 (ko) 비전기식 폭발볼트 및 이를 이용한 발사체 분리 장치
ES2682968T3 (es) Cartucho con elemento de seguridad fusible en el sistema de propulsión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EP0084095B1 (en) Ballistic propulsion system for rifle grenades and similar projectiles
RU2705859C1 (ru) Болт разрывной с системой обтюрации
US20050241521A1 (en) Device enabling the ignition of two explosive charges and warhead implementing such an ignition device
HU202976B (en) Warhead ammunition
US4471696A (en) High explosive projectile fuzing
KR102416247B1 (ko) 탄두용 이중 기폭 장치
US20230147155A1 (en) Launching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projectiles in a launching device
KR102124078B1 (ko) 발사체용 날개 고정 장치
US20170219328A1 (en) Universal means of initiation and device based on same
US2892400A (en) Projectile for simulating firing of automatic weap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