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403B1 -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용 증폭기회로 및 증폭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용 증폭기회로 및 증폭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403B1
KR100276403B1 KR1019970704032A KR19970704032A KR100276403B1 KR 100276403 B1 KR100276403 B1 KR 100276403B1 KR 1019970704032 A KR1019970704032 A KR 1019970704032A KR 19970704032 A KR19970704032 A KR 19970704032A KR 100276403 B1 KR100276403 B1 KR 10027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coupler
signal
output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700726A (ko
Inventor
마크 오버맨
폴 에버린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Publication of KR98070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70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 H03F1/3229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using a loop for error extraction and another loop for err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12Using a control circuit to adjust amplitude and phase of a signal in a signal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15To increase the output power or efficienc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18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the main amplifier or error amplifier being a feedforward amplifi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증폭기 회로(100)가 제공된다. 증폭기 회로는 제1신호(16)를 수신하는 제1입력(20) 및 제1출력(24)을갖는 제1증폭기(22)로 구성된다. 제1커플러(18)는 제1증폭기(22)의 제1입력(20)을 샘플링하며 제2커플러(26)는 제1증폭기(22)의 제1출력(24)을 샘플링한다. 그 후, 제3커플러(36)는 제2커플러(28)의 출력 및 제1커플러(34)의 출력을 비교하여, 제1입력(20)과 제1출력(24) 간의 차를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에러 신호(38)를 생성한다. 제4커플러(44)는 에러 신호(38)와 제1증폭기의 제1입력(20)에 의해 수신된 제1신호(16)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된 제2신호(48)를 결합시켜 복합 신호(50)를 생성한다. 제2증폭기(52)는 복합 신호(50)에 응답하여 제2출력(54)을 생성한다.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용 증폭기 회로 및 증폭기 제어 방법
종래의 피드-포워드(feed-forward) 증폭기는, 일반적으로 피드-포워드 루프를 포함하는 다양한 증폭기 및 커플러를 통해 요망되는 신호 및 에러 신호를 분배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I,Ⅱ 및 Ⅲ 타입으로 식별되는 여러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종래의 I 타입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통상 약 20 dB의 높은 상호 변조(intermodulation; IM) 감소 능력을 가지지만 낮은 효율을 갖는다. 전형적인 I 타입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약 5%의 효율을 가져서, 동작 비용을 비싸게 만든다.
종래의 Ⅱ 타입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I 타입 증폭기에 비해 향상된 효율을 가지지만, Ⅱ 타입 증폭기는 IM 감소가 제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Ⅱ 타입 증폭기는 시스템 이득을 통상 약 4dB 감소시킨다. Ⅲ 타입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효율과 IM 감소도 개선(약 20dB) 사이의 절충안을 제공하지만 약 7dB의 더욱 감소된 시스템 이득을 갖는다. 게다가, Ⅲ 타입의 피드-포워드 증폭기는 그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최적의 IM 감소를 달성하도록 이들 증폭기를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한 시스템 이득의 감소없이, 향상된 효율, 용이한 제어 및 IM 감소를 제공하는 개선된 증폭기가 필요하다. 또한, 피드-포워드 증폭기를 제어하는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한 특징은 무선 주파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증폭기 회로를 포함한다. 이 회로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제1입력 및 제1출력을 갖는 제1증폭기로 구성된다. 제1커플러는 제1증폭기의 제1입력을 샘플링하며 제2커플러는 제1증폭기의 제1출력을 샘플링한다. 제3커플러는 제2커플러의 출력 및 제1커플러의 출력에 응답한다. 제3커플러는 제1입려고가 제1출력간의 차를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제4커플러는 에러 신호와 제2신호를 결합시켜 복합 신호를 생성한다. 제2신호는 제1증폭기의 제1입력에 의해 수신된 제1신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관된다. 제2증폭기는 복합 신호에 응답하여 제2출력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은 제1입력 및 제1출력을 갖는 제1증폭기로 구성된 회로와 관련되다. 제2증폭기는 제1증폭기의 제1출력에 응답한다. 제2증폭기는 제1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 및 제2출력을 갖는다. 제1커플러는 제2증폭기의 제2입력을 샘플링하며 제2커플러는 제2증폭기의 제2출력을 샘플링한다. 제2커플러의 출력 및 제1커플러의 출력에 응답하는 제3커플러는 제2입력과 제2출력간의 차를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제4커플러는 제1증폭기의 제1출력을 샘플링한다. 제5커플러는 제4커플러 및 에러 신호에 응답하여 복합 신호를 생성한다. 복합 신호는 제2증폭기의 제2출력에 또한 응답하는 제6커플러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두가지 특징을 결합하면 피드-포워드 보정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증폭기 및 전치 증폭기(preamplifier)의 왜곡 레벨이 감소되는 다른 특징이 발생된다. 증폭기 내의 에러를 감소시키는 방법에는 스플릿 신호(split signal)를 병렬증폭기에 입력하는 전치 증폭기를 포함하여 행해진다. 병렬 증폭기들 중 하나의 입력 및 출력의 샘플을 비교하여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이 신호는 제2증폭기를 사전 왜곡시키는(predistort) 레벨로 제2병렬 증폭기에 입력된다. 이 에러 신호의 레벨은, 병렬 증폭기가 재결합될 때 병렬 증폭기들 중 제1증폭기로부터 발생된 에러가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전치 증폭기에 의해 유발된 에러도 또한 현저히 감소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술한 증폭기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 즉
(a) 측정된 주파수 대역 내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각각 구해진 다수의 신호 강도 측정치를 구하는 단계;
(b) 각 측정치를 사전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c) 임계치를 초과하는 측정치를 버리는 단계;
(d) 나머지 측정치로부터 가장 높은 측정치를 채택함으로써 제1최대 측정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e) 제1최대 측정치에 기초하여 증폭기에 결합된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점과 함께 본 발명 자체를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증폭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주파수 통신시스템용 증폭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4는 양호한 실시예의 증폭기 구조를 나타낸 블럭 회로도이다.
도5는 양호한 실시예의 증폭기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은 다른 양호한 실시예의 증폭기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7은 특정 양호한 실시예의 보다 상세한 블럭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1에 도시한다. 증폭기(40), 지연 회로(32) 및 커플러(18,26,36)는, 증폭기(22) 내에 발생된 에러 신호를 추출하여 그 에러 신호를 적절한 레벨로 커플러(44)에 재입력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커플러(44)에 입력되는 에러 신호가 입력 신호(12)의 성분과 무관하게 될 수 있다.
커플러(14) 및 커플러(62) 뿐만 아니라 증폭기(22) 및 증폭기(52)의 증폭기 쌍은 병렬 증폭기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 경우, 커플러(14) 및 커플러(62)는, 증폭기들(22,52)에 파워를 분산한 후 증폭기(22,52)의 출력을 재결합하여 출력단(64)에서 파워가 결합되도록 하는 90˚3 dB 커플러이다.
도1의 회로에서, 신호(12)는 커플러(14)를 통과하여 신호(16) 및 신호(45)를 생성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들 신호(16,45)는 진폭이 거의 유사하며 대략 90˚위상차를 갖는다. 신호(16)는 커플러(18)를 통과하여 신호(16)의 샘플인 신호(30)와 증폭기(22)로의 입력 신호(20)를 생성한다. 신호(30)는 지연 회로(32)를 통과하여 신호(34)를 생성한다. 그 후, 신호(34)는 입력 신호(12)의 성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이하, 이 입력 신호(12)의 성분을 요망 신호 성분이라 칭하기로 한다. 신호(20)는 증폭기(22)를 통과하며, 이 증폭기(22)는 요망 신호성분과 증폭기(22)에서 발생된 에러 신호가 복합된 신호(24)를 생성한다. 증폭기(22)에서 발생된 에러 신호를 이하 제1에러 신호라 칭하기로 한다. 커플러(26)는 복합 신호(24)의 샘플을 신호(28)로서 제공한다. 신호(24)는 또한 커플러(26) 및 지연 회로(58)를 통과하여 커플러(62)에 전달되는 신호(60)를 생성한다. 신호(60)는 요망 신호 성분 및 제1에러 신호 성분을 포함한다.
복합 신호(28)는 또한, 요망 신호 성분 및 제1에러 신호 성분을 포함한다. 지연 회로(32)를 통해 커플러(18)로부터 커플러(36)로의 그룹 지연이, 증폭기(22) 및 커플러(26)를 통한 커플러(18)로부터 커플러(36)로의 그룹 지연과 거의 동일하도록 지연 회로(32)를 설정한다. 신호(34) 내의 요망 신호 성분이, 커플러(36)를 통과한 후에는 커플러(36)를 통과한 후의 복합 신호(28)의 요망 신호 성분과 진폭은 거의 유사하며 거의 180˚ 위상차를 가지도록, 커플러(18,26,36) 및 지연 회로(32)를 통한 손실을 설정한다. 그 후, 요망 신호 성분이 커플러(36)에 의해 실질적으로 감소되어 제1에러 신호 성분을 남겨서 최종 신호(38)가 생성된다. 그 후, 이 최종 신호(38)는 증폭기(40)에 의해 증폭되어 커플러(44)에 전달되는 신호(42)를 생성한다. 신호(45)는 지연 회로(46)를 통해 지연되어 신호(48)가 생성되는데, 이 신호는 커플러(44)에 또한 전달된다.
여기서, 커플러(44)는 신호(48) 및 신호(42)를 결합하여 요망 신호 성분 및 제1에러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신호(50)를 생성한다. 지연 회로(46)를 통과한 커플러(14)로부터 커플러(44)로의 그룹 지연이, 커플러(18), 지연 회로(32), 커플러(36) 및 증폭기(40)를 통과한 커플러(14)로부터 커플러(44)로의 그룹 지연과 거의 동일하고 두 경로의 위상차가 대략 0이 되도록 지연 회로(46)를 설정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증폭기(100)의 나머지의 경우, 커플러(36)에서 추출되어 증폭기(40)를 통과한 제1에러 신호 성분을, 커플러(62)에서 피드-포워드 보정이 행해질 수 있도록 정렬한다.
신호(50)는 증폭기(52)에 의해 증폭되어 신호(54)를 생성한다. 신호(54)는 요망 신호 성분, 제1에러 신호 성분, 및 증폭기(52)에서 발생된 에러 신호를 포함한다. 증폭기(52)에서 발생된 에러 신호를 이하 제2에러 신호라 칭하기로 한다.
신호(54)는 커플러(62)에 입력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신호(20) 내에 존재하는 요망 신호 성분은, 신호(50) 내에 존재하는 요망 신호 성분과 거의 유사하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증폭기(22) 및 증폭기(52)는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증폭기이다. 따라서, 신호(24)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는, 신호(54) 내에 존재하는 제2에러 신호와 거의 유사하다. 제1에러 신호 성분이 커플러(36)에서 추출되어 증폭기(40) 및 증폭기(52)를 통과하면, 신호(54) 내에 존재하는 제2에러 신호와 대략 180˚위상차가 생긴다.
신호(60) 내에 존재하는 요망 신호 성분이 커플러(62)를 통과할 때, 커플러(62)를 통과한 후의 신호(54) 내에 존재하는 요망 신호 성분과 진폭이 거의 유사하며 위상은 거의 동일하도록 지연 회로(58)를 설정한다. 이 조건이 만족되면, 커플러(62)를 통과한 후의 신호(60)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 성분은, 커플러(62)를 통과한 후의 신호(54)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 성분과 대략 180˚ 위상차로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커플러(44)는, 신호(42) 내의 제1에러 신호 성분의 진폭이 커플러(62)를 통과한 신호(60)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 성분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54) 내에 존재하는 제2에러 신호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1이점은 병렬 증폭기 네트워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2이점은, 제1에러 신호를 요망 신호 성분과는 독립적으로 커플러(44)에 입력함으로써 발생된다. 전체 증폭기를 제어할 때, IM 감소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행해지는 조정은, 증폭기(22,52)를 통과하는 요망 신호 성분의 파워 결합과는 실질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3이점은 도1의 증폭기(100)에 전치 증폭기(66)를 추가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이를 도2에 도시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한다.
통상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에서, 출력 IM 감소 능력은 증폭기(66)의 IM 감소 능력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증폭기(22)의 전달 특성과 유사한 전달 특성을 가지도록 증폭기(66)를 선택함으로써 증폭기(200)의 구성은 증폭기(66) 내에 발생된 에러 신호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증폭기(66) 내에 발생된 이 에러 신호를 이하 초기 에러 신호라 칭하기로 한다. 초기 에러 신호는 전체 증폭기(200)를 통해 증폭기(66)의 출력으로부터 커플러(62)로 전달된다. 증폭기(22) 및 증폭기(66)의 전달 특성은 유사하기 때문에, 이들 증폭기에 의해 발생된 에러 신호들은 증폭기(200)의 출력단에서 대체로 유사하게 된다. 이는 도2에 도시한 양호한 실시예의 경우이기 때문에, 신호(50)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의 성분은, 신호(64) 내에 존재하는 초기 에러 신호 성분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더 높은 레벨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폭기(200)는 증폭기(66)에 대한 사후 왜곡(postdistortion)보정 메카니즘으로서 동작한다.
대안적 사후 왜곡 보정 회로를 도3에 도시한다. 이 회로(300)에서는, 증폭기(52)가 없기 때문에 커플러(44)에 입력된 신호(42)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성분의 양은, 신호(64)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 성분 및 초기 에러 신호 성분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양이다. 초기 에러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로(300)의 능력은 초기 에러 신호 및 제1에러 신호의 유사성에 따라 달라진다. 이들 증폭기(66,22)의 전달 기능에 근접할수록 회로(300)는 증폭기(66)의 사후 왜곡 보정을 더 잘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를 도4에 도시한다. 도시한 증폭기(400)는 활성 제어기(80)를 사용하여 증폭기(52)의 사전 왜곡 보정, 증폭기(66)의 사후 왜곡 보정, 및 증폭기(22)의 피드-포워드 보정을 제공하는 피드-포워드 증폭기이다.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83), 파워 검출기(78), 수신기(88), 커플러(76,84) 및 제어기(80)를 추가하여 증폭기(400)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증폭기(400)를 최적의 동작점에 거의 가깝게 동작하도록 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다.
감쇠기(90)는 커플러(26)로부터 샘플링된 신호(28)의 진폭을 설정하는 데에 사용되어서, 감쇠기(90)의 출력이, 신호(72) 내에 포함된 요망 신호 성분의 진폭과 거의 유사한 진폭을 갖는 요망 신호 성분을 갖는 신호(92)로 된다. 감쇠 값은 전형적으로, 커플러(36)를 통과한 신호(92) 내의 요망 신호 성분의 진폭이, 진폭 및 위상 조정 희로(70) 및 커플러(36)를 통과한 신호(72) 내에 포함된 요망 신호 성분의 조정가능한 진폭 범위의 거의 중간에 있도록 설정된다. 요망 신호 성분의 진폭은,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내의 진폭 시프터를 통해 조정될 수도 있다. 지연 소자(32)와,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위상 시프터 소자는, 신호(72,92) 내에 존재하는 요망 신호 성분이 커플러(36)를 통과한 후의 위상과 거의 180˚ 위상차가 나도록 커플러(36)로의 유입 신호를 설정한다. 커플러(76)는 신호(38)를 샘플링하는데 사용되며 그 샘플들을 파워 검출기(78)에 전달한다. 파워 검출기(78)는 제어기(80)와 함께, 신호(38) 내에 존재하는 소거된 요망 신호 성분의 나머지를 최소화하도록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를 조정한다.
증폭기(400)의 동작시 중요한 점은 신호(42) 내에 존재하는 얼마나 많은 제1에러 신호 성분이 커플러(44) 내로 입력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신호(64) 내에 존재하는 제1에러 신호 성분 및 초기 에러 신호 성분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54) 내에 존재하는 제2에러 신호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신호가 존재하여야 한다. 입력되는 제1에러 신호의 양은 수신기(88)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제어기(80)에 의해 판정된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83)는 신호(64) 내에 존재하는 에러 신호를 감소시키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피드-포워드 시스템의 제어는, 출력 왜곡과 직접 관련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 방법을 사용하면, 도4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를 구성하기 쉽고 또한 제어하기 쉽게 된다. 이 증폭기(400)의 현저한 이점은 증폭기(66)와 같은 더욱 효율적인 전치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의 피드-포워드 증폭기에 있어서, 전치 증폭기는, 통상 효울이 적은 증폭기인데,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폭기의 선형성이 증폭기(400)의 전체 선형성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데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증폭기(66)의 사후 왜곡 보정이 증폭기(22)의 피드-포워드 보정 및 증폭기(52)의 사전 왜곡 보정에 따라 구성되기 때문에, 전치 증폭기(66)는 AB급 또는 C급 증폭기와 같은 보다 효율적인 타입일 수 있어서, 전체 증폭기 시스템(400)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증폭기(66)의 사후 왜곡 보정 능력으로 인해, 전치 증폭기(66)는 A급을 제외한 임의의 타입의 증폭기일 수도 있다(A급 증폭기는 효율적이지 않기 때문).
증폭기(40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먼저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의 현재설정에 대해 판독한다. 그 후,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내에 포함된 위상 시프터는 값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새로운 측정치가 기록된다. 이 새로운 측정치는 현재 측정치와 비교된다. 새로운 측정치가 현재 측정치보다 작을 경우, 위상 시프터는 새로운 측정치를 설정하며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새로운 측정치가 현재 측정치보다 클 경우, 위상 시프터는 자신의 이전 설정 상태로 복귀하며, 단계식 진행방향은 반대로 되며, 방향 변화가 기록된다. 3번의 방향 변화가 기록될 때까지 처리가 반복된다. 그 후,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내에 포함된 위상 시프터는 이 설정 상대로 유지되며,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내의 진폭 시프터도 이와 유사한 처리를 통해 조정된다. 그 후, 상기 처리는 원하는 다른 측정치를 이용하여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83)에 대해 반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폭 및 위상조정 회로(70,83)는, 원하는 자신의 측정치가 실질적으로 감소되도록 설정된다.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의 경우, 원하는 측정치는 파워 검출기(78)의 파워 측정치이다.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83)의 경우, 도5에서 상세히 나타낸 측정치는 수신기(88)의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에 관련된다.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83)에 대한 원하는 측정치를 위해, 수신기(88)에 대해 먼저 단계(502)에서 처리를 진행한다. 그 후, 단계(504)에서,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기(RSSI) 측정치가 구해진다. 단계(506)에서, 현재 판독치와 이전 RSSI 판독치를 비교한다. 현재 판독치가 이전 판독치보다 큰 경우, 처리는 단계(502)로 복귀되어 계속된다. 그러나, 현재 판독치가 이전 판독치 이하이면 처리는 단계(508)로 진행하여 현재 판독치가 최대 판독치로서 저장되며, 이는 이하 새로운 최대치라 칭해진다.
그 후, 단계(510)에서 수신기(88)가 재처리되어 다른 RSSI 측정치가 단계(512)에서 취해진다. 단계(514)에서, 현재 RSSI 판독치와 이전 판독치 사이에 비교가 이루어진다. 현재 판독치가 이전 판독치 미만이면 처리가 단계(510)로 복귀되어 계속된다. 그러나, 현재 판독치가 이전 판독치 이상이면 새로운 최대치가 사전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단계(516)에서 비교가 행해진다. 사전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단계(518)에서 새로운 최대치가 버려진다. 그러나, 새로운 최대치가 임계치 이하이면, 처리는 단계(520)에서 계속된다. 단계(520)에서 새로운 최대치를 기록돠어 있는 최대치와 비교한다. 새로운 최대치가 기록된 최대치보다 큰 경우, 단계(524)에서 새로운 최대치를 최대치로서 저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최대치는 단계(522)에서 버려진다.
상기 처리는 원하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걸쳐 수신기(88)에 대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호한 방법(500)에서는 사전설정된 임계치를 넘지 않는 최고의 국부적 최대치를 정한다. 임계치 이하인 최대 측정치에 기초하여, 제어기(80)는 이 국부적 최대 RSSI 값을 최소화함으로써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83)를 조정하는 데에 이 정보를 이용한다.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및 83)는 도5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법에 의해 판정된 최대치에 대해 주기적으로 조정되며 비교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및 83)의 위상 설정 및 진폭 설정은 원하는 측정치를 최소화하도록 조정된다.
도3에 도시한 증폭기(300)는 요구되는 동작 상태에서 실질적 보정을 행하기위한 모든 값을 정한다. 몇몇 구성 요소를 추가하면 많은 동작 상태에 대한 활성보정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한가지 예를 도6에 도시한다.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70 및 83), 파워 검출기(78), 수신기(88), 제어기(80)를 추가하고 커플러(76 및 84)를 추가함으로써 사후 왜곡 보정 증폭기에 대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피드-포워드 증폭기 회로를 제어하는 이 방법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증폭기(66)의 사후 왜곡 보정 구성 및 증폭기(52)의 사전 왜곡 보정의 이점을 이용하는 증폭기 회로(400)의 출력에 존재하는 IM에 직접 응답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또한 대량의 스펙트럴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면서 요망 신호로부터 왜곡을 분리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또한 매우 적은 프로세싱 리소스를 필요로 하며, 도2 및 도5에 도시된 구성 양쪽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7에 도시한다. 특정 구성 요소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Motorola Supereell SCTM9600 기지국과, 미국 60004 일리노이주 아링톤 하이츠 더블류. 셔레 드라이브 1501에 소재한 Motorola, Inc., Cellular Publishing Services로부터 이용가능한 "Linear Power Amplifier Equipment Description"를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장치 및 방법의 이점 및 변형은 본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설명, 대표 장치 및 예시적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상기 설명에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다음의 청구 범위 및 그것에 동등한 범위 내에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9)

  1. (정정) 무선 주파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증폭기 회로에 있어서, 제1신호를 수신하는 제1입력 및 제1출력을 갖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상기 제1입력을 샘플링하는 제1커플러; 상기 제1증폭기의 상기 제1출력을 샘플링하는 제2커플러; 상기 제2커플러의 출력 및 상기 제1커플러의 출력에 응답하며, 상기 제1입력과 상기 제1출력간의 차를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3커플러; 상기 제1증폭기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2신호를 생성하는 제4커플러; 상기 제4커플러에 응답하며,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하며 제1지연 신호를 생성하는 제1지연 회로; 상기 에러 신호, 및 상기 제1지연 신호에 응답하여 복합 신호를 생성하는 제5커플러; 및 상기 복합 신호에 응답하는 제2입력 및 제2출력을 갖는 제2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를 생성하는 제3 증폭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4커플러는 상기 제3증폭기에 응답하는 증폭기 회로.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커플러는 스플리터(splitter)를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
  4.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 및 상기 제3커플러를 결합하는 제2지연 회로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
  5.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폭기의 상기 제1출력 및 상기 제2증폭기의 상기 제2출력에 응답하는 제6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
  6. (정정) 제1항에 었어서, 제1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와 제2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플러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진폭 및 위상 조정회로에 응답하고 상기 커플러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에 응답하는 증폭기 회로.
  7. (정정) 피드-포워드(feed-forward) 증폭기 회로에 결합된 진폭 및 위상 조정회로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 주파수 대역 내의 상이한 주파수에서 다수의 신호 강도 측정치를 구하여 국부 최대치를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국부 최대치를 사전설정된 반송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측정치를 버리는 단계;
    (d) 나머지 국부 최대치로부터 최고의 측정치를 채택함으로써 제1최대 측정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최대 측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 조정 방법.
  8. (정정) 무선 주파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증폭기 회로에 있어서, 제1입력 및 제1출력을 갖는 제1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상기 제1출력에 응답하며, 제1신호를 수신하는 제2입력 및 제2출력을 갖는 제2증폭기; 상기 제2입력을 샘플링하는 제1커플러; 상기 제2증폭기의 상기 제2출력을 샘플링하는 제2커플러; 상기 제2커플러의 출력 및 상기 제1커플러의 출력에 응답하며, 상기 제2입력과 상기 제2출력간의 차를 실질적으로 나타내는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제3커플러; 상기 제2증폭기의 제1입력을 샘플링하는 제4커플러; 상기 제4커플러에 응답하며, 상기 제4커플러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를 지연시키며 시간적으로 지연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1지연 회로; 상기 시간적으로 지연된 신호와 상기 에러 신호를 결합하여 복합 신호를 생성하는 제5커플러; 상기 제2증폭기의 상기 제2출력 및 상기 복합 신호에 응답하는 제6커플러; 및 상기 제5커플러에 응답하는 제3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
  9. (신설) 제8항에 있어서, 제1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와 제2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에 응답하고, 상기 커플러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진폭 및 위상 조정 회로에 응답하는 증폭기 회로.
KR1019970704032A 1995-10-17 1996-08-05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용 증폭기회로 및 증폭기 제어방법 KR100276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44,049 US5623227A (en) 1995-10-17 1995-10-17 Amplifier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mplifier for use in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08/544,049 1995-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700726A KR980700726A (ko) 1998-03-30
KR100276403B1 true KR100276403B1 (ko) 2000-12-15

Family

ID=2417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032A KR100276403B1 (ko) 1995-10-17 1996-08-05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용 증폭기회로 및 증폭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23227A (ko)
EP (1) EP0797868A4 (ko)
JP (1) JP3303141B2 (ko)
KR (1) KR100276403B1 (ko)
CN (1) CN1069003C (ko)
AU (1) AU6882696A (ko)
WO (1) WO1997015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5447B4 (de) * 1997-02-13 2006-02-02 Robert Bosch Gmbh Funkgerät
EP0929164B1 (en) * 1997-12-18 2000-03-15 Société Européenne des Satellite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point of a non-linear amplifier of a communication channel
US6111462A (en) * 1998-11-18 2000-08-29 Mucenieks; Lance T. RF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parallel RF power amplifiers having intermod-complementing predistortion paths
US6359509B1 (en) 1999-04-29 2002-03-19 Netcom, Inc. Balanced error correction amplifier and method of removing distortion from an amplified signal
US6348838B1 (en) 1999-04-29 2002-02-19 Netcom, Inc. Optimal power combining for balanced error correction amplifier
US6393372B1 (en) 1999-05-17 2002-05-21 Eugene Rzyski Automated frequency stepping noise measurement system
US6172564B1 (en) 1999-07-30 2001-01-09 Eugene Rzyski Intermodulation product cancellation circuit
US7078967B2 (en) 1999-12-30 2006-07-18 Nokia Corporation Control of bias voltage
KR20030009337A (ko) * 2000-01-07 2003-01-29 스펙트리안 코퍼레이션 알 에프 전력 증폭기 왜곡을 측정 및 정정하는데 사용된검출기를 소인하는 반송파-블랭킹 메카니즘
US6920334B1 (en) * 2000-03-24 2005-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ain control feedback in RF amplifiers
US6424213B1 (en) 2000-04-22 2002-07-23 Netcom, Inc. Loss reduction using multiple amplifiers identically divided
US6654591B1 (en) 2000-05-03 2003-11-25 Lucent Technologies Inc. Low distortion signal amplifier system and method
US6496064B2 (en) 2000-08-15 2002-12-17 Eugene Rzyski Intermodulation product cancellation circuit
US6424215B1 (en) * 2001-04-12 2002-07-23 At&T Corp. High efficiency closed loop feed forward amplifier
US6794938B2 (en) * 2002-03-19 2004-09-21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rlotte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lation of third order intermodulation distortion and other nonlinearities
US7486939B2 (en) * 2005-06-21 2009-02-03 Motorola, Inc. Apparatus for removing distortions created by an amplifier
US20070013444A1 (en) * 2005-07-12 2007-01-18 Porco Ronald L Parallel path pre-distorted amplifier
JP2007134849A (ja) * 2005-11-09 2007-05-31 Nagano Japan Radio Co 増幅装置
JP2007134847A (ja) * 2005-11-09 2007-05-31 Nagano Japan Radio Co 増幅装置
SG184010A1 (en) * 2010-03-23 2012-10-30 Ericsson Telefon Ab L M Circuit and method for interference reduction
US9813265B2 (en) * 2015-04-14 2017-11-07 Gainspan Corporation Receiver DC offset calibration with antenna connected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1798A (en) * 1967-12-26 1969-10-07 Bell Telephone Labor Inc Feed-forward amplifier
US3649927A (en) * 1970-02-27 1972-03-14 Bell Telephone Labor Inc Feed-fordward amplifier
US3755754A (en) * 1972-02-04 1973-08-28 Varian Associates Predistortion compensation for a microwave amplifier
US3815040A (en) * 1973-03-02 1974-06-04 Bell Telephone Labor Inc Feed-forward, error-correcting systems
US3873936A (en) * 1974-03-07 1975-03-25 Bell Telephone Labor Inc Apparatus for reducing distortion in a repeatered transmission system
US3922617A (en) * 1974-11-18 1975-11-25 Cutler Hammer Inc Adaptive feed forward system
US3993961A (en) * 1975-10-31 1976-11-2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Overcompensated feedforward method and apparatus using overdistorted main amplifiers
US4352072A (en) * 1980-08-29 1982-09-28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Feedforward amplifier with enhanced stability into loads with high VSWR
US4458209A (en) * 1981-02-03 1984-07-03 Motorola, Inc. Adaptive power control circuit
JPS60106209A (ja) * 1983-11-15 1985-06-11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マイクロ波電力増幅装置
US4517521A (en) * 1984-02-28 1985-05-14 C-Cor Electronics, Inc. Feed forward circuit and a method for aligning and balancing the same
US4583049A (en) * 1984-06-15 1986-04-15 Trw Inc. Feed-forward circuit
US4560945A (en) * 1984-09-04 1985-12-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Adaptive feedforward cancellation technique that is effective in reducing amplifier harmonic distortion products as well as intermodulation distortion products
US4580105A (en) * 1985-01-25 1986-04-01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 reduction of intermodulation products in high power linear amplifiers
US4636741A (en) * 1985-11-01 1987-01-13 Motorola, Inc. Multi-level power amplifying circuitry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s
US4717884A (en) * 1986-04-14 1988-01-05 Motorola, Inc. High efficiency RF power amplifier
US4885551A (en) * 1988-10-31 1989-12-05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Feed forward linear amplifier
US4879519A (en) * 1988-10-31 1989-11-07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s Predistortion compensated linear amplifier
US4926136A (en) * 1988-12-29 1990-05-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wer amplifier combiner for improving linearity of an output
GB2238197A (en) * 1989-11-16 1991-05-22 Motorola Inc Feed-forward amplifier with amplitude and phase pre-correction
GB2238196A (en) * 1989-11-16 1991-05-22 Motorola Inc Feed forward amplifier with pre-distortion
GB2238195A (en) * 1989-11-16 1991-05-22 Motorola Inc Feed forward amplifier with pilot tone cancellation
US5023565A (en) * 1990-01-26 1991-06-11 At&T Bell Laboratories Linear amplifier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feed forward loop gain and phase
US5117197A (en) * 1990-11-09 1992-05-26 Hughes Aircraft Company High-power feed-forward microwave amplifier apparatus with out-of-band intermodulation product suppression
US5077532A (en) * 1990-12-17 1991-12-31 Motorola, Inc. Feed forward distortion minimization circuit
US5307022A (en) * 1991-04-15 1994-04-26 Motorola, Inc. High dynamic range modulation independent feed forward amplifier network
US5130663A (en) * 1991-04-15 1992-07-14 Motorola, Inc. Feed forward amplifier network with frequency swept pilot tone
US5307512A (en) * 1991-06-03 1994-04-26 Motorola, In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chieving wide dynamic range in a transmitter
US5386198A (en) * 1993-01-28 1995-01-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Linear amplifier control
US5304945A (en) * 1993-04-19 1994-04-19 At&T Bell Laboratories Low-distortion feed-forward amplifier
US5349300A (en) * 1993-08-10 1994-09-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ak envelope power of a PA
US5444418A (en) * 1994-07-29 1995-08-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forward power amplif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23227A (en) 1997-04-22
EP0797868A4 (en) 1999-08-04
AU6882696A (en) 1997-05-07
KR980700726A (ko) 1998-03-30
CN1166244A (zh) 1997-11-26
JP3303141B2 (ja) 2002-07-15
EP0797868A1 (en) 1997-10-01
JPH10511534A (ja) 1998-11-04
CN1069003C (zh) 2001-07-25
WO1997015112A1 (en) 199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6403B1 (ko) 무선 주파수 통신 시스템용 증폭기회로 및 증폭기 제어방법
CN1024307C (zh) 具有扫描频率导频音的前馈放大器网络
AU644926B2 (en) Feed forward distortion minimization circuit
US60695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ear power amplification
US60548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stortion correction of a power amplifier stage
KR100273481B1 (ko) 무선 주파수 시스템에서 에러 보정 증폭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51190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a power amplifier circuit
US6859099B2 (en) Nonlinear distortion compensation power amplifier
US5157346A (en) Rf wideband high power amplifier
US62429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izing an amplifier
US20040227570A1 (en) Optimization of error loops in distributed power amplifiers
US6211734B1 (en) Active distor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a line-distortion type power amplifier
CA2284333C (en) Nested feed forward distortion reduction system
US7403070B2 (en) Band selection type feed forward amplifier
US63595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predistortion system
EP0986168A2 (en) Pilotless feed forward distortion reduction system
US6326840B1 (en) Feed-forward distortion compensation amplifier and method of amplifying signal with feed-forward distortion compensation
JPH09172338A (ja) 進行波管及び半導体増幅器の増幅と位相の応答を異なる出力レベルで線形化する方法と装置
JP2002517931A (ja) 利得制御回路およびパイロット信号を用いる可変増幅器の利得制御を与える方法
US6654591B1 (en) Low distortion signal amplifier system and method
CA2203556C (en) An amplifier circui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mplifier for use in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US5095543A (en) Method and device for audio waveform correction in a RF communication system postdetection circuit
JP4467753B2 (ja) 歪補償増幅装置
JP2002223131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JPH0722881A (ja) 線形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