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885B1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885B1
KR100275885B1 KR1019970007838A KR19970007838A KR100275885B1 KR 100275885 B1 KR100275885 B1 KR 100275885B1 KR 1019970007838 A KR1019970007838 A KR 1019970007838A KR 19970007838 A KR19970007838 A KR 19970007838A KR 100275885 B1 KR100275885 B1 KR 100275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machine room
microwave oven
bottom plat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863A (ko
Inventor
강명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885B1/ko
Priority to JP32782297A priority patent/JP3771362B2/ja
Priority to US08/998,455 priority patent/US5951907A/en
Publication of KR1998007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일체형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하부에서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조는, 전자레인지의 상부의 에어덕트 후방에서 장착되어 배기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배기모터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을 위한 전기부품을 기계실의 전방측에 설치하고 그 후방에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격실 성형된 내부배기경로, 그리고 상기 내부 배기경로와 연통하는 배기공이 성형되고,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 체결되는 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저면에서 상부의 배기모터에 이르는 배기경로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배기모터가 장착되는 에어덕트에서 상기 내부배기경로에 해당하는 부분을 삭제하여 내부배기경로가 배기모터의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기경로의 단축과 함께 배기모터에 의한 배기효율을 높이고 있다.
[색인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배기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본 발명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OTR)의 배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기계실후방 및 상면을 통하는 배기경로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배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통상 오븐레인지의 상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자체의 전자레인지의 기능이외에 하방의 오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는 배기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기구조를 제1도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이하에서는 전자레인지라고 칭함)는, 조리공간인 캐비티(12) 및 상기 캐비티와 격실된 기계실(14)이 성형된 캐비티어셈블리(10)와,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기계실에 내장되는 전기부품과,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덕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은 조리공간인 캐비티(12)를 구비하고, 상기 캐비티와 격실된 기계실(1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에서 캐비티(12)의 측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마그네트론체결판(13)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4)에는 상기 캐비티(12)의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부품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를 향하는 배기통로가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진을 위한 마그네트론(16)이 상기 마그네트론체결판(13)에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11)는 기계실의 후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4)의 하부에는, 저판(18)이 복수개의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저판(18) 상에는, 전기 부품의 방열 및 캐비티의 배기를 위한 팬모터어셈블리(15)가 마그네트론의 우측 위치에서 체결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트론(14)에서 소요되는 고압을 위한 콘덴서(19)도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판(18)의 우측에는, 배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공(18a)이 전후방에 걸쳐 성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부품이 상기 기계실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가이드판(17)이, 상기 배기공(18a)과 상부의 에어덕트(20)를 연결하는 배기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실(14)의 일측에서 전기부품을 막는 형상으로 장착된다. 즉, ㄱ자형의 에어가이드판(17)이 상기 기계실(14)의 우측일부[저판(10)의 배기공(18a)에 해당하는 부분]를 막음으로써, 상기 배기공(18a)에 해당하는 기계실 우측의 일부를 배기경로로 형성하고 있다.
전자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덕트(20)의 후방에는 배기모티(22)가 장착된다. 상기 배기모터(22)는 전자레인지의 베이스판(30)과, 기계실(14)의 일부, 그리고 상부의 에어덕트(20)의 후방측을 통하는 배기통로에 에어플로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기모터(22)는 제2도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을 통하여 배기공기가 흡입되어, 상부를 통하여 배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모터(22)가 장착되는 에어덕트(20)는, 상기 배기모터(22)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 즉 후방의 부분이 상기 기계실(14)의 배기경로와 통하게 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덕트(20)에서 기계실(14)와 통하는 측면에서 전방의 부분(23)은 막혀 있고, 후방의 부분(24)만이 기계실의 후방과 연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모터(22)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에는, 배기공(34a)이 형성된 상부커버(34)가 장착되어, 상기 배기공(34a)를 빠져나온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다. 그리고 캐비티어셈블리(10)에서, 배기공(18a)가 성형된 저판(18)의 하부에는 전자레인지의 외부케이싱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판(3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30)에는 배기공기가 통과함으로써 일정한 정화작용을 수행하는 필터(32)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2도를 참조하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작용을 위한 배기경로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부에 장착된 오븐레인지에서 요리를 행하는 경우, 연기등과 같은 배기를 요하는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러한 가스를 배출시키게 되는 바, 이러한 배출경로를 살펴본다.
배기기능을 위한 배기모터(22)가 동작하게 되면 전자레인지 내부의 배기경로를 통하여, 하부에서 발생한 연기등이 배기되게 된다. 이러한 배기경로는 제2도에 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다.
전자레인지의 바닥면인 베이스판(30)의 필터(32)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로 들어온 배기공기는, 저판(18)의 배기공(18a)를 통하여 기계실로 들어온다.
이 때 상기 배기공(18a)는 저판(18)의 우측에서 전후방으로 길게 성형되어 있고, 배기공(18a)를 통하여 내부로 인입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7)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경로를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로 이동한 배기공기는, 기계식(14)의 후방에서 연통하는 에어덕트(20)의 후방부분(24)을 통하여 상부의 에어덕트(2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그리고 에어덕트(20)의 후방부분에서 흡입된 공기는 배기모터(22)의 측면을 통하여 빨려 들어가서, 상부의 배기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부커버(34)의 배기공(34a)을 통하여 나와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배기 효율상의 문제가 지적된다.
배기가스의 흡입부분인 저판의 배기공(18a)는 기계실의 우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성형되어 있고, 배기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배기모터(22)는 상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경로의 길이가 길어서 배기효율이 저하된다. 상기 배기경로는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고,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ㄱ자 형상으로 90도 절곡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배기경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에너지의 손실이 많게 되며, 이러한 배기공기의 에너지의 손실은 배기모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배기경로가 직선상의 경로가 아닌 전방에서 후방으로, 그리고 동시에 하면에서 상면으로 성형되어 복잡한 구조로 되어 배기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계실에서 에어가이드(17)에 의하여 격실되는 부분에 모든 전기부품이 설치되어야 한다. 즉, 전후방을 향하여 전후방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에어가이드(17)의 내측에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든 전기부품이 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치되는 전기부품이 복잡하게 되고, 일단 배치위치가 결정되면, 그 구조는 물론 조립 공정도 변경이 어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17) 내측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냉각팬(15)에 의한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드 등의 전기부품의 효율적인 냉각도 문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 의하여 기계실에 있는 부품의 보수 유지를 위해서는, 상부커버(34)와 상기 에어가이드(17)을 동시에 분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함도 뒤따른다.
본 발명은 내부를 통하는 배기경로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배기모터를 이용하는 배기효율이 높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비티 어셈블리 104 : 기계실
110 : 에어덕트 112 : 배기모터
112a : 흡입구 120 : 저판
126 : 에어가이드 128 : 배기공
130 : 베이스판 132 : 필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기구조는, 전자레인지 상부의 에어덕트 후방에서 장착되어 배기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배기모터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을 위한 전기부품을 기계실의 전방측에 설치하고, 그 후방에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격실 성형된 내부배기경로, 그리고 상기 내부 배기경로와 연통하는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 체결되는 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저판에서 상부의 배기모터에 이르는 배기경로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배기모터가 장착되는 에어덕트에서 상기 내부배기경로에 해당하는 부분을 삭제하여 내부배기경로가 배기모터의 흡입구와 연통하도록 구성하여 배기효율을 높이고 있다.
저판의 하부에는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장착된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필터는 저판의 배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성형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생을 위한 전기부품은 기계실의 하부 및 저판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전기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팬어셈블리는 상부의 에어덕트에 장착되어, 팬어셈블리가 하방에 집중된 전기부품의 냉각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판에 형성되는 배기공은 배기경로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는, 후방에 위치하는 배기모터에 의한 배기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모터까지 가장 단순화되도록 후방에서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유로의 길이가 짧은 배기경로를 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캐비티어셈블리(100)의 우측에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을 위한 전기부품이 장착되는 기계실(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104)는 캐비티(102)와는 캐비티측벽(105)에 의하여 격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04)이 하부면을 구성하는 저판(120)은 상기 기계실(104)의 전판(107) 및 후판(105) 사이에서 하단부에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캐비티상면(106)에는 상기 기계실(104) 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도파관(109)이 장착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그네트론(124)이 장착된다.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진을 위한 마그네트론(124)은 상기 도파관(109)에 체결되어 상기 저판(120)의 상부 공간인 기계실(104)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도파관(109)는 상기 캐비티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트론(124)의 장착은, 기계실의 공간활용을 위하여 캐비티상면(106) 상에 장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종래에 마그네트론체결판에 체결되던 구조에 비하여 기계실의 공간 사용 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124)에서 필요로 하는 고압을 공급하는 고압트랜스(125)와 고압콘덴서(123) 등의 전기부품은 저판(120)에 성형된 복수개의 체결공(122)을 통하여 저판에 체결, 고정된다.
한편,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부품들은 상기 기계실(104)의 내부에서 전부 전방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저판(120)의 후단부분에는 후술하는 배기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공(128)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계실(104)의 전방측에 장착되어 있는 전기부품의 후방에는 일자형의 에어가이드(126)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26)는, 기계실의 후방의 일부를 배기통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후방의 일부를 남긴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기계실(104)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26)에 의하여 격실된 후방은 전자레인지 내부에 구성된 내부배기경로(A)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제4도참조)
다음에는 캐비티상면(106)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덕트(110)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110)의 기계실에 해당하는 전방부분, 즉 전기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의 전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기부품의 냉각과 캐비티(102)의 배기를 위한 팬어셈블리(11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팬어셈블리(114)를 기계실의 상부가 되는 에어덕트(110)에 설치 또는 일체화하는 것에 의하여 그 하부에 설치되는 전기부품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달성될 것이다. 상기 에어덕트(110)의 후방에는 종래와 동일한 구조의 배기모터(112)가 설치되고, 상기 배기모터(112)는 측면의 흡입구(112a)와 상부의 배기구(11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에어덕트(110)의 후방의 우측, 즉 기계실(104) 후방의 내부배기경로(A)에 해당하는 에어덕트의 부분(113)은 삭제된다. 즉 도면에시 빗금으로 표시한 부분을 삭제하는 것에 의하여 기계실의 배기경로(A)가 배기모터(112)의 흡입구(112a)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판(130)이 캐비티어셈블리(100)의 하면에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판(130)에는 기계실 배기경로(A)와 연통하면서 배기공기의 정화를 수행하는 필터(132)가 장착되어 있다. 제4도에서 상기 필터(132)는, 전방측에 성형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애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필터(132)를 저판(120)의 배기공(128)와 동일한 위치에 성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하측에 장착된 오븐레인지에서의 조리로 인하여 배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모터를 동작시키게 된다.
배기모터(112)가 동작하면, 전자레인지 내부의 배기경로를 통하여 하측에서 발생한 연기 등의 배기공기가 배출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기경로를 살펴보면, 전자레인지 내부에서는, 기계실의 후방에 설치되는 에어가이드(126)과 캐비티어셈블리 후판(108) 사이에서 별도로 만들어진 본 발명에 의한 내부배기경로(A)는, 하측으로는 저판(120)의 배기공(128)을 통하여 베이스판(130)의 필터(132)에 연결되고, 상측으로는 에어덕트(110)의 삭제 부분(113)을 통하여 배기모터(112)와 직접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전자레인지 내부에서 기계실의 후방에 마련된 배기경로(A)는, 하부로는 직선상으로 전자레인지의 외부와 연통하고, 상부로는 배기모터의 흡입구(112a)가 연통하는 상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기경로는 기계실의 후방에서 배기입구인 저판(120)의 배기공(128)에서 출구인 배기모터(112)의 흡입구(112a)에 이르기 까지 직선형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기경로는 상대적으로 그 유로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그 내부를 흐르는 배기공기가 아무런 막힘 없이 일직선상을 흐르도록 되어 있어서, 배기공기의 에너지 손실이 없어지는 것에 의하여 배기모터의 배기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팬어셈블리는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는 에어덕트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부품은 전부 상기 팬어셈블리의 하방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부품의 중간 부분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던 종래의 팬어셈블리의 구조와 비교하여 볼때, 본 발명에 의한 팬어셈블리에 의하면 전기부품의 냉각효율이 효과적으로 될 것이다. 즉, 일측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전기부품을 상부에 장착된 팬어셈블리에 의하여 더욱 효율적인 냉각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에어가이드의 구조가 ㄱ자형으로 되어 있던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일자형으로 성형되는 것에 의하여 기계실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지고, 따라서 고압트랜드 등을 비롯한 전기부품을 기계실의 내부에서 체결하는 작업성이 향상된다. 부품의 수리를 위하여 상부커버를 분리하면 바로 전기부품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또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수리등에서 훨씬 유리한 면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의 배기경로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면서 동일 평면상에서 형성되고 있고, 특히 배기모터의 흡입구가 상기 배기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효율이 높아지는 것과 동시에, 기계실에는 에어덕트에 설치된 팬모터에 의하여 전기부품의 냉각효과도 높아지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6)

  1. 전자레인지 상부의 에어덕트 후방에서 장착되어 배기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배기모터와;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을 위한 전기부품을 기계실의 전방측에 설치하고, 그 후방에 에어가이드에 의하여 격실 성형된 내부배기경로; 그리고 상기 내부 배기경로와 연통하는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계실의 하부에 체결되는 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저판에서 상부의 배기모터에 이르는 배기경로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배기경로에 해당하는 에어덕트의 해당부분을 삭제하여, 배기모터의 흡입구가 내부배기경로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를 구비하고, 전자레인지의 하측에 장착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필터는 저판의 배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생을 위한 전기부품은 기계실의 하부 및 저판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전기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팬어셈블리는 상부의 에어덕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에 형성되는 배기공은 배기경로 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1019970007838A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100275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838A KR100275885B1 (ko)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JP32782297A JP3771362B2 (ja) 1997-03-08 1997-11-28 フード兼用電子レンジの排気構造
US08/998,455 US5951907A (en) 1997-03-08 1997-12-24 Exhaust structure for ventilation-hooded microwave ov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838A KR100275885B1 (ko)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863A KR19980072863A (ko) 1998-11-05
KR100275885B1 true KR100275885B1 (ko) 2001-01-15

Family

ID=1949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838A KR100275885B1 (ko) 1997-03-08 1997-03-08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51907A (ko)
JP (1) JP3771362B2 (ko)
KR (1) KR100275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907A (ko) * 2000-11-22 2002-05-30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필터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800U (ko) * 1998-07-29 2000-02-2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할로겐램프 냉각구조
KR20010001015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팬 장착구조
KR100345894B1 (ko) * 1999-11-09 2002-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벽부착형 전자렌지
US6291809B1 (en) * 2000-10-05 2001-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l-mounted microwave oven
KR200226752Y1 (ko) * 2000-11-01 2001-06-15 엘지전자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배기유로구조
KR100621034B1 (ko) * 2000-12-28 2006-09-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KR100437381B1 (ko) * 2000-12-2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KR100694255B1 (ko) 2000-12-30 2007-03-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벤트모터조립체의 구조
US6974936B2 (en) * 2001-09-11 2005-1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igh frequency heating apparatus
KR100474336B1 (ko) * 2002-07-24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의 토출구 형성구조
US6953319B2 (en) * 2002-07-25 2005-10-11 Lg Electronics Inc. Centrifugal fan
KR20040096136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KR20050075981A (ko) * 2004-01-19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1291422B1 (ko) * 2007-01-02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WO2011028724A1 (en) * 2009-09-01 2011-03-10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ng a cooking device
US11523473B2 (en) 2016-04-12 2022-12-06 Whirlpool Corporation Combination microwave and hood system
CN110542127A (zh) * 2019-10-10 2019-12-0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274A (en) * 1978-08-21 1982-04-27 General Electric Company Ventilation system for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exhaust vent
JPS5843703Y2 (ja) * 1979-05-01 1983-10-03 リンナイ株式会社 複合調理器
US4418261A (en) * 1982-01-15 1983-11-29 Amana Refrigeration, Inc. Microwave oven and ventilator system
US5042458A (en) * 1987-10-26 1991-08-27 Whirlpool Corporation Bi-level exhaust venting system for an eye level range
KR960041905A (ko) * 1995-05-16 1996-12-19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907A (ko) * 2000-11-22 2002-05-30 구자홍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필터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863A (ko) 1998-11-05
US5951907A (en) 1999-09-14
JPH10253068A (ja) 1998-09-25
JP3771362B2 (ja)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885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EP1220576B1 (en) Device for cooling electric equipments of hooded microwave oven
EP1221827B1 (en) Hood apparatus of ventilation hooded microwave oven
KR100419208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236440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JP2966658B2 (ja) 加熱調理器
KR10042031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KR10051267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437382B1 (ko) 전자레인지의 구조
KR100289124B1 (ko) 전자렌지
KR100395639B1 (ko) 전자렌지
KR200189005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커패시터 설치구조
KR100796366B1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
KR100373091B1 (ko) 전자렌지
CN210408175U (zh) 主机组件及食物处理机
KR200232526Y1 (ko) 전자레인지의 흡기구겸용 램프설치구조
KR100300115B1 (ko) 전자렌지
KR20020057117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마그네트론 냉각구조
KR100200788B1 (ko) 전자렌지
KR20060131545A (ko) 전자레인지의 에어덕트 설치구조
KR20000015569A (ko) 전자렌지
KR200229343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변압기 장착구조
KR980008922U (ko) 전자레인지
KR20000034163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040061149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벤트모터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626

Effective date: 199912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